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與韓國地域文化的交流將在未來兩國的文化藝術交流中起著重要的作用。本?究論文以地域交流和地域文化開發?理論基礎,梳理了中-韓兩國建交以來演出藝術的政策環境。以地域文化開...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9225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5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예술학협동과정 , 2015. 8
2015
한국어
한ㆍ중 문화예술교류 ; 지역커뮤니티 ; 지역문화콘텐츠 ; 공연예술
790 판사항(23)
서울
Study on developmental of culture and arts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performing arts by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x, 183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임학선
참고문헌: p. 170-1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國與韓國地域文化的交流將在未來兩國的文化藝術交流中起著重要的作用。本?究論文以地域交流和地域文化開發?理論基礎,梳理了中-韓兩國建交以來演出藝術的政策環境。以地域文化開...
中國與韓國地域文化的交流將在未來兩國的文化藝術交流中起著重要的作用。本?究論文以地域交流和地域文化開發?理論基礎,梳理了中-韓兩國建交以來演出藝術的政策環境。以地域文化開發的演出藝術??究實例,探求其中存在的問題,?試圖?中-韓兩國的地域交流謀求可持續發展的活性化方案。
本?究論文以中-韓兩國政府層面進行地域交流的海外文化中心演出,對於共同文化遺?“儒?文化”採取不同開發形式的韓國創作舞蹈《孔子》和中國舞劇《孔子》,以及對於不同文化遺?採取相同開發形式的中國和韓國實景演出??究實例,通過理論文獻綜述,先行?究整理及現場調?以理論與實例分析相結合的定性分析??究方法進行了?究。實例分析引用了George A. Hillery對於地域共同體的三個構成因素,?地理領域(geographic area), 社會相互作用(social interaction), 共同聯繫(common ties)?分析?架進行了分析。
根據?究,中-韓兩國在其演出藝術的政策基礎上,建交以來一直都進行了諸多廣泛而多層面的交流。以政府的指向性來看兩國都以本國演出藝術的宣傳和海外市場拓展及開發?首要目標,而對對方國家演出藝術的相互了解和認識還仍有?大的不足,對於共同創作和開發的認識還停留在表面。
再者,兩國地域交流中人力資源的?乏和組織構成的不完善造成了地域交流中對於政府支援的依賴性還仍然??,目前在脫離政府的支援下兩國的地域交流?難獨立達成。在兩國演出藝術的交流中,專業的策劃人才嚴重不足,因此,兩國的地域交流缺乏持續的連接性,演出策劃也常出現斷層。大部分的交流還是通過兩國政府才能達成,雖然兩國之間存在?多可共同發掘的地域文化藝術,但共同創作的機會仍是非常不足。
通過分析結果,作者對中-韓文化藝術的地域交流提出以下發展方案。
第一,要達成中-韓兩國地域與地域之間合作的正式平台,激活兩國地方文化財團或文化藝術團體的交流,以此擴大交流的範圍。通過已經達成地方政府(道市,省市)國際文化交流協議的友好城市,連接韓國與中國地域之間的聯繫,?通過此平台增進相互之間的理解。
第二,通過地域合作平台的共享來實現演出藝術的流通渠道,拓寬演出藝術的流通範圍。?通過地域文化?業集群的連接來實現兩國演出藝術流通網的連接。
第三,要實現演出藝術和地域相關?業的協力和合作。爲此要試圖把演出藝術與多種現代媒體,?業相融合。特別要注重通過地域演出藝術與觀光?業的結合,增?地域?業結構的多樣性。
第四,要重點培養兩國演出藝術交流方面的專門人才,以高等?育國際化的觀點,需要連接韓國和中國地方的大學,大學生,?授及學術?究人員,進行互派和交流。還可以通過?育ODA對于開發還?未成熟的地域進行文化藝術的援助和支持。
第五,要提高韓國和中國地域之間文化藝術的相互理解度,?且要通過對於共同文化遺?的開發來達成演出的共同開發?擴展創作合作的機會。?了更好的開發地域演出藝術的創作素材,需要在地域文化製作體系中進行‘文化原形開發-演出藝術加工-故事化·藝術化-品牌化’等 一系列的開發。
越過國家和政府的限制範圍,若要實現文化藝術的深層次交流,必須要從之前的政府主導轉移到地方主導,以地域文化交流的重要性來看本?究具有現實的?究意義。在中-韓兩國的地域文化交流還?未達成良好交流,?且對此領域的?究還?未成熟的當下,本論文對於兩國地域文化交流活性化方案的?究顯示出一定的局限性。
做?未來?究的課題,不僅在演出藝術範圍內,在廣泛而多樣的文化藝術範圍內,韓國和中國的地域文化開發將會越來越活躍,以此?契機的文化藝術地域交流也會更加蓬勃發展。希望本?究有助於中-韓兩國文化藝術的地域交流?究,??兩國文化藝術地域交流的?究提供有效的參考依據。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ural arts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local community will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xchanges between both countries in the futur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is important topic.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l...
