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경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663

        본 연구는 가족기능,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고 가족기능과 자아분화 수준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체계이론의 주요 개념에서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나타내는 가족응집성과 가족이 변화에 대응하는 가족 내 속성을 나타내는 가족적응성 그리고 가족과의 정서적 독립감을 의미하는 자아분화가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개인의 적응문제를 가족역동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 및 가족기능 하위변인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적응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아분화 및 자아분화 하위변인의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는 어떤 차 이가 있는가? 셋째, 가족기능 수준에 따른 자아분화 및 자아분화 하위변인의 수준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가족기능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가족기능 및 자아분화 수준이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울산지역 4년제 대학교 재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회수한 485부의 설문지 중 39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전공, 주거형태, 종교, 가족형태, 출생순위, 경제적 수준, 학교생활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가족기능척도는 FACES Ⅲ(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를 번안하여 김윤희(1989)가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아분화척도는 Baker와 Siryk(1984)이 제작한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이윤정(1999)이 수정 보완한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였으며, 사용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hronbach's alpha를 검사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기능에 따른 자아분화 수준, 가족기능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 그리고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t 검증을, 가족기능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가족기능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이를 기초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대학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는 밀착된 가족, 연결된 가족, 유리된 가족, 분리된 가족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성이 높은 밀착된 가족이나 연결된 가족에서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고, 유리된 가족과 분리된 가족 일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적응성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대학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아분화 하위집단보다 중위집단이, 중위집단보다 상위집단이 대학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진 대학생이 대학생활에 더 적응적이라고 볼 수 있다. 자아분화 하위변인에서는 인지?정서기능, 가족투사기능, 정서적 단절 수준, 가족회귀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낮은 집단보다 대학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 수준에 따른 자아분화는 가족기능 상위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인지정서기능이 높게, 자아통합이 높게, 가족투사가 높게, 가족회귀가 높게 나타나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자아분화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기능 수준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정서적 단절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아분화와 가족응집성은 대학생활적응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와 대학생활적응도의 상관계수가 .238로서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다. 자아분화, 가족기능이 높으면 대학생활적응도 높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순위는 자아분화, 가족기능성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정서기능, 정서적 단절, 가족훈육이 높아지면 대학생활적응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인지?정서기능, 가족훈육, 정서적 단절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시기는 청년기 후기이자 성공적인 성인기를 준비하는 중요한 생애사적 발달단계의 의미를 지닌다. 대학생은 이 시기를 통하여 부모로 부터의 심리적 독립의 측면을 반영하는 자아분화의 수준을 높여가야 할 과업을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따르면 자아분화뿐 아니라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역시 높아진다. 특히 가족응집성과 자아분화는 서로 상보성을 갖고 개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개인의 가족기능과 자아분화의 수준을 높이는 연구개발이 필요

      • 청소년의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전승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6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Interpersonal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s that each factors can mak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Nonsuicidal Self-Injury present condition of adolescent? Second, what relative relevance of adolescent perceived family functions, Interpersonal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ve on Nonsuicidal Self-Injury? Third, what effect of adolescent perceived family functions, Interpersonal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ve on Nonsuicidal Self-Injury? Forth,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nsuicidal Self-Injury, family functions, Interpersonal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ve on Gender, Grade, Family Environment? Fifth,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s, Interpersonal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nonsuicidal Self-Injury studentsand the suicidal Self-Injury student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data colected from 406 middle school students in G-city, D-city, C-city provinces were used for the analyses. As for data analysis, statistics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measurement, correlational analysis , simple regression analysis ,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t-test, One-way ANOVA using SPSS Win 21.0. First, out of 406, 275 students have not committed nonsuicidal Self-Injury. 131 students have committed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the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 83 female students (63%) and 48 male students (37%), and their average age is 15. Second, adolescent family function, interpersonal stress, and emotional control are correl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have implications for both dependent variables and subscales. Thir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home environm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voluntary self-harm experiences were also significant.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basic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s very important in various forms and relationships among teenagers, and the more smooth and active family communication, the lower interpersonal stress and emotional control skills are stabilized, reducing nonsuicidal Self-Injury.