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자기애와 분노표현양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07345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4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아동·청소년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649 판사항(22)
서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cissistic tend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of male adolescents in juvenile reformatory school
viii, 68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양희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50-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자기애와 분노표현양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자기애와 분노표현양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소년원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심리상담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의 토대를 마련하고, 소년원학교 학생의 긍정적 학교 적응 및 재범 방지를 위한 체계 구축을 조력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3.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은 자기애적 성향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5.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소년법에 의거하여 제9호와 10호 처분을 받아 경기 지역 소년원학교로 송치된 남자 청소년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애적 성향은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외현적 자기애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Raskin과 Hall(1981)이 개발한 자기애적 성격 검사지(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를 Raskin과 Terry(1988)가 주성분분석을 거쳐 54문항을 40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수정(1999)이 번안한 NPI척도를 사용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Hendin과 Cheek(1997)가 개발한 과민성 자기애 척도(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 HSNS)를 정남운(2001)이 번안 및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를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와 Spielberger(1997)가 한국판(STAXI-Korean Version)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 상태분노, 특성분노 하위척도를 제외한 분노표현양식 3개 하위척도만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이원다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비행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입원횟수가 3회 이상일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았다.
둘째, 분노표현양식의 세 하위 유형은 모두 입원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비행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분노표출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분노억제와 분노통제는 폭력비행으로 소년원학교에 입원한 청소년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외현적 및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상위 25% 집단의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의 경향이 모두 하위 25% 집단보다 높았다.
다섯째, 자기애적 성향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모두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에서만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설명력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of male adolescents in juvenile reformatory school.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27 male adolescents at juvenile reforma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of male adolescents in juvenile reformatory school.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27 male adolescents at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Gyeonggi-do. 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measured by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scale(Raskin & Hall, 1981) which was adapted by Han Su Jung(1999).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were measured by 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Hendin & Cheek, 1997) which was adapted by Jung Nam Un(2001). Anger expression style was measured by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8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correlation, one-way M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and the frequency of entering to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overt narcissistic tendency.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f male adolescents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but more than 3 times the number of admission indicated higher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ntering to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anger expression style. But, anger-in and anger-control of male adolesc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Third, 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out and anger-in.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types of anger expression style.
Fourth, the high 25% adolescents of overt and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showed higher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than the low 25% adolescents.
Fifth,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was significant influenced by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