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 모형 결합에 의한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

        강진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의 도로이용자들이 경로우회 시 갖는 의사결정과정속에 내포된 비선형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정도 있는 모형구축에 따른 주요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고속도로와 국도를 이용하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우회여부에 관련된 SP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이론의 결합된 모형을 구축하여 운전자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 우회여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회도로 인지여부, 교통정보 신뢰도, 교통정보 이용빈도, 경로전환경험,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분류표를 통한 기존 모형과의 예측력의 비교결과 결합된 모형의 오분류율이 8.6%로 기존 모형인 로짓모형 12.8%과 의사결정나무 단독 모형 13.8%와 비교 했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결합모형의 효용성을 바탕으로 운전자 특성별 세분화된 요인을 도출을 위해 개인특성변수 중 그 차이가 발생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성별, 나이, 지역, 운전경력별로 각 각 다른 우회요인들과 그 교호과정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회실시에 관련된 패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분산효과와 도로망 효율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우회관리전략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se factors of determination about detouring for making a standard model in regard of unfavorableness and uncertainty when unspecified individual recipients make a decision at the time of course detour. In order to achieve this, we surveyed SP investigation whether making a detour or not for drivers as a target who take a high way and National highway. Based on this result, we analysed detour determination factors of drivers, establishing a combination model of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model. The result demonstrates the effected factors on drivers、detour determination are in ordering of the recognition of alternative routevs, reliable and frequency of using traffic information, frequency of transition routes and age. Moreover, from the outcome in comparison with an existing model and prediction through undistributed data, the rate of combination model 8.7% illustrates the most predictable way in contrast with logit model 12.8%, and Individual Model of Decision Tree 13.8% which are existed. This reveals that the analysis of drivers、detour determination factors is valid to apply. Also, in order to deduce a specific factor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a character of a driver based on the efficiency of the combination model, the individual character variables which had result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detour factors were anaylzed by sex, age, region, and driving history and its reciprocal process could be grasped and the patterns relevant to the detour decision could be revealed based on the analysis. Hence, overall study considers as a practical foundation to make effective detour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utility of route networking and dispersion in the volume of traffic from now on.

      •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을 이용한 합리적 의사결정모형 개발

        고은희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의 기본적 목표인 민주 시민의 자질로서의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브레인라이팅'기법을 이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들에 직면하여, 최근 사회과 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 있어서 합리적 의사결정력이란,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민주적 과정에 참여하여,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합리적 의사결정력의 함양을 위해서, 소집단 활동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이나 대안을 창출하여 집단의 의견을 수렴 · 발표하는 '브레인라이팅' 기법을 활용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연구의 방법 및 한계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 사회과 교육의 목표로서의 합리적 의사결정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존에 연구되었던 의사결정 모형들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근간이 되는 '브레인라이팅'의 개념과 기본 절차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기본 모형과 확장 모형으로 단계화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브레인라이팅을 활용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예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단계화된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의 기본 모형과 확장 모형을 사회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문제의 인식과 해결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력 · 창조적 사고력 · 의사결정력 등의 고급 차원의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대안의 분류와 평가 과정에서 민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인라이팅'을 활용한 의사결정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서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참여적 행동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모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하지 못하고, 그 효과 또한 검증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겨 두고, 여기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개발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a "Brainwriting" metho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abilities of rational decision-making, which is a core e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well as a main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ith various, complicated societal problems of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societies, there has been a growing emphasis on the individual's ability of rational decision-making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the ability of rational decision-making indicates an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democratic processes as a member of a given society and to make rational, democratic decisions for various social problems. To improve students' abilities of rational decision-making in our school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of rational decision-making relying on a Brainwriting technique, which involves mixed processes of problem-solving and small-group activities to shape solutions and alternatives toward given social problems. The organization of the present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Ⅰ illustrates the purposes, methodology,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Chapter Ⅱ,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models of rational decision-making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lluminates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s, suggesting some rationales for the need of an alternative model. Chapter Ⅲ, Ⅳ describes core concepts and basic stages of a Brainwriting method. Especially two models of rational decision-making based on the Brainwriting method are suggested: the basic model and the extended model. Each model is discussed with concrete examples, followed by anticipated pedagogical consequence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Chapter Ⅴ summarizes major arguments of this study,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of rational decision-making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improve their higher-leve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in social studies classrooms. Additionally, the present model based on the Brainwriting method will help social studies teachers create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which students can engage in participatory actions in the processes of decision-making for given social problems.

