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ociation of health and dietary status between marriage female immigrants to Korea and residents in her hometown

        김선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여성과 베트남 혈연가족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건강 및 식이섭취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민여성과 베트남인의 식이섭취평가를 위한 FFQ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검진센터를 방문한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 1471명과 베트남 하이퐁 지역의 검진센터를 방문한 여성결혼 이민자의 가족 또는 그 이웃 537명의 신체계측 및 혈액성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이조사를 위해 이민여성은 1회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고 베트남 현지 대상자들은 2회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다. 베트남 대상자들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베트남 대상자를 나이와 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민여성과 베트남 대상자들의 건강 및 식이섭취를 비교하기 위해 20-30대 베트남여성 123명과 이민여성의 혈연가족 173명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 및 식이섭취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민여성과 20-30대 베트남여성은 교육 및 수입수준에 따라 3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베트남 남성대상자의 평균나이는 37.7세였고 여성은 39.7세였다. 중성지방을 제외한 모든 신체계측 및 혈액성상은 남녀 모두 정상범위에 속했다. 또한 베트남 남성과 여성대상자의 모든 연령에서 에너지, 비타민A, 비타민B2는 베트남 권장섭취량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Vietnamese General Nutrition Survey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식품 및 영양소섭취는 베트남 남성과 여성대상자 모두에서 더 높았다. 현재 흡연과 음주를 하는 사람의 비율은 이민여성에서 9.8%, 14.8%였으나,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여성에서는 흡연과 음주를 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민여성의 평균 BMI (20.7㎏/㎡)는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 (20.1㎏/㎡)과 그들의 자매 (20.2㎏/㎡)보다 높았다. 또한 이민여성은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에 비해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과 자매에 비해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낮은 HDL-콜레스테롤의 유병률은 자매 (9.6%)보다 이민여성 (34.0%)에서 더 높았고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이민여성 (10.6%)보다 다른 모든 혈연가족 (아빠: 56.3%, 엄마: 21.7%, 형제: 57.5%, 자매: 25.0%)에서 더 높았다.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이민여성에서 1546.6kcal,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에서 1816.6kcal, 자매에서 1790.4kcal였다.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는 이민여성에서 더 낮았으나 지방과 식이섬유의 섭취는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 그들의 자매보다 이민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또한 이민여성은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 그들의 자매보다 탄수화물에서 온 에너지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더 낮았고, 지방에서 온 에너지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이민여성은 대부분의 식품 (두류, 과일, 난류, 우유 및 유제품, 유지류, 음료, 식물성 식품, 전체 식품)을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여성과 그들의 자매보다 더 높게 섭취했다. 이민여성과 그들의 베트남 가족구성원의 영양소 섭취에 대한 상관계수는 거의 모든 영양소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일반적으로 영양소 섭취는 이민여성과 가족구성원보다 이민여성의 자매와 나머지 가족구성원의 상관성이 더 높았다. 사회경제적 요인은 이민여성의 건강 및 식이섭취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더 높은 교육과 수입수준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지방섭취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베트남 현지의 베트남 여성에서는 교육과 수입수준에 따른 지방섭취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수입이 가장 높은 군은 수입이 가장 낮은 군에 비해 탄수화물로부터 온 에너지 섭취는 더 낮았고 단백질과 지방으로부터 온 에너지 섭취는 더 높았다. 이민여성과 베트남 현지 대상자들의 향후 역학조사를 위해 FFQ가 개발되었다. 이민여성의 FFQ는 80개, 베트남대상자들의 FFQ는 66개의 식품 또는 음식으로 구성되었고 이 설문지의 빈도는 9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1회 기준분량은 적음, 보통, 많음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민여성의 FFQ의 타당도가 평가되었는데, 24HR과 FFQ의 보정하지 않은 상관계수는 0.32 (식이섬유)-0.61 (탄수화물), 1000kcal 당 상관계수는 0.31 (지방)-0.55 (칼슘), 에너지 보정 상관계수는 0.33 (지방, 칼륨, 비타민E)-0.52 (단백질)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 여성과 그들의 가족과 비교함으로써 베트남 이민여성의 건강 및 식이섭취의 변화를 알 수 있었고 이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역학연구를 위해 이민여성과 베트남 대상자들을 위한 FFQ가 개발되었으며 이민여성을 위한 FFQ의 타당도가 평가되었다. 이민여성은 같은 연령대의 여성과 그들의 자매에 비해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은 더 높았다. 또한 이민여성의 전체적인 영양섭취상태는 같은 연령대의 베트남여성과 그들의 자매보다 낮았지만 지방과 식이섬유의 섭취는 더 높았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은 지방섭취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앞으로 추적연구를 통해 이들의 이민 후 질병양상에 미치는 식이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베트남인을 위한 FFQ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health and dietary status after immigration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by comparing those of same age group and their family members in Vietnam and related socio-economic factors. Also,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was developed for female immigrants and Vietnamese in Vietnam and validity of FFQ for immigrants was evaluated. The subjects were 1471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and 537 Vietnamese in Vietnam.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profiles, and dietary intake were assessed. 