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노미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29

        국문초록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치료전공 노미화 본 연구는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를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이란 무엇인가? 둘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 과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비혼 여성의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이론적으로 적합한 대상자를 표집하기 위해 눈덩이 표집(snowballing sampling)을 사용하여 35-50세의 고학력. 전문직 비혼 여성 15명을 참여시켰다. 자료의 수집은 2009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접, 연구노트, 녹음파일, 전사본 등을 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에 따라 3단계의 코딩절차를 사용하였다. 1단계는 개방코딩을 사용하여 개념-하위범주-범주화하였다. 2단계 축코딩은 자료를 더 추상적인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단계로 패러다임과 범주들을 연결시킨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는 분석과정과 패러다임모형에 근거한 과정분석으로 이루어졌다. 3단계의 선택코딩을 통해 범주들을 통합한 이야기 윤곽을 적고,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모든 내용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총 196개의 개념, 47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절차에 따라 범주를 패러다임에 연관시키면서 범주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패러다임요소에 따라 인과적 조건은 ‘삶은 혼자’라는 느낌, ‘결혼을 선택하지 않음’이다. 중심현상은 ‘나를 찾아감’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결혼에 대한 간접적인 부정적 경험’, ‘전통적 어머니상과 다른 삶을 살고 싶음’, ‘아버지를 통한 가족제도의 경험’, ‘가족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중재적 조건은 ‘물리적 토대’, ‘정서적 지지체계 구축’, ‘비혼 삶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이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자기성장을 위한 노력’, ‘원가족에 대한 사고의 변화’, ‘가족 개념의 확대’ 이며 그에 따른 결과는 ‘혼자 살아감’, ‘원가족과 새로운 관계 형성’, ‘희망하는 가족형태를 찾음’으로 도출되었다. 선택코딩 과정에서 이야기 윤곽을 적고,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라는 중심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원가족 체계 내의 나’, ‘원가족에서 분화 시도’, ‘자기성장’, ‘자기 안에 가족을 둠’,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로 총 5단계의 연속적 과정이었다. 또한 비혼 삶의 유형을 ‘가족거부형’, ‘자아찾기형’, ‘현실수용형’, ‘불안정형’, ‘결혼희망형’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 경험을 개인차원, 원가족과 관계차원, 환경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삶의 패턴은 가족치료 임상 모델에서 적용되는 Bowen의 자기분화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원가족 체계 내에서 분화하여 자기성장을 통해 보다 성숙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모습이었다. 둘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인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는 자기분화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원가족에서 분화는 자기성장의 과정을 거쳐 자기 안에 원가족과의 새로운 관계를 맺고 자신이 원하는 가족 형태와 기능을 갖는 새로운 가족을 만듦으로서 완성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비혼 삶의 유형은 비혼에 대한 개인적인 인식과 원가족을 포함한 정서적 지지체계, 사회환경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를 탐색하기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 과정과 비혼 삶이라는 현재 상황을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비혼 여성과 그들의 가족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비혼과 비혼 여성에 대한 연구 부족의 상황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비혼, 가족경험, 가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진시키고 학문적 논의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수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8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을 탐색하여 그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 그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족과 함께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도입국청소년 5명을 심층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은 무엇인가?’,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이다.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4개의 구성요소는 ‘불안정한 가족생활이 시작됨’, ‘가족이 모두 경계인으로 살아감’, ‘부모와 다른 문화에서 살아감’, ‘부모의 짐을 덜며 결속됨’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의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에서 나타난 논의점은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가족의 영향력이 중요한 요인임이 나타났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나 여러 지원서비스 혜택에서 배제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정책의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또래관계를 사적인 연결망에서 공적인 연결망으로 확장하여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부모의 역할공백을 채우며 과도한 정서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해 상담 및 생활통역 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에게도 복지적인 정책과 사회 연결망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중도입국청소년에게 주어진 가정 내에서의 정서적 책임과 사회문화적응에 가족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하며 이에 따른 학문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가정공동체 회복을 위한 ‘가족치료이론’ 활용방안 연구

        김수만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33

        This research aims at introducing ‘Family Healing’ and providing basic tools for application of the theory. These professional skills would help overcome the family crisis which the Catholic family, a fundamental part of the Catholic Community, is now facing. I intend to present some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to pastoral counselling in this area of church concern. In chapter 1, I question how we can apply the ‘Family Healing theory’ and refer to the necessities, contents, and limits of this study. In chapter 2,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Korean family is dealt with. I also examine various definitions of family and the crucial functions of the family and classify the right functions of a family and its opposite. The family is affected by what is happening in the Korean society. The ‘changing home’ is described. I consider family problems in