      • 協同的 意思決定授業模型에 關한 硏究

        김일남 湖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9726

        본 논문은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에 관한 연구이다. 행정 조직 및 관리에서 다루고 있는 의사결정 이론은 학교수업에서의 의사결정과정에 도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면서도 실제적이고 직접적으로 의사결정 이론을 학교수업에 적용하는 연구에는 미흡하다. 이상과 같은 논지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다음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과 학교수업에서 학습기법으로 적용된 협동학습에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이론을 탐색하여 협동 학습의 특징을 살린 협동적 의사결정 수업모형 을 개발한다. 둘째,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적용하지 않는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습의 효과성과 학습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셋째, 개발된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학교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제시 한다. 위와 같은 세 가지 목적을 밝히기 위한 첫 번째의 과제로,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배경이 되는 이론을 탐색하였다. 즉 조직학에서의 의사결정과정과 사회과 교육에서 적용되고 있는 의사결정모형, 협동학습에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의사결정수업모형의 全過程에서는 객관적 관찰과 판단을 사용하여 확실한 상황으로 옮겨가는 반성적 사고과정을 거쳐 불확실한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의 선택을 하기까지 개인적인 의사결정을 토대로 집단적인 의사결정으로 확장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협동적 의사결정수업 모형을 개발함이 타당하다고 밝혀졌다. 그리고 이 모형을 적용하는 교수 · 학습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학습의 중심이 되며, 교사는 학습의 격려자 또는 촉진자의 역할을 하고,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집단은 각기 학습 능력이 다른 소규모의 인원을 이질집단으로 구성 하여 개인적인 사고가 이루어진 이후, 집단적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논쟁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수준 높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협동적인 학습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그리고 선행논문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 ㆍ학습 변인을 신중히 재구성하는 협동적 의사결정모형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 활동이 빈번하고 또래 집단간의 인간관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감지하여 경쟁적이고 계층화된 학교 교실의 학습구조를 극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소집단 구성원들 간에 협동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조장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차 국가 사회의 각 조직에서 관리자가 되어 리더와 정책결정 역할을 할 학 생들에게는 어렸을 때부터 개인의 의사를 기반으로 한 집단사고를 통하여 합리적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절차와 방법이 교육되어지는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연구과정에서 밝혀야할 두 번째 과제로, 지금까지 탐색되었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의 개념을 "학생들이 자신과 서로의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함께 노력하는 협동적 학습구조를 활용하여 개인과 집단적인 사회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학생들이 현명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사회탐구와 가치탐구의 두 과정을 통합한 교수 · 학습모형" 라고 정의하였다. 개발한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의 두 축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 탐구과정과 가치 판단의 명료화를 중시한 가치 탐구과정인데, 이 두 과정을 통합하여 협동적 학습구조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명확히 밝혔다. 본 모형의 의사결정과정은 문제의 발견과 정의, 문제의 진단과 가설, 문제의 해결책 탐색, 문제 해결 및 증거 정리, 결론과 일반화 등 5단계로 하였다. 더불어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요건을 정립하고 적용 방법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학습의 책무성, 의사결정능력, 학습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등 4가지 영역이며 9개의 하위 요소로 구분하여 밝혔다. 연구과정에서 밝혀야 할 세 번째 과제로, 개발된 협동적 의사결정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얻는 학습 효과성을 두 가지면에서, 학습 만족도를 세 가지면에서 현장실험 방법 분석의 틀을 정립하고 분석하여 성과를 밝혔다. 학습의 효과성은 학습한 교재 내용의 인지적 및 기능적, 가치 · 태도 등 통합적인 학업 성취도와 의사결정능력을 분석하고 학습 만족도는 위에서 밝힌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의 과정적인 변인 중 의사결정능력을 제외한 세 가지 영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집단은 광주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Y, H 초등 학교 6학년 2 개 학급을 각각 선정 하고 1학급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는 통제집단과 나머지 1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정하였으며,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2002. 9월 셋째 주부터 10월 둘째 주까지 8차시(8시간)를 할애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적용하면 학생들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책무성을 갖게 되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모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길러 주어 최적한 대안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적용하면 학생들은 합리적인 사고와 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지니게 되었다. 셋째,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성과는 전통적인 수업방법에 비해서 학습동기를 높여주어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메타인지 능력을 높이는데 기여 하였다. 넷째, 협동적 의사결정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학습 과제에 대한 학습 동기를 새롭게 형성하여 긍정적 자아개념과 상호의존성을 심어주었다. 다섯째, 협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과정에서 교사는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학습을 촉진시켜 주는 지원자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은 의사결정 주체인 학생들이 학습을 주도하고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이 내재된 학습 환경에서 적용되어야 하며, 교사는 의사결정의 지원자로서 학생 중심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의사소통 집단을 조장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의사결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개인적인 의사결정과 집단적인 의사결정을 통합하고 협동학습 구조에서 실천되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합리적인 의사 결정능력을 키워주도록 해야한다고 결론을 맺었다. 이러한 결론을 기저로 하여 학교수업에서 실천되는 사회과학 탐구수업에 적용되는 의사결정수업모형이 사회과학의 學제的 接近에 의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교사양성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직교육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현직교육에서 의사결정 교육론이 교육과정에 編成되고 복修되어야 할 것을 향후 과제로 제언하였다. The study relates to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In spite of the actual fact that a derision making theory that has been treated in administrationa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has been giving help in the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in lectures in school, however, the studies on actual and direct application of the decision making theory in lectures in school has been deficient still. Based on the proceeding points of argumentation, the three objectives of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ly. it has aimed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by exploring the decision making theories that have made in an organization and that have been applied for a learning method in school lectures. Secondly, it has aimed to demonstrate practically that the extents of effective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applied for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are greater than those of a controlled group not applied for the model. Thirdly, it has aimed to suggest a strategy that makes available to apply for the developed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in a practical classroom teaching. As the first subject in order to obtain the proceeding three objectives, the existing theoretical background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ve been analyzed thoroughly. in which the theories on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organizational science, on models fur decision making applied in lecture courses of society, and on decision making in cooperative learning have born included. The analyzed result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e models of decision mak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decision transfer and decision making have been applied to teaching of social subjects originally and the common factors have been extracted by comparing with those of social exploration and value exploration and those on the organizational theory viewed from the position of social science previously. However it has been found out that is appropriate for developing a model of the cooperative decision making instruction in the study that will be possible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rough a collective and mutual interaction based on individual decision makings until resolving uncertain problems and selecting a value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that move into a certain situation using an objective observation and judgment in the whole processes in the model of decision making learning. And also the model of