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윤다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의료비를 절감하고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2008년부터 시행된 사회보장제도이다. 장기요양보험의 취지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한국의료패널의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패널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은 총 의료비지출을 연간 83만원 정도 감소시켰으며 이는 대부분 외래의료비지출의 감소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은 신체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항목별로는 기초적인 일상생활을 위한 신체기능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로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노인의 요양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불필요한 의료이용으로 인한 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의 자살충동을 13.5% 감소시킴으로써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의료의용과 신체기능 개선 및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요양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지를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역사관 교육서포터즈가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윤다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박물관은 유물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그 개념이 바뀌면서 이용자와의 소통을 더욱 중요시한다. 이러한 박물관에서의 소통은 교육적 기능 측면에서 강조되면서 이를 담당하는 인력들의 다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인력을 확대하는 측면에서 볼 때 서포터즈를 일종의 교육인력으로 조명하는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서포터즈는 최근 일부 대학박물관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기관과 이용자 사이에서 매개체 역할을 한다. 특히 교사(校史)를 주요 개념으로 하는 대학역사관에서의 서포터즈는 전원이 재학생으로 구성되어 자기주도적으로 역사관 콘텐츠를 제작하고, 주 이용자인 대학 구성원들에게 학교 역사와 역사관을 알리는 소통창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대학역사관 서포터즈의 사회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는 박물관 교육인력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시의적절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역사관 서포터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학습 관점에서 서포터즈가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포터즈 활동에 있어서 대학역사관 서포터즈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역사관 서포터즈는 역사관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셋째, 이러한 대학역사관 서포터즈 활동에 있어서 교육서포터즈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본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대학교 역사관 서포터즈‘헤이디’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헤이디 6기에 해당하는 7명 전원을 대상으로 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절차로는 연구 기관 및 대상 선정,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고찰, 예비연구,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등을 통해 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역사관 서포터즈 활동에 있어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은 서포터즈가 이용자에게 기관의 입장을 일방향으로 셜명하는 전달자가 아닌 학교와 서포터즈 동료 그리고 이용자를 비롯하여 자기 자신과 끊임없이 다방향적으로 소통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포터즈는 연대감으로 뭉친 본인의 학교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였다. 자신들이 다니는 학교의 역사이기 때문에 내적인 친밀감을 느끼면서 주체적으로 학습하였다. 또 활동에서 만나는 이용자들 간에 같은 학교사람이라는 공통분모에 유대감을 느낌은 물론, 이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매개체로써 이용자와 기관 사이를 유연하게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된 목표 하에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서로 친해지고 마음이 잘 맞는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단체 활동이나 개별 활동에 관계없이 서로의 관점으로 피드백을 지원하면서‘우리’라는 공동체로 뭉쳤다. 이처럼 동료들과 함께 활동 목표를 세우고 평가과정을 거치면서 자기주도학습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자신들 사이에서도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한 단계 성장한 나 자신과 서로 상호작용하였다. 같이 활동하는 동료들이 좋은 자극제가 되어 보고 따라하면서 배우기도 하고, 활동을 통해 새로운 역량을 얻기도 하였다. 이러한 서포터즈 활동은 나 자신에게로 돌아가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한층 발전한 나 자신은 성장한 채로 끝나지 않고, 다시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귀결되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역사관 교육서포터즈가 박물관 교육에서 기관과 이용자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적극 활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역사관 교육서포터즈는 일방향적으로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학교와 동료 그리고 이용자와 나 자신을 포함하여 다방향으로 소통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대학역사관 서포터즈의 특징과 이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박물관 교육에 있어서 교육서포터즈의 활용과 교육보조 인력의 다변화를 꾀함은 물론, 이들의 교육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윤다솜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하여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된 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대인관계 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SPSS, 부트 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력을 지각할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하여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공격성은 각각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를 통해 대인 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전위 공격성을 확인하고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심리 치료적 방향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마을만들기 운영프로그램 활성화방안 연구