the light of the factors which are changing the family. In chapter 3, I define the meaning of family from the Catholic point of view. In context of the Bible, I underline the value of family as well as the role of family happiness. In chapter 4, I look at what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and consider what the incomplete family needs to recover. For an easy understanding, I study how Family Healing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psychological treatment and how critical this theory is for family healing. In chapter 5,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looked at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since 1950, which theory focused on the individual at first. But as family was considered as a unified organization, this theory came to focus on the family unit for treatment. Though ‘Family Healing Theory’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I evaluate six important family healing models: 1) the multiplex house healing model, 2) the empirical family healing model, 3) the structural family healing model, 4) the strategic family healing model, 5) the problem-solving family healing model and 6) the story-telling treatment healing model. Each model is explained with theories, major concepts, aims, courses, curer's roles and treatment techniques. Despite the usefulness and contributions of the family healing model, it ignored individuals. Therefore, this model tends to be decisive,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and this should be avoided and reviewed by Catholic churches. Through each model, we can see not only the ways of viewing family's past, present and future, but also the ways of handling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It then becomes clear what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model is. So, we need to be flexible in integrating the models and add theological thought and Biblical reflections in a deeper fashion. In chapter 6, the possibility for Catholic churches to apply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considered and its prospect are described. IN the light of the recent context, I search for ways to consider and practice new directions within the Catholic point of view. Also, I describe the meaning of family recovery and the considerations of family healing in Korea. I suggested how we can introduce and utilize the various and effective component of the ‘Family Healing Theory’ within the Korean family situation and pastoral concerns. Therefore, I refer to pastoral supportive programs for family healing within a context of stages of family life such as the Fathers' and Mothers' schools. A pastoral attitude for family counselling and healing are also suggested. How ‘Family Healing Theory’ can be accepted well in the Christian faith is presented. Family experts have used scientific family healing methods so far, but they have ignored its religious component which can help with the limitations to overcome. Churches have to take care of people in these situations, foster sound personalities and the health of the individuals. Family pastoral counselling is necessary part of family recovery. Pastoral counselling has to do with sharing family problems and preparing specific programs for family recovery. Therefore, Churches should provide an answer to contemporary family requests, coping with change in society, and in their pastoral care bring the families closer to the Gospel reality. Then, Catholic family unit can become reconnected with God's love, be reborn in a holy and happy manner and finally meet God. 본 연구는 사목상담에 있어 전문적인 기법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목자들에게, ‘가족치료’라는 전문적인 영역을 소개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토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가톨릭교회의 근원적 기초 공동체를 이루는 가정이 현대에 직면한 다양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현대 가정에 대한 교회의 사목적 배려 안에서 가족체계이론을 사목상담에 기초하여 사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Ⅰ장에서는 가톨릭교회 가정공동체 회복을 위해 어떻게 가족치료이론을 사목적 배려 안에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한계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한국 가정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먼저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위해서 가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가정이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가정을 기능별로 분석이해 하여 가정의 역할을 잘 하는 순기능 가정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역기능 가정 그리고 가정의 기능에 따른 부부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사회의 가정 현실에서는 최근 우리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가정의 위기와 가족의 변화 양상, 가족변화의 원인을 통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가정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가정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서는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의 가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가정의 가치뿐 아니라, 가정이 인간의 행복에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서는 현대 가정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중심으로 공의회 이전과 이후의 그리스도인의 혼인과 가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먼저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치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오늘날 현대사회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가정의 상황에 대한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가족치료가 개인 심리치료와 어떠한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더불어 가족치료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배경인 체계이론의 기초와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Ⅴ장에서는 가족치료 이론에 대해서 다루었다. 1950년대를 전후로 시작된 가족치료는 이전까지 한 개인에게 집중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한 가족을 하나의 통일체로 보면서, 가족구성원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는 하나의 체계로 간주하고 그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다. 