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이 비자살적 자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각 변수들이 어떠한 상관을 갖고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가족기능, 대인관계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은 비자살적 자해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이 비자살적 자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청소년의 성별, 학년, 가정환경에 따라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 및 비자살적 자해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학생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없는 학생 간의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는 G시, D시, C시 지역의 중학교 1~3학년 남, 여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3월15일부터 2021년 4월2일까지 3주간 자기보고 응답방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측정,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독립표본 t-검정(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406명 중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없다 275명(68%),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다 131명(32%)으로 나타났다.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여학생 83명(63%), 남학생 48명(37%)이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15세이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기능, 대인관계 스트레스, 정서조절능력은 비자살적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각 변인들과 하위요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 및 비자살적 자해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양한 형태와 관계 속에서도 결국 가장 기본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며 가족 갈등이 없이 원만하고 가족 내 의사소통이 활발할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낮고, 정서조절능력도 안정되어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조손가정 손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정효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662

        본 연구는 가족해체를 경험하고 새롭게 형성된 조손가정에서 손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기능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가족기능과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급격하게 늘어가고 있는 조손가정에 대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의 제공과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은 부모의 부재로 인해 조부모가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조손가정의 손자녀로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으로 제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내용에 따라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손자녀의 가족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Olson(1985) 등이 개발한 FACES III 가족기능 척도와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금옥(1998)이 개발하고 왕정희(2991)가 초등학생용으로 재구성한 사회적 능력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정의 손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기능 수준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족기능 수준은 다른 조손가정을 연구한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한부모 가정과 빈곤가정의 가족기능 연구와 비교하면 조손가정의 가족기능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영역별로는 가족적응성보다 가족응집성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는 손자녀의 종교유무, 손자녀의 지지체계, 조부모의 연령, 형제자매의 유무, 주거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하위영역 중에 사회참여도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 대인적응성, 사교성, 주도성, 인기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손자녀의 학년, 손자녀의 종교유무, 학업수준, 건강상태, 지지체계, 조부모의 종교유무,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손자녀가 지각한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족기능 전체와 사회적 능력 전체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도 사회적 능력 전체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영역별로는 가족응집성과 대인적응성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그다음 주도성, 사교성, 사회참여도, 인기도의 순으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가족적응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응집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인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그다음 주도성, 사교성, 인기도, 사회참여도의 순으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 수준은 조손가정 가족기능의 수준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비했던 조손가정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로 결손가정의 한 형태로만 연구되는 것에서 벗어나 조손가정만이 가지는 가족 배경 특성을 파악하고 가족기능 수준을 측정하여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과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입증한 실증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조손가정을 이해하고 조손가정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체계적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가족해체를 경험하고 새롭게 형성된 조손가정에서 긍정적인 가족기능을 통해 손자녀의 사회적 능력이 향상되기 위한 제언은 첫째, 조손가정의 낮은 가족기능 향상을 위해 가족 단위적인 개입과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손자녀의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손자녀와 조부모의 건강관리와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의료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자녀를 대신하여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조손가정에 대한 정확한 수치 파악과 실태조사가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The study purposes to understand the level of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grandchildren who experienced family disorganization in newly formed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y and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ch family functions and their social ability. Thus, the study suggests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nd practice a professional program as well as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ervice to the grandparents-grandchild family. The study was conducted against grandchildre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where grandparents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fostering the children because there are no parents. The children for the study are limited to those from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o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gu and Gyungbuk area.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9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 a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some contents. Scales for the study adopted the FACES III family function index、which was developed by Olson et al.