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종합병원의 통합의료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진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 사회의 다른 모든 분야에서와 같이 대형 병원에서 전산시스템은 그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산 도입 초기의 의료정보시스템은 환자의 접수나 관리/수납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국한되었다. 그러나 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하는 처방 전달 시스템은 병원 업무 처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 전산 시스템을 병원 업무 처리에서 근간이 되도록 만들었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서 근래에는 방사선 영상을 디지털화하여 실시간으로 진료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PACS(Picture archive and communication system)와 종이에 작성하던 의무기록을 디지털화 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s)의 구축을 목표로 병원 전산화가 추진 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병원을 이용하는 고객 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Web을 통해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미래에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진료 등 인터넷을 통한 의료서비스 이용자와 만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테스트 및 구축이 점차 가속화 되어가고 있다. 이는 환자를 기다리는 종래의 병원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환자에게 직접 다가가 도움을 주고자 하는 병원 서비스의 개념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의료시장 개방화에 대비하여 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는 병원 경영진의 노력이 의료 정보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 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병원의 최고 경영자는 이에 따른 경영 합리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의료 정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여야 하며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에 중점을 두고 분석/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의료정보시스템 각각의 개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의 분석 및 평가 방법은 상당히 발전이 되어 있는 반면 사용자의 현 실정에 입각한 전체적인 의료정보시스템의 분석 및 평가 방법은 아직까지 미비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의료정보시스템의 효과적인 분석 및 평가는 미래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투자 수준, 발전 방향과 정보시스템 관련 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본 연구를 통하여 의료정보시스템의 전체적이고 명확한 평가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a$$a Like in all other areas of our modern society, the computer system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large-scale hospitals. The earlier medical information system was limited to recording of patients and their management and payments. By 1990''s, however, a prescription delivery system based on a client server architecture began to be operated only to drastically reform the hospital management, providing for a ground for the hospital computer system. Recently, efforts are being exerted to computerize the hospital processes with a goal of construct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digitalizing the medical records as well as a picture archive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allowing for digitalizing radiographs and their real-time retrievals. On the other hand, systems are being aggressively tested and constructed to allow patients to make reservations for the medical services and furthermore to allow for remote medical services or meetings via Internet for patients'' convenience. Such efforts reflect the concept of hospital services changing from ''waiting for patients'' towards ''direct access to them''. In addition, hospital management wishes to sharpen their competitive edges in preparation for an open medical market by constructing and operating an effective med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refore, top management of hospital is obliged to explore the ways to make their management more competitive, and one of such ways must b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 Such a system needs t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user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Although individual hardwares and softwares of such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are well analyzed and evaluated, the total medical information system has still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reflecting users'' needs. Since eff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may have an considerable effect on investment in future systems, their development and performanc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systematic way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s.$$a$$a

      • 지식 정보화시대의 의무기록사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윤승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식정보화시대의 의무기록사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윤 승 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병원경영학과 본 연구는 의료·경영정보시스템의 개발과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의료·경영정보시스템과 현행 의무기록업무의 향후 필요성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향후 의무기록종사자들의 태도 분석을 통한 의무기록부서의 관리방향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산·경남 소재 병원급 이상 의무기록실을 운영하고 있는 25개소의 의무기록실에 종사하는 의무기록사, 사무직, 계약직, 임시직 등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련된 10문항, 의료기관 현황에 관련된 9문항, 의료 및 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10문항, 의무기록업무에 대한 12문항, 의무기록 부서의 업무에 대한 태도에 관한 14문항, 총 55문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부하여 114부를 회수하였으며, 연구에 분석된 표본 수는 110건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사용된 기법은 t-test,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의료·경영정보시스템 필요성 전망은 PACS, OCS, EMR, CRM, MIS, DW, BSC, KMS, GW, LIB 순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무기록업무 필요성 전망은 안전관리, 충실성, 분석 및 통계, 분류, 기록완성도, 진단적합성, 검색 및 관리, 암등록, 대출관리, History 관리, 맞춤형관리, 정보교류 순으로 안전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의무기록 부서 업무에 대한 태도는 스트레스정도, 업무적합성적합도, 조직몰입도, 직무만족도, 부서이동희망정도 순으로 스트레스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열악한 근무환경, 과중한 업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컴퓨터 능력부족 순으로 열악한 근무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화방법으로 의무기록실 환경을 개선, 과중한 업무를 분배, 의사소통시 상대방 배려 등이 있으며, 업무적합성향상방안으로 정보화, 경영분석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하여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 : 역할변화, 의무기록, 정보화, 의료·경영정보시스템, 의무기록에 대한 태도