가족치료는 그동안 여러 가지 유형으로 발전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가족치료 모델 여섯 가지, 곧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주의적 가족치료, 구조주의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해결 중심 가족치료, 이야기 치료를 중심으로 각 모델의 이론과 주요개념,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등을 살펴보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가족치료의 유용성과 공헌에도 불구하고 치료방법에만 몰두한 나머지 개인을 무시하며, 결정주의적이고 환경주의적인 기반을 두는 경향과 과학주의적인 발상들은 반드시 배척해야만 한다. 특히 이는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안에서 그리스도교적으로 비평하고 검토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각 모델을 통해서 가족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바라보는 방식뿐만 아니라 가족의 정서와 행동, 인지를 다루는 방법을 살펴보면서, 각 치료모델의 강점과 약점을 알고 여러 모델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융통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적 가족치료가 이루어지려면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신학적, 성경적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Ⅵ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가정에 대한 가족치료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 전망을 다루었다. 오늘날의 현대 상황들 앞에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통한 가정사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기 위해서, 가장 기초적인 단위로서의 공동체와 관계된 사목 활동 전체인 가정사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천주교회의 가정사목의 현실과 가정사목이 새로운 지평을 향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치료이론의 사목적 적용에서는 가족치료이론의 적용 가능성 안에서 가정 회복의 의미와 한국 가정의 가족치료에서의 고려할 점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가족치료이론의 사목적 활용 영역에서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가족치료이론을 한국 가정에서 그리고 사목 현장에서 어떻게 도입․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가족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사목적 지원 프로그램과 ‘아버지학교’, ‘어머니학교’, ‘고부학교’를 제시하였다. 또한 사목적 적용에 있어서는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 임하는 사목자의 자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안에서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와 평가를 통해서 사목상담의 영역에서 가족체계이론이 어떻게 올바르게 수용되어야

      • 중년여성의 가족 사별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 외상 후 성장의 조절 효과

        백미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8

        논문개요(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사별’ 경험 후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인 우울을 극복하고 성장에 이르게 하는 측면에 초점을 두고 사별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중년기는 인생의 전반에서 후반으로 바뀌는 중요한 시기이며, 성공적인 발달을 위해서 중년기에 주목해야할 필요성이 있다(Ryff & Singer, 1998). 그러므로 중년여성이 사별 이후 삶의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사별스트레스가 우울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 (2) 사별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40세- 65세의 중년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척도, 사별스트레스 척도, Beck의 우울척도검사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 294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사별경험 중년여성의 사별 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적영향을, 외상 후 성장 수준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의 상호작용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사별스트레스와 우울이 외상 후 성장변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가족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사별 후 성장을 위한 심리적 개입방법의 모색과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reavement stress and depression with focus on the aspect of overcoming depression of negative emotion experienced after 'family bereavement' and of reaching growth. Middle age is the important age when a life changes from the first half to the last half and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middle age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life (Ryff & Singer, 1998).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ocess that a middle-aged woman adapts herself to change of her life after bereavement for her future life.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following; (1) influence of a middle-aged woman's family bereavement stress on depression; and, (2)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reavement stress and depression. For this, data of post-traumatic growth scale, bereavement stress scale, and Beck's depression scale test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women at 40 ~ 65 years of age and then, validity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ere verified on final 294 copies through a hierarchical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it was found that bereavement stress of middle-aged woman with a family bereavement exper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that post-traumatic growth level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between bereavement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bove results imply that bereavement stress as well as depression after family bereavement experience is a significant phenomenon closely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This discussion sough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growth of a middle-aged woman with family bereavement experience and it proposed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as well as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es.