decision making has been found out that students play the central role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teacher plays a role of encourager or stimulator of learning and to apply for a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make a decision of higher level through collective and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fter that individual thinking has been made by constituting a group to resolve a learning subject to be a heterogeneous group with other small memb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capabilities each other. Some previous studies that had been carried out earlier have analyzed by applying the theory investigated until now. The contents analyzed suggest us that it will be necessary for a model of cooperative decision making to reorganize various kind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ably in order to make students to interact positively, it will be focused to overcome the traditional learning structure that has been competitive and classified in classroom at school by detecting the facts that the interactive activities in a minor group through communications should be frequent enough and the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with the same age should be important and it will be necessary for activities to encourage the mutual interactions in order to carry out a subject cooperatively among the members of minor groups. Therefore, it has been analyzed in the study to require for developing an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by which students, who will become leaders or play roles of policy making in the national society in the future, will be educated with procedures and methods for making decision reasonably through a collective thinking based on individual intentions from the very young ages. As the second subject in order to obtain the proceeding three objectives the concepts on model of the cooperative decision making instruction have been established and this model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has been explored as the second subject to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is model has been defined as a teaching and teaming model integrated with the social exploration and the value exploration, which are different with each other that becomes students possible to make a decision intelligently upon a resolution of a collective social problem by utilizing the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to take efforts with each other in order to maximize an effect of their teaming by themselves. The two axes in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winking that has been developed are a process of the social and scientific exploration that is an exploring process of cooperative social knowledge through a mutual interaction and the value explora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of value judgment is focused through a mutual interaction and a process of decision making in the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has been identified clearly by integrating these two ones. The stages of decision making in the model are composed of five ones: discovery and definition of a problem, diagnosis and assumption of a problem, exploration of resolving method to a problem, resolution of a problem and arrangement of proofs, and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 Furthermore, the conditio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model of the cooperative decision making instruction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application method has been identified, which are classified with 4 kinds of areas including positive mutual dependence, liabilities of learning, capabilities to make a decision. role of a teacher as encourager of learning and with 9 lower factors roughly. As the third subject in order to obtain the proceeding three objectives. the analysis frames with four aspects for the effective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t could get by applying the developed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achievements have been investigated, as the third subject tha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study process. The effectiveness, that is based on a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s, has been analyzed by the integrated achievements such as a recognizable and functional value and an attitude for the contents of texts that students have learnt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has been analyzed with the objects of four area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model of cooperative decision making lecture as mentioned above. 2 classes in the sixth year were selected from Y and H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ju City, as a study group. One class of those was defined as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y were undergone with the traditional lectures and the other was defi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s been applied for them by allocating for 8 hours from the third week on September to the second week on October, 2002. Having finished to pass through a series of the processes, the analyzed results are suggest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have got liabilities since they became the subject of decision making and they were helped with establishing a reasonable counter measure since it has grown up the students with the capabilities of decision making to participate in all together unless nobody was shunned out when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d been applied for in their classrooms. Secondly, when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d been applied for in their classrooms, it has contributed in growing up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to cultivate the capabilities of reasonable decision making as the students utilized reasonable thinking and rationality at the most. Thirdly. the achievements when the instruction model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d been applied for in their classrooms have influenced to an increase of the learning achievements positively have contributed in increasing the capabilities of META recognizable knowledge since it has increased the motive of learning achievement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s of instruction. Fourthly, the lectures applied with the method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ve made the students to cultivate with positive self conception and mutual dependence by forming a learning motive for the learning subject newly. Fifthly, a teacher in the processes of cooperative decision making has become a helper who encourages the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interact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odel of cooperative decision making suggests us that the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decision making should lead their own studies, the learning environment incorporated with a positive and mutual dependence should be applied in, and a group of communication that makes a communication centering on the students should be formed in it. And it has concluded that it should be appropriate to cultivate students with the capabilities of reasonable decision making by integrating with individual decision making and collective decision making as for securing the justice of their decision making and by making to practice it in a cooperate learning structure. Based on such conclusions in the study, some point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ios that various kinds of the instruction models applied in an exploration lecture of social science will be developed by approaching with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science and the educational theory for decision making will be organized and implemented in the regular instruction courses which are conducted in educational universities for the teachers who are in school or transferring to another subject and fer candidate teachers as well.