534 Vietnamese subjects excluding over 60 years of age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genders and ages. Among, 534 Vietnamese subjects, 173 were second-degree family members of 47 female immigrants in Korea. Female immigrants and Vietnamese females aged 20 and 39 year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s. The mean age of Vietnamese subjects were 37.7 years for males and 39.7 years for females. All anthropometric and hematological variables except for triglycerides were in normal ranges. Vietnamese Male and female subjects did not meet Vietnames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for energy, vitaminA, and vitaminB2 for all age groups. However, compared to Vietnamese General Nutrition Survey in 2000, Vietnamese subjects showed higher intakes of most nutrient and food. Proportions of current smokers and drinkers in the female immigrants were 9.8% and 14.8% respectively, whereas there were none of them i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N=123). Mean BMI of female immigrants (20.7㎏/㎡) was higher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20.1㎏/㎡) and their sisters (N=54, 20.2㎏/㎡). Female immigrants had significantly higher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sisters. Prevalence of low HDL-cholesterol was higher in immigrants (34.0%) than sisters (9.6%) and prevalence of hypertriglyceridemia was lower in immigrants (10.6%) than rest of their family members (fathers: 56.3%, mothers: 21.7%, brothers: 57.5%, and sisters: 25.0%). Energy intake was 1,546.6kcal for female immigrants, 1,816.6kcal for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1,790.4kcal for sisters. Although intakes of most nutrients were lower in female immigrants, fat and fiber intak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female immigrants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sisters. Female immigrant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s of energy from fat, and lower percentages of energy from carbohydrate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sisters. Also, intakes of most food groups (legume, fruit, egg, milk and milk products, oil and fat, beverage, plant food, and total food) were higher in female immigrants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sist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most nutrients between immigrant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Vietna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erally, nutrient intake was more highly correlated between Vietnamese family members and sisters than between Vietnamese family members and female immigrants.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ed health and dietary statu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Higher education and income level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greater fat intak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 intake were shown according to education and income levels in Vietnamese females in Vietnam. Also, the highest income group of female immigrants had higher percentage of energy from protein and fat and lower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 For further follow-up study, FFQ for female immigrants in Korea and Vietnamese subjects in Vietnam were developed. FFQ for female immigrants composed of 80 food items and FFQ for Vietnamese in Vietnam composed of 66 food items. The questionnaires used scale from 1-9 for reporting frequencies of consumption and portions of thos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izes (small, medium, large). Also, the validity of FFQ for female immigrants to Korea was evalu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24HR and FFQ in immigrants were 0.32 (fiber)-0.61 (carbohydrate) for unadjusted, 0.31 (fat)-0.55 (Ca) for per 1000kcal, and 0.33 (fat, K, and vitamin E)-0.52 (protein) for energy-adjusted. In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changes in health and dietary status of female immigrants to Korea after immigration by comparison those of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ed socio-economic factors. Also, FFQ for female immigrants in Korea and Vietnamese subjects in Vietnam were developed and validity of FFQ for immigrants was evaluated. Female immigrants showed lower blood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s and HDL-cholesterol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their sisters. Also, Fat and fiber intakes were higher in female immigrants than Vietnamese females in same age group and their family members, although overall nutritional status was poorer. Socio-economic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fat intake in female immigrants. Futu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influence of diet on disease patterns after immigration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FFQ for Vietnamese in Vietnam.