Cultural arts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local community will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xchanges between both countries in the futur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is important topic.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Korea and China’s performing art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of local community and local cultural contents. Furtherm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blems through case analysis of performing arts ex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both Korea and China, and considers the developmental activation methods of Korea and China's performing arts exchanges through local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rough field study and review of advanced research. The performance programs of the Korea-China Culture Center and the China-Korea Culture Center, Korean Interpretive Dance <Gongja> and Chinese Dance Drama <Gongja>, and the natural theater performances of Korea and China(some times referred to as“impression”performances)were selected as the case studies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is research, both Korea and China have had many arts exchanges based on performing arts policy directives, which prioritized publicity, overseas expansion and promotion of domestic performing art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ies. This means that Korea and China’s mutual awareness about each other and about the importance of mutual cooperation are still undeveloped and limited. Furth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communities of Korea and China can’t perform work independently and each area can’t communicate by themselves due to deficient human resources and lack of Organization of exchanges, and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performing art planning area is such that continuous connections and development of ties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re not possible. Even though most exchanges consist of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re are many local joint contents in both countries, the joint exploration of these local contents isn’t being implemented and the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ar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thods for expanding and developing art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local community are as follows.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opportunities for joint exploration and cooperation regarding local culture contents should be expanded. For enhancement of the mutual understanding by connecting Korea and China through agreements about international exchange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city and province) and for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local performance contents, a methodical production system of local culture content such as ‘exhibition of cultural original form-processing as performance contents-storytelling·performing-branding’ should be established.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lating to local performing arts should be trained and developed and coope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and local, relevant businesses should be established. This can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through mutual exchanges and inviting. This can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through mutual exchanges and invitations so that the views and perspectives and support of members of international academia and can be obtained as well as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ficial cooperation structures of local areas beyond individual exchanges of performing arts and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networks through sharing of local platforms in Korea and China should be established. The scope of culture and art exchange of each country can be expanded through exchange between local communities or culture foundations in each local area of each country, and a joint distribution network can be established by connecting local industry clus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research in this area is incomplete despite the importance of local community for establishing in-depth exchange of culture and art beyond the national and country levels. But this study also has certain limitations because the method of activating exchanges in performing arts in Korea and China through local communities is not yet well developed, and the exchanges are not frequent yet, so the research about this is still in in the initial stages.
