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 일반학교와 서울지역 위탁형 대안학교 교육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이미선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 일반학교와 서울지역 위탁형 대안학교 교육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청소년복지전공 이미선 근대의 산업사회가 개성과 전문적인 지식이 기반이 되는 지식기반의 사회로 접어들면서 청소년들에게 국가가 제공하는 획일적인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것이 사실이며, 이를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대안 중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대안교육이다. 기존의 대안교육은 학교에 적응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다니는 곳이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대안학교는 학교 부적응 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 방법을 필요로 하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청소년들이 선택하는 곳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아직 대안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작지만 그 열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중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생들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여, 대안교육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을 찾아 좋은 교육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일반학교와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안교육과 공교육의 교육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로 조사한 교육목표, 선생님, 수업, 학교생활, 교육성과의 항목에서 일반학교에 비해 위탁형 대안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의 만족도 항목 중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이는 대안학교 특성이 인성교육을 이념으로 하고, 작은 학교를 지향하므로 선생님과 학생과의 인간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두 번째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다. 위탁형 대안학교의 특성이 일반학교의 부적응 학생들로 구성되어졌다는 것을 생각할 때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안교육의 특성이 틀에 맞춘 집단교육이 아닌 자기주도적인 학습, 개별적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자신감도 높아지고, 학습에 대한 의욕도 상승한 결과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진 것이다. 또한 일반학교에서 원만하지 않았던 선생님과의 좋은 관계도 학교 자부심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이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또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란 물음이 대안교육을 시작하게 했다. 공교육이 4지선다형에서 답을 고르는 교육이면 대안교육은 4가지 이상의 무궁무진한 답을 쓸 수 있게 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학교가 그동안 대학에 들어가는 법을 가르치는 일에 매달려 진정으로 중요한 것들을 잊고 있었다면 이제는 제고해야 한다. 교육이 ‘나 자신을 찾는 것’, ‘내 생각을 자유롭게 키우는 것’,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삶을 사는 것이 곧 교육’이라고 정의될 때, 교육은 참다워질 수 있다.

      • 국내 만트라 명상의 임상논문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미선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심신의학 치료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명상법 중 만트라 명상에 관한 한국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동향과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해보고자 했다. “만트라”을 검색어로 하여 2010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총 203편의 논문을 검색한 검색결과 중 본 연구대상이 아닌 것 175편을 제외하고 먼저 28편을 추출하여 동향분석을 하였고, 그 다음으로 비임상논문 11편을 제외하고 임상연구 논문 17편에 대해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먼저 만트라 명상 연구논문 28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2년부터 2009년 사이에 2~4편씩 발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 분야별로 살펴보면 교육심리학분야가 17편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다음으로, 만트라 명상 연구 임상논문 총 17편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약 2~4편의 연구논문이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별로는 중학생이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감소와 심리적 안정감, 그리고 주의집중력 논문이 13편으로 다른 연구 목적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되었고, 연구기간 별로 살펴보면, 4주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5주 3편과 7주 2편이었고, 임상집단과 통제집단 인원별로 살펴보면, 10~19명이 7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29명 4편이었으며, 만트라 명상 17편 모두 해당 임상 연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부작용에 대해서 보고된 논문은 없었다. 만트라 명상의 효과는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결과를 보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시작하는 단계여서 보완대체의학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대체적으로 많이 연구 되지 못하고 있는 편이므로, 질환별 연구 등을 포함한 질 높은 연구디자인으로 임상시험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대상자의 특성, 소요시간, 시행방법 그리고 다른 요법들과 병행한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하여 다양한 만트라 명상 프로그램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 분야의 다양성과 무작위 배정, 중도탈락, 조기종료 및 양측눈가림에 대한 설명 등을 보완하여 대조군 임상시험 연구의 방법적 질의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the databases and journals published in South Korea regarding mantra medit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mind body medicine, was performed to analyzed trend of clinical trials of mantra meditation study. Methods : First, searching with the keyword "mantra meditation", 203 publications identified in 6 wed databases and Journals were sorted 28 publications to analyzed trend of mantra meditation study and 175 publications to excluded after screening of title and abstract such as not scientif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not related with mantra meditation, duplicate publication. Second, After excluding as 11 non-clinical trials publications after obtaining the full text, 17 clinical trials publications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is analyzed trend of clinical trials. Results : The analysis of 17 clinical trials publications to analyzed trend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showed that the research started in 2001 and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4. Number of studies for Mantra Meditation according to years is 1 case during 2001~2003, 16 case during 2004~2010. It was shown that mantra medit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various symptoms such as th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duction of the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sexual-violence agent and the development of abilities of attention, selection, control, continuity.