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 영향요인 분석

        이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국제화가 심화되고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교류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유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학력의 보편화로 인해 석사와 석사 이상 학력의 사람은 직장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고,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래서 대학원 졸업한 후에 대학원 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에서 '대학원 진학 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한국으로 온 대학원 지망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은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학원 진학계획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할 계획을 살펴본다. 진학 계획이 있는지, 영향요인이 어떻게 되는지, 각 요인의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따른 독립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서울 4년제 대학교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4년제 종합 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다. 설문지를 만들어 셀프조사연구 소프트웨어 “問卷星”( www.wjx.cn) 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10월 18일~11월 16일까지 총 47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응답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와 표 집단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46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전공, 부모의 기대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진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사범계열 등 계열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보다 한국 대학원 진학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부모의 자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중국인 가정에서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학교생활의 만족도도 중국인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진학 계획이 있는 학생과 진학 계획이 없는 학생 간에 교수영역의 만족도, 교육내용의 만족도, 학생활동의 만족도, 학교환경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epening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more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In recent years, people with master's and higher degrees can get better treatment at work, and their unemployment rate is lowe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hoosing to enter graduate school is grow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postgraduate fever” phenomenon in China leading more Chinese students to study in Korea. Chinese government releases the beneficial policies aiming that mor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graduate schools. Therefore, gaining a postgraduate degree has become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plans for Chinese undergraduates at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about going to graduate schools in Korea. Trying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have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nd those who don't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re. Second, what the Influence Factors in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re. Third, in which degree these factors influence the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o solve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self-researching software 問卷星(www.wjx.c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nese undergraduates who are sophomore and above in six four-year general universities in Seoul. 460 e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8, 2019, and November 16,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ho major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prefer to have a postgraduate study plan in Korea than those major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s of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s. The opinions of parents in Chinese famili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의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went to Korean graduate schools for master programs after gradu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y experience in Korea, what challenges they face,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addressed, so as to find ways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their life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What experiences and challenges do they face as Korean language maj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How do they cope with the challenges?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bout their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students at 10 graduate schools in Seoul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graduated from, or are currently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as masters or master candid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presents its findings in five categories: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at Chinese universities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adaptation; and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as graduate student. As for the first categor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have three differentiation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they boast highe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an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received formal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y researched about life in Korea before coming to the country. Secondly, as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can be broken down into several categories: the goal of improving their Korean and achieving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revitalization of joint progra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difficulties faced by university graduates in the Chinese job market;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interest in majoring in new areas. Third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face various academic, socio-cultural, and personal/affective challenges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ir life at Korean graduate schools. Fourth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cope with the challenges by seek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aking time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Fifthly,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reported b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included the changes brought on by their life in Korea as graduate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s they had for their life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ursued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 at least partially fill the gap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poses advices to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심층 면담을 통해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떤 경험이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 이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효과를 향상하게 시키려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은 겪는가?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 갖는 기대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 석사 과정에 졸업하거나 재학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10개 대학의 대학원생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의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문제, 적응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방식,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의 보람이라는 총 5가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은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이 있는데 그 차별성이 다른 유학생에 비해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 대한 대학원 수업에 대비해서 한국 문화를 사전 수강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한국어 실력 및 학력 향상, 중한 대학 간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중국 내 대학졸업생 취업난 현황 및 한국에서의 언어 환경 그리고 새로운 전공 학습요구 증가함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가 되었다.