Various research about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in culture and art will be conducted as the next research project according to the activ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content in Korea and China in not only performing arts but also in various other culture and art areas.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의 문화예술교류는 향후 양국의 교류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역커뮤니티와 지역문화...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의 문화예술교류는 향후 양국의 교류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역커뮤니티와 지역문화콘텐츠를 이론적 배경으로 1992년 수교 이래 한국과 중국 공연예술분야의 정책 환경을 살펴보고 현재 한, 중 양국에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의한 공연예술교류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 공연예술분야 교류의 발전적인 활성화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저서, 선행연구 검토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성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사례는 양국 정부차원으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의 공연프로그램, 공동한 ‘유교문화콘텐츠’ 개발사례로 교류가 이루어지는 한국창작무용<공자>과 중국무용극<공자>, 또한 서로 다른 콘텐츠에 대한 공동개발 형식이 이루어지는 실경공연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은 George A. Hillery의 커뮤니티 세 가지 구성요소인 지리적 영역(geographic area),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공동의 연대(common ties)를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의 정책적인 기반으로 한국과 중국은 그동안 많은 교류를 시도해 왔으나, 두 나라 정부의 지향성으로 봤을 때 자국의 공연예술의 홍보와 해외진출 및 진흥이 모두다 우선시 되면서 서로의 예술정신과 예술사상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 미비한 편이다. 또한 공동 작업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도 중시되고 있지 않으며 부족한 인력과 교류의 조직구성으로 한국과 중국 지역의 커뮤니티는 독자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지역과 지역이 스스로 교류하는데 한계가 보여 지며 지속적인 연계와 경력의 누적이 단절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두 나라 지역의 공동콘텐츠가 많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동콘텐츠에 대한 발굴은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하고 창작협력의 기회가 많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통하여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 문화예술교류의 발전적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기존 개별적이고 단기적인 공연예술의 교류형식을 넘어 공식적으로 지역과 지역의 협의구조를 마련하여야 한다. 양국 지방의 문화재단,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정부(시도·시성)별로 국제교류협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여 문화예술분야의 연결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공동의 지역플랫폼 공유를 통한 공연작품의 유통망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 지역과 지역의 산업클러스터 연결을 통하여 공동의 유통망 공유를 실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 연관 산업과의 협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연과 다양한 매체 및 산업과의 융합을 시도하여야 한다.
넷째, 지역 공연예술 전문 인력의 양성을 통하여 지역과 지역의 인적교류를 실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국제화라는 관점에서 두 나라 서로의 초청 및 파견, 그리고 지속적인 학술교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교육의 ODA를 통해서는 문화예술개발이 아직 미비한 지역에 대한 원조 및 초청사업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공동 발굴 및 창작협력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하며 양국 서로의 예술정신과 예술사상을 통한 상호이해 및 인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지역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공연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원형의 발굴-공연콘텐츠로 가공-스토리텔링화·공연화-브랜드화’ 등 체계적인 제작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국가 및 정부의 차원을 넘어서 문화예술교류가 심층적인 교류로 이루어지기 위한 지역커뮤니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들이 미진함에 따라 본 연구는 유의미하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공연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에서 한국과 중국의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은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이고 이를 통한 지역커뮤니티 연구도 향후의 과제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2 김평수, "문화콘텐츠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인션북스, 2008
3 孔维信, 韩峰, 谷雨, "开幕式之前的杏坛剧场", 济宁新闻网, 2009년 9월 27일 기사, 2009
4 정정숙,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5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8
6 전영옥, "新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6
7 한국, "문화의 날개로 한국을 싣고", 해외문화홍보원, 해외문화홍보원, 2011
8 최갑수,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학", 인문연구 57호, 2009
9 박치완, 김성수, "문화콘텐츠학과 글로컬문화",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글로벌문화콘텐츠 통권 제2호, 2009
10 한중일, "문화산업교류 확대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2 김평수, "문화콘텐츠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인션북스, 2008
3 孔维信, 韩峰, 谷雨, "开幕式之前的杏坛剧场", 济宁新闻网, 2009년 9월 27일 기사, 2009
4 정정숙,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5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8
6 전영옥, "新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6
