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0276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초등학생 ; 관계적 공격성 ; 학급 ;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Multi-level equation model analysis of student level and class level variables predicting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i, 158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동훈
참고문헌: p. 114-147
I804:11040-00000015759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8개 지역(서울, 경기, 인천, 대전, 세종, 부산, 충북, 전북)의 초등학교 6학년 71개 학급의 1,670명의 학생과 71명의 담임교사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자료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고, 학생-학급의 2수준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해 Mplus 7을 사용하였다. 구조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 교사성별 간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여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 모형에서 성별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급 수준의 변인은 교사애착, 학급응집성(부 모형 제외), 담임교사경력, 학급규모로 나타났다.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담임교사경력은 관계적 공격성에 대해 각각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급규모의 경우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담임교사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생 수준의 개인 요인 및 학급 수준의 환경요인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수준이 학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급 환경 역시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적 공격성은 학생-학급의 2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등 본 연구의 주요변인들이 비교적 최근부터 주목받기 시작하여 관련 연구들이 부족한 가운데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한 변인들의 구조 관계 모형을 학생 수준과 학급 수준에서 검증하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급 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받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사회적, 교육적 관심 및 이에 대한 대책 및 개입에 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이해,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 및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등과 관련한 임상 및 상담심리, 학교상담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강상진, "다층모형", 서울: 학지사, 2016
2 정순화, 황현주, 정옥분,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2009
3 이형득,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출판부, 1979
4 공은배, 한만길, 이혜영, "학교ㆍ학급의 적정규모",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 84∼7, 1984
5 김영철, 한유경,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3(2), 175-202, 2004
6 김소영, 김진숙,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4), 1091-1108, 2011
7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0
8 장혜영, "아동복지법상 정서적 학대행위", 사회보장법연구, 7(2), 103-137, 2018
9 강진령, 유형근, "집단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서울: 학지사, 1999
10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실제", 서울: 학지사, 2017
1 강상진, "다층모형", 서울: 학지사, 2016
2 정순화, 황현주, 정옥분,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2009
3 이형득,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출판부, 1979
4 공은배, 한만길, 이혜영, "학교ㆍ학급의 적정규모",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 84∼7, 1984
5 김영철, 한유경,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3(2), 175-202, 2004
6 김소영, 김진숙,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4), 1091-1108, 2011
7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0
8 장혜영, "아동복지법상 정서적 학대행위", 사회보장법연구, 7(2), 103-137, 2018
9 강진령, 유형근, "집단따돌림의 진단 및 치료방안", 서울: 학지사, 1999
10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실제", 서울: 학지사, 2017
11 김종백, 장인실, "학급당 학생수 연구의 분석과 전망", 교육방법연구, 15(2), 1-21, 2003
12 손민호, 전제상, 이규은, "교원연수 프로그램 및 운영 개선연구", 경기: 경기도교육청, 2010
13 박소연, 이희현, 이숙정, 유지현, "학교폭력예방 학급환경 진단도구 개발", 아시아교육연구, 15(4), 239-263, 2014
14 한은영,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8,209-234, 2014
15 곽금주, 조성호, 전우영, 이훈구, 이혜주, 권준모, "학급내 부정적 행동과 응집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 58-59, 2000
16 주동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의 역할 탐색", 상담평가연구, 5(2), 1-13, 2012
17 허숙, "학급규모 감축의 효과: 메타분석적 연구", 교육논총, 21(1), 69-101, 2003
18 김선미, 도현심, "남녀 아동의 또래괴롭힘과 관련된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7-126, 2006
19 윤정희, "정서조절문제 아동의 치료놀이 사례 연구", 아동복지연구, 3(3), 89-107, 2005
20 우성숙, "초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자기평가 실태", 초등교육학연구, 16(1), 63-83, 2009
21 김남지, 한유경,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 42(1),51-76, 2011
22 김희규, "교사의 교직발달단계별 학생이해역량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22(3), 35-57, 2018
23 Corey, G.,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조현춘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5
24 곽금주, 이춘재,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 실태, 특성 및 대책", 서울: 집문당, 1999
25 김수정, 이지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 교육문제연구,30(4), 165-188, 2017
26 김정아, 김정효, "아동간의 또래 괴롭힘과 학급 풍토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31(1), 53-74, 2000
27 조영재, "초등 초임교사 교직적응곤란 영향 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 28(1), 133-157, 2015
28 김영춘, "아동의 부정적 정서, 우울과 공격성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6(10), 317-327, 2016