      • ITSM 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 대한 감리 점검항목 연구

        최영용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IT 정보기술 산업의 발전에 따라 많은 정보시스템이 사회 전반에 걸쳐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위험도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은 정보시스템 운영에 수반되는 위험요인에 대하여 사전에 식별하고 평가하여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의료기관과 같은 분야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극히 개인적인 정보가 활용되고 생명과 직결되는 정보가 축적되어 운영되는 서비스이므로 안전성과 보안성 및 신뢰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24시간 가동되어야 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은 장애가 일어날 경우 막대한 수익의 손해가 발생할 뿐 아니라 축적된 중요한 개인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사전에 위험을 식별하고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위험요소는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과정에서 감리를 시행함으로써 위험을 사전에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지만 감리 관점에서 의료정보시스템은 주로 공공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만 집중하여 감리가 시행되고 운영 관점에서의 감리 연구는 인식조차 낮은 편이다. 의료정보시스템 운영감리는 현재의 정보시스템 운영감리 이외에도 환자의 건강과 안전이라는 특별한 병원 업무 특성을 접목하여 점검항목의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SM 기반에서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정보시스템 운영감리의 감리 모형과 점검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의료정보시스템에 운영에 적합한 감리 점검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의료정보시스템의 운영 감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실효성 검증이 이루어져 운영 감리 지침이 정립되길 바란다. As IT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many information systems have been adopted in many areas of our society which increases our dependence on information system. As our dependence increases, the risk resulting in this dependence is also on the rise.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the corporation has prepared a countermeasure by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risk in advanced. Especially, the safety, security and credibility are the priory to obtain in the filed like medical facilities since they provide services which personal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their privacy is utilized and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is accumulated and operated. It is the most critical to recognize and prevent the risk in advance since it can cause major loss and damage to accumulated personal information if any error occurs in the information system which must operate for 24 hours. These risk factors can be minimized in advance by supervising the process while building and operating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However, from an inspectional perspective, the supervision is implemented mostly in the software development phase and the study of supervision in terms of operational perspective is rather poor. Besides current supervision for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the standards of supervisory items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should be developed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patient’s health and saf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proper supervisory items which are suitable for medical information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supervision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supervisory models and supervisory items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ITSM infrastructur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Henceforward, the operation supervisory guideline should be established by conducting active studies about the supervision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 모바일 기반 의료 정보 시스템 보호를 위한 개선된 전자 서명 기법