      •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C 시에 있는 B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5학년 2반 학생 17명을 실험집단으로, 옆 반인 5학년 1반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9월 4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매주 1-2회기 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1)에서 개발된 대중 앞 발표불안검사와 김혁곤(1992)의 사회적 불안검사, 임순봉(1991)의 발표불안 척도를 참조하여 임만택(1994)이 초등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한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자료는 SPSS/Window 2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결과가 가지는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발표불안 변화는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분석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즉,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을 감소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발표불안이 높은 학생부터 낮은 학생이 섞여 있는 반 전체를 대상으로 실제 발표환경과 같은 상황에서 진행되었음에도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 자료들은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고, 발표불안의 감소로 인해 학생들 삶의 다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가 많은 학급을 대상으로 할 경우 회기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효과가 장기간 지속는지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원 개개인의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식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좋겠다. 넷째, 다른 학교와 학급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 특허권 공동침해에 관한 연구

        김선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due to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T technology, it has been made possible for a patent of invention to be worked not just by a single person but by several people jointly. The number of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elements using server and terminal is increasing in the area of invention base on network. Also in case of process patent, especially Business Model patent, the claim itself is often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worked by several people. When a patent of invention has multiple elements and several people jointly work it, no single person may be considered to work all the element of the patent. In that case liability for infringement of patent can be avoided easily by the conventional patent infringement theory which considers such infringement is constituted, not like tort, only when a single person work the whole elements of patent. The judgement of patent infringement is decided by the various rules, for example, direct infringement, indirect infringement, or incomplete infringement, on the ground of All Element Rule. By contrast,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is “performed” by multiple entities, there is a lack of statutory basis allowing for finding a joint infringement, and under the well-established doctrine requiring performance of all steps of a method patent to be attributable to a single party, the patent invention is deemed as not exploited by anyone. As such, when a process or method invention is exploited by multiple entities, it should be deemed that a joint, direct infringement cannot be found to be attributable to those multiple entities. As to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it would be difficult to fulfill the so called “only-” and “use-” conditions as required under the Korean Patent Act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s such, it is not possible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each individual entities. Alternatively, tort liability under the Civil Act leaves room for finding a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under the Civil Act in certain cases. Under the Civil Act, even when a specific right is not considered to have been infringed upon, tort liability may be found so long as there is an infringement upon an interest deserving of legal protection. As the Korean precedent does not require subjective common intent for joint tort liability, the joint performance of a patented invention by itself may lead to finding an objective common intent. Still, each of the entities’ actions would have to constitute a tort. Depending on the precedential attitude, if each of the entities’ actions are strictly required to constitute a tort, then it would be difficult to view each entity’s action by itself as a tort when patented invention is performed by multiple entitie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recognizing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would not be easy. One way to find illegality of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patented invention by multiple entities would be to consider that the performance of a patent by multiple entities would eventually lead to the exploitation of a patent that could have been an exclusive right of the patentee. Namely, the exploitation would inevitably lead to an infringement upon an interest to which the patentee is entitled. If the standard of joint tort liability is the unity of imputability, it would be easier to find liability when there is subjective common intent among multiple entities, and hence, lead to the finding of a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Further, one entity among multiple entities which exploits only non essential elements would not be patent infringer, but the other entity which exploits essential elements could be incomplete infringer. In the case that one entity induces the other entity (contractor) to exploit one or some elements of patent claim, it is desirable that just one entity one or some elements or patent claim, it is desirable that just one entity will be liable for patent infringement in view of the exploitation of one entity as an inducer or supervisor.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judgement of patent infringement is preferentially decided by the prior rule as much as possible, with exceptional cases that superior one entity inducing the other entity to exploit some or all elements of patent claim would be liable for patent infringe or joint tort. Key words : All Element Rule, Indirect Infringement, multiple entities, joint direct infringement, joint tort liability, claim