29 박정녀, 최해림, "청소년의 부 모 애착과 자동적 사고 및 공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49-264, 2005
30 김미영, "학교체계가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18(2), 287-314, 2007
31 김경집, "초기 청소년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6(1), 421-448, 2005
32 이주연, 정혜영, "초등 초임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인식과 정서", 교육과학연구, 34(1), 125-143, 2003
33 이승연, 한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181-203, 2015
34 김진호, 장미순,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0(2), 436-458, 2014
35 김선애, "가정, 학교, 친구 관련변인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14(1), 101-126, 2007
36 이은희, 조은주,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한국청소년연구, 24(1), 35-70, 2013
37 김효정,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 영향 요인 간 구조적 관계", 교육행정학연구,29(4), 365-394, 2011
38 정종진,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초등상담연구, 11(3), 331-350, 2012
39 한유진,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26(4), 85-100, 2005
40 이예슬, "초등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34(3), 53-80, 2017
41 권기욱, "초중등학교 학급규모 감축의 교육적, 재정적 효과",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1(1), 15-47, 2005
42 조세현, "Muthen의 다층 구조모형과 학교연구를 위한 응용방법", 교육평가연구, 11(1), 259-299, 1998
43 김은정, 한영경, "초기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 하위유형의 특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4), 985-1002, 2011
44 권기정, 전숙영,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5(2), 51-66, 2010
45 정윤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25(6), 205-223, 2004
46 오예현, 장재홍,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와 학생-교사관계 및 부모애착", 청소년학연구, 21(8), 643-669, 2014
47 노지영,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교원교육,30(3), 73-112, 2014
48 박도영, "다층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학교교육효과의 경향 분석", 교육평가연 구, 24(2), 345-376, 2011
49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석사학위, 2008
50 교육부, "2016년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보도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www. moe. go. kr, 2016
51 교육부, "2017년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보도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www. moe. go. kr, 2017
52 교육부, "2018년 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보도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www. moe. go. kr, 2018
53 김수진, 정종원, "초등학교폭력 가해 관련변인에 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교육방법연구, 27(4), 601-626, 2015
54 배라영, 최지영,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13년", 인간발달연구, 21(1), 181-200, 2014
55 양성관, 이현숙, 송미영, 김준엽, 김성숙,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 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4(2), 317-344, 2011
56 길양숙, "교사들이 경험하는 학교문제의 경력, 근무지, 직급별 차이", 인문과학연구,38, 481-506, 2013
57 박민정, 최보가,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95-104, 2004
58 Yalom, I. D., "최신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장성숙, 최해림 역, 2005)", 서울: 하나의학사, 1995
59 김유미, 이아영,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4(4), 519-536, 2015
60 김성기, 한유경, 정시영, 김이경, "교원의 학생지도관 (PCI)이 학교폭력 수준에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55-379, 2015
61 송주영, 이창훈, "집단 괴롭힘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한국범죄학, 3(2), 103-143, 2009
62 박은성, "박은성초등학생이 교사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지지 내용 분석", 초등교육학연구, 17(2), 65-88, 2010
63 안명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867-885, 2010
64 김소라, 김희화, "부의 양육행동이 초기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48-149, 2016
65 심희옥, "또래 괴롭힘과 외현과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횡단 및 종단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07-1118, 2007
66 변은실, 이주영,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25-1149, 2016
67 이주리, "“초등학생의 부모, 교사 및 친구애착이 일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27-39, 2008
68 오경자, 이경희, "관계지향 공격성 및 외현화 공격성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8(1), 173-187, 1998
69 지혜영, 홍종관,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효과", 초등상담연구, 8(1), 95-107, 2009
70 박성연, 박혜경,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8), 87-98, 2002
71 신재선, 정문자, "초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연구", 아동학회지, 23(5), 123-138, 2002
72 우명숙, "학교규모와 학급규모가 학생과 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6(4), 139-161, 2017
73 김지현, "학교폭력 처벌 난감한 학교 현장. 금강일보. 2019년 8월 29일 게재", 2019년 8월 30일 인출.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8976#0BJz, 2019
74 박정주, "교사애착이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333-352, 2011
75 권기욱, "유. 초. 중등학교 학생 교육성취 제고를 위한 학급규모 감축전략", 교육방법연구, 15(2), 23-55, 2003
76 신희수, 안명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기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2), 227-253, 2012
77 송재홍, 원복연,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도연구", 상담학연구, 17(6), 437-452, 2016
78 심혜숙, 왕정희,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63-175, 2001
