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

        류미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by understanding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advanced directives and intention to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1 adults over the age of 19 living in the city B.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alyzed tate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more males 50.4% than females among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48.89 years old. ‘Married’ in marital status 52.7%, ‘Having children’ in parental status 67.2%, and ‘Bachelor’s degree’ in educational background 42% were the majority. In addition, ‘Neutral‘ was 80.2% in perceived economic status, ’Having religion’ was 57.3% in religion, ‘Healthy’ was 45.8% i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No’ was 67.9% in current treated disease. Those who answered ‘No’ in experiences regarding discussion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close acquaintance was 70.2%, ‘No’ in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was 50.4%, ‘Partner’ in the one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51.1%, ‘During medical check-up in healthy status’ in whe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was 48.9%, and ‘Yes’ in intentio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was 55%. 2.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mong subjects averaged 6.66 ± 2.07 out of 9; Intention towards advance directives 49.34 ± 4.75 out of 64; Averag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13 ± 2.24. 3.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background, perceived economic condition, perceived health condition, currently treated diseas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the person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ime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and the intentio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4.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parental status, currently treated disease, and experiences regarding discussion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close acquaintance. 5.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sex, ag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currently treated disease, the person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ime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6.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r=.26, p=.00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s knowledge level of advance directives is relatively high and attitude is positive; the more positive attitude is towards advance directives, the higher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is. 본 연구는 일반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제도의 바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일반인 131명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를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50.4%, 평균 연령은 48.89세, 결혼상태는 ‘기혼’이 52.7%, 자녀는 ‘있다’가 67.2%,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42%로 많았다. 지각된 경제상태는 ‘보통이다’가 80.2%, 종교는 ‘있다’가 57.3%,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45.8%, 현재 치료중인 질병은 ‘없다’가 67.9%였다. 가까운 사람의 연명의료 중단 논의 경험은 ‘없다’가 70.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 대해서는 ‘없다’가 50.4%였고,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으로 ‘배우자’가 51.1%였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는 ‘건강한 상태로 건강 검진 시’가 48.9%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지는 ‘예’라는 응답이 55%였다. 2.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총 9점 만점에 평균 6.66±2.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총 64점 만점에 평균 49.34±4.75점이었으며,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총 9점 만점에 평균 4.87±2.24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지각된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 현재 치료중인 질병,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 작성의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현재 치료중인 질병, 가까운 사람의 연명의료 중단 논의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자녀, 학력, 지각된 건강상태, 현재 치료중인 질병,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26, p=.003)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반인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비교적 높고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에 관한 연구

        김유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자기결정권을 바탕으로 한 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과 개정으로 일반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작성의지의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에 지식, 태도, 작성의지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서울 일개 대학, 대형서점, 문화센터, 대형 쇼핑몰 등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173명을 조사하여 응답률이 불충분한 12부를 제외한 161부를 카이제곱 분석,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6.6±1.9점으로 조사되었고, 태도는 64점 만점에 43.4±3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은 태도에 대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r=.285, p<.001), 사전의료의향서의 태도는 작성의지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281, p<.001),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의지는 지식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188, p=.017)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사전의사결정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태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서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고 여러 대상자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홍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write advance healthcare directives (AHD)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mong lay peopl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a large bookstore, a cultural center, and a large shopping mall in Seoul. A total of 161 adults aged between 19 and 65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the chi-squared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knowledge level on the AHD and the levels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AHD were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6.6±1.9 out of 9 and 43.4±3.7 out of 64, respectively. The knowledg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AHD (r=.285, p<.001). The attitud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illingness to write an AHD (r=-.281, p<.001). Besides, the willingness to write the AH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nowledge level on the AHD (r=-.188, p=.017).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write an AHD were age and the thought of the potential impact of AHD on family relationshi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lay people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H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ways to encourage people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increase the willingness to write the AHD.