      • 채만식 풍자 소설의 기법 연구 :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김선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채만식 풍자 소설의 교육 방법 및 내용이 특정 요소에 제한되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작품에서 풍자를 형성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대상 작품은 교과서에 수록된 「레디메이드 人生」, 「痴叔」, 『太平天下』, 「미스터 方」 총 네 편이다. 풍자는 대상을 간접적이고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공격하면서 독자를 설득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의 집필 의도는 작품에 명시되지 않는다. 대신 독자를 의사소통 과정에 끌어들이는 여러 기법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기법들은 주로 서술자의 중개에 의해 실현된다. 이에 본고는 Ⅱ장에서 풍자를 실현하는 서사기법을 서술자의 중개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소설 속 서술자의 기능 및 특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 실현되는 풍자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Ⅲ장에서 대상 작품들의 서사기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것을 토대로 작품의 풍자 대상 및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대한 문제점 인식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현행 채만식 풍자 소설의 교육 방법에 적용된 이론과는 다른 이론을 제시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들이 추후 교육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들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학급풍토지각과 자아개념, 진로선택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김선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lassroom clima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bsequent formation of the self-concept and attitudes of the career choice among school girls of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o this end, 415 high school girls in Inchon City were chosen as subjects of study. Among those data on 408 subjects - excluding seven insincere replies -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tools employed in the survey were three different kinds of tests i.e. tests on classroom climates, self concept and career maturity. And the methods adopted were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on the whole, form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classroom climates than do girl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 further division of classroom climates into quadrants, and the analysis of each is as follows.1. Relationship dimensions : Academic high school girls showed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and affili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n vocational schools, while there existed no appare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eacher support. 2. Goal-orientation dimensions : Academic school girls tended to feel classroom atmosphere to be more tasks oriented and competitive than vocational school girls.3. System maintenance dimensions :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exhibited more awareness of order organization and rule clarity than those in vocational high schools.4. System change dimensions : Academic school girls tended to demonstrate stronger awareness than their peers in vocational schools.As for differences in self concept originating from being enrolled in different type of schools and exposed to their classroom climates, academic school girl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measurement of self concept. It was quite evident that a favorable 본 연구는 인문계, 실업계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계열에 따른 학급풍토 지각과 그에 따른 자아개념, 진로선택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하여 인천시내 여고생 415명을 표집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중에서 불성실한 답변을 한 7부를 제외한 40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는 학급풍토 검사, 자아개념 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등 3종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일원변량분석과 2원변량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전체적으로 학급풍토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풍토를 4개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호관계 차원의 경우 참여도와 친밀도는 인문계가 실업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지지척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표지향 차원의 경우 역시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학급분위기를 더 학업지향적이고 경쟁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제유지 차원을 보면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질서조직과 규율에 대하여 더 지각하고 있었으며. 체제변화 차원 역시 인문계 학생의 지각정도가 높았다. 계열과 학급풍토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자아개념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학급풍토 집단이 자아개념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과 학급풍토에 따른 진로선택의 차이는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더 성숙한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풍토에 따른 효과와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4.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보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두 개의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남11명, 여9명)과 통제집단20명(남 11명, 여9명)이다. 실험 집단 유아들은 자연을 직접 체험, 탐색하고 다른 유아와 함께 놀이를 계획, 실행하는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을 경험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7월 16일까지 총 9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정서지능 검사와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 검사는 Salovey와 Mayer(1996)의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수정․개발한 정서지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는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일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증가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5.79, p<.05).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자기인식 및 표현능력(t=2.76, p<.05), 자기조절능력(t=4.07, p<.05), 타인인식능력(t=3.86, p<.05),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능력(t=3.94, p<.05)에 대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는 자연에서의 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6.32, p<.05).