7 한국, "문화의 날개로 한국을 싣고", 해외문화홍보원, 해외문화홍보원, 2011
8 최갑수,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학", 인문연구 57호, 2009
9 박치완, 김성수, "문화콘텐츠학과 글로컬문화",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글로벌문화콘텐츠 통권 제2호, 2009
10 한중일, "문화산업교류 확대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1 임학선, "주요 공연 리뷰 모음(1981-2013)", 공연과 리뷰, Vol.-No. 86, 2014
12 김기덕, "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북코리아, 2007
13 장혜원, "지역 실경공연의 산업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 8 No. 2, 2014
14 白銳, "中韓兩國文化交流的發展與展望", 한중인문학연구, Vol. 7, 2001
15 국제화추진위원회, "국제화의 개념 및 추진 기본방향", 국제화추진위원회, 서울: 국제화추진위원회, 1994
16 陳晟秀, "한국 儒敎의 현황과 성균관 釋奠", 儒敎文化硏究, Vol. 19, 2011
17 류정아, "지역문화 정책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18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null
19 魏群, "문화창의산업 클러스터 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5
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융성시대 국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21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한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종합조사연구",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한국방속영상산업진흥원, 2008
22 양건열, "예술의 산업적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23 김태영, "경남 뮤지컬 발전을 위한 과제, 정책포커스", 경남발전연구원, 2013
24 Roland Robertson, "윤민재 역, 근대성 탈근대성 그리고 세계화", 사회문화연구소, 2000
25 문정민, 박수경, "도심지 활성화를 위한 공간문화콘텐츠 개발방향",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 11 No. 6, 2010
26 김영순, "지역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8호, 2006
27 홍기원, "해외주재 한국문화원의 새로운 역할을 위한 제언",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학술대회, Vol. No. 1, 2008, 2008
28 양선미, "한ㆍ중 문화교류 협력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9 남수경, "정부지원 글로벌 인재양성사업의 국제적 비교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Vol. 22-No .2, 2012
30 송미실, "지역콘텐츠를 반영한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Vol. 14, 2010
31 윤소희, 윤영득, "신문화도시 부산의 문화산업 특화와 문화콘텐츠 개발", 문화산업연구, Vol. 9 No. 1, 2009
32 허원회,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시장 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조형미디어학 Vol. 13 No. 1, 2010
33 김성희, "예술 창작촌의 형성요인과 문화예술 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Vol. 14, No. 1, 2011
34 허윤무, "韓中양국의 文化産業 클러스터 現況과 發展戰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5 김은경, 변병설, "문화도시의 충족조건 : 인천 남구의 문화환경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9 No. 3, 2006
36 허정아,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한 미래발전방안 연구 : 한중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3
37 채하연, "중국의 소프트파워로서 공자콘텐츠의 전개현황 및 의의, 儒敎思想硏究", 第33輯, 2008
38 도운섭,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산업의 발전과제: 문화산업클러스터 관점에서", 慶州文化硏究, Vol. 7, 2005
39 권응상, "예술과 산업으로서의 중국 실경 무대극에 대한 평가와 전망, 中國學報 Vol. 64", 한국중국학회, 2011
40 신춘호, "장이머우식 <印象計劃 >의 성공요인과 한국형 <실경산수공연 >의 가능성 탐색",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5, 2010
41 강승진, "현장이 원하는 새 정부 문화정책 연속토론회 : 지역문화 격차해소와 역량강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42 김태균(Kim TaeKyun), 이주혜(Lee JuHae), "지역 문화 콘텐츠 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합적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인포디자인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 Vol.- No. 7, 2005
43 임윤정,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래관광객의 한류문화콘텐츠 행동예측 모형,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4 임학순, "문화산업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정책 모델 개발: 클러스터를 넘어 문화산업도시모델로", 문화정책논총, Vol. 19, 2008
45 천주연, "해외재외문화원의 현황분석 및 역할방안-재외한국문화원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6 홍석준, "지역문화콘텐츠 자원을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문화의 달 기념 학술 세미나 심포지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2008
47 아이잉, 이준표, 이승희, "중국 실경공연<인상유삼저(印象劉三姐)>에 나타난 공연예술과 지역사회의 문화산업적 요소연구", 문화산업연구, Vol. 14 No. 4, 2014
48 박소윤, 정아린, 이현수, "마이크로 트렌드를 반영한 초고층 주상복합의 커뮤니티공간 융합화 모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디자인융복합연구, Vol. 8 No. 1, 2009
49 한범수, "문화관광 콘텐츠의 네트워크를 통한 장소성 강화: 청계천, 인사동, 북촌, 삼청동 테마거리를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Vol. 9 No. 4, 2008
50 히사다 가즈타카, "재외정부기관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한일비교 연구: 문화외교를 위한 문화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3
51 채수진, "지역의 시대별 정체성과 구성요소로서의 지역문화콘텐츠 연구 - 서울 서촌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2 박숙진, "한ㆍ독 문화관광거리 국제 비교 연구: 관광자원, 문화행사 및 축제 운영시스템, 관광 정책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53 이주열, "전시컨벤션 센터가 지역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 센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