(1985) to measure family function of grandchildren as well as the social ability index developed by Park, Kumohk(1998) and reorganized for elementary students by Wang, Jung Hee (2001) to measure social abilities of grandchildren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 The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nalysis about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grandchildre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and family functions by general features showed that the level of family function is higher than other studies, but lower than studies about family functions of single-parent family and needy family. In terms of sub-areas of family functions,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is higher than family flexibility. A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s by general features had a significant result in the categories of religion, supporting system of grandparents, age of grandparents, siblings and housing type. Second,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abilities of grandchildre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sub-areas showed the highest measurement, then followed by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bility, leadership and popularity in order. Also, a social ability by general propertie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 of grandchildren, religion of grandchildren, academic achievement, health condition, supporting system, religion of grandparents and siblings. Third,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grandchildren and social abilities, the entire family function and the whole social ability had a static correlation. Also,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whole social ability. By sub-area, family cohesion and interpersonal adaptabil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then followed by leadership, sociability, social participation and popularity in order all with static correlations.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flexibility and social abil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daptability as same as the case of family cohesion. Then, leadership, sociability, popularity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all static correlation in order. This result proves that the level of social ability has a direct relation with the level of family functions of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or social work practices as follows; Beyond the limited scope of studies on deficient family, the study can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n conducting exact fact-finding about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y as an independent study and understanding its properties. Researching and examining cohesion and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s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which have static cor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desirable social abilities of grandchildren of the family type, can also suggest a different view to understand and study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Thus, the study may contribute to preparing basic material for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establishment to conduct various studies and systemic intervention on the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y. In order to improve social abilities of grandchildren through positive family functions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that experienced family disorganization and were newly formed,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given; first, a family-unit engagement and service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low family functions of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y. Second, a program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of grand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Third, a policy for health support is needed to manage and keep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s health. Fourth, a parent-role practice program is desirable for grandparents who have to bring up their grandchildren instead of parents. Finally, it is urgent first of all to recognize the exact number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and conduct a fact-finding about it.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과 공격성간의 관계

        허순향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66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과 공격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3개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553명(남아: 273 명, 여아: 2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Noller, Seth-Smith, Bouma와 Schweutzer(1992)가 제작한 가족기능 척도(ICPS-FFS), Black과 Pedro-Carroll(1993)이 개발한 부부갈등 척도, 이해경과 김혜원(2001)이 구성한 폭력노출 경험 척도, 그리고 홍경자와 노안영(1983)이 사용한 공격성 척도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Win 10.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검증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기능, 폭력노출 경험 그리고 공격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부부갈등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폭력노출 경험, 가족기능, 부부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폭력노출 경험, 부부갈등, 가족기능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폭력노출 경험, 가족기능, 부부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격성에 대한 폭력노출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가족 체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격성에 대한 상담적 개입 방향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marital conflicts, and exposure to violence of by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nts were 553 children (273 male children and 280 female children), the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s in 3 cities of Chungcheongnamdo. Participants were research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about family relations, ego strength, interpersonal anxiety, anger, depression, and alienation. The data were analys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s of ego strength. They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of the family-functioning scale (ICPS-FFS), the scale of marital-conflicts, the scale of exposure to violence and the aggression sca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Win 10.0)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levels of family functioning, exposure to violence, and aggression. However, There was non-significant difference on marital conflicts. Second, the elementary-school students's aggression was influenced by exposure to violence, marital conflicts, and family functioning. The variables of influencing aggression were shown in order of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e marital conflict, and the family function in case of male students and in order of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e family function and the marital conflict in case of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promising to study on aggression in the family systemic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aiming at reducing aggression.