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t=3.78, p<.05),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t=3.32, p<.05),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t=3.71, p<.05)에 대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연보호 태도(t=1.88, p>.0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선혜 圓光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과 초등학교 간의 연계를 통해 도덕 교과의 합당한 지표를 마련하고 유아기에 적합한 도덕성과 유아도덕교육의 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1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은 무엇인가? 1-2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무엇인가? 1-3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1-4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무엇인가? 1-5 유ㆍ초 연계교육을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방법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2-1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유ㆍ초를 연계한 유아도덕교육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도덕성 및 민주시민 요소와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의 연계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부모와 전문가의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유아도덕교육의 인식, 실태 및 국가수준 교ㆍ보육과정의 연계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셋째, 문헌고찰 및 기초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평가방법을 선정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및 현장적용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이러한 절차에 따라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D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실험집단은 2008년 3월 31일부터 7월 31일까지 18주 동안 2주에 3회씩 27회 이루어졌다. 통제집단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생활습관 위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1.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구성 방향,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의 교육목적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능력 배양 및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여 도덕적 문제 상황에 자발적으로 바르게 판단하고 합리적으로 결정하며, 이를 실천하여 책임 있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한다. 교육목표는 도덕적 규범과 가치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도덕적 판단력을 함양하고, 도덕적 문제에 대한 민감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며, 도덕적 실천 의지를 함양하고 나아가 행동으로 실천하여 습관화하기 셋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기본습관교육을 기본으로 하되, 개인생활, 가정·이웃생활, 사회생활, 국가·민족생활영역의 4가지 영역으로 조직하고 하위 범주에 자주, 효도, 준법, 책임, 협동, 배려, 절제, 사랑, 평화의 덕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각 덕목은 각 회기에 순환적으로 반복되어 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유아교사와 부모가 가장 중시한 예절과 정직은 각 회기마다 포함되어 기본생활습관의 요소로 선정한다. 넷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수활동유형, 교사의 역할, 환경구성, 가정과의 연계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활동유형은 이야기 나누기, 토의, 게임 활동, 조형 활동, 역할극, 견학으로 선정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첫째, 교사는 스스로 도덕적인 판단력과 감정을 지니고 행동하는 적극적 모델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유아에게 인격 존중의 태도를 보여 유아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유아의 의견을 수용하여 도덕적인 동기를 강화시켜주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도덕적인 공동체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교사는 유아가 서로 소중한 인격체로 여기고, 집단의 가치 있는 소속감과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환경구성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갈등 상황이나 다른 유아와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사건을 적을 수 있는 ‘생각해 보기(팝콘) 게시판’과 자유롭게 규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생각 나누기 탁자’ 그리고 유아가 스스로 정한 규칙을 적는 ‘공유하기 게시판’을 제공되었다. 그리고 정해진 주제에 따라 교사가 제공하는 교수매체 및 소품으로 이루어져있다. 모든 흥미영역에서는 언어적 표현과 조형적 표현 그리고 행동적 표현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였다. 가정과의 연계는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이루어질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유아들이 관련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지속적인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가정과의 연계 내용은 전자메일을 통해 발송되며 정해진 주제에 따라 가정에서의 부모는 저널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적으며, 이러한 저널쓰기와 함께 교사는 가정통신문의 형태로 각 가정에 발송되었다. 다섯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방법은 유아의 지속적인 도덕적 성장과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지향하는 성장과 개선을 위해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ㆍ행동적 도덕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유아의 지속적인 도덕적 성장을 위한 평가의 주체는 유아 자신이다. 또한 지속적인 교사와 부모와 관찰을 기본으로 하며, 가정과의 연계를 위해 부모는 저널쓰기를 한다. 2.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도덕적 추론, 도덕적 정서, 도덕적 행동으로 나누어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도덕적 감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으로는 도덕적 공감, 동정, 수치심, 죄책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유ㆍ초 연계를 위한 유아도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으로는 도덕적 규칙영역과 인습적 규칙영역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of a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nd its application effects The following question are the core research topices: 1. How should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be organized? 1) What should be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2) What should be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3)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4) What should b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5) What should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be evaluated? 2. What ar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1)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moral reasoning? 2)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moral emotion? 3)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moral behavior?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review of literature was conducted to find out factors of mor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connection among national curriculum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cond,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parents and teachers were performed to survey their perception, current states and teachers' needs of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s actual situation and demand for connection with national curriculum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ird, the findings from literature review and basic survey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direction and objectives,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Fourth, validity and system of the developed program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was verified in consultation with experts. Fifth, a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in the way as described above. Subjects of the study on the moral education for connecting pre-school education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40 young children aged 5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D city, Chungnam province. The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moral educ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2 times for 2 weeks, 27 times in total for 18 weeks from Mar. 31 to July 31, 2008, while basic education was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in compliance with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s.