      • 株式去來를 위한 個人形 프로그램 買受/賣渡 意思決定模型에 관한 硏究

        김인환 慶南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9711

        The problem of buying and selling stocks on the open market involves uncertainty because of the movement of the stock price which cannot be known with certainty in advance. Investors must content with this uncertainty in the formulation of buying and selling strategy. Successful stock trading depends upon the ability to predict future price movements and to formulate a strategy for both buying and selling. In this paper, a logic for successful stock trading will be introduc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ecision maker views future stock prices as random variables with predicted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underlying concept of logic present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wo important points. First, past decisions may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present decisions, in turn, future. Second, the aspiration level principle of choice seems most appropriate in stock trading. Also some underlying assumptions are mentioned. First, the problem of a single trading in a single market with known deadline is considered. This is not a general case in reality. However, for simplicity, only a single trading strategy is considered. Second, stock prices for future days are predicted, and these predictions are taken to be random variables. In other words, each day a stock price becomes known which is good for that day, but that day only. According to the financial theory on stock prices, there are three theories of time series behavior of stock prices : (1) the fair-game model, (2) the martingale or submartingale, and (3) the random walk. In any case, the proposed decision model in this paper can adapt the behavior of stock prices as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Because of the transitory nature of each day's stock price, the decision-maker cannot make sure that he buys at the lowest possible price or sells at the highest possible price. Instead, the decision-maker must consider each quotation as it is made and decide whether to buy or to sell or to wait in the hope of a better price at some future time. The core of the problem is to determine the critical price level for each day. Given probabilistic forecasts of future stock prices, these critical price levels may be determined to minimize or to maximize the expected stock price in the long run. Under the assumptions mentioned above,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s were developed: the sequential decision-marking structure for buying strategy and the sequential decision-marking structure for selling strategy. The computer program was also developed for practical purpose so that it would be a very useful tool in real situation. This research gave us some significant results. In the decision-marking for buying strategy, as the deadline for buying approaches, one is willing to accept a higher and higher price. In other word, if there is plenty of time before the buying must be made, then one may hold out for a relatively low price. In the decision-marking for selling strategy, as the deadline for selling approaches, one is willing to accept a lower and lower price. In other word, if there is plenty of time before the selling must be made, then one may hold out for a relatively high price. The proposed decision model in this paper shows that one can determine the critical price in stock trad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future stock price is given as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f the future stock price is given as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ne can set up the buying strategy and selling strategy simultaneously. Since the concept and the logic is very similar, the proposed decision model can be also applied to similar situations ; such as, purchasing problem, spot trading, and foreign exchange dealing, etc. The proposed decision model in this paper considered a single trading strategy under the given deadline. However, this is not a general care in real situation. In other word, the decision-maker would do better to distribute his trading in some way over the time available before the deadline. This requires to develop a more complicate and sophisticated decision model. 프로그램매매란, 전산망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다수의 종목을 동시에 거래하는 투자전략을 말한다. 프로그램매매는 대개 기관투자가들이 막대한 자금력을 위주로 이미 설정해 놓은 수익률에 도달하든가, 또는 매도기준률에 도달하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개인이 프로그램매매의 원리를 이용하여 주식거래를 할 수 있도록 주식거래를 위한 의사결정모형을 구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주식가격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면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준가격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프로그램매매의 특성과 현황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매매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의사결정 모형은 만족수준의 원리(aspiration level principle)과 기댓값의 원리(expected value principle)를 결합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실용적 목적을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주식거래를 특별한 예측이나 어려운 기법의 적용 없이 손쉽게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준만 입력하면 저절로 거래 기준가격이 계산되어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된 매도 및 매수 기준가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몇 가지 흥미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여유기간, 그리고 그 기간 동안 예상최고가와 예상최저가가 모두 같다면, 매도 기준가격과 매수 기준가격은 상호 대응적인 관계를 갖는다. 둘째, 매도의 경우 여유기간 전체적으로 보아 초기에 기준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며, 매수의 경우는 반대로 여유기간이 다가옴에 따라 급격히 올라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여유기간이 길어지면 여유기간의 후반부로 갈수록 매도 기준가격의 하강폭은 작아지며, 매수 기준가격의 상승폭은 커진다. 