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이 한국 대학원에 겪는 유학생활의 적응 문제로 크게 학업적, 사회 문화적, 개인-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은 한국 대학원에 유학생활은 적응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들을 겪지만 나름대로 대처방식으로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시간을 들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한국 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받음과 이해하며 언어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이 가장 보람 있다고 느끼는 것은 크게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서 나타난 변화와 유학생활을 통한 기대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에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대학원 유학생활 경력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결함을 다소나마 보완하고 중국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 목회자 자녀와 일반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홍효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he perfectionism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astors’ kids,--who usually are considered as a model for the perfection, receiving excessive expectations by the people of the church,-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making a comparison with the perfectionism of those college students who are not the pastors’ kids.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hypothesis, for a sample, I have selected in total 253 college students (male 138, female 115) around the city of Seoul and Kang-Won province, with 80 pastors kids out of 253. In terms of evaluation standards for their perfectionism disposition, I have us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nd for their force of coping with stresses, “The Ways of Coping Check List.” For the research method, I carried out the surveys in the following; for those who are not the pastors’ kids I invited them to answer a questionnaire, and for those who are the pastors’ kids I invited them to fill out the survey, given through internet web page as well as a questionnaire. First research topic was about how higher the perfectionism disposition of the pastors kids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non-pastors’ kids. Based on its statistical figures, there has not been shown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erning the stresses coping, there has not been shown any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ither.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perfectionism disposition such a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also for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stress coping, such as Problem-Focused Coping, Seeking Social Support, Emotional-Focused Coping, Wishful Thinking Co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Second research topic was about how their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For the pastors’ kids, in terms of statistic, the result was about 3.6%.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as an influence on Problem-Focused Coping about 8.2%. For the other subordinate factors, such as Seeking Social Support, Emotional-Focused Coping, Wishful Thinking Coping, there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non-pastors’ kids, their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was shown as an 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about 5.7%.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as a significant factor. For example,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their Problem-Focused Coping about 13.9%. On the other hand, thei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Emotional-focused Coping was about 7.7% and on Wishful Thinking Coping about 3.1%, but Seeking Social Support was not shown as any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 statistics shown above, comparing the pastors’ kids’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and their stress coping with that of the non pastors’ kid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precedent research showing that the Christian group is going through lower stress than the non-Christian group in general, and the Christian group is usually more capable in coping with the stress than the non-Christian group, we can then make a conclusion that the pastors’ kids shows the characteristic as a Christian group shows the characteristic, in comparison to the non-Christian group and if the pastors’ kids’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shows some difference, then,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pastors’ kids belong to the Christian group. 본 논문은 목회자 자녀와 일반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의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전국의 대학생인 목회자 자녀 80명과 서울, 강원지역의 대학생 173을 선정하였다. 남자 138명, 여자 115명으로 총 2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알아보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en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와 스트레스 대처를 알아보는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 list)를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일반대학생의 경우 설문지를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목회자 자녀의 경우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한 설문과 자기보고식 설문의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목회자 자녀가 일반대학생보다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에서는 두 집단 간 완벽주의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도 목회자 자녀와 대학생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과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대처)의 두 집단 간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목회자 자녀와 일반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목회자 자녀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의 설명력은 3.6% 였다.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별로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 8.2%의 설명력으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추구와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에서는 의미 있는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은 5.7%정도였으며,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별로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문제 중심적 대처에 13.9%,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정서 완화적 대처에 7.7%, 소망적 사고 대처에는 3.1%의 설명력으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는 의미 있는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회자 자녀의 완벽주의와 스트레스는 대학생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로 볼 때, 기독교 집단이 비기독교집단보다 스트레스를 겪는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높다는 연구(신동조, 1993; 유영국, 2001; 노세궁, 1996)들에서 알 수 있듯이, 종교인 자체가 스트레스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유능했다는 선행연구는 종교인인 동시에 목회자 자녀라는 목회자 자녀의 특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목회자 자녀의 주관적 완벽주의가 있다 해도 종교인이라는 특성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 골프의류 광고모델의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30·40대 골프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골프의류 광고모델의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구매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골프의류의 잠재고객층으로 간주되는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수도권 지역 골프장 및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30·40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제점이 발견된 24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37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채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의류 광고모델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델속성하위요인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뢰성, 전문성에서 투어프로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매력성은 연예인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골프의류 