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Training Methods is 1 in 8 case, 2 in 1 case, 4 in 4 case, 5 in 3 case, 7 in 1 case.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duration is 4 weeks in 9 case, 5 weeks in 3 case, 6 weeks in 1 case, 7 weeks in 2 case, 8 weeks in 1 case, 10 weeks in 1 case.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controlled & experimented persons is 1~9 persons is 1 case, 10~19 persons is 7 case, 20~29 persons is 4 case, 30~39 persons is 4 case, 40~49 persons is 1 case.

      •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oles of Korean Churches for Adapting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LEE MISE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The total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increasing continually after 1990 and currently is over 20,000 in 2010. Recently, North Korean social and political societies are unprecedently fluctuating and agitating in spite of strict control and supervision of cruel dictatorship of Kim Il Suing and his son Kim Jeong Ill for 60 years. Since 2000's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ot been affordable to provide food and necessities to its people. Obtaining food was on the individual persons and these circumstances made North Korea-China border control loose and information about China and South Korea that they are much prosperous in many ways has been penetrating in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routes. As a result, considerable amount of people realize that what they know by education and propaganda is far different from the truth and they have bitter feelings of betrayal to their government and strong yearning to the outside worl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was only 300 until 2000 but increased to over 1,000 in 2001 and 10,000 in 2007. Although it took 59 years to reach over first 10,000 people but only 3 years for over 20,000. The ratio of female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overpassed that of male defectors in 2002 and covered about 77% in 2009. The most age groups are 20s-30s and many of them entered the country less than 8 years ago. Recently, with increase of whole family entrance, the ratio of youth group is increasing and these juveniles' mal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have some difficulties to adapt to South society; they were grown up and socialized under a totally different system; they have some traumas in body and mind and hardly got opportunities to get proper education in their very important period, due to the painful journeys to South which took for from several month to 7or8 years.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adapting to new society in terms of a social context not of individual abilities. It is demanded to bring up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s a bridge connect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when the two Koreas reunified. We need to refocus and extend our purpose of education for them from mere settlement to preparation of new generation for post-reunification era. Trying to appreciate the problems come from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daptation process to South society and search for solutions of those will be very useful to ease similar difficulties with which current North Koreans may confront under reunified society. These circumstances demand the cooperation and certain role of NGOs(e.g, churches)' to support some parts of the program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ere government has limitation. When Korean churches play their role appropriately to embrace and share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ance and agony, their purpose to evangelize whole nation will have a foothold for it.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society, it is recommended for Korean churches to establish enough schools for them like Yeomyeong Schoo. Department of worship service in church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 for juveniles of them are also needed to help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church. Big churches are asked for constant financial support to the churches set up by North Korean defectors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ministry. In many cases, these churches are in financial troubles. To support them is to help churches in North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schools to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s strongly encouraged . Experienced teachers can be experts on this field through some training. They will teach these youths with base of christian spirit and help them to adapt to Korean church and society smoothly. The youths who are ready by all these efforts will play major roles in reunified Korea and will be leaders of next generation and core forces of North Korean evangelical ministry.