      • 응급실과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좋은 죽음 인식 및 의사소통 능력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양지선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응급실은 자주, 완화의료 병동은 일상적으로 임종상황에 자주 직면하며, 임종치료와 관련된 결정시 사전의료의향서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이 중요하다. 하지만,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의사소통 능력,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좋은 죽음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3개의 대학병원 간호사 153명(응급 간호사 59명,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 94명)을 대상으로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 service)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덜 긍정적이었다(t=-2.04, p=.044). 또한,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이 낮았으며(t=-2.92, p=.004), 좋은 죽음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은 두 군이 유사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주인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이 가장 크며(B=.31, p<.001), 의사소통 능력(B=.16, p=.008), 완화의료 병동 근무(B=-1.47, p=.039)가 있었다. 부서별 차이를 나타낸 교육수준, 종교, 임상경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32%이었다(adj R2=0.32, F=8.646, p<.001). 결론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덜 긍정적이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완화의료 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 좋은 죽음 인식 및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급실 근무에 비하여 완화의료 병동 근무도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응급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위해서 이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북지역에 소재한 300~500병상 4개 종합병원에서 재직하고 있는 1년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임상간호사이며,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동의한 임상간호사 200명을 설문조사하여 불충분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194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사전연명의료향서 지식 측정도구,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도구를 정현숙(2010)이 수정 ․ 보완한 좋은죽음 인식 측정도구,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박계선(2000)이 개발하고 변은경 등(2003)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이수정이 다시 수정 ․ 보완 하여 사용한 연명의료중단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Kolmogorov-Smirnov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간호전문직관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 식,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차이는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l Wallis H test로 분석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 effe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 서 지식, 간호전문직관, 좋은죽음 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 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88.7%로 대부분을 차치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은 26~30세가 49.5%, 미혼이 64.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총 임상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45.4%, 직위에서는 일반 간호사가 91.8%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생명윤리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61.3%로 나타났으며, 간호수행 시 임종간호를 경험한 대상자는 88.7%, 연명의료 결정 과정에서 참여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7.9%로 나타났다.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평균 8.07±1.39점(9점 만점)으로 대상자의 지식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 인식의 전체 평균은 전체평균(4점 만점)은 2.74±0.29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생의마감은 2.99± 0.38점 임상증상은 2.54±0.37점, 통제감은 2.33±0.54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전체 평균은 3.49±0.45점(5점 만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균은 간호의 전문성이 3.73±0.55점, 간호 실무역할이 3.69±0.59점, 전문직 자아개념이 3.69±0.47점, 사회적 인식이 2.99±0.64점, 간호의 독자성이 3.60±0.78점 이었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평균 3.47± 0.45(5점 만점)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결혼상태(χ2 =5.07,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타나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은 근무부서(χ2=12.56, p=.006), 생명윤리교육 이수 경험(z=-2.31, p=.020), 간호수행 시 임종간호 경험(z=-2.11, 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 하위 영역의 임상증상은 연령(χ2=19. 75, p<.001), 결혼상태(χ2=4.51, p=.034), 근무경력(χ2=13.57, p<.001), 근무부서(χ2=14.74, p=.002), 생명윤리 교육 유무(z=-2.14, p=.032), 윤리적 가치관(χ2=10.25, p=.017), 간호수행시 임종간호경험(z=-2.79,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의 하위 영역 생의마감에서는 연명의료 결정과정의 간호사가 참여 의향(z=-3.12, 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 하위영역 통제감 에서는 직위(z=4.09,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2.48, p=.014), 근무경력(F=3.37, p=.036), 연명의료 결정과정의 간호사 참여 의향(t=2.27,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근무부서(χ2=15.8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연명의료중단 태도와 좋은죽음 인식의 하위영역인 생의마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6, p=.026)를 나타났으며, 생의마감과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9, p=.00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인식 하위영인 생의마감과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r=.85, p<.001), 사회적 인식(r=.75, p<.001), 간호의 전문성(r=.76, p<.001), 간호 실무역할(r=.80,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의 독자성(r=.-51, p<.001)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좋은죽음 인식 하위 영역의 생의마감 (β=22, p=.008)과, 중환자실(β=-.18, p=.044)과, 외과계 병동인 경우(β=.24 p=.012), 간호전문직관의 하위 영역 간호의 전문성(β=-.25, p=.00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β=.16, p=.046)의 변인이 확인되었으며,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1.5%였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간호의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즉,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자에게 직관력을 가지고 간호전문 지식과 기술을 발휘하는 것보다 대상자가 임종 시까지 의식을 유지하고 존엄성을 유지하도록 간호하는 것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의마감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제공이 필요하겠다. 또한 부서별 특성을 고려한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가 연명의료 중단과 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 불안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진 한세대학교 간호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to identify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nursing professional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ith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with 300 to 500 beds in Gyeonggi-do, and 145 peopl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analyzed a total of 132 people, excluding 13 insufficient respon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seven days from December 1, 2020 to December 7, 2020.