        윤다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recent years, as well as environmental issues, culture and arts become significant elements in pursuit of human’s abundant life. The interest in environment and culture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green spaces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spaces, and it affected the community culture for recovering local regions and harmonizing the inhabitants, for example, a recovery of community in a local region, a continuous operation of program, an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etc. A community is a basic unit that consists of a city. As a creative space to realize the local residents’ potentials, a community connects its residents with each other through a formation of region’s own native feelings, and it also provides a chance to conduct various activities. The business, which focused on the hardware with an aim to recycle and construct buildings, was process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a community within existing community culture. There are limits to encourage the willingness of local residents and to enhance their life satisfaction. Recently, the business for community culture is in process at several municipalities in order to recover communities. Also, specialized movements including an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culture center are rising. Yet, the community culture which wa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as carried out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gion and the residents, and the residents’ opportunity to participate. Such community culture brought varied problems, as shown in the fact that it was not continuously operated after the end of the business supports. Regarding the situations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status and the problems of the business of domestic community culture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business is operated with a focus on local residents. Second, although it is operating the program utilizing a region’s cultural resources, it cannot draw large interest from residents. So, it cannot be emphasized in the realistic manner. Third, even though it does not have a large scale, it is making use of the reconstructed buildings, like local idle spaces, as a space for the activities of community culture. Fourth, there is a lack of resources that are needed to keep operating the business. These factors listed are pointed out as the issues in the business of domestic community culture. Meanwhile, the similar cases in other countries, compared to the business of domestic community culture with the main aim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neighbours, pursue tourism or comfort in a city. The overseas cases indeed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s. In some extent, these cases are hard to be applied to domestic actual situations, but it is highlighted that they also have their own advantages, such as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and meticulous programs, the close partnership wit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so on.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the following solutions to activate the business of domestic community culture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of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s operated by residents, it is essential to utilize volunteer facilities as much as possible. The business of domestic community culture basically aims at residents’ autonomous operation. However, in regard to fund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it seems that the improvement of independence of residents is not the best way. Municipalities need to support the budget to build a community’s hardware, and simultaneously, the residents have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cusing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operational program. Second, even though there is a need to rely on public funding for getting the resources needed in the operation of a community,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the points of support for securement of private sponsorship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ensure continuity of the business of community culture. In Japan, for example, funds are being created to support residents’ businesses, and such funds are raised by the donations of entrepreneurs and other residents, and the investment of foundation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Third, in order to activate the business of community culture, cultural planners have to be trained. Community culture is a work of looking for ways to develop local culture, and this work is to be led by residents themselves. To progress the business of community culture, it is required to train those who can work for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s and deep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region. Fourth, within the partnerships with local artists and organizations, the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can be activated, and culture and arts can be reflected through actual life. It is also necessary of an exploration of solu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Fifth, the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s has to be opened as permanent program and it has to be activated.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 the participants can easily get chances to meet and communicate with other residents in the same local region. With common interest, they can make groups in a natural manner. Even after the end of training course, their meetings can be continued through further activities, such as clubs in community. In the meantime, community festivals and so on provide energy for the community, and they also promote harmony between resid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Especially, from April to October, that is to say, during the period of many festivals and outdoor activities, a variety of outdoor and experiential programs can be performed. Sixth, there is a need of networks between the regions where t 최근 환경과 더불어 인간의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면서 문화예술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환경과 문화에 대한 관심은 녹지개선, 문화공간 창출로 나타났으며,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체 회복, 지속적인 프로그램, 삶의 질 개선 등 지역을 회복하고 주민을 화합하기 위한 마을만들기로 이어지고 있다. 