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요약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던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10년 현재 2만 명 시대가 되었다. 최근 들어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세습 독재 하에 60여 년간 철저하게 통제되어 온 북한 정세가, 전례없이 급변하며 흔들리고 있다. 북한은 2000년대 이후 주민들에 대한 배급이 사라지면서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예전에 비해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중국과 한국의 발전상황 정보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교과서와 주민 선전을 통해 배워온 사실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정부에 대한 강한 배신감을 갖게 되고 외부세계에 대한 동경을 갖게 되었다. 2000년까지 1년에 300여명에 불과했던 탈북입국자는 2001년 1000명을 넘어선 뒤 2007년 1만 명을 넘어 섰다. 첫 1만 명을 넘는 데는 59년이 걸렸지만 2만 명이 되는 데는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성별 입국비율을 살펴보면 여성의 입국비율이 2002년을 기점으로 남성을 추월하여 2009년도에는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는 20-30대가 가장 많으며 이들의 다수는 8년 이내에 입국한 사람들이다. 최근 가족단위의 입국이 늘면서 북한이탈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며 이들의 한국 사회의 부적응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의 상당 부분은 그동안 각각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회화되었고 탈북 후 한국 입국까지의 몇 개월에서 길게는 7-8년에 걸친 고된 여정으로 인한 심신의 병과 학습의 공백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회적응상의 어려움은 개인적인 적응력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교육의 목표를 한국 정착에만 두지 말고 함께 살아갈 통일 세대를 준비시키는 것으로 확장하여 앞으로 있게 될 통일 시대에 북한 동포와 한국 시민들 사이에 교량 역할을 해 줄 세대로 키워야 한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응과 부적응의 문제점 파악은 통일된 사회에서 북한주민들을 원만하게 적응하도록 유도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부가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착지원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부분을 민간단체(교회)가 협력하여야 한다. 동족의 아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교회의 역할이 선행되어질 때 한국교회가 지향하는 민족복음화의 길도 열려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정착을 위해 먼저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학교인 여명학교와 같은 학교들을 많이 세워야 한다. 그리고 개교회내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예배부서를 만들고 북한이탈주민이 신앙으로 사회와 교회에 정착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갖고 북한이탈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개발에 힘써야 한다. 다음으로 대형교회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세운 탈북민교회를 재정과 재원으로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이들이 마음껏 사역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많은 탈북민교회들이 재정과 재원의 부족으로 힘들어 한다. 이곳을 지원하는 것은 북한에 있는 교회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학교들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교육에 참여 하여야 한다.학교내에서 준비된 교사를 북한이탈 청소년전문교사로 육성하여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교육하며, 한국학교와 사회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준비된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통일 한국의 주역이 되고 차세대의 리더가 되며, 북한선교의 핵심이 된다.

      •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이미선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성격특성인 자기애적 성향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기애 성향과 유아의 부적응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6세의 취학 전 유아를 가진 어머니 252명이다. 측정도구로는 Akhtar와 Thomson(1982)의 ‘자기애적 성격장애의 임상적 특성’에 기초하여 강선희와 정남운(2002)이 비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와 Larzelere, Ambersum, Nartin(1989)이 영유아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TBC를 박효주, 김영희(2000)가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재구성하고 타당화한 것을 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인정욕구/거대자기 환상을 제외한 어머니의 내현적 성향의 자기애 하위요인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여아보다 남아의 부적응 행동과 상관이 높았다.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중 목표불안정,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 소심/자신감 부족이 남아의 모든 부적응 행동의 하위변인과 높은 관계를 보인 반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중 착취/자기중심성만이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과민/취약성과 소심/자신감 부족과는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착취/자기중심성이 유아의 공격성, 심리적 불안, 미성숙, 반항행동, 주의력 결핍, 위축행동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성별에 상관없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어머니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하위요인이 남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불안정과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이 높은 영향을 주었고, 여아의 경우는 착취/자기중심성과 과민/취약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arcissistic tendency, a characteristic of mother's personality, on infant's maladjusted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infant and to identify the concret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arcissistic tendency and infant's maladjustment. For this purpose, I chose 252 mothers with the infants aged between four and six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I used a scale developedby Kang, Seon Hee and Jeong, Nam Un (2002), with the subjects of non-clinical group, based on 'Clinical trai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made by Akhtar and Thomson (1982) and a scale reorganized and validated by Park, Hyo Ju (2000) with the subjects of Korean infants on the base of TBC, which was developed by Larzelere, Ambersum, and Nartin (1989) to assess infants' adjustment. For the data process, I used SPSS 12.0 statistic program. To examine the demographic traits of the objects, I de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instrument, I deduced Cronbach α coefficient. And als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and infant's maladjusted behavior, I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n infant's maladjustment behavior, I conducte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 was as following.