광고모델 전문분야에 따른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구매의도 모든 요인에서 투어프로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골프의류 광고모델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은 브랜드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투어프로와 레슨프로는 매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예인은 신뢰성, 전문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일반인은 매력성, 전문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골프의류 광고모델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은 브랜드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투어프로는 매력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레슨프로와 일반일은 신뢰성, 매력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연예인은 신뢰성, 전문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골프의류 광고모델 전문분야에 따른 모델속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투어프로와 일반인은 매력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레슨프로와 일반인은 신뢰성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경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 research on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KGS) Students' adjustment to the Korean cultu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identify each of the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such as his/her educational background on Korean-related studi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whether a student utilizes any Korean mass media, and find out if these factors influence the student's extent of adjustment to the Korean culture. The subjects of study set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research are: First, How does KGS students' personal backgrounds influence his/her extent of adjustment? And Second, How does KGS students' previous studies on Korea, proficiency level in Korean and use of Korean mass media effect his/her adaptation to the Korean culture? For this study, surveys from 544 students out of all 773 KGS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in Korean graduate schools, including 504 students in masters course and 269 students in doctoral course,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research. Confidence level and validit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variables and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all been used in analyzing the survey to fulfill the analytic purpose.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Initi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 male students tend to easily accept traditional cultures and customs. Secondly, students with extrovert personalities adapted well to the Korean culture. Plus, students of age over 36 showed better adjustment to the culture and social activities. Fourth, students with religion were better than other in adapting to cultures, especially Hindu students. Also, students who have stayed in Korean for 1 year or less showed higher adaptation to the Korean culture, customs and daily life. Sixth, students who already hold a Doctoral degree experienced hard time getting used to the Korean culture and customs. Seventh, students who have never lived abroad before coming to Korea tend to be better at adjust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Moreover, students with experience of living in other country for more than 3 years and students who intended to find a job in Korea had hard time adapting to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activities. Lastly, variables which made no difference to student's extent of adaptation were their nationality and the course level that they were studying in Korea. The result of influences that majoring in Korean-related studies,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use of Korean mass media have made is as follows: First of all, having studied in majors that are related to Korea made a positive impact on getting adjusted to the Korean culture, daily life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Secondly, having learnt some Korean language before coming to Korea made good influence on accepting culture and customs, but on the other hand, it caused a negative impact on getting use to daily life in Korea. In addition, use of Korean mass media brought a positive influence in adap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but a negative effect on social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the climate. For the KGS students' better adjustment to the Korean culture, a few policy sugges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o extend opportunities for the exchange and field trip programs and establishing a mentorship program with mentors from their country, who has previously studied in Korea. Also, creating an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continue their religious activities. Thir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before coming to Korea. Fourth, offering student a 1 year Korean language course and providing financial aids for the further Korean studies. In addition to that, to add Korean culture classes to the 1 year Korean language course. sixth, supplying easily accessible facilities for the use of Korean mass media. Finally, providing an adaptive program to take care of maladjusted students. Key words: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KGS) Students, Culture adjustment, Personal background, Proficiency level in Korean 본 연구는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 차이와 입국 전 한국관련 및 한국어 전공, 한국어 등급,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이 한국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개인 적 배경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입국 전 한국관련 및 한국어 전공, 한국어 등급,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이 한국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문제 탐색을 위해 2010년 9월 1일 현재 국내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있는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석사과정 장학생 504명, 박사과정 장학생 269명 등 총 773명 중 설문조사가 가능한 5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기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분석목적에 따라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변인 t-검정, 일원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 차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성별은 남학생이 전통문화와 의식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은 내성적이 아닌 경우, 한국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의 세 하위 요인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이는 36세 이상 집단이 한국 문화적응과 인간관계 풍토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교는 종교가 있는 장학생이 한국 문화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힌두교를 믿는 장학생이 한국 문화적응과 일상생활 문화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입국 후 한국 체류기간은 1년 미만인 장학생이 한국 문화적응, 전통문화와 의식적응, 일상생활 문화적응 등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입국 전 학력수준은 박사수료인 경우 전통문화와 의식적응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입국 전 외국생활 경험이 없는 장학생이 한국 문화적응과 전통문화와 의식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입국 전 외국 체류기간이 3년 이상인 장학생, 외국생활 목적이 취직이었던 장학생은 인간관계 풍토적응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적응에 차이가 없는 변인은 출신국가의 지리적 배경과 현재 학위과정으로 나타났다. 입국 전 한국관련 및 한국어 전공, 한국어 등급,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이 한국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첫째, 입국 전 한국관련 및 한국어 전공은 한국 문화적응, 일상생활 문화적응, 인간관계 풍토적응 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등급은 한국 문화적응, 전통문화와 의식적응 등에는 정적인 영향을, 일상생활 문화적응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은 전통문화와 의식적응에는 정적인 영향을, 인간관계와 풍토적응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교류 및 체험학습 기회 확대와 출신국 선배와의 멘토십 프로그램 운영, 둘째, 종교 활동에 필요한 환경조성, 셋째, 입국 전 한국문화 접촉 기회제공, 넷째, 1년의 한국어 연수 후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한 재정지원, 다섯째, 한국어 연수기간 동안 한국문화 연수 병행 및 추가, 여섯째, 한국 매스미디어 이용에 편리한 시설 제공, 마지막으로, 한국문화 부적응 장학생에 대한 맞춤형 관리정책을 제시하였다.