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is a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won Seon-ju (2003) on Lee Young-sook (1990)'s ethical values questionnaire, Nursing professionals are tools developed by Yoon Eun-ja and others (2005),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developed by Nolan and Bruder (1997) and developed, The same author used a tool translated by Lee Min-hye and Park Yeon-hwan (2014) for the Advance Directives Attitude Survey (ADAS),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200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statistics program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ction Coefficients, and entermethod Multiple Line Reg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re 99.2% for women, 59.8% for those in their 20s, 80.3% for unmarried people, 56.1% for 'no' for religion, 77.3% for four-year or more, 81.1% for general nurses, 34.1% of the total work experience "more than 3 years and less than 7 years, 35.6% of the current department's experience in "more than 4 years", 48.5% of the internal medicine ward in the work department and 94.7%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nursing experience. 2.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of the study subjects averaged 2.85 ± 0.25 out of 4. In the sub-region, the right to life of a newborn is 3.10±0.51 points, organ transplant 3.07±0.38 points, fetal life rights 3.00±0.65 points, fetal diagnosis is 2.94±0.42 points, artificial insemination of 2.81±0.52 points, euthanasia of 2.76±0.40 points, human biotechnology of 2.76±0.34 points, artificial abortion with 2.60 ± 0.46 and brain death with 2.59 ± 0.29. The nursing professionals in the study averaged 2.80 ± 0.30 out of 5. In the sub-region, professional self-concepts 3.71±0.53 point, nurse trade 3.70±0.62 points, social perception 2.28±0.41 points, the identity of nursing 2.23±0.67 points, and professionalism in nursing 2.08±0.34 points. The attitude of the study subjects to advance directives was 2.86 ± 0.28 out of an average of 4. 3.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were found in age, marital status, religion, and total work exper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nursing profession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shown by age, work department, and end-of-life care experience.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nursing professionals, and advance directives of the study subjects, the attitudes of nursing professionals and advance directives showed significant definition correlation. 5.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vance directives of the study subjects, inp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ge, work department, term patient nursing experienc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nursing professiona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were surgical ward and nursing professionals, nurses working in surgical ward, and nursing professionals, the higher the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high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s can lead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Improve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y nurses will give patients and guardians the opportunity to get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aths of them and their families and make positive choices. It is also believed that nurses who treat patients and caregivers will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care with a proper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5명 중 불충분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총 132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07일까지로 총 7일간 시행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이영숙(1990)의 윤리적인 가치관 도구를 권선주가(2003) 수정·보완한 도구를,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과 Bruder(1997)가 개발하고, 동일한 저자가 2003년 수정·보완한 Advance Directives Attitude Survey(ADAS)를 이혜림와 박연환(201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enter method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가 99.2%였으며, 연령은 20대가 59.8%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80.3%, 종교는 ‘없다’가 56.1%, 최종학력은 ‘4년제 이상’이 77.3%,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1.1%로 많았으며, 총근무경력은 ‘3년 이상 7년 미만’이 34.1%, 현부서경력은 ‘4년 이상’이 35.6%, 근무부서는 내과계 병동이 48.5%으로 높았으며, 말기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94.7%였다. 2.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85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신생아의 생명권 3.10점, 장기이식 3.07점, 태아의 생명권 3.00점, 태아진단 2.94점, 인공수정 2.81점, 안락사 2.76점, 인간생명공학 2.76점, 인공임신중절 2.60점, 뇌사 2.59점의 순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2.80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전문직 자아개념 3.71점, 간호실무역할 3.70점, 사회적 인식 2.28점, 간호의 독자성 2.23점, 간호의 전문성 2.08점의 순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86점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연령, 결혼상태, 종교, 총 근무경력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근무부서, 말기환자 간호경험유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중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근무부서, 말기환자 간호경험유무와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부서 중 외과계,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었으며, 내과계 근무하는 간호사보다는 외과계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일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환자 및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윤리적, 질적 간호 제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중·노년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에 관한 연구 : 중·노년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이미라 한서대학교 대학원,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연명치료희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서산, 태안 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성별의 비율을 맞추기 위한 할당표집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4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빈도분석, t-test, one way-ANOVA, 위계적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노년 여성이 남성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더 높았고, 사전연명치료의향서 작성에 찬성하는 비율도 좀 더 높았다. 