      •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 - 가족기능의 매개효과와 나이듦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 -

        박순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1660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가족기능이 중년여성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며,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이들 매개적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독립변수로, 심리적 복지를 종속변수로, 가족기능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적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 통제변수로 중년여성의 연령, 학력,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 등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으로서 결혼 경험이 있고 자녀가 있는 여성으로 한정하였으며, 45세-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대면 조사 300부, 온라인 조사 270부를 수거하여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546부(대면 조사 280부, 온라인 조사 2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과 Hayes(2020)가 제안한 SPSS Macro Process v3.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심리적 복지, 나이듦에 대한 태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중년여성의 위기감은 선행연구보다 비교적 낮고,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 심리적 복지는 높거나 낮게 나타났다. 또,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하위요인 중 일이나 성취에 대한 위기와 개별화의 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을 제외한 학력,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는 낮아지고 가족기능과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통제변수로 연령, 학력,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을 사용하였는데 학력과 노후계획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는 높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았다. 다섯째,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하거나 중재한다는 것으로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줄이고 심리적 복지 향상을 위해 가족기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으로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면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족기능을 매개하여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년여성의 나이듦에 대한 태도 변인이 가족기능의 영향력을 조절한다는 것은 그만큼 가족 안에서 중년여성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의 하위요인 중 일이나 성취에 대한 위기와 개별화의 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는 중년기가 외부세계로 향했던 에너지를 자기 내면으로 돌리면서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고 지금까지 실현하지 못했던 성취에 대한 아쉬움 등이 다른 위기감보다 크게 표출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여성은 인생의 목표달성 및 성취에 관심이 많으며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원하는 만큼 발달단계의 조정과 생애주기 발달과업의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며, 자기 계발과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위기감 가족기능,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복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중장년기의 사회적응으로 이어져 개인의 삶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위기감을 감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며, 가족기능과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 중년여성이 위기감을 극복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과 여가활동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통제변수 중 학력과 주관적 건강상태, 노후계획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지적욕구 향상을 위해 사회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노부모 및 자녀부양의 부담을 국가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정책 및 제도를 체계화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노후생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중년여성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기능이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년기는 가족기능이 새롭게 부각되는 시기여서 가족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면 중년기 문제점이나 부작용들이 감소하게 되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가족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가족친화적 제도를 확대하는 등 통합적인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달라진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하게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나이듦을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취급하는 것이 아닌 개인과 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대처하여 이후 노년기에 발생할 사회적 부담과 노인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 중년여성의 나이듦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개인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년기에 특화된 전문가 시스템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중년여성의 위기감이 가족기능을 매개하여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이듦에 대한 태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 안에서 중년여성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기능이 나이듦에 대한 태도와 불가분의 관계임을 인식하고, 가족기능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에 나이듦에 대한 태도를 접목하는 융합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중년여성의 심리적 복지 증진을 위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은 ‘낀 세대’ 로서 자칫 관심과 지원의 대상에서 소외되기 쉬우므로,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국가와 사회적 차원에서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다양한 영역 즉, 건강 및 정서지원, 경제관리, 가족지원 등에 따른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to search a medi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 and psychological welfare, and to find out whether attitudes toward aging control the mediated relationshi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ense of crisi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le psychological welfar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in middle-aged women. Family functions were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o identify a mediating effect while attitudes toward aging were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to examine a moderating role. In addition, age,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in middle-aged women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women aged 45 to 64 years who lived in Korea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a child. 300 face-to-face surveys and 270 online survey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546 questionnaires(280 face-to-face surveys and 266 online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s that included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PSS Macro Process v3.5 program proposed by Hayes(2020)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psychological welfare, and attitudes toward aging was examined in middle-aged women. As a result, the sense of crisis was relatively lower than previous research and family functions, attitudes toward aging, and psychological welfare were higher or lower. In addition, the crisis of work or achievement and the crisis of individualiz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the sense of cri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except age. Third, the rel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on psychological welfare was analyzed in middle-aged women. As a result, the sense of crisis had the greatest effect. While the higher the sense of crisis, the lower psychological welfare, the higher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the higher psychological welfare. Fourth, this study used age, educational background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as control variables.