      • BRIDGE 사업의 성공요인 분석 :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전문가 지원 및 지식재산권 실용화 지원을 통해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고도화하고 창의적 자산의 기술이전 및 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부의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사업(BRIDGE)”을 살펴보고, 사업성과가 우수한 대학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다른 대학으로의 성과확산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BRIDGE 사업 평가 최우수대학인 성균관대학교의 사업실적보고서 분석 및 사업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인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균관대학교는 BRIDGE 사업을 통하여 우수한 기술사업 성과를 거두었고 전담인력 확보, 창의적 자산의 분류 세분화, 사업화를 위한 BM 모델 구축 등의 다양한 지원, 적극적 해외 마케팅,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내창업 투자유치 등이 우수성과를 내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university creative asset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BRIDG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aims to enhance the creative assets of universities through supporting experts and the practical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entrepreneurship of creative assets. Analyzing the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a certain excellent university, this study will help attempting to expand the results to other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successful cases in which the university'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report of Sungkyunkwan University, and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ngkyunkwan University achieved excellent technical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BRIDGE project, and various support such as securing dedicated personnel, subdividing the classification of creative assets, and building BM models for commercialization, active overseas marketing, and attracting investment for in-campus startups using external networks. It has been shown that this is an important factor for achieving excellence.

      •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별 영향력 분석 연구

        한옥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more specifically,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used two methodolog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arameters of internet addiction that are stated in existing literatu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experts and laymen. For the SEM approach,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signated a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s, and the first order factors were decid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al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given to two different groups of people: adults and adolescents. The adult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while the adolescent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eralized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 Three hundred and ninety-fiv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ult participants, and three hundred and ninety-six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olescent participants. For the SEM approac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and AMOS 20.0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SPSS 15.0 was used for the analysis. AMOS was used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s analysis was proces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the degree of each factors, and the state of internet addiction.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proposed model analysis and model mod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PSS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ble calculation,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were performed. This process verified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in S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ial factor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as the second order factor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Second, self efficacy and self control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personal factor. Third, parental rearing attitud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familial factor.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one’s surroundings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questionnaires of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Secon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person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r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gener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actors that lead to internet addi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one’s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depending on each internet user’s situation, a different and specific solution is needed for internet addiction. As this research proves, diverse and comprehensive solutions for internet addiction must b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본 논문은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을 규명하였다.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 영향력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접근법은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통한 영향력 분석이며, 두 번째 접근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요인 간 영향력 중요도 분석이다. 각 접근법에서 사용할 변수 항목 선정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2차 확인 요인으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각의 2차 확인 요인에 대한 1차 확인 요인을 선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 독립변수의 관측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유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설문지는 성인과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성인을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단위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5건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각 2개교씩 총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6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결과분석은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적용하였으며, AMOS 20.0을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가 무엇인지와 다른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확인 요인에 해당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중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자기 통제력과 자기 효능감 2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기능과 가족 내 정서지지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환경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친구지지, 사회 지지와 소속 집단 적응력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관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분석과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개인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사회 환경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사회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요인은 연령에 따라, 소속 집단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응책이 인터넷 사용자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양하고 종합적인 인터넷 중독 예방책과 대응책의 제시가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제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due to frequent private information leaks. While these leaks were limited in the past, nowadays,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leaks has rapidly expanded due to online computerize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oreover, private-sector data protection is governed by many separate individual law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know in what ways their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and what they should do in case of information leakage. The public sector makes as its primary goal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o achieve this goal, there has been an inevitable, growing need for public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private data. The private information held by the public secto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vate sector in that while it is very sensitive, it is still mandatory to provide. For example, if the records of an individual's divorce, medical or crime history were opened to the public, that is not only a clear privacy infringement, but could also result in that individual suffering other hardships such as loss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character defamation. It is for these reasons that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subject to constitutional protection. This paper takes a close look at legislation on the data protection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s controversial issues and solu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ata protection laws in the Republic of Korea govern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separately. Due to this separate system, regulation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blind spots i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emerge.