79 강지흔, 박성연, "남 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2005
80 김현지, 이호동, 이상수, "초등교사의 사회정서역량과 직무만족도가 교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8(1), 35-50, 2019
81 이경진, 최진영, 장신호,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19-240, 2009
82 도기봉,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성과 생태체계요인의 상호작용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0(2), 73-92, 2008
83 김해란, 김희경, "남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및 공격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1), 107-135, 2017
84 백지은, "백지은개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집단 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9(2), 1-16, 2015
85 민부자, 홍후조,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학급학교 규모에 관한시론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1-24, 2011
86 남순임, 홍정희, 유형근,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급응집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23(4), 425-440, 2014
87 김분, 최연실, "초등학생의 부모, 교사, 또래 애착 유형별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1), 1-13, 2012
88 김정화, 조수민, 노충래,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 애착이 우울,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1, 189-217, 2015
89 강세진, 임수진, "초등 저경력 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 육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6(1), 337-364, 2019
90 김나연, 주동범, 임성택,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관계 및교우관계의 관련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23-42, 2010
91 김경식, 김원영,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관련 유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중등교육연구, 66(3), 783-814, 2018
92 오춘식,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93 김영란, 백선혜,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에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4(1), 1-23, 2009
94 김남희, 김종백,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 (STARS)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4), 697-714, 2009
95 서미정, "아동의 외현적, 관계적 공격성의 변화유형 및 고위험 변화집단 예측요인", 한국아동복지학, 38, 157-186, 2012
96 김미영, 정현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4(3), 101-116, 2015
97 채연희, "또래 상담 운영이 또래 상담자의 자기평가와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 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98 고재홍, 김순천, "학교폭력경험과 갈등해결전략 사용간의 관계: 가족 및학급응집성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24, 25-43, 2014
99 조성준, "50대 이상 초등교사 ‘고학년 담임은 NO’. 노컷뉴스. 2014.02.18.입력,2019.11.20", 인출. https://www.nocutnews.co.kr/news/1187462, 2014
100 김경숙, 김완일, "청소년의 사회 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착각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2), 515-541, 2015
101 김선미,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3(4), 409-429, 2014
102 김종렬, 이은주,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모와 또래지지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6(4), 129-147, 2013
103 이재용, "초등학생의 인성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인성 GPS(Game, Play, Story)프로그램 개발", 초등교육연구, 32(1), 67-94, 2019
104 임연정, 진미경, "아동이 지각한 부, 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8(4), 348-367, 2015
105 김광수, 최현정,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9(1), 95-110, 2010
106 엄인하, "조영아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과 집단따돌림의 관계에서 방관태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0), 49-75, 2015
107 김재철, 최원형, 성경주,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부모애착, 교사애 착, 친구애착의 영향 비교.”", 아동교육, 19(1), 97-113, 2010
108 김진숙, 채선화,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4), 339-358, 2015
109 장선영,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사회불안의 관계: 아동의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13
110 김순옥, 박서정,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35-53, 2005
111 윤정길, "초등 저학년 담임은 왜 대부분 나이가 많을까. 국제신문. 2014.02.11.입력, 2019.11.20", 인출.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40212.22009211850, 2014
112 강경희, 김용주,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정도 및 중요도 인식과 교사효능감사이의 관계 분석", 현대교육연구 (구 중등교육연구), 28, 1-22, 2016
113 김수정, 허균, "초등학생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의 부족이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3), 1685-1692, 2013
114 이영효,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또래관계 질의 관계: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18
115 신유림, 이성복, "유아의 신체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보육 및 가정 변인",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9), 111-120, 2011
116 강신석, "집단 경험활동 프로그램의 역동적 경험이 학급의 사회적 응집성 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17 황혜원, "신정이, 박현순초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생태체계적 요인들간의 경로분석", 아동과 권리, 10(4), 497-526, 2006
118 안명희, "모의 심리적 괴롭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무기력감과 자기 부적절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2), 145-164, 2011
119 서미정, "아동과 청소년의 외현적, 관계적 공격성의 성별 차이 및 관련변인에대한 메타분석", 아동학회지, 32(3), 143-162, 2011