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retirement plan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lower depression. Fifth, family function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means that family functions may reduce or mediate a neg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It suggests the need to enhance family functions to reduce the sense of crisis and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Sixth, attitudes toward aging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means that attitudes toward aging may moderate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n other words, if attitudes toward aging are positive, the neg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can be decreased. Seventh, in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family functions,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ttitudes toward aging moderate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s means that the middle-aged women’s attitudes have a great effect in famil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sis of work or achievement and the crisis of individualiz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women. It suggests that the middle age is the period when energy toward the outside world to the inside, life is reevaluated, and a regret for achievement that has not been realized is expressed more greatly than other senses of crisis. Therefore, since middle-aged women are interested in attaining goals and achievement in life and want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development stages should be adjusted and the development tasks of life cycle should be understood from a new angl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to design the second life. Second, the relativ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 towards aging on psychological welfare was analyzed in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sense of crisis,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fare, leading to social adjustment in the middle and old age, which can influence individual life in gener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up a system to reduce or prevent the sense of crisis and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s to positively improve family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Moreover, various social education programs and leisur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hat middle-aged women can overcome their crisis and enjoy an active life. Third, academic backgroun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retirement plans were important variables among control variables in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access to so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intellectual desires of middle-aged women. Policy and system should be systematized retir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in various areas to share the burden of elderly parents and child support with a state. Policy for the systematical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s health should be also developed.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y function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Since the middle age is a period when family functions are newly highlighted, the problems or side effects of the middle age will be decreased if family functions are maintained smoothly. Therefore, integrated policies such as establishing family-friendly environment and expanding family-friendl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improve marital and child relationships that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changed marital and child relationships to create a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Fifth,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o share and deal with aging together rather than treat it as a problem to be solved by individuals to prevent the elderly’s social burdens and problems in the old ag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change negative thoughts about aging into positive ones and to pick out special expert systems for the middle age. Sixth, attitudes toward ag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the sense of crisis on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family functions. It suggests the great effect of middle-aged women’s attitudes in the family. Therefor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family functions are inseparable from attitudes toward aging. Providing combined services and programs that incorporate attitudes toward aging into programs that improve family functions can be effective to promote psychological welfare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 findings, as middle-aged women are likely to be alienated from the object of interest and support as “the sandwich generation”, more active interest and support for them should be given at the state and social level. Moreover, integrated service support is needed according to the various areas of middle-aged women’s life such as health and emotional supports, economic management, and family support.

      •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기능,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인가구와 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전인선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660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기능,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통해 가구유형에 따른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농촌 노인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및 가구유형별 맞춤형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라남도 구례군, 곡성군, 담양군, 전라북도 순창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25명이며, SPSS 2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Cronbach’s α 값 산출,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의 행복감,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기능 및 성인자녀 지지의 일반적 경향은 다음과 같다. 행복감의 평균점수는 3.46점(5점 만점)으로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부부가구가 노인1인가구보다 행복감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평균점수는 2.81점(5점 만점)으로 중간점수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역시 노인부부가구가 노인1인가구보다 주관적 건강상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평균점수는 7.05점(범위:0~10점)으로 좋은 가족기능을 보였으며, 노인부부가구가 노인1인가구보다 가족기능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성인자녀의 지지 중 경제적 지지는 평균 3.25점, 정서적 지지는 3.86점, 도구적 지지는 2.72점으로 나타났으나 노인1인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성인자녀 지지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농촌노인의 행복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를 보이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성별과 교육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노인1인가구에서는 성별과 교육수준에 따라 행복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노인부부가구의 경우에만 성별과 교육수준에 따라 행복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기능에 차이를 보이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교육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노인부부가구의 경우에만 교육수준에 따라 가족기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인자녀 지지에 차이를 보이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연령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성인자녀의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노인부부가구의 경우에만 연령이 높을수록 성인자녀의 지지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기능, 성인자녀의 지지가 