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and infant's maladjusted behavior. And there was relevance between mother's sub-factors of covert tendency, except acknowledgement desire/exaggerated self- fantasy, and infant's maladjustment behavior.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relevance between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and male infant maladjustment was higher than female infant maladjustment. And among the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the goal instability, exploitation/egocentrism, hypersensitivity/fragility, timidity/self confidence lack had high relevance with all of the maladjustment behaviors of male infants, while in the case of female infants they showed high relevance only with exploitation/egocentrism among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and a partial relevance with hypersensitivity/fragility, timidity/self confidence lack. Third, it was shown that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had influence on all areas of the infant's maladjustment behavior. Especially, mother's exploitation/egocentrism had highest influence on infant's aggressiveness, psychological anxiety, immaturity, resistance behavior, lack of attention, and withdrawal behavior. Fourth, it was shown that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had influence ofinfant's maladjustment behavior regardless of infant's gender. In the case of male infants, among the sub-factors of mother's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the goal instability, exploitation/ egocentrism, hypersensitivity/fragility, had high influence on their maladjustment behavior. However in the case of female infants, exploitation/egocentrism and hypersensitivity/fragility had influence on their behavior.

      • 개인 또는 모둠별 개념도 작성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이미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념도를 개별 작성 했을 때와 모둠 작성했을 때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가. 개념도를 개별 작성하는 반과 모둠 작성하는 반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나. 개념도를 개별 작성하는 반과 모둠 작성하는 반의 수학 학습 태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B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집단 A와 연구집단 B를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즉, 연구집단 A와 연구집단 B를 각각 36명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동질집단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실험 후 학업성취도 비교분석을 통해 중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의 실험이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수학학습태도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몇 개의 문항에서 연구집단 B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수학학습태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념도를 잘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법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단원에서 개념도를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둠학습에서 소외되는 학생 없이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at effect to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when concept map was made in a individual and in a group. there is the purpose. Established following subject of study to achieve these purpose. a. Is there any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from between class which made concept map individually and class which made concept map together? b.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from between class which made concept map individually and class which made concept map together?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pre-test was taken then group A and B were select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each group was organized 36 students who are attending B junior high school in the first grade which is located in Seoul. The main points, which prec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study, which was focused on familiar students, wa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iddle group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so this experiment was effective method to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but a couple of questions wer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B. so it affirmatively effected mathematics studying attitude Consequently, when concept map will be used in the class it would be described easily with concrete method. it also would be thought and guided how can use concept map in various chapter for every students takes participate in group studying.