120 김혜금,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 관계와 교사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공 격성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5), 529-539, 2014
121 김선숙,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2, 65-95, 2007
122 김민정, 도현심,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2001
123 권해수, 김경아,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사회평가불안과 분노억제의 매개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3(1), 139-156, 2015
124 오한나, 박주희, "오한나, 박주희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부부갈등이 남녀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8(2), 47-61, 2018
125 박주희, 이하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3), 233-258, 2014
126 이동훈, 최준섭, "초등학교 남자교사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육아휴직 후 1 년 이내의 변화", 교육학연구, 55(4), 31-64, 2017
127 이혜주, 정의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교사애착에 대한예측변인에서의 남녀차이",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419-440, 2012
128 김지원, 최현주, 정윤미, 이상민, "위계선형모형 (HLM) 을 적용한 초등학생의학생-교사애착, 학급풍토, 학교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3), 129-149, 2015
129 이정미, 이지연, "장진이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5), 93-113, 2012
130 구경미, 정현희,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 교사애착, 또래애착및 학교유대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1), 309-326, 2018
131 김완일, 김정옥,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학급응집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1), 205-226, 2019
132 권동택, 임수연,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과 학급집단응집성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9(1), 67-90, 2012
133 박우람,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 우울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초등상담연구, 15(3), 233-256, 2016
134 박우람,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정서조절, 질투와 시샘의 순차적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4(1), 1-23, 2015
135 손석한, "노경선, 허묘연, 정현옥, 이소희, 김세주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0(4). 605-615, 2001
136 장석진, 한송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4), 459-479, 2015
137 이은숙,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정서 행동장애연구, 33(3), 111-131, 2017
138 김정민, 김지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6), 13-29, 2013
139 이동형, 정상호,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27-45, 2016
140 박미란, 이희경, 이지연, "초등여학생의 우정관계 질투정서와 관계적 공격성에서 정서조절능력을 애착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2(3), 207-229, 2013
141 김민정, "학교폭력 피해 3년 연속 증가, 신체폭력보다 정서적 폭력↑. 경북매일.2019년 8월 29일 게재", 2019년 8월 30일 인출.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25205, 2019
142 김나예,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부모의 양육태도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3(2), 87-103, 2016
143 박주희, 이경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영향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7(4), 31-46, 2016
144 민세연, 유병길, "학급 규모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209-223, 2017
145 이경아, 이동형, 김원희, "이경아, 이동형, 김원희남녀 초등학생의 공감 및 지각된 학급풍토와 괴롭힘참여역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28(3), 21-47, 2015
146 고국영, 이상수, 김은정, "초등교사의 사회정서역량이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공동체의식,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219-239, 2015
147 김현수, 이윤식,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장교사의 리더십, 초임교사의 교 직관 및 교직적응 간의 구조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05-130, 2014
148 문혁준, 설경옥,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2), 187-210, 2018
149 김선영, 이경열, 김정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자기통제력 및 자기존중감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상담학연구, 5(3), 711-723, 2004
150 윤지희, "초등교사 경력단계에 따른 교사리더십 중요도와 발휘수준 차이 분석:영역별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281-310, 2017
151 전숙영, "어머니의 심리통제 및 아동의 행동적 자율성과 자기 통제력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69-179, 2007
152 윤혁, 허유성, "업무강도와 교직경력이 초등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탈진감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비교", 통합교육연구, 7(2), 143-164, 2012
153 김춘경, "영화를 활용한 정서중심 문학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대한문학치료연구, 4(1), 19-41, 2014
154 오정아, 김은경, 윤혜미, "오정아, 김은경, 윤혜미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 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41, 221-246, 2018
155 천보라, "천보라‘은밀하게 위협하게’... 날로 교묘해지는 학교폭력. 데일리굿뉴스,2019년 8월 29일 게재", 2019년 8월 30일 인출.http://goodnews1.com/news/news_view.asp?seq=90083, 2019
156 손원숙, 유신복,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정서조절 및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8(1), 205-224, 2014
157 임정우, 홍혜영,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역기능적 분노표현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4(1), 63-75, 2016
158 김현아, 이화목,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8),352-361, 2019
159 문혁준, 안설하,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정도와 교사의훈육유형이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2), 145-167, 2011