매도 기준가격은 전체 기간의 중반을 넘어서면서 하락폭이 미미해지며, 매수 기준가격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사결정 모형은 개인의 주식거래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상황에서도 얼마든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환거래, 현물시장에서의 거래, 구매문제 등 상황이 유사한 시장에서는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형은 모형의 단순화를 위하여 거래할 여유시간을 주고, 그 여유시간 안에서 반드시 한 번에 거래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거래는 나누어서 할 수 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형을 확장하여 보다 일반적인 상황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래가격의 분포를 재무이론에서 흔히 사용하는 균등분포로 가정하였으나, 가장 일반적인 정규분포로 예측 할 수 있는 모델로 개발한다면 더욱 정교한 의사결정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의사결정모형에 의한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분석 :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허순주 西原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사회과의 핵심 목표인 '시민성'은 지식에 대한 이해, 가치에 대한 탐구, 의사결정능력을 통해 달성된다 다시 말해, 지식과 가치에 대한 명백한 이해, 이 두 요소를 종합하여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사회과의 최종 목표인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사회과는 전통적인 지식 전달 중심의 사회과 교육에서 탈피하여 사회현상에 관한 지식의 발견과 문제 해결력을 강조하고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판단 및 의사결정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회문제를 추출하여 뱅크스의 의사결정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첫 번째, 교과서에 실린 사회문제의 유형과 사회문제의 비중을 분석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사회문제 양이 어떻게 변했고 이는 의사결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회문제의 비중이 전체 교과서 서술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해 사회문제 비중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출제의 종류도 범죄나 자살문제 같은 일탈문제 보다는 실생활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사회문제의 비중이 높아 졌다. 두 번째, 의사결정모형에 따라 사회탐구, 가치탐구, 종합의 3단계로 나누어 고찰했다. 사회탐구는 다시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했다. 첫째는 사회탐구의 1차 지식인 탐구 방법론에 대한 분석으로 뱅크스의 사회탐구 6단계 절차에 따라 사회탐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를 만족시키는 서술은 한 개의 교과서에서만 찾을 수 있었다 둘째는 사회탐구의 2차 지식인 탐구 결과물에 대한 분석으로 사회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문제를 서술하는 이론적 관점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문제를 다루는 관점은 구조기능론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또한 갈등론은 3.4% 밖에 되지 않았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은 교과서 어디에도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탐구의 지적 배경인 이론에서조차 균형적인 시각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가치탐구 역시 뱅그스익 5단계 모형을 균략화 한 4단계의 모형에 의거해 분석해 보았으나, 단지 3곳에서만 이 모형에 충실한 서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탐구와 가치탐구를 종합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교과서가 서술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실과 원리에 대한 이해, 가치에 대한 분석과 명료화, 이 두 가지 요소의 배합과 상호작용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이끌어 내는 교과서 서술은 한 곳도 없었다. 또한 사회문제 중 가치탐구보다 사회 탐구의 비중이 높아서 의사결정의 결정적인 요소인 가치탐구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서 서술 방식에 대해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원주의 사회를 사는 학생들이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더 많은 논쟁적 사회문제를 끌어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절차를 준수하여 제대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사회문제를 다루는 이론적 관점에 있어 사회과학적 지식이 편중되지 않아야 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이론적 관점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현행 교과서는 지식 위주의 사회 탐구가 주를 이루는데 사회탐구와 가치탐구를 겸할 수 있는 문제들로 교과서를 구성해서 사회과학적 지식습득과 가치에 대해 명백한 내면화를 함께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사회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사회탐구와 가치탐구를 거쳐 합리적 의사결정으로 이르는 문제 해결력 중심으로 구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후의 연구에서는 해석학적 방법, 비판적 방법, 다차원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론으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치탐구와 관련해서 탐구 절차만을 그 분석 내용으로 삼았을 뿐, 가치의 덕목이나 원칙에 대한 분석은 시도하지 않았다. 또한 가치 탐구의 절차 역시 뱅크스의 절차를 간략화 하여 준거로 했으므로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가치의 덕목이나 원칙에 대한 분석과 함께 보다 다양한 가치탐구 절차를 적용한 분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citizenship,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Social Education, is achieved by the scientific inquiry, the values inquiry, and synthesi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o encourage the citizenship encourage their abilities of the decision making. In the 7th curriculum, Social Education places emphasis on the discovery of the knowledge and the abilities of the problem solving about the social phenomenon and the critical thinking, the creativity, and the decision making. To find out how much these trends reflects on high school textbook(social studies), we analyzed the textbook(focusing at social problems) by Banks' decision making model. In this paper, we used the following two methods for analysis(frequency and the understanding of textbook).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rtion of the social problem occupies a quarter of the whole textbook. we investigated how much the textbook satisfied social inquiry 6 step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scription satisfying the steps can be found in only one textbook. we also observe how much the theoretic views describing the social problem appears fair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ortion of functionalistic view is 86.6%. Conflict view is only 3.4%. We cannot find any view point of the symbolistic view in the whole textbook. As a result, the students cannot have a balanced viewpoint for the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e values inquiry was also analyzed by 4 steps, but the only three parts among descriptions satisfied these steps. Social inquiry was emphacised less than the social inquir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some methods to improve the textbook.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ies of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 textbook has to include the more number of controversial public issues in the social problem. Second, the diverse viewpoints dealing with the social problem must be said fairly. Third, we have to compose the textbook to include both the social inquiry and the values inquiry.