      •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에 관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정인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을 주관적 삶의 맥락에서 탐색함으로써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응해 나가는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은 어떠한가?'로 시작하여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9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32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범주로 묶어졌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를 패러다임에 연관시켜 파악된 중심현상은 '나의 가족 울타리 만들기'였으며, 이것은 4단계의 연속과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유형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nded(practical) theory that can explain how unmarried mothers recognize, interpret, and adopt their lives by way of exploring family experience in terms of subjective life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is “what kind of family experiences did unmarried mothers go through?” From the mentioned research question, Ground theory (Strauss & Corbin, 1988)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o perform this study, seven adult single mothers who raise one child alone respectively, were selected from local communi ty and participated in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e results of the open coding revealed that 96 concepts were deducted and combined into 32 sub 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hen it comes to the central phenomenon apprehended through axial coding by applying categories to the paradigm was ‘making my family boundary’. And another thing, four step continuous processes were analysed as below; (1) ‘the step of recognition and adjustment’, (2) ‘the step of solution-seeking’, (3) ‘the step of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4) ‘the step of making new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origi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making my family boundary separa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dis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t that when family counseling is conducted this resul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가족기능의 측면에서 본 워킹맘의 자녀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광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7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about what kind of conflicts in child rearing have been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who are held accountable for child-re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orking mothers' parenting conflicts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while they are playing multiple roles both at work and at home. This study is to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for experts in counseling to deal with crisis for working mothers’ families with various backgroun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hree working mothers who raised one or more children from infancy to adulthood for more than 20 years. Those are working mothers who were was finally selected by a deliberate convenience sampling after an in-depth interview in person. As a data collection method, the 8-sess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tw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one non-face-to-face interview to further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ranscripts of all these processes, field notes, consultation diaries, diaries & e-mails of participants were used as data sources. The 8-sess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for two months from July 2021 to August 2021. It was recorded at the interviews site with the cons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data analysis, the stories of the three participants were arranged to be narrative by time series and developmental stage while the researcher’s repeating reading and coding narratively and marking the points on the collected data, so that the life stories of the working mothers could demonstrate autobiographical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ies. The influence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the present and in the past could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hild-rearing conflicts do working mothers experience? Second, in what ways does the family function of the working mother shape the child-rearing experience?