둘째, 중·노년 남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충분한 치료’의 차이만이 유의했다. 즉 남성의 경우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태도의 집단적 차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상당히 많이 발견되어, 여성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태도는 하위 여러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다소간의 변수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변수를 찾아보면, 여성의 경우에는 기혼자, 고학력자, 경제와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노년 남성과 여성 모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태도에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보다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연명치료희망의 영향력이 더 크고(단, 중·노년 여성의 ‘치료선택의 기회’에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의 영향력이 더 컸음), 개별 변수 중에서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즉 중·노년 남성과 여성 모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찬성할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writing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and wishing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on attitudes of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care intent for those over 40 who live in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December 2019 targeting 500 people over the age of 40 residing in Seoul, Gyeonggi, Seosan, and Taean areas. Si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 allocation sampling was performed to match the gender ratio. Finally, 486 parts were used for analysis. Cros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had a higher positive attitude toward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than men, and a higher rate of approving the writing of prior life-sustaining treatment intent was also higher. Secon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and elderly men, only the difference in “sufficie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males,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hardly any group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prior medical intention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omen, there are quite a lot of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 seems that women's attitudes toward writing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ions are divided into several lower groups. In other word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variables, but looking for commo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women, married people, highly educated people, and the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y and the family,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have toward writing the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Third, for both middle-aged and elderly men and women, the influence of writing a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and wishing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s greater tha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men and wom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nd among individual variables, the preliminary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was the most influential. In other words, the more middle-aged and elderly men and women both agreed to write the prior life-sustaining medical intent,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toward the prior-life-life medical intent was.

      •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주지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에서 연명의료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왔음에도 국가적·사회적 합의는 여전히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다. 이는 개인적인 견해 및 요구 파악과 의견수렴의 어려움에서 기인할 수 있다. 종교와 각 계층, 전문분야와 학문들간의 상반된 견해를 아울러야 하며, 당면한 문제를 겪는 환자와 가족, 의료인에게는 각자 고유한 처지와 특성이 있는 실존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민감한 사안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 상담절차의 발전과 제도화의 초석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명의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 신청자들의 특성 및 작성동기를 조사하고, 이들을 상담하는 상담사들과의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자들의 특성과 작성동기를 이해하고,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최근 10개월간 사전의료의향서를 신청한 625명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의 비율이 약간 높았고, 연령은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는 온라인 신청자가 아닌 일반 작성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여성과 고연령이 높게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볼 때 상반된 결과였다. 신청자들의 작성 동기를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준비’나 ‘사고 및 노환에 대한 대비’ 등 ‘자발적 동기’가 가장 많았다. 이는 ‘품위있는 죽음을 위함’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인의 연명의료를 본 경험’ 또는 ‘지인의 권유’에 의해 작성한 경우가 많았고, ‘가족들에게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주고 싶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으며, ‘교육 및 매스컴의 영향’도 다수 있었다. 이어 신청자들을 상담했던 상담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및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상담사 시작동기는 웰다잉(Well-dying) 강사 교육을 통해서가 대다수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상담사들은 대체로 기존에도 상담 경험이 있었으며, 웰다잉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인 또는 가족의 죽음에 관련된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 상담사들이 파악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 문제점으로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보관서비스 중단 및 불이행과 상담 인력 및 시간 부족이었고, 대상자 측면에서는 안내장 미확인, 정보부족과 이행능력부족을 주요한 문제로 보았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 동의율을 높이기 위한 절차와 과정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요소들의 해결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 인터넷 신청자들의 특성과 작성동기, 사전의료의향서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갖고 있는 어려움과 요구, 나아가 우리나라 현 시점에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서의 어려움과 개선해야 할 문제들을 파악하였다. 