      • 잠재적 교육과정 관점에서 학급훈육 의사결정모형 개발 연구

        박우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10

        학급훈육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학적인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 본 논문은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점에서 보면 학급훈육은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역에 해당하며, 잠재적 교육과정은 부정적인 기능과 긍정적인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바람직한 학급훈육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핵심 조건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긍정적인 잠재적 교육과정 형성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적 교육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을 선정하고 전문가 검토과정을 거쳤다. 둘째, 검토한 의사결정기준을 기반으로 학급훈육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 선정과 검토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통합적인 문헌고찰과 델파이 조사를 사용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학급훈육 의사결정 관련 문헌을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탐색하면서 의사결정기준을 선정하였다. 아울러 선정한 의사결정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은 교사영역과 환경영역으로 구분된다. 교사영역에는 교사의 훈육에 대한 기초적 이해, 훈육방향, 훈육실천 관련 의사결정기준들을 도출했으며, 환경영역에서는 교실의 물리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법·제도적 환경 관련 의사결정기준들을 선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안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기준안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2차와 3차 설문조사에서는 1차 설문조사를 통해 검토한 의사결정기준안에 대해서 전문가 패널들에게 잠재적 교육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점에서 타당성의 정도를 표기하도록 요청하였다. 2차와 3차 조사는 Likert 5점 척도로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했으며, 각 의사결정기준안에 대한 Likert 척도의 평균값, 표준편차, 내용타당도(CVR) 값을 제시하였다. 최초 선정한 88개의 의사결정기준안은 전문가의 1차 설문조사 및 검토를 통해 69개 기준으로 수정·보완되었다. 2차와 3차 설문조사에서 69개 의사결정기준안 중에서 16개 기준이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교사영역 43개 기준과 환경영역 10개로 모두 53개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이 선정되었다. 학급훈육에 대한 교사의 기초적 이해영역 기준이 15개, 학급훈육 방향영역 기준이 10개, 학급훈육 실천영역 기준이 18개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훈육에 대한 기초적 이해영역에는 훈육문제 이해 기준이 5개, 교사의 유형과 권위 이해 기준이 4개, 교사의 의무와 태도 이해 기준이 6개였다. 교사의 학급훈육 방향영역의 내용은 교사중심 훈육 기준이 1개, 협력적 훈육 기준이 4개, 학생중심 훈육 기준이 5개였다. 교사의 학급훈육 실천영역에는 훈육예방 기준이 5개, 훈육문제 교육·지원 기준이 4개, 훈육문제 개입·수정 기준이 9개였다. 환경영역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의 수는 10개로, 물리적 환경영역 기준이 2개, 사회·문화 환경영역 기준이 3개, 법·제도적 환경영역 기준이 5개가 채택되었다. 최종 개발된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훈육문제 및 교사의 의무·태도 의사결정기준이 잠재적 교육과정 관점에서 관련성이 높고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 패널들은 교사중심 훈육보다는 학생중심 및 협력적 훈육 의사결정기준을 강조하였다. 셋째, 패널들은 훈육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개입방법과 관련된 의사결정기준에 관심이 높았다. 넷째, 물리적 환경보다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유대관계 형성 및 학급규칙 관련 의사결정기준이 중요하였다.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을 기반으로 각 영역과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논의를 통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나무를 만들었다. 의사결정 나무는 긍정과 부정의 가지를 만드는 단계별 질문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급훈육 의사결정기준 영역을 반영한 4단계의 질문을 도출하였다. 질문의 내용은 잠재적 교육과정 관점에서 교사의 학급훈육 이해 여부(Q1), 훈육문제 여부 판단(Q2), 문제행동 개입 여부 판단(Q3), 문제행동 심각성 정도(Q4)이다. 의사결정 나무의 4가지 질문에 대한 각각의 긍정과 부정의 답변 결과에 따라 다섯 가지 훈육문제 접근방법을 도출하였다. 훈육문제 해결을 위한 다섯 가지 접근방법은 학급훈육의 기초적 이해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 교육 및 예방적 차원의 학급훈육, 학생중심 학급훈육, 경미한 훈육문제 개입을 통한 협력적 학급훈육, 심각한 훈육문제 개입을 통한 학급훈육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의사결정 나무의 각 단계별 접근방법을 토대로 하여 학급훈육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의사결정모형에서 학급훈육에 관한 교사의 기초적 이해와 교육·예방적 수준의 의사결정기준은 모든 훈육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학생중심의 학급훈육 의사결정 혹은 협력적 학급훈육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교사들에게 학급훈육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과 모형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잠재적 교육과정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동시에 학생의 자기훈육 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positive hidden curriculum in the school setting by presenting the key conditions and methods necessary for effectiv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making. There have been various pedagogical approaches to the effectiv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making. Among them, this paper approached it from the viewpoint of curriculum and class. In term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lassroom discipline belongs to a hidden curriculum, and the hidden curriculum has both negative dysfunction and positive fun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selected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and developed a model that positively affects the hidden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hose and verified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or standard inventories that positively influence the hidden curriculum. Second, we developed a classroom decision-­making model based on proven decision-­making standards. As research method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method were used. Through the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literature on the discipline decision making was searched from the viewpoint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the decision­-making standards were select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sented decision-­making standards.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which derived from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re divided into teacher areas and environmental areas. There are teacher's basic understanding standards about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about discipline direction, and decision­-making standards about discipline practice in the teacher's field. There are the physical, socio­cultural, and legal & institutional environment decision standards in the environmental field, The contents of the classroom decision-­making standards were reviewed and verified through the Delphi survey. In the first questionnaire, the contents of the decision standards were examined. In the second and third survey, the expert panels were asked to check the degree of validity of the decision­-making standards in terms of a positive impact on hidden curriculum. The second and third survey used the Likert 5 ­point questionnair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VR of the Likert scale for each decision standard were presented. The first 88 standards were revised and integrated into 69 standards by the expert panels. In the second and third survey, 16 out of 69 decision standards were excluded. Finally, 53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were selected. There were 15 standards regarding teachers' basic understanding for classroom discipline, 10 standards concerning classroom discipline directions, and 18 standards for classroom discipline practice. Specifically, there are 5 standards for understanding the discipline problem, 4 standards for the teacher's type and authority understanding, and 6 standards for understanding the teacher's duty and attitude in the teacher's basic understanding area for ​​classroom discipline. The teacher's classroom discipline direction area consists of 1 teacher-­centered discipline standard, 4 collaborative discipline standards, and 5 student­-centered discipline standards. There are 5 discipline prevention standards, 4 discipline problem education & support standards, and 9 discipline problem intervention standards in the teacher's classroom discipline practice area. The number of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in the environmental field was 10.: there are 2 standards in the physical environmental area, 3 standard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rea, and 5 standard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al area. The finally selected classroom decision­-making standards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discipline problems standards and teacher's duties & attitudes standards were highly relevant to hidden curriculum and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hidden curriculum. Second, the expert panels emphasized the student­centered or the cooperative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rather than those of the teacher­centered discipline. Third, panels were interested in decision­making standards related to specific intervention methods in order to solve classroom discipline problems. Fourth, the decision­-making standards related to classroom rules and rapport build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more important than those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decision. Based on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I reconstructed each area & standard and made a decision tree that can be applied in the school setting. Since the decision tree usually requires step­by­step questions to make branches of positive and negative, I made 4 questions that all the decision­making standard areas could be reflected or included in a picture. The questions are whether the teachers understand the classroom discipline in view of hidden curriculum or not(Q1), whether a student's behavior is a discipline problem or not(Q2), whether a teacher directly intervenes in a discipline problem or not(Q3), and whether the problem behavior is serious or not(Q4). Based on the results of an affirmative or a negative answer to the four questions of the decision tree, five approaches to classroom discipline problems could be derived. Five approaches for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are (1) a teacher' basic understanding for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2) educational and preventive classroom discipline, (3) student-­centered classroom discipline, (4) teacher­-student cooperative classroom discipline 1(the minor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and (5) teacher­-student cooperative classroom discipline 2(the more serious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Based on the approach of each step of the decision tree, a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making model was developed. In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model, the teachers' basic understanding of classroom discipline and the educational & preventive classroom discipline are the most fundamental areas, whose discipline decision-­making standards apply to all discipline methods. Based on the 'intervention intensity' presented in the next step, the student­-centered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making or the cooperativ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 making will be made. The development of the classroom discipline decision-­making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ultimately leads to positive influences on the hidden curriculum and to the student's self­discipline enhancement.

      • 공공경제정책의 의사결정 구축에 관한 실증연구 :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백안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10