농촌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농촌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성인자녀의 경제적 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노인1인가구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성인자녀의 경제적 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구유형별 두 집단의 행복감에 각각 상이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노인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가구유형 특성에 따른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복지서비스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신의 건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 증진 및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여가문화시설이 부족한 농촌지역에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설 인프라와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기능강화를 위해 농촌 노인단독가구의 전반적인 생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화된 제도를 실시하여 물질적·정신적 도움을 주면서 부족한 가족기능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1인가구의 경우 성인자녀의 지지 중 경제적 지지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고,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성인자녀의 지지 중 정서적 지지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노인1인가구를 대상으로 성인자녀와 노부모 양 세대의 부모 봉양에 대한 시각의 차이를 숙지하고 서로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노인부부가구를 대상으로는 타지에 있는 성인자녀들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법 교육으로 가족 간 소통의 기회 확대함으로써 정서 교류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household types by compar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on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family function, and the support of adult children affects their happiness. It was intended to provide measures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establishing customized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for each type of household. For this research, 325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Gurye, Gokseong, Damyang, and Sunchang were ask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ɑ value calcul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happiness was 3.46 points (out of 5 points), higher than the median, and the average score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average score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2.81 points (out of 5 points), slightly lower than the intermediate score, and also the average score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average family function score was 7.05 points, showing good family function (more than 7 out of 10 points), and the average family function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Economic support of adult children averaged 3.25 points, emotional support 3.86 points, and instrumental support 2.72 points. However, the average adult children support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which differ in the happin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were found to subject to gender and education levels, and the male elderly had higher scores of happin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an the female elderly.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happin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urvey by type of household, the elderly living alon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only for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which differ in family functions, were found to be at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 By type of household, only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that differ in the support of adult children were age.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support for adult children. Thi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Thir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family function, and support of adult children on elderly happiness in rural communities. In the case of the entire rural elderl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 and the higher the economic support of adult children, the higher the happiness. Comparisons by type of household showed that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economic support of adult children, the higher the happine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subjective status; and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of adult children, the higher the happiness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In this way, it could be seen that different variables affect the happiness of each of the two groups by the type of househol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meaningful that various program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and specific and differentiated welfare service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household.

      •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및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이경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659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 파트너십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태연령 34주미만 미숙아와 후기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 파트너십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C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7월 15일부터 12월 6일까지 총 77명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고, 자료 수집은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 파트너십의 정도에 대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WIN 23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점수는 평균 3.76±0.26점 이였고, 가족기능 점수는 평균 1.75±0.30점으로 발전성이 1.78±0.42점으로 가장 높았고, 애정성이 1.73±0.50점으로 가장 낮았다. 간호사와의 파트너십의 점수는 평균 4.76±0.25점 이였고, 하위 영역으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4.88±0.26점으로 가장 높았고, 정보공유가 4.62±0.43점으로 가장 낮았다.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정도는 미숙아에 대한 지식수준에 따른 모-아 애착(F=4.546, p=.014)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의 파트너십의 관계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은 간호사와의 파트너십(전체)(r=.282, p=.013), 하부 영역의 상호성(r=.302, p=.008), 전문적 지식과 기술(r=.266, p=.020), 민감성(r=.275, p=.016), 의사소통(r=.316,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기능(전체)은 파트너십의 하위 영역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r=.231, p=.044), 민감성(r=.253, p=.026)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기능의 하위 영역의 적응성은 파트너십의 하위 영역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r=.258, p=.023), 민감성(r=.332, p=.003)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가족기능의 하위 영역인 협력성은 간호사와의 파트너십의 하위 영역인 상호성(r=.233, p=.041), 전문적 지식과 기술(r=.257, p=.024)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애정성은 민감성(r=.296, p=.009)과, 해결성은 정보공유(r=-.247, p=.03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미숙아 어머니와 후기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 파트너십의 차이에서는 파트너십의 하위 영역인 정보공유(t=4.969, p<.001)와 조심성(t=2.821, p=.006)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 파트너십은 서로 관련성이 있으며, 후기 미숙아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이 미숙아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보다 더 낮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에 앞으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아 애착, 가족기능, 간호사와의 파트너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자료개발 연구와 재태연령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and degree of partnership between nurses and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emature mother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C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a total of 77 people were collected form July 15 to December 6, 2019.