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the construction direction,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direction in working out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oriented toward motivating children to promote morality and form sound view of value and personality. This could be attained on the basis of interconnection with perceptive, definitive and behavioral morality of young children which included their unity with morality as well as environment. Young children could be trained to be democratic citizens by teaching them etiquettes and norms demanded for in personal life and life in family, neighborhood, society, state and nation. Second, the objective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to help young children grow as democratic citizens who were equipped with basic ability and living habit, together with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were required for them to behave, practice or decide readily, properly and reasonably in a morally questionable situation. The goals of such education must be to let them have understanding to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moral norm and value, cultivate moral sense, possess sensitiv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oral issues, foster the will to practice morality in deed and accustom themselves to it. Third, the content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rested upon the education for basic habit which was divided into 4 areas: personal life; life in family and with neighborhood; social life; and life in state and nation. The sub-categories included self-reliance, filial duty, law observance, responsibility, cooperaton, good consideration, moderation, love and peace. Each item was, in principle, supposed to rotate cyclically in each session. Etiquette and honesty, however, should be included in each session as they were regarded by parents and teachers as most important factors of basic living habit. Fourth,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omprised type of teaching activities, role of teachers, environmental figuration and connection with family. The types of teaching activities selected were story telling, discussion, playing games, formative activities, role playing and field trip. The roles of teachers would be: first, to become an active model in which they behave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moral judgement and sentiment; second, to treat young children with respect, pay keen interest to their reaction and accept their opinions positively in an effort to build up their moral motivation; and third, to create a moral community for them. Teachers should endeavor to incite young children to treat each other as having highly valuable personality and feel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within the group to which they belong. The environments provided in line with the goals of the study were 'thinking clipboard (pop corn)' on which young children could freely write down their ideas suggested to solve any conflicts together with other ones, 'idea table' in which they could freely share their opinions about rules with peers and 'common board' on which young children put their own proposals for rules. Added to them were teaching media and small pieces depending on the topics fixed. All the areas of interest were arranged to be composed of verbal, formative and behavioral expressions in rotatable manner. In terms of connection with family, consideration was given to mapping out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connecting young children education with school education in the manner that it should not only be conducted at the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but could also be practiced at home so that they might not loose interest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in both environments. E-mails were employed to inform the families of the details about the connection of the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homes. On the other hand, letters in the form of journal were sent to and from the families for both parents and teachers to share their opinions about certain topics established. Fifth, in order to assess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perceptive, definitive and behavioral moral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continuing moral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improvement in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themselves should be subjects of the assessment for their uninterrupted moral growth. Besides, incessant care and observ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were must in this regard, for which parents were recommended to offer their suggestions by way of journal. The effect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were verified in terms of moral reasoning, moral emotion and moral behavior on the part of young children. The finding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mo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moral reasoning; Second, it was also positively effective on their moral emotion, particularly in such sub-areas as moral consensus, sympathy, sense of shame and guiltiness. Third, it too exercised positive influences on mor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even in sub-areas of moral as well as customary principles.