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n improved regulatory system that govern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gether, as exists in other OECD countries. Secondly, information on the process of obtaining consent for collecting private data and providing that data to a third party is perfunctory – that is, it is merely offered with other general information. When data processing entities request consent from private entities for private data, information on the consent request process and where the personal data provided ends up should be required to be given separately from other general information. Thirdly, curren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be more expanded and rationalized in terms of protection scope and retention period.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as well. Computerized privat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excluded from subjects to be protected by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included. It is currently up to the heads of organizations holding the privat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However,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could be a matter of significant importance to the individuals who provided such information. Therefore, the data retention period should be expressly stipulated in a law or private data supervisory authorities should be granted the power to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retention period. Moreover,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to protect the right of personality of bereaved families. Fourthly, leakage of private data usually entails multiple victims at a time, and the pattern of damage is the same. Therefore,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include a collec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that would serve to arbitrate conflicts in a timely manner. Lastly, to effectively protect an individual’s private information, the independence of the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is critical. For this, two options are under discussion: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under the president's direct authority; or to establish it as a central government agenc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a central government agency is also subject to supervision, it is better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committee under the president's authority. Since the current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lacks the substantial power to monitor and investigat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so that the supervisory authority is granted the right to monitor, investigate, order suspension of infringement, decide compensation for damage and intervene in a dispute, to ensure tha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work effectively in reality. 최근 개인정보보호는 개인정보의 불법 유출 등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은 개인정보를 전산처리하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의 범위가 넓다. 이러한 현실에도 민간부문은 일반법 없이 분야별로 개별법이 산재되어 있어 수범자는 규범의 준수에 있어 혼란을 느낄 수 있다. 공공부문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민간의 개인정보수집과 다르게 의무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그 정보의 민감성 또한 민간이 보유하는 개인정보 보다 크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이혼․범죄 기록 등이 공개된다면 프라이버시권, 인격권, 재산권, 사회보장수급권 등 다양한 기본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이 개인정보를 헌법적 차원의 보호 대상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 일반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이원적인 개인정보보호법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규율 체계상 불균형은 물론 개인정보보호의 사각지대가 존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입법 모델 중 OECD, EU, 독일 등과 같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모두 규율하는 통합 일반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정보 관리자가 개인정보의 정보수집 등의 동의를 받는 방법은 다른 정보와 함께 개재하는 경우가 많아 형식적인 동의 절차를 통해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제3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정보와 구분해서 고지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셋째, 보유기간의 합리화 및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가 필요하다. 현행 규정은 개인정보의 목적달성 여부와 보존기간을 보유기관의 장에게 일임하고 있다. 따라서 보존기간의 명문화 또는 개인정보감독기구에 보존기간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를 확대하여 사인과 유족의 인격권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보호대상에서 수기화된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전산 처리되지 않은 개인정보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대상에 포함시켜 개인정보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제정 이후, 현실적인 개인정보보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독립이 중요하다. 중앙행정기관 또한 감독기구의 감독대상임을 고려하면 개인정보 감독기구를 대통령 소속의 독립기구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조사․감독 등에 있어 실질적 권한을 보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개인정보 감독기구에 조사권한, 시정권고권, 침해정지명령권, 피해구제기능과 분쟁조정권한 등을 부여하여 개인정보의 실질적 보장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 국회가 추진 중인 개인정보보호 법안도 본 논문의 개선방안과 방향을 같이 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법으로서의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이 논의 중이지만, 분야별 특수성을 반영한 개별법 제정 등이 남아있는 만큼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일반화 감마분포 기반 베이지안 주변화 2-부분 혼합효과모형

        권용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Continuous data with a high proportion of zero, such as medical expenses, alcohol consumption, and rainfall, are examples of zero-inflated semicontinuous data. The two-part model consists of a binary sub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ata is zero or not, and a continuous sub model for data greater than zero, and when expanded to longitudinal data, there is a conditional two-part model and a marginalized two-part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Bayesian method that can solve the frequentist problem of estimation failure and convergence and ignore censored data from repeatedly measured data by adding random effects of each sub model to a marginalized two-part longitudinal model and applying a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that can comprehensively explain data to a model with both subject-specific and marginal interpretation.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medical expenses of young people i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using the model and Bayesian approach. 영과잉 반 연속 자료는 0의 값이 많은 연속형 자료로 의료비용, 음주량 그리고 강수량 등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방법 중 2-부분 모형은 자료를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이항 부모형과 0보다 큰 자료들에 대한 연속형 부모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시적 영과잉 반 연속 자료로 확장시키면 조건부 2-부분 모형과 주변화 2-부분 모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과잉 반 연속 자료 분석을 위한 2-부분 모형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경시적 영과잉 반 연속 자료에서 주변 해석이 가능한 주변화 2-부분 모형을 고찰한다. 주변화 2-부분 모형에는 각각의 부모형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임의효과를 적용하고, 자료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화 감마분포를 연속형 부모형에 적용한다. 우리는 빈도주의 관점에서 주변화 2-부분 모형의 모수 추정 및 수렴 실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지안 방법의 모수 추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 추정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고, 실제 자료인 한국의료패널의 청년층 의료비를 제안된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