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and partnership with nurs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3 program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and partnership with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infant attachment(F=4.546, p=.014)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 of premature infa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and partnership with nurse, mother-infan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tnership(total)(r=.282, p=.013), interdependence(r=.302, p=.008),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r=.266, p=.020), sensitivity(r=.275, p=.016) and communication(r=.316, p=.005). Family function(tota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r=.231, p=.044), sensitivity(r=.253, p=.026), which is a sub-area of partnership. Adaptability, a sub-area of family functions, represen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r=.258, p=.023), sensitivity(r=.332, p=.003), which is a sub-area of partnership. And cooperation, a sub-area of family function, represen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dependence(r=.233, p=.041),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r=.257, p=.024), which is a sub-area of partnership with nurses, affections were sensitivity(r=.296, p=.009) and solven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sharing(r=-.247, p=.031). The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partnership with nurses differences between premature mothers and late premature mot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 two groups in information sharing(t=4.969, p<.001) and carefulness(t=2.821, p=.006), which are sub-area of partnershi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and partnership with nurse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partnership between late premature mothers and nurses is lower than that between premature mothers and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 to promote attachment to mothers, family function, and partnership with nurses, and differentiat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stational age. Keywords : premature infant, late premature infant,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function, partnership with nurses

      •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상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659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JUNG SANG-MI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MIN A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ill help them liv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ndependent lif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obtained from 479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18 and 25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 total of 476 survey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86 male (60.1%) and 190 female (39.9%). Of those, 403 (84.7%) were high school graduates. Their disability grade was 2nd class (n=268, 56.3%) and 3nd class (n=208, 43.7%). Most of them used community welfare center (n=232, 48.7%) and the others used job rehabilitation trading center (n=74, 15.5%) or sheltered workshops (n=158, 33.2%).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self-determination; a dependable variable was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variable was family functioning. Using SPSS 23.0, the nalyses were made as follows using t-test, one-way-ANOVA,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levels of self-determination, quality of life, and family functioning were identified. Second,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ere examined. Third,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 was examine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was 3.45(SD=.66) on average using 5-point Likert scale (1-5). As a subscale of self-determination, autonomy was 1.60(SD=.65) using a 4-point Likert scale (0-3). psychological ability was 7.71(SD=1.96) using a 2-point Likert scale and self-realization was 5.78(SD=2.59) using a 2-point Likert scale. Family functioning, which was measured as the Ratio score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FACES Ⅳ scale, was 1.46(SD=.65) in family cohesion, and 1.46(SD=.67) in family flexibility, which were in a balanced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cohesiveness, 'balanced cohesion' indicated 'normal cohesion' level, 'disengaged' indicated 'middle' level, and 'enmeshed' was close to 'low'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adaptability, 'balanced flexibility' indicated 'normal flexibility' and 'rigid' indicated 'middle' level, 'chaotic' indicated the 'low' level. In total, the level of family functioning indicated 'balanced family'.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and employment. Self-determination was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work condition, and disability grade. Gender was correlated with religion; Age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and education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Thir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ife quality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stud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 found that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buttheir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mploym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β=.103) significantly moderated that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a subscale of family functioning disengaged (β=-.109), enmeshed (β=-.102), rigid(β=-.120), and chaotic (β=-.105)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That is, for those with greater levels of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disengaged, enmeshed, rigid and chaotic,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were greater.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or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than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strengthening of family function playing a key role of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o strengthen self–determination ability, to sugge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the family function among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the policy impli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Key words :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 상 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지도교수 김 민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을 이해하고 그들이 성공적인 성인기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고 있는 만 18세 이상 만 25세 이하의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분석 가능한 4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성이 286명(60.1%), 여성이 190명(39.9%)이었고, 그 중 403명(84.7%)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대상자들이었다. 