      • 상황학습 관점에서 살펴본 교직으로의 경력 탐색 과정 연구

        김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 후 취업해서 직장생활 하던 성인이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으로 재입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새로운 경력탐색과정을 실행해나가는지 상황학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직장을 그만두고 재입학 준비 과정 속에서 겪은 심리적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직장을 그만두고 재입학하기까지 작용했던 참여 촉진 요인 및 저해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재입학 준비 과정동안 참여 촉진 요인 및 저해 요인을 어떻게 대응해 갔는가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설계하여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에 입학하여 현재 재학 중인 5명을 인터뷰 하였다. 상황학습은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른 개인의 학습 양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즉, 학습을 개인적 활동이 아니라 특정한 맥락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활동이라고 정의하므로, 학습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레이브와 웽거(Lave & Wenger)는 상황학습에 대한 설명을 위해 실천공동체와 합법적 주변참여의 개념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직장을 그만두고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으로 재입학 준비를 하거나, 재입학에 성공한 사람들의 집단인 실천공동체에서, 새내기로 입문한 성인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며 점차 완전한 참여자로 거듭나게 되는 과정인 합법적 주변참여 양상을 탐구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취업 후, 기대와 다른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감, 불투명한 미래와 성공에 대한 압박에서 오는 불안감으로 인해 회사를 그만두기로 결심했다. 그 후, 앞으로 살아갈 삶에 대한 고민을 하던 중 교직에 대한 희망을 발견했다. 따라서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재입학을 결심하고, 재입학 준비에 대한 정보를 탐색했다. 이들은 탐색한 정보를 토대로 개별학습계획을 실행하였다. 그 이유는 직장생활동안 저축한 돈으로 재입학 준비를 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비용이 제한되어 있었고, 이전 회사에 좋은 성적으로 입사했던 경험으로 인해 자신의 학습 능력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연구 참여자들은 체계적인 개별학습계획을 규칙적으로 실행한 결과, 재입학에 성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족의 허락, 재입학을 준비하거나 재입학에 성공한 사람들의 존재, 친구와 멘토의 응원과 같은 인적 네트워크와 자신감, 교사가 꼭 되겠다는 굳은 결심과 같은 자기 특성, 교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재입학 과정의 지원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결혼과 직장생활로 특징지어지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성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와 학습 내용의 난이도, 학습량, 학습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공부에 대한 부담감은 재입학 과정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다. 위와 같이 직장을 그만두고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으로 재입학한 성인의 경력탐색과정은 상황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크게 두 가지 차원의 학습으로서 의미를 짚어볼 수 있다. 첫째, 과거 교직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 없었던 직장인이 교직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으로의 재입학을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대하여 변화된 의미를 부여하는 정체성 변화 과정으로서의 학습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으로 재입학을 준비, 실행하는 과정은 자신들이 처한 구체적인 삶의 조건이 갖는 의미를 지속적으로 재해석하는 의미의 협상(negotiation of meaning)과정이란 것이다. 한편, 이러한 학습으로서 결과를 획득하는데 크게 네 가지 상황적 조건인 개인의 과거 경험, 사회적 상호 작용, 자료 및 매체, 사회문화적 기대가 개입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는 회사에 취업하였고, 회사 내에서도 좋은 위치에 있었던 과거 경험으로 인해 자기능력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다른 직장으로의 이직이 아닌,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에 재입학이라는 과감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고, 재입학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학원이나 과외의 도움 없이 개별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재입학 준비 기간 동안 가족, 친구들, 멘토, 재입학을 준비하거나 재입학에 성공한 사람들과의 소통, 즉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재입학을 준비하는 동안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자료 및 매체는 연구 참여자들이 재입학을 위한 개별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실재적 활동을 구성한 주요 매개체였다. 넷째,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성인에 대한 결혼 및 직장생활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로, 연구 참여자들은 재입학을 결정한 상황에서 이에 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들은 기대를 저버렸다는 사실에서 오는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 하거나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대응해 나갔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네 가지 상황적 조건과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했고, 그 결과 과거 교직과 무관한 존재가 교직을 탐구하는 존재로 정체성이 변화하였다. 이처럼 상황 학습은 상황적 맥락에 의한 학습 양상의 가변성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자신감, 그리고 교사가 꼭 되겠다는 굳은 결심과 같은 개인의 자율성 및 의지 또한 학습에 있어 그 중요성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성인의 경력탐색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황학습이론 관점으로 본 교직으로의 경력탐색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인의 경력 형성 및 변화 과정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성인의 경력탐색과정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성인의 경력탐색과정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