마을은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지역주민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지역 내 고유한 정서 형성을 통해 주민들을 결합시키고 활동의 계기를 만들어 준다. 하지만 기존의 마을만들기는 마을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건물을 재생하고 건축하는 하드웨어 중심의 사업으로 진행되었고, 지역 주민의 자발성과 삶의 만족감을 고양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최근 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여러 지자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마을만들기 센터 등 전문적인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 및 지자체가 주도하는 마을만들기는 지역과 주민들의 특성, 주민들의 참여기회 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진행되었고 사업지원이 끝난 후 지속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뜻있는 소수의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둘째,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크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고, 셋째, 소규모의 동네 유휴 공간 및 건물을 개보수하여 마을공동체 활동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넷째, 지속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재원이 넉넉지 않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이웃과의 소통과 협력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과는 달리 해외 사례에서는 관광 혹은 도시의 쾌적함을 추구하는 등 다분히 경제적, 사회적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어 국내 현실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으나, 전문적이고 치밀한 프로그램 운영, 공공기관과 민간의 원활한 협력관계 등은 장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황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첫째, 민 ․ 관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주민자체 운영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자원봉사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은 주민들에 의해 자치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재원확보와 행정적 지원의 측면에서 볼 때 자립도 향상만이 능사는 아닌 것 같다. 지자체는 마을의 하드웨어 구축에 필요한 예산지원을 하며 주민들은 현재와 같이 운영 프로그램의 유지와 관리에 전념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마을 공동체 운영에 필요한 재원은 공공의 지원금에 의존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마을만들기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후원금 확보를 위한 지원창구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야 한다. 일본에서는 주민사업을 지원하는 펀드를 조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펀드는 기업가와 주민들의 기부, 재단과 행정기관의 출자 등으로 조성되고 있다. 셋째, 마을만들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주민 문화기획자를 양성하여야 한다. 마을만들기는 주민이 마을의 주체가 되어 지역의 문화적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마을만들기 사업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을 이해하고 꾸준한 담론을 통해 지역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지도자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의 예술인 및 단체와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주민들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고 문화예술을 생활 속에 반영함으로 지역 주민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다섯째,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을 상설 프로그램으로 개설하고 활성화 하여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은 서로 간 자연스럽게 만나고 소통하게 되며 공통의 관심사로 인해 자연스러운 모임이 형성 될 수 있다. 교육 과정이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활동으로 이어져 마을 동아리로 발전할 수 있다. 한편 마을 축제 등은 마을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며, 주민들 간의 화합과 자연스러운 문화 활동을 촉진 시킨다. 특히 축제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월부터 10월까지 다양한 야외 및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여섯째, 마을만들기 운영 프로그램의 지역 간 연결망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의 공유는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더 나은 운영방법과 프로그램을 도출할 수 있다. 체계적인 네트워크 형성과 마을 주민들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용자들이 쉽게 마을 프로그램의 정보를 확인하고 참여할 수 있다. 이상 마을만들기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와 관련하여 운영체제 측면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만들기 문화예술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에 있어서 나아갈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마을만들기의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로 마을의 본래 의미를 되찾고 마을을 바탕으로 한 주민들의 공동체의

      • 투과도 가변 액정 필름 소자의 전기광학 특성에 관한 연구

        윤다솜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종래 스마트 윈도우 기술들의 초기투과도가 최대 혹은 최소 투과도로만 설정할 수 있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사용자가 가장 오랜 시간 사용하는 투과도를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초기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LC device를 이용하여 초기투과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고, 두 가지 조건을 포함하는 일반화된 초기투과도 설정 수식을 도출하였다. 초기투과도 설정의 두 가지 조건은 첫째, 초기투과도는 최소투과도와 최대투과도 사이의 값이며, 둘째,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하는 투과도가 그 소자가 가지는 최소투과도와 최대투과도를 모두 포함한다. TN, ECB, VA 모드의 구조를 각각 설계하고 모드에 따라 꼬임각 φ, 액정층의 위상차 , 위상차필름의 위상차 값을 조절하여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초기투과도의 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일반화하는 식을 도출하였다. 상기 재료들의 물성 값을 임의로 선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를 얻었다. 샘플을 제작하여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에서 도출한 식을 증명하였다. LC film devices were developed for smart windows. They have a specific off-state transmittance among minimum to maximum transmittance of the devices. The off-state transmittance can be selected by adjusting twist angle, the retardation of the LC and retarder. The retardation was selected to include the maximum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depending on applied voltage. The design rule of TN, ECB, VA were theoretically derived and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were discussed. These devices are suitable for low power consumption smart windows.