또한 중년에서 노년에 이르는 연령대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과정에 대한 준비, 그들이 접근할 수 있었던 연명의료와 사전의료의향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명의료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법제화와 국가적 홍보 및 교육에 대한 당위성을 확인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Despite numerous previous discus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 Directives, a national/social consensus on the issue still remains a far-fetched goal. This stems from the difficulty relat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needs and opinions, and the collection of conflicting opinions. Achieving such consensus requires balancing conflicting opinions from various religious sectors,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a wide range of areas and academic discipline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patients, their families, and medical practitioners experience the issue as an existential one, where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hold relevance. Conducting a research on such sensitive issue, that i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revitalization of Advance Directives, would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counseling process for Advance Directives and creating the related legislations.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es of persons who requested for Advance Directiv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t also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the counselors who provided counseling services to the requesters above and analyzed the findings therefrom. The purpose of this process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es of the persons who wrote Advance Directives, identify the issues arising in the course of preparing Advance Directives, and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resolve such issues.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f 625 persons who requested for Advance Directives through the Web page of the Advance Directives Action Group for the last 10 month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subjects, the number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Subjects who are in their 50s comprise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other age groups. In addition, persons living in larger citie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These findings somewhat deviate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targeting persons who actually wrote Advance Directives rather than online requesters, where the percentages of females and the elderly were higher. Among the motives for requesting Advance Directive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motives were spontaneous ones such as “to prepare for my death” and “to prepare for accidents or old age.” Such motives can be summarized as “to die with dignity.” The second most prominent motives were “an acquaintance who went through a life-sustaining treatment” or “a recommendation from an acquaintance.” In addition, several respondents cited “to prevent my family from suffering from mental or physical harm” and “influenced by education or mass media” as their motives.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counselors who provide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requesters to articulat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related with Advance Directives. The first most frequently cited motive was the counselors’ experience in well-dying instructor training courses. Most Advance Directives counselors had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 and showed a high interest in well-dying. The second most frequently cited motive was the interviewees’ death-related experience involving themselves or their families. The counselors interviewed pointed out various issues related with advance directives.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counselors mentioned the discontinuation of, or the failure to provide, a storage service and the lack of time and personnel to meet counseling needs. As for the issues on the side of patients, the most frequently cited issues were the failure to read the guide document,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lack of the capability to complete the directives. Resolving such issues is a prerequisite for revitalizing the use of the relevant processes and improving the rate of consent to prepare Advance Directives. As explained above,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es of persons who requested Advance Directives via the Internet, the difficulties and needs experienced by clients in the course of Advance Directives counseling, and the current issues affecting the Advance Directives system in South Korea, as well as possible improvements thereof. In addition, it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meaning of, and concerns about, death for different age groups, ranging from middle-aged groups to senior groups, and confirms the justifiability of the legislation of Advance Directiv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as well as national-level promotional and education efforts on that issue. Lastly, it provides a number of policy suggestions based on such insight and confirmation.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엄정경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among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27 nurses in ICU of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2 metropolises between April 3, 2017 and April 10, 2017. For measuring nursing attitude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ool developed by Byun et al and Lee was used. The tool developed by Lee was used to evaluate the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ool developed by koo was used to evaluation the advanced directiv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3.0 (Armonk, NY; IBM Corp). W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the attitude on life-sustained treatment was 3.23 and stress was 3.74. The mean scores of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2.45 among nurses and 2.63 among family members of nurses. The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urses and their family members (t=-5.27, ��<.001). For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the nurses and family memb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cardiaopulmonary resuscitation(t=-5.67, ��<.001), oral or tubal feeding(t=-2.86, ��=.005), total parenteral nutrition(t=-2.48, ��=.014), diagnostic test(t=-3.44, ��=.001), blood transfusion(t=-3.43, ��=.001), dialysis(t=-3.28, ��=.001), oxygen therapy(t=-4.11, ��<.001), inotropic medication(t=-4.12, ��<.001), antibiotic medication(t=-1.96, ��=.052), operation(t=-2.71, ��=.008), ICU therapy(t=-4.85, ��<.001). For subjects' attitude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t=2.44, ��=.016), marital status(t=-2.41, ��=.017), length of clinical career(F=3.92, ��=.010), length of ICU career(F=3.52, ��=.017).