      • 건강도시 초기 과정 탐색 : 서울시 1개 자치구 사례

        이미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강도시 사업은 2004년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현재 성숙기를 넘어섰다고 자체 평가되고 있으나, 보건소 위주의 협소한 범위 사업, 단 기 실적 치중, 홍보성 위주 사업 등 여전히 많은 한계점이 존재한다는 학 계의 비판도 받고 있다. 최근 국내 건강도시 연구는 벤치마킹을 위한 사 례 연구나 사업에 대한 평가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질적 연구는 상대 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건강도시 사업의 추진과정을 탐색하여 건강도시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질적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건강도시 사업에 착수하여 건강한 공공정책을 목표로 추진 중인 서울시 1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착수 배경과 추진과정이 국내 건강도시 발전 및 한계와 맞물려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사례 자치구의 건강도시 사업 담당자 및 협력 담당자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조사를 진행하 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관련 문서를 조사하여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본 사례의 자치구는 단체장의 신규 취임으로 자치구의 정치 환경이 변화된 상황과 건강도시를 추진하지 않는 거의 마지막 자치구라는 압박 상황에서 과거 서울시 건강도시 경험자의 제안으로 건강도시의 필요성 을 인식하여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도시의 원칙적인 측면보 다는 실리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을 인식했을 것으로 보인다. 추진과정에서 는 우선 전문성이 축적되지 못하는 한계를 전문가와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명령체계의 이분화 및 외부인으로서의 한계 등이 지적 되었다. 다른 건강도시를 기존 건강증진사업과 큰 차이가 없고 성공 모델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었고, 이와 차별화하기 위하여 확고한 방향성을 정립하 고 상황 변화에 영향 없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건강도시 직간접 경험 인력의 주도로 단체장의 지지를 얻어 건강도시 추진에 불리한 조직 문화와 구조에 대응하여 추진되고 있어 설득력과 민주성을 갖춘 추진 력이 확인되었으나, 단체장의 제한적 관심사가 한계로 인식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건강도시의 발전 및 한계와 맞물려 현시점에서 건강도시가 어 떻게 추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건강도시 발전을 위해 극복해야 할 사항 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건강도시 사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 적인 단체장의 지지 즉 건강에 대한 헌신, 리더십, 적절한 전문가 활용, 부 문 간 협력을 위한 관료조직 변화 등이 필요하다.

      •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및 식이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이미선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major dietary patterns and nutritional status of stroke patients and non-stroke subjects. Subjects were 73 stroke patients and age matched 73 non-stroke subjects. We checked general characteristic, anthropometric measurement, food habit, food-preference, food-frequency questionnaires (FFQ) and also dietary status of the subjects, using Mini Nutrition Assessments (MNA). Moreover we also performed SSQOL(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which was a method of life quality assessment of stroke patients. The average of age was similar to stroke and non-stroke, the former was 64.6 ± 11.5 years old and the latter was 63.7 ± 9.7 years old. Non-strok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roke patients in health-related behavior in the exercise (stroke patients: 163.1 ± 18.5 min/wk, non-stroke subjects: 496.6 ± 357.7 min/wk). In stroke patients, GMVDF = 11101 was occupied 30.1%, non-stroke subjects GMVDF = 11111 were occupied (32.9%).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scoring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in non-stroke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pulse, fish, fruits, vegetables, seaweed, dairy than stroke patients. In stroke patients, frequency of skipping meal was usually (2meal/day) occupied 45.2% on the contrary rarely skipping meal was occupied 79.4% in non-stroke patients. And irregularity of meal was occupied 45.2% in stroke patients on the contrary regularity of meal was formed 63.0% in non-stroke patients. In stroke patients were most like salty (60.3%) and spicy (41.1%). In non-stroke subjects were most like spicy (38.4%) and sweat (21.9%). Daily intake of nutr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vitamin B2, phosphorus and calcium in non-stroke male subjects. Also daily intake of nutr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niacin, folate, phosphorus, calcium and potassium in non-stroke female. The survey has shown us that stroke subjects have a irregular meal time (45.2%), not-chewing-enough habit (68.5%), preference of tastes are salty and spicy food (80.8%).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have regular meal time (63.0%), moderate-chewing habit (74.0%), preference of tastes are spicy and sour food. And in life quality assessment of stroke patients, the score of SSQOL was 134.7 ± 20.8, 203.8 ± 23.3/245 for reference subjects. Also MBI and BD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roke patients and non-stroke patients(16.5±4.5 vs 104.3±5.6, 60.9±8.4 vs 21.7±16.4).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intake fruits, vegetables, pulses in stroke patients may associate with stroke risk factors. Therefore guidelines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formulated to prevent stoke recurrence based on dietary habits and risk factors of stroke patients.