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working mother's experience in child-rearing conflicts? This study looked at the stories of the study participants by applying the paradigm of family functioning theory in order to understand more in depth the experiences of conflicts in child rearing of working mothers. In terms of family functioning, the McMaster model was mainly used for the conflict experiences of child rearing, Through this, the child-rearing conflicts for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explored for this study show the unique pattern of family functioning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choose. This study proceeded in two stages which are a 'narrative sketch of the story of each participant and a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their child-rearing conflict experiences. First, the story of a working mother's child-rearing conflict experience, which corresponds to a 'narrative sketch', was composed as follows. Jeong-ee′s story of child-rearing conflicts is composed as follows: ‘Transforming into a mother is too difficult’; ‘The patriarchal, authoritative and chaotic family members’; ‘The first child that was entrusted to her mother, the second child that her mother-in-law took’; ‘Children who listen well, mother who scolds’; ‘The second child cannot adjust to school’, ‘Economically prosperous but lacking emotional support’; ‘Boundaries among family members are unclear’; ‘Deep and isolated borderline with difficulty in expressing attachment , each standing alone’. The story of Daon's child-rearing conflict experiences is as follows: ‘Daughter became a mother’; ‘Roaming around all night carrying the first child with fever’; ‘Children outside the frame, the second child playing silently’; ‘The second child with weak cognitive ability, first child being smart’; ‘Doubly bounded child who does not communicate’; ‘The first high school student who ran away from me after I thought I was a good child’; ‘The second who stubbornly went on her own path after cutting everything.’ Pureum’s child-rearing conflict is as follows: ‘The role of a mother awarded with pain and joy’; ‘I do my best’; ‘Anything as my mother wants, third child, everything is good if my mother likes it’;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rides an empty bus and goes round’; ‘Close-up father-in-law and strict mother-in-law’; ‘Unhappy elementary school student of first child, running to the school luncheon from work’; ‘Second child who are obedient to a powerful mother, first child who is in middle school student who listens only to music’; ‘Even when you become an adult, you are the first to be attached to’.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child rearing as a working mother are shown as follows: ‘The difficult life of a mother who has to do both work and family well’; ‘I will take care of you until the end’; ‘Mothers who are pressed for time,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all effort’; ‘Mothers who are self-centered and one-sided’; and ‘Growing children,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express love’. During the narrative exploration, the researche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struggles and loneliness they experienced while living as working mothers. With th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have a time of growth to understand their own lives again through interviews for research.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onflicts of working mothers and the dysfunctional situation of the working mother's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fully utilized for psychological and family counseling for working mothers in the future, and then it should be possible to help working mothers express their opinions and facilitate emotional exchanges with their husbands and children. In addition,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support and assistance for working mothers from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 should be made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parent and children be provided. Therefore, more systematized child rearing and various programs is to be developed and activated. 본 연구는 일과 가사 그리고 자녀 양육을 모두 책임지는 워킹맘이 직장과 가정에서 다중역할을 해오면서 어떤 자녀 양육의 갈등 경험을 했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제공된 워킹맘의 양육 갈등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워킹맘 가족을 위한 위기 개입 상담에서 전문가들의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참여자는 일과 가정을 20년 이상 양립하면서 자녀를 1인 이상 출산하여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및 청년기를 지난 자녀 양육이 경험이 있는 워킹맘으로 의도적 편의표집으로 개별로 심층 면접하여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로 선정된 자녀 양육 경험이 있는 세 명의 워킹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면담 8회기를 개별인터뷰로 심층 면담과 비대면 또는 유선 면담 등으로 진행하였고, 사전, 사후 인터뷰 내용과 현장 메모, 면담일지, 현장 경험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녹취 후에 축어록으로 작성하였고 현장일기, 참여자의 일기와 사후 유선 면담과 메일 등을 함께 자료원으로 활용하였다. 2021년 7월부터 2021년 8월까지 2개월 동안 8회기 면담을 각각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동의로 면담 현장에서 녹취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에 포인트를 표시하면서 반복하여 계속 읽고 내러티브적으로 코딩을 하면서 연구참여자 3명의 워킹맘의 이야기를 면담 회기별 각 단계에서 이야기를 연구자가 시계열과 발달단계별로 내러티브화 되도록 정리하여 워킹맘의 인생 이야기를 자전적 요소와 가족관계의 요소, 그리고 각자의 현재와 과거의 사회적・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다 각도로 고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맘은 어떤 자녀 양육의 갈등 경험을 하는가? 둘째, 워킹맘 가족의 가족기능은 어떠한 자녀 양육 경험을 형성하는가? 