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5.33, ��=.002), marital satus(t=2.65, ��=.009), and length of clinical career(F=3.54, ��=.017). For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monstrated o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nurs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r=-.218, ��=.014)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their family members (r=.698, ��<.001).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help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play a role as a mediator when they sign the advanced directives. Moreover,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o analysis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stress on life-sustained treat ment and reduce the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해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한 간호연구의 기초 자료 수집에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 W시와 G시의 2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명의료 태도는 변은경 등과 이수정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연명의료 스트레스는 이수정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의료의향서인식은 구종모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 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명의료 태도는 3.23점, 연명의료 스트레스는 3.74점이었다.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정도는 2.45점이었고,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정도는 2.63점이었으며, 간호사 자신과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5.27, ��<.001). 간호사 자신과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심폐소생술(t=-5.67, ��<.001), 경구/관을 통한 영양 및 수분공급(t=-2.86, ��=.005), 정맥주사(IV)를 통한 영양 및 수분공급(t=-2.48, ��=.014), 단순 진단 검사(t=-3.44, ��=.001), 수혈 및 혈액제제의 투여(t=-3.43, ��=.001), 혈액투석(t=-3.28, ��=.001), 산소공급(t=-4.11, ��<.001), 혈압상승제(t=-4.12, ��<.001), 항생제(t=-1.96, ��=.052), 수술(t=-2.71, ��=.008), 중환자실 치료(t=-4.85,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는 성별(t=2.44, ��=.016)에 따라, 스트레스는 결혼상태(t=-2.41, ��=.017), 간호사 근무경력(F=3.92, ��=.010), 중환자실 근무경력(F=3.52, ��=.017)에서 따라,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연령(F=5.33, ��=.002), 결혼상태(t=2.65, ��=.009), 간호사 근무경력(F=3.54, ��=.017)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명의료 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연명의료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218, ��=.014),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98, ��<.0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환자 및 보호자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연명의료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연명의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 입원 암환자의 품위있는 죽음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미영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2월부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법이 시행중이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은 환자가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선택하는 자기 결정권이며, 스스로 죽음을 수용하고 준비하는 단계이다. 입원 암환자는 암을 치료하면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겪는 중이고, 입원 기간동안 다른 입원 암환자들과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때때로 간접적으로 임종을 경험하기 때문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해 숙고할 기회가 있을 것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입원 암환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일개 대학교 병원에 입원 중인 암 환자 162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3월 1일부터 동년 10월 1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로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조계화(2011)가 개발한 품위있는 죽음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측정 도구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문서 관련 지식 도구만을 사용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 & Bruder (1997)가 개발한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를 김미혜(201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는 박남주(2021)가 사용한 1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PC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χ²-test,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는 작성의도군 47.5%, 작성 비의도군 52.5%이었다. 2. 대상자의 품위있는 죽음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1)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평균 3.04±0.41점이었다. 하위 영역 평균은 자율적 의사 결정 3.14±0.58점, 정서적 안위 유지 3.07±0.42점, 사회적 관계 정리 3.06±0.43점, 역할 보존 3.01±0.49점, 고통 없음 2.81±0.60점 순이었다.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평균 6.56±1.99점이며 정답률은 72%였다.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평균 2.79±0.26점이었다. 하위영역 평균은 치료에 미치는 영향 3.06±0.44점, 치료 선택의 기회 2.84±0.38점,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2.75±0.31점, 질병의 인식 2.17±0.66점 순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품위있는 죽음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교육 정도(t=-2.232, p=.030),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사전교육여부(t=3.490,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성별(t=-3.352, p<.001), 연령(F=9.681, p<.001), 교육정도(t=-3.972, p<.001), 결혼상태(t=-2.420, p=.017), 경제수준(t=3.971,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사전교육여부(t=2.395, p=.018),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요성 인식 여부(t=3.11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일반적 특성 변수는 없었다. 4.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군과 비의도군 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차이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사전교육여부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요성 인식 여부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사전교육여부는 예 군이 아니오 군에 비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3.03배(95% CI=.16~.67) 증가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성 인식 여부는 필요하다 군이 필요하지 않다 군보다 작성 의도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6.67(1/0.15)배(95% CI=.06~.37) 증가하였다. 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군과 비의도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품위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였다. 