      • 성 주류화 관점에서 본 독일 가족정책 연구

        윤다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uf der vierten UN-Weltfrauenkonferenz im Jahr 1995 wurde eine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 als neues Paradigma in der Frauenfürsorgepolitik angenommen. 1999 hat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die GM Strategie für die Verwirklichung der Gleichstellung der Geschlechter in der Europäischen Union eingeführt und seit 2001 in die Tat umgesetzt. Seit der Einführung der GM Strategie hat sich einiges in der deutschen Gesellschaft verändert. Indem beispielsweise 2006 ‘Das Allgemeine Gleichbehandlungsgesetz’ und 2017 ‘Das Gesetz zur Förderung der Entgelttransparenz zwischen Frauen und Männern’gegeben wurden, wird versucht, Frauen vor Einstellungsdiskriminierung zu schützen und die geschlechtsspezifische Lohndifferenz zu beseitigen. Zudem legt die deutsche Familienpolitik auch den Schwerpunkt auf die Sicherung der Beteiligung von Frauen an der wirtschaftlichen Tätigkeit und auf die Lösung des schwerwiegenden Problems der niedrigen Geburtenrate auf der Grundlage von dieser Perspektive des Gender Mainstreamings. Die Erwerbsquote der Frauen und die Geburtenrate in Deutschland sind jedoch im Vergleich zu anderen europäischen Ländern derzeit nicht hoch. In dieser Arbeit will ich die deutsche Familienpolitik, die unter dem Einfluss der GM Strategie gemacht und weiterentwickelt wird, mit der Sicht des Gender Mainstreamings diskutieren. Zunächst wird die Studie den Paradigmenwechsel der Frauenfürsorgepolitik und den Wandlungsprozess von dem Gegenstand und Ziel der deutschen Familienpolitik im Rahmen der GM Strategie untersuchen. Des Weiteren werde ich auf die deutsche Familienpolitik angesichts der Forschungsanalyse eingehen, um die Grenzen und Probleme dieser Politik im Hinblick auf der GM Sicht zu ermitteln und Verbesserungsmöglichkeiten zu finden. 1995년 제4차 UN 세계여성회의에서‘성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 GM)’ 전략이 여성복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채택되었다. 그에 따라 독일 연방정부는 1999년 EU의 성 평등 실현을 위한 성 주류화 전략을 도입하고 2001년부터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갔다. 성 주류화 전략 도입 이후 독일 사회에서는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노동 분야에서는 2006년 ‘보편적 동등대우법’을 제정하였고, 2017년에는 ‘공정임금법’을 제정함으로써 채용 차별로부터 여성지원자를 보호하고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독일 가족정책 역시 이러한 성 주류화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보장하고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책의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독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출산율은 다른 EU 회원국들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은 아니다. 가족정책에 편성된 예산이 점차 줄어들면서 가족 내 개별구성원으로서의 여성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 또한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 주류화 관점의 영향을 받아 수립·추진되어 온 독일 가족정책이 성 주류화, 즉 성 평등이라는 목표에 얼마나 도달했는가를 논구하였다. 먼저 여성복지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성 주류화 전략 도입에 따른 가족정책 대상과 정책이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연구 분석틀을 통해 현 가족정책을 분석한 후 성 주류화 관점에서 본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규명하였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장차 다가올 남·북한 통일 상황을 고려해볼 때 전통적인 가부장제와 저출산 등 한국 사회와 유사한 조건을 가진 통일독일의 가족정책을 성 주류화 관점에서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본 연구 작업은 향후 통일한국의 가족정책 발전에 작지 않은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우리나라 외환보유고 축적의 중상주의적 동기에 대하여

        윤다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7∼98년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국가의 외환보유고가 급증하면서 그 이유를 두고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위기를 경험한 이들 국가에서 국제 자본 이동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었기 때문이라는 주장과, 그렇게만 보기에는 외환보유고의 축적량이 과다하여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중상주의적 동기가 의심된다는 주장이 서로 대립하였다. 본 연구의 추정 결과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에는 통화가치가 상승할 때 외환보유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나라 외환보유고의 축적은 중상주의적 동기와 무관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각 변수의 설명력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2006년 AMI 등재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기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상주의 변수는 예비적 동기를 비롯한 여타의 변수에 비해 설명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 축적에서는 예비적 동기의 중요성이 가장 중시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로 예비적 동기 중에서도 국내 자금의 해외 이탈 가능성이 매우 중시되고 있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통화량의 지표인 M2는 수입 등 전통적으로 중시되었던 변수 못지않게 외환위기 이후의 외환보유고에 대한 설명력이 상당한 것으로 드러나 내국인 자금의 해외 이탈에 대한 통화당국의 경계를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외환위기 이후 자본시장이 개방되면서 외환위기 직후에는 단기채무보다는 외국인의 포트폴리오 투자가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고 축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2006년 들어 단기채권 투자자금의 유입 및 은행의 단기차입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추세가 변화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갈수록 단기채권 및 차입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중심으로