장애등급은 2급이 268명(56.3%)이고, 3급이 208명(43.7%)이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이용기관 유형은 복지관을 이용하거나(232명, 48.7%), 직업재활훈련기관(74명, 15.5%) 및 보호작업장(158명, 33.2%)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가 자기결정이고, 종속변수는 삶의 질이며, 조절변수는 가족기능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476명의 설문지를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자기결정 수준, 삶의 질 수준, 가족기능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넷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5(SD=.66)이며, 자기결정은 자율성이 0점에서 3점까지의 4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1.60(SD=.65)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역량은 평균이 16점 만점 기준으로 7.71(SD=1.96)이며, 자아실현은 평균이 15점 만점에 5.78(SD=2.59)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FACES Ⅳ척도 메뉴얼의 계산법을 활용하여 알아본 가족응집력 수준은 비율(Ratio)점수로서 1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1.46(SD=.65)이며, 가족적응력은 1.46(SD=.67)으로 균형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는 가족기능 응집력의 ‘연결’은 ‘보통 연결’ 수준에 포함되었고, 분리’는 ‘중간’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밀착’은 ‘낮음’ 수준에 가까운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가족기능 적응력의 ‘융통’은 ‘보통 유연’에 포함되었고, ‘경직’은 ‘중간’ 수준에 포함되었으며, ‘혼돈’은 ‘낮음’ 수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연구대상자의 가족기능 수준은 ‘균형을 이루는 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삶의 질은 자기결정, 가족기능,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자기결정은 가족기능, 근로상태, 장애등급과 상관관계를 가졌다. 통제변수인 성별은 종교와 연령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학력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이 질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장애등급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로상태의 경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모형의 최종단계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가족기능의 적응력(β=.103)이 정(+)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고, 응집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결과, 응집력의 하위요인인 분리(β=-.109), 밀착(β=-.102)과 적응력의 하위요인인 경직(β=-.120), 혼돈(β=-.105)이 부(-)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다. 즉,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가족기능의 적응력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응집력을 구성하는 분리와 밀착, 적응력을 구성하는 경직과 혼돈이 낮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보다 높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결정력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적장애인의 평생의 삶 속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족기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당사자 입장에서 살펴본 실질적인 연구로서 자기결정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관에서 실천해야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삶의 질, 자기결정, 가족기능

      •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 귀인 양식과 아동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이종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647

        본 연구는 아동이 가족기능, 귀인양식과 성취동기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가족기능, 귀인양식과 성취동기와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 아동의 정서를 이해하여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촉진시키는 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아동의 가족기능, 귀인양식, 성취동기에 대하여 각각 일반적인 경향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아동의 성취동기와 가족기능, 귀인양식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 의정부시,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420명의 아동들이었다.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기능, 귀인양식, 성취동기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후, 신뢰도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증(Duncan),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은 높은 편이며, 소도시인 경우, 여자 아동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부모의 교육정도가 고학력일수록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귀인양식은 성공상황, 실패상황에서 모두 노력귀인을 많이 하였고, 지역별, 성별, 종교별, 경제 수준, 부모의 교육정도,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동의 성취동기는 중상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도시에 살고 있는 아동인 경우, 여자아동인 경우,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에 아동의 성취동기가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성취동기와 가족기능, 귀인양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아동의 성취동기는 가족의 응집성, 융통성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귀인양식에서는 성공능력, 성공노력, 실패과제난이도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취동기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성공운, 성공과제난이도, 실패능력이다. 이는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성취동기도 높고, 성공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귀인하고, 실패의 원인을 어려운 과제라고 귀인하는 아동의 성취동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제가 쉽고 운이 좋아서 성공했다고 하거나, 능력이 부족해서 실패했다고 귀인하는 아동의 성취동기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가족기능과 귀인양식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가족응집성과 가족융통성, 성공능력, 성공노력 변인이고, 그 설명력은 49.3%이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내적변인인 귀인양식보다는 개인외적변인인 가족기능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더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족이라는 환경이 행동을 결정하는 귀인양식보다 아동의 성취동기를 더 많이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perceive their family function, attribution styl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how the family function and attribution style is related to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for this survey research were 420students i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Ui-jung-bu in Kyung-ki Province and Seo-san in Chung-cheong Province. This study used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based on FACES Ⅲ by Olson et al(1983), Intellectual Achievement Responsibility by Crandall(1965), and Prestatie Motivation Test by Herman(1970).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duncan-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family function was higher than median, and the groups living in the small city, girls, the family with religion, higher level of economy, and parent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of their parent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ception. Secon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attribution style showed higher effort in both success and failure situation. There were also the difference by residence, sex, religion, the level of economy,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ir parents, and father's jobs. Third, the children's perceived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than median, and the groups living in the big city, girls, higher level of economy and parent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of their par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Fourth,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the children, such as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bfactors of attribution style -ability, effort of success situation, and task difficulty of failure situa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uck of success situation. Fifth, according to this study,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 ability, effort of success situation of attribution styl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function were more related to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ldren than attribution style. Therefore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