      • 영재교육 연수를 통한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

        이미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사 연수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교사 연수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영재 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여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 위탁으로 인천대학교에서 실시한 영재교육연수에 2005년도부터 2007년도까지 참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모두 인천시에 소재한 초.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총 16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이 많은 9부를 제외한 151부의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이다. 설문지는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문항별 생각을 묻는 5점(1: 전혀 아니다, 5:매우 그렇다) Likert 척도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수 첫날에 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 검사를 실시했으며, 연수 마지막 날 사후 설문 검사를 통하여 연수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 본 연구와 본 연구의 유사점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영재교육 연수 이수와 관계없이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한 반면,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교사들은 모두 영재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두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 교육에 대한 일반 학교에서의 시사점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인 영재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학교급과 연수 참여 교과, 그리고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연수에 대한 평가 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참여전과 후의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에 의거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우선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수준에 대한 인식을 배경변인에 따라 연수 전과 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를 받기 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2.91점으로 보통 이하의 지식을 갖고 있다는 반응을 보여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교 급간이나 교과에 따라서 지식수준의 차이는 비슷했으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16년 이상의 교사들(3.09)이 5년 이하의 교사들(2.6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영재 교육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 참여 전(2.91)에 비해 연수참여 후(3.46)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현철(2006)도 영재교육 교원 연수가 영재교육 기초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은 영재 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에게 영재 교육에 관한 이해 확산과 관련 자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으로 어떤 것을 중요시하는지를 연수 전의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을 때,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수준은 3.42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교수관련 신념(3.6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사 자신에 대한 신념(3.50), 학습자관 관련 신념(3.27), 교과와 교육과정 관련 신념(3.19) 등의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의 하위 영역별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영재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문제에서도 역시 교육경력이 16년 이상인 교사들(3.27)이 교육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들(2.95)에 비해 높은 신념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인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지각 수준은 연수 참여 전(3.42)에 비해 연수 참여 후(3.55)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의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 교수 학습 방법으로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에 대한문제에 대해 연수 전의 자료를 분석하였을 때, 교사들은 배경 변인에 관계없이 실생활과 관련된 수업(3.64)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다양한 수업내용(3.50),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3.35)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추상적(2.42)이고 복잡한 내용(2.56)에 대한 수업은 크게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3.46)와 실제문제 중심(3.44), 그룹협동성(3.44)을 고려한 수업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의견과 생각을 존중하는 수업진행(3.66)과 개방적인 수업진행(3.48)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외부기관 및 지역사회의 시설을 활용한 수업진행(2.82)은 많이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간의 선호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내용 영역 중에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및 학생 산출물 관련 영역의 선호도 항목에서는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 환경관련 영역에서는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개방성의 경우에는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0)이 교직경력인 5년 미만의 교사들(3.18)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의 수업 진행 역시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3)이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의 교사들(3.52)에 비해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전과 후의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선호도 변화를 비교하면, 교육내용 영역의 경우 추상성.복잡성과 관련된 수업방식의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데, 추상성과 복잡성에 대한 선호에서 모두 연수 참여 전에 비해 연수 참여 후 그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 영역의 경우에는 그룹상호작용과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한 수업방식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발표방법의 선택과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를 적용한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영역의 경우에는 수업진행의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서도 교사들이 선호했던 영재교수학습방법이 연수 전과 비교했을 때, 연수 후에는 교육 내용에 있어 복잡성과 추상성을 추구했으며, 교수 학습 방식에 있어서도 그룹 상호 작용이나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박영근(2004)은 영재 교육 담당자의 자질로 영재교육에 대한 지도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조사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는데, 위의 결과는 이러한 전문가적 자질을 함양하는 데는 교사 연수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혜애(2006)의 연구에서도 연수의 효율성 평가 중 교육내용을 평가한 항목에서 연수가 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필요한 방법.전략을 이해하고 모색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문항을 높게 평가한 결과를 얻었다. 이렇듯이 교사들은 영재 교육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게 되며, 교수 전략에 있어서도 영재의 특성에 맞는 수업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전문가적 자질을 신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적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는 5점 만점에 3.67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영역별로는 연수의 종합적 효과에 대한 평가가 3.