        In modern society, citizens' desire for legitimacy of public economic policy is rising. In the past, economic policy through procedures and contents became more important discourse in emphasizing role of public entities. The role of the public economy in urban regener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interests of the entrepreneurs a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making it difficult to enforce policies and drifting continuously.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olicy that integrates the interests, values, and points of the policy participants in one direction. Especially, it is difficult for the economic policy with publicity to be clear about the principle of profit distribution. The values ​​pursued by the public economy must be accessible and open to the market, coupled with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and meet the public ideals. Urban regeneration is said to be much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the desperation and expect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at they are making use of the backward urban centers.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economic policy aspects of local govern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xpectation of the ripple effect from the input of finance is the basic business framework of urban regeneration. Although urban regeneration has been set as a policy goal of local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many region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olicies that are not sufficiently approachable in terms of public economy. The city revitalization project is a policy in which the private sector of the selected districts conducts public works on behalf of public institutions and seeks to revitalize and revitalize the city ce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ordinate the position and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The institutional apparatus and perception must be established.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so that the economic benefits can be reduced to equi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not a project that can be monopolized by either party, but that the project itself i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mmon propert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olicy and system, the decision - making process, and the problem of sharing of profits in order to suggest a model of urban regeneration decision-making based on the public economy. As a research method, public economic model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are designed to rationally regulate the interests of business participants to raise public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economic interests, And conflict of interest in the legal system. In addition, the effects of public value pursu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the public economy are presented and solutions for dysfunctional factors a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ecision models were derived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present decision model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e decision-making model will be able to derive the resul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econom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agreed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by applying various factors appropriately to the natur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공공경제정책의 투명성과 정당성, 그리고 분배의 균등성이 강조되는 민주사회에서 도시재생사업의 절차와 내용을 통한 정책수행은 매우 다원화되고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경제의 역할이 중요한 것은 사업주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화, 다원화되어 정책 집행이 어렵고, 지속적으로 표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참여자들의 사업에 대한 공동의 지향점이 정립되어야 하고, 이를 융화시키는 공공정책이 필요하며, 결국은 공동의 공공 이익분배의 원칙이 명확해야 한다. 이러한 공공경제의 가치는 정보의 개방성이라는 시장경제의 원칙을 지키며 공공의 이념을 충족해야 한다.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은 낙후된 지역의 지역주민들이 갖는 삶의 절박함과 기대감이 다른 집단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이익충돌이나 이해충돌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재정의 투입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기본적인 사업의 틀이기 때문에 지자체는 다양한 거버넌스나 전문가 집단을 통해서 합리적이고 합의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공공 경제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에는 아직도 매우 미흡한 정책들이 많은 실정이다. 결국 도시재생사업은 어느 일방이 독점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라 사업자체가 공동의 재산형성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변화의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경제에 기반한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제시하고자 관련 정책과 제도, 의사결정 과정, 이익의 공유 문제 등을 공공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공공경제모델들이 사업 참여자들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규제해서 공공 가치를 상승 시키는지, 경제적 이익에 따르는 분배가 맞는지, 사업주체들 간의 역할, 권한, 책임이 부여되는 법적 제도의 이해충돌 등 다양한 공적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의 가치가 공공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역기능적인 요소 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는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기관 및 지역주민들의 설문응답을 통해서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도출 하였다. 지역적으로 한계는 있을 수 있지만 전남지역의 경우에는 공공기관 종사자들과 전문가들,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지구의 주민들 간에 이해와 갈등이 상충되는 경우가 많았고, 아직은 공공기관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 간의 갈등요소도 어느 정도는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도시재생사업의 특성 상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친 공공기관의 정책수립결정을 통해야만 갈등 요소가 사라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도출해서 도시재생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 요소와 해결방안을 수치화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역적인 한계점으로 인한 도시재생사업의 순기능적인 정책 확장성을 다 언급하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경제정책사업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의사결정 구축모형을 통해서 도시재생사업의 성격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공공성의 목적에 합당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김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08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중환자실에 근무중이거나 과거에 중환자실 근무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1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간호부서의 동의를 받아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면담법과 구조화된 면담조사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장소는 피면담자가 근무하는 중환자실이나 병동의 간호사 휴게실을 사용하였고, 면담시간은 1회 평균 40분 정도로 총 면담횟수는 3회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를 참고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4개의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시에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Value)와 되고자 하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모습(Be)과 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행동(Do)에 대한 의사결정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사결정 과정의 일관성을 파악한 결과 딜레마 사례별로 간호사의 대부분은 Value, Be, Do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의사결정을 하였는데 전체 사례에서 총 8명의 간호사들이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고, 사례별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한 간호사를 보면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에서는 3명, 말기환자에게 사실 말하기 사례에서는 1명, 의료진과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서는 3명,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서는 3명의 간호사가 있었다. 간호사 개인별로 보았을 때는 한 명의 간호사가 3개의 딜레마 사례에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다.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의 경우에서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과 행동이 연계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은 연계되었으나 행동으로 통합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었다. 가치(Value)와 모습(Be)과 행동(Do)의 의사결정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된 Value, Be, Do의 중심개념은 사례별로 다음과 같았다.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의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적극적 처치의 무의미성, 인간의 존엄성, 가족의 부담 경감, 환자와 보호자 존중, 환자 · 보호자 · 치료진간의 합의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시 개념은 충실한 직무수행, 불필요한 연명술 중단, 의료진과 협동, 환자 · 보호자 옹호, 가족과 의사 설득 등이었다. 말기 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의 알권리, 생을 정리할 기회, 환자 · 보호자 존중,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와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사실알리기, 환자와 가족의지지, 보호자와 의사 설득, 호스피스 간호 제공, 보호자의 요구존중, 보호자와 환자간에 대화 중재 등이었다.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존중, 생명존중, 협동관계, 환자와 보호자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협력자, 옹호자, 제안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의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충실한 직무 수행, 대화로 타협, 공식적 대화채널 이용, 의료진과 협동, 환자 배려 등이었다.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합법성, 인간의 존엄성, 정직성,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환자요구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 준법자, 중개자,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 행동(Do)의 중심개념은 허위기록 거부, 의료진과 협동, 의사잘못 묵인, 적극적인 안락사 반대, 상관에게 보고 등이 있었다. Value, Be, Do의사결정 모형의 적용에 대한 평가에서 간호사들은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 시에 일관된 가치관을 수립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하고 갈등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앞으로 간호사들이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졸업 후 보수교육을 통해 계속적인 윤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겠고, 의사결정 시에 윤리적으로 옳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임상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contents of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in four of hypothetical dilemma cases using the Cameron's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of 'Value, Be, Do'. Sixteen nurses who work at ICU at present or worked before, participated from April 10 to May 10 in 2002.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each and for 40 minutes at onc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t their working places and locker rooms. The data was analyzed by a procedur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to three categories ; what should I value, who should I be, what should I 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onsistency, most of subjects showed a unified voice in 'Value, Be, Do'. Exceptionally 8 subjects showed inconsistency such as 3 in active treatment to the incurable patients(case 1), 1 in treatment truth-telling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s(case 2), 3 in conflict with uncooperative doctors(case 3), 3 in dying patients and euthanasia(case 4). Only one subject showed inconsistency in 3 dilemma cases. 2) The key concepts were extracted case by case. Case 1 - (Value) meaninglessness of active treatment, humanitarian dignity, alleviating burden of patient's family, respect for patient and patient's family, joint decision-making, professional duty/ (Be) advocator, mediator/ (Do) fidelity to job, withholding unnecessary life-saving, collaboration with medical team, advocate patient and patient's family, mediation between patient's family and doctor. Case 2 - (Value) patient's right to know, providing patients with opportunity to prepare his/her death, respect for patient and patient's family, respect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Be) advocator, mediator, collaborator/ (Do) truth-telling, support patient and patient's family, mediation between patient's family and doctor, providing hospice care, respect needs of patient's family,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his/her family. Case 3 - (Value) respect patient, respect life, collaboration, respect patient and patient's family, professional duty/ (Be) collaborator, advocator, suggestion-maker/ (Do) fidelity to job, communicative negotiation, official communication channel, collaboration with medical team, involving patient in decision-making. Case 4 - (Value) legality, humanitarian dignity, veracity, professional duty, respect patient's needs/ (Be) advocator, keeping law, mediator, collaborator/ (Do) refusal false documentation, collaboration with medical team, ignoring doctor's malpractice, opposing active euthanasia, report to supervisor. 3) Closing the interview procedure, the subjects evaluated Cameron's Model as it would help them build consistent value, carry right action, and cope to conflic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nursing ethics should adopt the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and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clinical nurses.