        윤다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Contemporary society is witnessing a paradigm shift where diverse members coexist and recognize differences not as discrimination but as distinctions, fostering movements such as civic activism and environmental advocacy for the benefit of all entities cohabiting on Earth. E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lead to mature an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enriching our lives. This applies not only to human relationships but also to objects and spaces. In textbooks, Universal Design is defined as "design that considers others" or "design for all."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which involve moving away from self-centered thinking and considering others and the world. Therefore, both can be seen as cultivating a caring attitude in adolescence,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ducational effect of fostering social skills through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viewed Universal Design as a meaningful research topic that enhance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ea of Universal Design in the revised 2015 high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explore ways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Universal Design that fosters e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such as the ability to engage in social perspective-taking.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Universal Design and to clarif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Second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efinitions of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by scholars and their sub-components. Thirdly, the researcher identified and present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categorizing the area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i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s and selecting analysis criteria and details. Fourthly, the researcher analyzed 10 types of 2015 revised art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Fifthly, the researcher presented survey questions for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and conducted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Finally, the researcher interpreted and summarized the analysis results to explore measur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s for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10 types of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detailed analysis criteria. The structural analysis involv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ratios of content within the textbooks, while the content analysis included case analysis of content hierarchy, textual information, illustrations, and usability. The researcher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planations, illustrations, and stud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Universal Design is addressed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to gather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guidance for the research direc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compiled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al analysis, the Universal Design area occupies an average of 4.5 pages in textbooks. Universal Design is presented within the context of various design domains, including appropriate technological design, eco-design, sustainable design, technological art, making it challenging to extract its distinct proportion. The analysis of domains reveals a focus on the representation domain, with minimal emphasis on experiential and aesthetic aspects. Therefore, it is crucial to ensure consistency in design themes across all textbooks and establish a substantial portion dedicated to Universal Design. Secondly,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indicate that Universal Design is discussed in terms of keywords such as stability, convenience, and universality. The analysis of conceptual explanations and principles reveals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publishers, indicating a need for supplemental explanations regarding concepts and principles. Additionally,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categorized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shows a tendency to prioritize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despite Universal Design being a topic capable of facilitating attitudinal chang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Examining the layout of textbooks, it was observed that each publisher's introduction varied, with the nature of the layout related to the subheadings of each unit. For instance, textbooks focusing on "safety" are associated with "Visang Education," while those emphasizing everyday convenience are linked to "Haenam Edu," textbooks on environmental themes are represented by "Cimas" and "Jihaksa," and textbooks combining science and technology are represented by "Cheonjae Education." Analyzing the content of textbook layouts resulted in five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findings indicate that designs supporting everyday life were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designs alleviating disabilities, designs considering aging, designs facilitating work activities, and designs promoting children's growth. Thus, there is a need for diverse layouts in textbooks that consider various purposes and themes, bringing convenience to daily life, support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ncouraging multifaceted discussions on Universal Design. Furthermore, upon examining the publisher-specific learning activities, it was discovered that some textbooks do not provide learning objectiv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nd the integration of activities lacks coherence with the level of conceptual learning.