        김용국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료 분야는 자료 및 정보의 집약도가 높은 영역이며, 컴퓨터 기술이 개발된 이후 보건 의료 분야에 대한 정보 기술의 응용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관리 및 업무 중심의 응용에서 시작하여 점차 임상 시스템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요즘, 무선 인터넷을 통한 의료 정보 서비스 또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 정보 시스템은 기존 데스크톱 PC가 가지는 이동성의 제한이라는 단점을 극복하여 이동이 빈번한 의료 정보 사용자에게 정보 이용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속적인 하드웨어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보 처리의 효율성, 무선 네트워크의 불안전성, 보안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의료 정보는 환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정보를 취급하는 것으로 환자, 관계 의료진 이외의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은 위험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정보가 의료의 편의성과 신속성, 업무의 효율성을 위하여 모바일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경우, 무선 인터넷으로 특성에 의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PDA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의료 정보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그 모델을 중심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보안 고려 사항을 처방전 관리의 전자 서명 관리에 중심을 두고 살펴보고 적합한 보안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의료진의 책임 있는 처방을 유도하며, 신뢰성 있는 의료 시스템의 구성, 의료 분쟁 발생 시 적절한 데이터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바일 원격 의료 정보 시스템의 환자 정보 보호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Medical care is an area in which data and information are intensively collected, and since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ies, there have been various applications of data and technologies. With a management and task-oriented application as a starting point, the applications are expanding to clinical systems. These days, a possibility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has been presented as a topic of conversation, and medical care data service through it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It is expected that medical care data system using mobile devices makes convenient and speedy use of data possible for the users by overcoming a disadvantage of limited mobility of the existing desktop personal computers. However, it is reported that mobile devices based on wireless internet service have some problems such as inefficiency of data management and insecurity of wireless networks in spite of consistent development of its hardware. As data on medical care mainly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of patients, it is considered that exposure to persons other than patients themselves and the medical staff is inadequate. If such data on medical care are evolved into mobile systems for convenience, speediness and effectiveness of medical care, security may be at risk derived from characteristics of wireless internet.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medical care data service model based on mobile devices such as PDA as an adequate security system by focusing on electronic signature management of prescription in respect to security consider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suggested which is designed to lead to responsible prescription of medical staff can be used as adequate data in preparation for reliable medical care system and for settlement of medical care disputes. Also,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dequate alternative for protection of data on patients in medical care system.

      •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 및 구축에 대한 연구

        이원희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We are living in information society now. There is also trend of informatization in medical field that is largely affected by outside environ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rightly understand the abstract, function, expected effect and management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to use this system effectively for solving medical problem. It is fact that large-sized hospitals are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treatment of patients through build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individual system that is previously developed and used for treatment assistance, hospital affair or general management respectively to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odify patient information or treatment information data to the data suitable for new system and build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hospital through materializing data warehouse architecture with treatment information and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This paper describes abstract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of system, the character of system and the plan and materialization of database when build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context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replaces the introduction through defining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and explaining the organization of this paper. Chapter 2 surveys theoretical background, neces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bstract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arranging it. Chapter 3 describes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character of each system through classify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to each individual system. Chapter 4 describes the materializ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example of hospital that uses this system and product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company. Chapter 5 concludes with condition for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barrier factor when building data warehouse architecture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effective operational method and necessity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at are suitable for conclusion.

      • 의료정보시스템에서 RAID 디스크 구성에 대한 연구

        강병익 高麗大學校 컴퓨터情報通信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료정보시스템이 다루게 되는 데이터가 급속하게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요구와 성능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중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보다 디스크의 성능 향상과 발전 속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성능차이로 인해 디스크 장치가 시스템의 병목지역이 되어 의료정보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연구되어 왔던 부분은 어플리케이션 로직 구현 방법들과 SQL 최적화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의료정보시스템은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는 서버의 데이터 접근 처리방식과 I/O에 대한 부분이 성능을 크게 좌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하드웨어 RAID 디스크 구성 최적화 방안을 알아봄으로써 시스템 구성 초기에 최적화된 I/O 구성을 가능하기 위한 구성정보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전병헌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환자관리 등 병원업무에서도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컴퓨팅 환경은 단말기의 낮은 컴퓨팅 능력과 작은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으로 인한 낮은 보안성 등 특유의 취약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병원정보시스템은 상당한 수준의 안정성을 요구한다. 또한 대부분의 병원이 환자의 의료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대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컴퓨팅을 이용하는 단말기는 환자의 진료과정에서 이동 중 환자의 기록을 검색하고 의사의 처방을 전달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코자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대형병원 시설 및 설비의 비용적인 한계를 본 논문에서는 요구조건을 기반으로 중소형 병원의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병원정보시스템 설계에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시스템의 기능측면에서 분석하여 제시하여 실제 병원에서 적용 가능한 병원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여 시험 운영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시험운영 결과 의료진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처방과 임상데이터를 전달하고 환자에게는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원격의료정보시스템의 공유성에 관한 연구