품위있는 죽음태도가 1점 상승할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5.16배 증가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1점 상승할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9.60배 증가하였다. 6.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품위있는 죽음태도(ß=1.631, p=.002)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요성 인식여부(ß=-1.616, p=.001)였다.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1점 상승할수록 5.11배(95% CI=1.82~14.36) 증가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성 인식여부는 필요하다 군이 필요하지 않다 군에 비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5.00(1/.20)배(95% CI=.08~.49)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는 품위있는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필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아졌다. 품위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전환을 위해, 암환자의 입원시부터 의료인은 치료계획과 예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작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인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February 2016, the law related to Intention to Advance Directives (AD) has been in effect in Korea, and the writing of a AD Intention is a self-determination right for patients to choose to dignified death.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experience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while treating cancer, share various information with othe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nd sometimes experience death in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AD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write AD in cancer in patients. Participants were 162 adult cancer patients in inpatient departments at the K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October 10 in 2021. The instruments were dignified death attitude scale developed by Jogyehwa (2011),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developed by Hong Sun-woo and Kim Shin-mi (2013), The Advanced Directives Attitude Survey (ADAS) developed and revised by Nolan and Bruder (1997)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Mi-hye (2016), and intention to write Advanced Directives developed by Park Nam-ju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é Test, χ²-test,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by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t follows : 1) Subject were distributed as follows : 47.5% in the intention to write AD group (intention group) and 52.5% in the non-intention to write AD (non-intention group). 2) The mean scores on research variables were 3.04±0.41 (range 1-4 points) for dignified death attitude, 6.56±1.99 (range 0-9 points) for AD knowledge, and 2.79±0.26 (range 1-4 points) for attitude toward AD.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gnified death attitude according to education(t=2.232, p.=03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D pre-education(t=3.490,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 knowledge according to gender(t=-3.352, p<.001), age (F=9.681, P<.001), education(t=-3.972, p<.001), spouse(t=-2.420, p=.017), income level(t=3.971, p<.0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D pre-education(t=2.395, p=.018), and necessity of AD(t=3.117, p=.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AD. 4) In the AD-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of AD (OR 3.03, 95% CI=.16~.67),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D pre-education (OR .15, 95% CI=.06~.37) between intention group and non-intention group. 5) Among research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gnified death attitude (OR 5.16, 95% CI=1.76~15.16), and the attitude toward AD (OR 9.60, 95% CI=2.46~37.41) between intention group and non-intention group. 6) In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write AD in cancer patients were the necessity of AD (OR .20, 95% CI=.08~.49) and dignified death attitude(OR 5.11, 95% CI=1.82~14.36). In conclusion, the intention to write AD was higher when the necessity considered AD and the positive dignified death attitude was higher. In order to change the necessity for intention to AD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a dignified death attitude, when a cancer patient is hospitalized for treatment, the medical staff should explain the treatment plan and prognosi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A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help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AD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intention to write AD. And, this will require medical staff to be educated about AD.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적용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이진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환자가 연명의료의 중단 의사를 사전에 미리 밝혀 두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기독교 윤리적 가치에 대해 논한다. 현대 사회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관심은 안락사 논의와 맞물려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 비해 생명의 자기결정권과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갈등은 아직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윤리적 가치의 혼란 속에서, 기독교적 ‘생명’의 가치를 밝히는 데 주력한다. 이는 일종의 소극적 안락사로서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생명의 가치를 간과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제도적으로 체계화된 네덜란드에서 발생하는 안락사로 인한 생명 경시 풍조라는 사회적 문제는 한국 사회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가치를 바로 세워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죽음에 이르는 ‘고통’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 되는 생애 말기 환자들에 대해 고통의 의미를 해석해주는 작업은 지속되어야 한다. 아울러 두렵기만 한 불확정성으로서 다가오는 ‘죽음’ 역시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재해석됨으로써 죽음과 고통이 단지 두렵고 기피해야 할 대상만은 아님을 발견하게 해야 한다. 이는 생명과 죽음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함으로써 가능하다. 기독교 윤리에서 생명은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말하여진다. 곧 생명의 주권자이신 하나님,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 하나님의 창조 세계와 아울러 연대하며 살아가는 생명의 공동체성에 대한 다차원적 논의에서 설명된다. 이로부터 죽음에 대한 논의 역시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의 영원한 교제와 소통 안으로 들어가는 소망이 되어야 한다. 이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기독교적 논의가 연명의료의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생명과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바로 세움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