셋째, 워킹맘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워킹맘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가족기능 이론의 패러다임을 적용해서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가족기능 측면에서 본 자녀 양육 갈등 경험은 주로 맥매스터 모델을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탐색한 연구참여자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은 워킹맘으로서 그들이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특유의 가족기능 방식을 잘 드러내어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 각각의 이야기인 ‘내러티브스케치’와 그들의 자녀 양육 경험의 의미에 대한 논의의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러티브스케치’에 해당하는 워킹맘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 ‘정이’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 이야기는 <엄마로 변신, 너무 어렵고 힘들다>,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이면서 밀착된 시댁 식구들>, <친정엄마에게 맡긴 첫째, 시어머니가 데리고 간 둘째>, <말 잘 듣는 아이들, 야단치는 엄마>, <학교 적응을 못하는 초등학생 둘째>, <경제적으로 풍족했지만, 정서적으로 지원이 부족했어요>, <경계선이 불분명해요>, <애착 표현이 어려워진 유리된 경계선, 각각 홀로서기>로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 ‘다온’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 이야기는 <딸에서 엄마가 되다>, <열이 난 갓난쟁이 첫째를 업고 밤새 돌아다니다>, < 테두리 안에서 벗어난 아이들, 소리 없이 혼자 노는 둘째>, <인지력 약한 둘째, 명료한 첫째>, <이중구속하다. 소통하지 않는 아이들>, <착한 아이인 줄 알았는데, 가출한 고등학생 첫째>, <다 컸다고 고집대로 꿋꿋하게 자신의 길로 가버린 둘째>로 담아내었다. 연구참여자 ‘푸름이’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 이야기는 <고통과 기쁨으로 수여받은 엄마 역할>, <혼신을 다하는 나>, <뭐든 엄마 뜻대로, 어린 셋째, 엄마가 좋으면 다 좋아>, <텅 빈 버스를 타고 한 바퀴 도는 초등학생 첫째>, <밀착된 시아버지와 경계선이 엄격한 시어머니>, <기쁘지 않은 초등학생 첫째, 직장에서 학교 급식소로 달려가기>, <권력자 엄마에게 순응하는 둘째, 음악만 듣는 중학생 첫째>, <성인이 되었어도, 애착이 가는 첫째 >라는 플롯을 통해 서술하였다. 워킹맘의 자녀 양육 갈등 경험의 의미는 <일과 가정 모두 잘해야 하는 엄마의 힘든 삶>, <가정일에 무심한 가부장적인 남편, 의사소통되지 않는 남편>, <너무나 사랑스러운 아이들, 너희들은 내가 끝까지 돌봐줄 거야>, <자녀 양육은 협업이다>, <시간에 쫓기면서도 온 힘을 다한 양육, 결국 물질적인 양육을 택하다>, <자기중심적이고 일방적으로 소통하는 엄마>, <커가는 아이들, 사랑 표현하기가 점점 어려워>로 제시되었다. 연구자는 내러티브탐구를 진행하는 동안 워킹맘으로 생활하면서 그들이 겪었던 고군분투의 삶과 외로움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받으면서 연구참여자는 연구를 위한 면담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하여 다시 이해하는 성장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워킹맘의 심리적 갈등과 워킹맘 가족의 역기능적인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워킹맘을 위한 심리상담과 가족상담에 충분히 활용되어 워킹맘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남편과 자녀와 정서적 교류를 원활하게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워킹맘을 위한 가족의 적극적 지지와 응원은 물론 범국가적으로 더욱 노력하여 보다 더 체계화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교육과 이를 지지할 각종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현화 평택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이 아버지 자신과 자녀에게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가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펴보는데 목 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 을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족 아버지가 된 이후 삶의 변화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한부모가족 아 버지양육이 청소년자녀에게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한부모가족 아버지에게 종교적 신앙이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넷째, 한부모가족 아 버지의 청소년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가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한부모가족 아버지를 기준으로 40대 초반에서 50대 중반에 있는 세 명을 2021년 8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예비 면담을 통해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료 수집은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5개 월에 거쳐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여러 차례의 면담과 전화 통 화, 카톡, 문자 교환, 녹음파일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경험한 이야기의 의 미를 발견하기 위해 분석과 해석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내러티브 탐 구 속에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 경험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청소년 자녀 양육태도 경험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아버지가 된 이후 삶의 변화 경험이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의 한부모가족 아버지가 된 이유는 각각 달랐지만 개인적 측면에 서는 원가족에서의 피 양육경험이 부정적일수록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억 압과 자괴감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피 양육경험이 긍정적인 경우 에는 과거에 얽매이기보다는 현재 삶을 직시하며 당당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또한 가족적 측면에서 자녀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상관없이 부모 의 이혼을 통해서 불행을 경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측면으로 부 - iv - 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삶의 가치관과 신념이 형성이 된다는 점이다. 둘째, 한부모가족 아버지양육이 청소년자녀에게 자신의 기질적 성향과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불안정 애착과 불안 정도에 따른 심리·정서적인 측 면과 생활의 어려움과 사회 속에서의 관계적인 부분에서의 사회·경제적인 측면, 이혼 시기에 부모사이의 갈등수준에 따라 긍정·부정적인 측면에 영 향을 주었다. 셋째, 한부모가족 아버지에게 종교적 신앙이 심리적 안정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종교적 관점에서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느냐보 다는 인간이 아닌 그 어떤 무한한 존재에 삶을 의존하고 싶어 했다. 삶이 란 꼭 이해되는 것이 아님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힘으로만 살 수 없다는 것을 신앙을 통해 경험하면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넷째,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청소년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경제적으로 정 부지원금을 받거나 원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음으로써 어려운 과정을 극 복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을 알아보고 그들의 삶의 현장에서 변화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아버지의 변화된 삶을 통해 청소년자녀와의 관계가 회복됨으 로써 사회적 기반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으므로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