      • 합리적 이행지체 해제권 행사를 위한 판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무기체계 획득사업을 중심으로

        이재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06

        계약이행 간에 다양한 사유로 채무자가 정해진 일정(이하 납기) 내에 계약목적물을 납품하지 못하는 이행지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 민법과 계약일반조건에서는 채권자에게 계약의 구속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계약해제권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무기체계 획득사업 국내조달은 민간사업과 다른 특수성으로 인해 이행지체가 빈번하고, 해제권이 행사되는 비율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계약의 구속에서 벗어나고 싶은 채권자와 해제권 행사로 인한 손해를 회피하고 싶은 채무자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면, 해제권행사 결정을 내리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해제권을 어떤 경우에, 그리고 어떻게 행사하는 것이 적법·적절하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 없어, 자칫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소송과 민원의 대상이 되지 않을까 하는 불확실성이 가장 대표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해제권 행사와 관련한 실증적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향후에도 합리적인 판단기준 부재로 인한 판단유예 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행지체가 발생한 경우 실 업무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판단요인을 도출하고, 각 판단요인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실무에서 참고할 수 있는 판단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심층연구(선행연구, 문헌연구, 판례연구, ‘12∼14년간 실 계약데이터를 분석한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4가지 대분류 항목, 13가지 중분류 항목, 41가지 소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판단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판단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기존의 AHP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Fuzzy-AHP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판단요인과 중요도를 활용하여 실제 의사결정자에게 합리적인 대안제시(계약유지 또는 계약해제)가 가능한 Check-List 형태의 판단지표를 제안했으며, 제안한 판단지표가 미래의 특정 계약건에서도 타당성과 예측성을 갖출 수 있을지를 검증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모형의 CART알고리즘을 활용하여 4가지 유형, 7가지 종류의 예측모형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해당 예측모형을 분석한 결과, 평균 87.4%의 높은 예측력을 보임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합리적인 판단지표는 우수한 성능과 예측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지금도 의사결정의 기로에 서 있는 수많은 의사결정자들에게 실무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다수의 사례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lay of performance happens often in which the debtor fails to deliver the goods of contrac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chedule(period for delivery) due to various reasons not to fulfill the contract. In such a case, the civil law and the general conditions of contract grant a right of rescission to the creditor so that he or she can be free from the binding force of contract. In projects to obtain and procure weapon systems in the nation, in particular, delay of performance happens frequently with a higher rate of rescission right due to the unique nature of such projects different from private ones. It is, however, far from easy to make a decision for the right of rescission when there is a sharp opposition of interest between the creditor, who tries to be free from the binding force of contract, and the debtor, who wishes to avoid damage after the right of rescission is exercised. There can be many different reasons behind it: one is the absence of specific criteria as to the occasions and the proper and legal exercise of rescission right. The biggest cause is the uncertainty around the potential lawsuit and civil complaint risks due to wrong judgments. In spite of the reality, however, there is no empirical research on the exercise of rescission right. As a result, the issue of postponed judgments will continue due to the absence of rational judgment criteria. This study thus set out to identify judgment factors that could be used in actual working environments in case of delay of performance, compare them in importance and priority, and develop a set of judgment criteria to consult in the field.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judgment criteria including 4, 13, and 41 large, medium, and small categories based on four in-depth studies(previous study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empirical study that analyzed actual contract data from 2012 to 2014). Employed in the study to assess each judgment factor in importance and priority was the Fuzzy-AHP technique, which is known to supplement the old AHP technique for its shortcomings and maximize its advantages. The study proposed checklist-style judgment indicators that could make rational alternative proposals(keeping or terminating a contract) to real decision-makers based on the identified judgment factors and their importance. Trying to test whether the proposed judgment indicators would hold validity and predictability even in certain future contracts, the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prediction models of four types and seven kinds with the CART algorithm of decision-making tree model. The analysis results of prediction models show high prediction power of average 87.4%, which demonstrates that the rational judgment indicators proposed in the study had superior performance and prediction power. They are expected to offer practical assistance to many decision-makers at a crossroads of decision-making and be applied continuously to numerous cases in the future, which prove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