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provide clear conceptual explanations of Universal Design and enhance the integration of activiti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rd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esent art teachers, the status, issues,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were identified. It was observe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recognized that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covered in at least one class session. Furthermore, it was mentioned that it is lightly touched through the explanation of concepts based on major topics in other design areas. The reasons for the poor implementation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nsufficient curriculum hours, consideration of student interest, and lower priority given to its importance. Therefore,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mount of content related to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at should be included in art textbooks, and the absence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textbooks cre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for it separately. In terms of the effects and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all teachers agreed that Universal Design classes enhance social skills,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ies, leading students to reach the stage of accepting diverse perspectives. It was concluded that concerted efforts are needed to sustain the interest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sector in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improve societal awareness. To summarize the research findings, Universal Design is highly interconnected with other design areas, but there is inconsistency in content organization among different publishers, resulting in difference variations across textbooks. Proposed measures for activation is expanding the content volume in textbooks, incorporating inclusive and trend-responsive layouts, modifying student learning activities to be more proactive, and designing classe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such as group work and discussions that promote mutual consideration within the community. To achieve this, it requires the interest and efforts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sector, collaboration from institutions, and support from government policies for the holistic improvement of societal awareness regarding Universal Design Education. It is recognized that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se area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enhance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curriculam by examining how it is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art textbook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art teacher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educational effects such as developing social acceptance abilities through the expansion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high school textbooks and 6 art teacher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further research targeting a broader range of subjects is necessary. As we are currently at a point where discussions on the 2022 revised art and education curriculum are taking pla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contemplating design education. 현대사회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살아가며 다름을 차별이 아닌 차이로 인지하고, 지구상의 공존하는 모든 것들을 배려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이 시민운동, 환경운동과 같은 움직임으로 학계와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과 배려는 상호 간 성숙한 관계로 이끌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든다. 이는 인간관계는 물론 사물이나 공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교과서에‘배려하는 디자인’ 혹은‘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필요성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은 자아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배려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연관이 깊다. 따라서 이 둘은 청소년기 배려하는 태도를 기른다고 할 수 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해 미술교육이 사회성을 함양하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유의미한 연구주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같이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함양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구체화한다. 