160 이영효, 정주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기술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39(2), 85-101, 2017
161 이지연, 정우희, "아동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1(3), 17-30, 2013
162 박대규, 이지연,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급통제성과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3(3), 55-73, 2010
163 박세진, 이현숙,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변인에 대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교육평가연구, 28(2), 499-522, 2015
164 전숙영,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6),101-111, 2007
165 하수홍, "장문선정서적 학대 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련성에서 거절민감성,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833-852, 2013
166 김희수, 홍성훈,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6(1), 33-53, 2005
167 노경훈, 주철안, "초등학생이 인식한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공동체의식과 학교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33(1), 151-171, 2015
168 이승훈, "불합리하다VS교육차이 없다. 초교 원로교사 저학년 담임 관행.강원도민일보. 2016.03.09. 입력, 2019.11.20", 인출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72572, 2016
169 박성연, 임승현, 박지숙,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 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85-98, 2009
170 Schmuck, P. A., Schmuck, R. A., "Group processes in the classroom.김경식 역(2000). 학급의 사회심리학: 협력학습 조성을 위한 기초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1992
171 이지연, 전혜련,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거부민감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2(2), 5-18, 2014
172 강은영, 이영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조절능력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22(3), 319-337, 2019
173 백문숙, 장석진,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기 사이버 폭력간의 관계: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4(3), 199-224, 2017
174 정다운, 정진복,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초등학생의 사회기술과 정서 인식 및표현에 초점을 맞춘 인지 행동적 치료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1(2),321-344, 2015
175 성혜원, 한세영,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 통제가 유 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271-292, 2015
176 송영화, 최준섭, "심리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용 또래관계프로그램 개발: 어울림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초등상담연구, 17(4), 537-557, 2018
177 이지현, "학생 개인요인, 학교 구조적 요인, 교사요인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미치는 영향: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6(4), 77-100, 2014
178 윤은영, 이지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2(3), 191-213, 2016
179 김은예, 한수연, 박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교사행동, 학급풍토, 학생의 성취목표지향과 도움찾기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31(3),563-587, 2017
180 박주희, 전은하,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147-166, 2015
181 현의숙, 황혜정, "초등학교 고학년생이 지각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9(5), 451-472, 2019
182 김성희, 정옥분,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69-92, 2011
183 장호연, "장진이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공격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871-891, 2017
184 김지신, 조희원, 이미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5), 469-480, 2018
185 이정민, "딸 따돌림 당해 학부모가 수업 중 교사 폭행(2018.11.10.), 뉴스1,인터넷기사, http://news1.kr/articles/?3473614에서 2019. 04. 23", 인출, 2018
186 박성연, 이은경,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아동학회지, 30(2), 211-230, 2009
187 오종은, 김세영., "오종은, 김세영.초기 청소년의 정서지능, 공격성, 학교폭력인식 및 대처태도간의 관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287, 2016
188 유병선, 이지연, 이채희, "유병선, 이지연, 이채희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6(3), 3-14, 2008
189 김승준, 홍현주, 정다운, 김지웅, "이나현, 양지선, 안송이, 임우영, 정경운 국내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접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의차이", 정신신체의학, 23(2), 86-92, 2015
190 한준아, 김지현, "한준아, 김지현학령기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과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원이 남아와 여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Research, 49(3), 11-21, 2011
191 한유진,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ㆍ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5, 2006
192 강순화, "집단상담에서의 언어반응 유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상담자 교육에서 마라톤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193 천한나, 박지연, "천한나, 박지연동영상을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공격성, 분노조절능력,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 연구, 29(3), 61-84, 2013
194 조정아, "조정아선형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변화경향과 개인차에 대한 성별ㆍ부모ㆍ또래ㆍ교사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3), 167-192, 2009
195 양혜린, 이충권, "“가정에서의 학대 방임 피해경험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 치는 영향: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9(1), 29-55, 2017
196 뉴시스, "뉴시스학교폭력, 주먹질보다는 언어, 따돌림(2016.12.28.),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205_0014560834&cID=10806&pID=10800에서 2019. 04. 23", 인출,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