        장영인 漢城大學校 安全保健經營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climate surrounding hospitals stimulates them to endeavor towards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in management, thus rationalizing their management. To respond to this environment change and bolster their competitiveness, many hospitals are recently striving to introduce a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ystem covering a wide area. The system will allow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 institutions poorly equipped with medical equipment to use Internet and book their patients' medical checkups with tertiary hospitals equipped with remote medical information systems. This in turn enables such booked patients to receive examinations promptly upon their arrival in tertiary hospitals with which they have been reserved. As such, this research aims to make theoretical studies on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discuss its utility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spreading the system. To sum up the utility of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it can reduce the economic loss arising from inefficient operation of medical service as well as the national shouldering of medical expenses incurred from duplicate examinations of patients involved, and improve medical insurance funds. The system also is expected to eliminate duplicate investments that hospitals put in introducing state-of-the-art equipment, and to provide scientific statistics to serve the basis of formulating policies. To spread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we must come up with security measures to protect the privacy of medical records, address the urgency of standardizing medical records, complement a legal mechanism related to legal liability arising from misdiagnosis, and urgently improve the poor information environment of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distorted medical service environment. To efficiently push ahead with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we need to be open-minded in sharing medical service information, establish comprehensive pursuit system, introduce incentives aimed at activating the information system, have close coordina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flexibly respond to changing technologies, and offer publicity and education.

      • 의료정보시스템의 압수수색 절차와 방법에 대한 연구

        김태훈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병의원에 대한 수사에서 의료정보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전자의무기록은 병의원에서 있었던 일을 확인할 수 있어 중요한 증거자료로 압수수색의 대상이 된다. 대형종합병원인 경우에는 전산실과 의무기록실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의 협조를 통한 선별 압수가 가능하나, 소형 병의원에서는 이런 지원이 불가능하다. 수사기관에서는 소형병의원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복제 후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여 열람하면서 관련된 자료를 선별하고 나머지는 폐기하는 방식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포괄적 압수수색이라는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결성, 재현가능성, 관리연속성, 신속성을 확보하면서 의료정보시스템의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현장 선별 절차와 방법을 제시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은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의료정보시스템의 압수수색 절차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다가올 클라우드 의료정보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다.

      • 효율적인 병원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감리 모형

        문병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는 현재 정보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정보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보시스템을 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개요, 기능, 기대효과, 관리방법 등을 올바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병원 정보시스템감리를 적극 도입함으로 환자 진료에 대한 서비스의 질이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국제화, 개방화로 인하여 병원간 경쟁이 갈수록 극심해지는 글로벌 병원경영 아래서 병원은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EMR, OCS, PACS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병원 정보시스템은 조직의 업무프로세스를 완전히 바꾸는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의 성격을 가지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정보기술 또한 최신의 IT기술이 집약되어 있어 여타의 정보시스템 감리관점에서만 병원 정보시스템을 접근하여서는 안 된다. 더욱이 정보시스템 감리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병원 정보시스템에 적합한 감리시점, 감리영역, 감리점검항목, 산출물 등 병원 정보시스템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정립되지 못한 병원 정보시스템 감리를 병원 정보시스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OCS, EMR, PACS 시스템 영역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편집하였으며, 병원 정보시스템에 생소한 감리인이 감리를 실시할 때 짧은 시간에 병원 정보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또한 병원 정보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지 않고 외부 SI업체의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도입하는 방향에 맞추어 진행하였다. We are living in information society now. There is also trend of information in medical field that is largely affected by outside environ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rightly understand the abstract, function, expected effect and management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to use this system effectively for solving medical problem. Moreover, quality of service for patient care should be improved by introducing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ith active supervision. Because of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hospital managers expand investment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o the hospital EMR, OCS, PACS systems under the global operating hospitals getting severe between hospital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s business processes re-engineering to fully replace the organization's business processes. In addition, information-technology to apply the system is packed with the latest IT technology only in terms of other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udit should not be accessib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not common information system audit is appropriate supervision, supervision area, audit checklists, and artifacts such a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organized systematically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udit which has not been established into the cor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an be called OCS, EMR, PACS system. This is also explained when the supervisor is unfamiliar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supervises to underst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a short time. Without its own developing projects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s well, this was carried out through outside the SI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