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강사의 수업내용에 대한 평가(3.72), 강의내용 구성(3.72) 등의 순으로 높았고, 행정적 운영(3.53)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수 후에 실시한 영재교사 연수의 방향과 효과를 묻는 개방형 질문을 분석한 결과, 일반 교사들은 첫째 영재 교사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되어 영재를 이해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둘째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고, 셋째 영재 교육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그리고 연수에 참가한 교사중 실제 영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던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자기 성찰의 기회가 되었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꼈으며, 더 노력을 해야겠다는 의지와 심화연수를 받아 더 다양한 수업으로 자신감을 갖고 가르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런 결과는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영재 지도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연수를 통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이승헌(2001)의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영재 지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참여하겠다는 의견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재교육을 밖에서 바라볼 때와 영재교육 연수를 받으면서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교사들의 태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연수 내용 중에서 필요했던 강의 내용으로는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분석과 실제를 다룬 강의를 자신의 필요에 가장 부합한다고 답변했으며, 이유로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였다고 했다. 또한 영재교육 연수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킬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도 영재수업 참관 및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적용 방법, 교수 학습 방법 등을 꼽았는데, 교사들은 실제 수업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연수를 통해 배우기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슷한 결과로 이승헌(2001)도 교사들이 원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의 방향은 영재교육에 적합한 교수방법의 시범및 실습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했다. 정현철(2006) 역시 연수에 포함시켜야 할 프로그램으로써 교사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원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개설이고 그 외에 영재교육 사례 소개, 심화 과정 개설 등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들이 영재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를 알려 주며,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으로 어떤 내용을 필요로 하는 지를 제시해 준다.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before and after a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studied on effects of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fore, its purpose is to present a right dire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hat teachers need and to offer foundational data whi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that can efficiently improve specialties of gifted children teachers. To fulfill the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nowledge level that ordinary teachers think gifted children teachers must have? Second, as belief which gifted children teachers should bear, what do the teachers place importance on? Third, as a method for teaching gifted children, what do the teachers prefer? Fourth, how do the teachers assess the training program? Research method wa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wice, one was before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other was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15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ttend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In-Cheon University from 2005 to 2007. The SPSS 12.0 statistic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 and followings are the result. First, teachers' knowledge level about gifted children education mostly marked higher points after the training program (3.46) than before the program (2.91), and this differences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teacher training program related to gifted children education is very effective statistically to improve teachers' qualifications concerning gifted children educ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belief that teachers should bear increased a little after the training program (3.55) than before the program (3.42), and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o. Therefore, it shows that the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to reinforce the teachers' belief. Third, when methodology which teachers us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ared to other methodology used before the training program, the teachers pursued complexity and abstraction in the former contents. In addition, the teachers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into other styles that consider group interactions and the fitness of their teaching speed. Thus, it indicates that the teachers understood and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to be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after the training program. Fourth, the teachers' overall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the assessment of lecturers' instruction in the program (3.72), the assessment of construction of the program (3.72), and the assessment of the administrational management (3.53). The first and the second marked high point. The last relatively marked low points, but it was considered not bad entirely.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ening questions asking the direction and effects of the program: First, teachers mostly go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so they could get a certain mind which try to understand gifted children. Second, their understanding about gifted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education was broadened than before the program. Third, the program was the chance for the teachers to have a new perception of gifted children. In addition, the best qualifications which the teachers chose were specialty of subjects, and skills that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encourage gifted children, and the teachers wanted, a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in the program, certain contents which can be used helpfully in practical classes such as attending gifted children class, developing creative learning program and its application, and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expand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base, and, in terms of its construction, the program should offer teacher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and be useful in practical classes. Moreover, it'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gram, not just once, and it's required to make some beneficial changes in teachers' action or behavior through a stronger conne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program. Finally, the education authority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program regularly in order to help teachers have consistent interest in gifted children education, and the authority should make special efforts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and diverse programs to extend their specia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