둘째,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학자별 정의와 하위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2015 개정 미술교과서 내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을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기준 및 세부 사항 등을 선정하여 분석 틀을 제시한다. 넷째, 분석기준을 토대로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서 10종을 분석한다. 다섯째, 현직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위한 설문 문항을 제시하고 인터뷰를 수행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교육 현황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채택하여 구성분석과 내용분석을 세부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성분석으로는 교과서 내 비중, 단원 반영 구성비를 통계 분석하였고, 내용분석으로는 내용 위계, 교과내 텍스트, 도판, 활용도에 대하여 사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교과서의 설명글과 도판, 학생활동을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미술 교과서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얼마나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교과서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직 미술교사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교육과 관련된 현장 경험을 듣고 의견을 수집하여 방향 설정에 참고했다. 교과서 분석 내용과 심층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내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영역이 교과서를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5쪽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독으로 구성되지 않고 적정기술 디자인, 에코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 테크놀로지컬아트 등 다양한 디자인영역과 혼합된 맥락 속에서 제시하고 있어 온전히 비중을 추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영역분석 결과 표현영역에 치중하며 체험과 감상 영역 비중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든 교과서가 일관성 있는 디자인 주제와 연계해 유니버설 디자인 분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은 주로 안정성, 편리성, 보편성과 같은 키워드로 다뤄지고 있었다. 개념과 원칙설명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이론이나 도판에 따른 출판사별 편차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UD의 7원칙에 대한 내용이 많은 교과서에서 생략되어 전반적으로 개념설명에 대한 보충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인지, 심동, 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학습목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성교육으로 정의적 태도 변화가 가능한 주제임에도 인지적 학습목표에만 치중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교과서 도판을 살펴본 결과 출판사별 소개하는 도판이 상이하였다. 도판의 성격은 각 단원의 소제목과 연관되었다. 이중 안전을 주제로 하는 교과서는 「비상교육」이며, 일상의 편리함을 주제로 한 교과서는「해냄에듀」, 환경을 주제로 한 교과서는「씨마스」,「지학사」, 과학기술와 접목한 교과서는「천재교과서」, 사회참여를 주제로 하는 교과서는 「YBM」등이 대표적이다. 교과서 도판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분석틀에 의해 5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일상생활 을 지원하는 디자인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를 완화시키는 디자인, 노화를 배려하는 디자인, 작업 활동을 고무시키는 디자인, 어린이의 성장을 도모하는 디자인 순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교과서 도판이 대부분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가져다주거나, 장애인을 지원하는 디자인에 해당하고 있어 다양한 용도와 주제를 고려한 도판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출판사별 학습활동을 살펴본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학습목표를 제시하지 않는 교과서도 있었으며 개념학습 정도에 그치고 있어 학습활동과 연계성이 떨어져, 질적ㆍ양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활동과 연계성을 높여야 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직 미술 교사 심층 인터뷰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효과 및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현황으로 5년차 이상 교사들은 최소 1회 이상 수업에서 다뤄지는 주제임을 파악했다. 또한, 다른 디자인 영역의 주요 주제를 통해 개념설명 위주로 언급하거나 가볍게 다뤄지고 있었다. UD교육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교과 시수 부족, 학생의 흥미도 고려, 중요도에 따른 후순위 선택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따라서 미술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많은 상황 가운데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없어 따로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UD 효과 및 필요성에 관한 답변으로는 모든 교사가 UD수업을 통해 사회성과 배려, 소통, 능력을 강화해 사회적 조망수용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데에 동의했으며 교사와 교육계의 관심이 지속되도록 UD교육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자면, 유니버설 디자인은 사회적 필요를 채우는 적정기술 디자인, 에코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같은 맥락에서 제시되어야 하며, 교사ㆍ교육계의 관심과 노력, 기관들의 협조와 정부 정책의 지원, UD교육의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교과서 속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은 타 디자인 영역과 연계성이 높으나 출판사마다 내용구성에 통일성이 없어 교과서별 편차가 커 전반적으로 개념과 원칙에 대한 보충설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교과서 분량을 확대해 포괄적이고 현재 트랜드에 맞게 반영된 도판으로 대체되어야 하며, 능동적인 학습자로서 조별 활동과 토론하기 등과 같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상호 배려하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디자인 교육이 생활 영역에 기능하는 역할수행을 학습자로 하여금 일깨워주며, 유니버설 디자인이 사회에서 범국민적 교육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앞두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에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간구하기 위해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확인하고, 미술 교사 인터뷰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확대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함양 효과를 기대하는 현장의 필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 10권과 미술 교사 6명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 등을 고려 했을 때 일반화하기에 어려우며 연구 범위를 넓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차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서 도입을 앞둔 현시점에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는 의미 있는 연구물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