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곡 정제두의 도덕적 주체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6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 1649~1736)는 조선을 대표하는 양명학자이다. 본 논문은 정제두의 도덕적 주체성과 도덕적 주체의 확립 방법을 主體와 客體의 分離와 合一을 통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 1649~1736)는 조선을 대표하는 양명학자이다. 본 논문은 정제두의 도덕적 주체성과 도덕적 주체의 확립 방법을 主體와 客體의 分離와 合一을 통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정제두의 도덕적 주체성 연구를 논문의 주제로 삼게 된 이유는 도덕 주체가 주도적으로 도덕적 판단과 행위를 할 수 있기 위한 이론적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서이다.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동을 할 때, 그 판단과 행위의 기준이 객체인 대상에 있으면 자신이 주체적으로 도덕적인 판단과 행동을 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그 기준이 주체에 있으면 도덕적인 판단과 행동을 할 때 더 주체적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먼저 인간의 의식 상태를 주체와 객체의 分離 상태, 주체와 객체의 合一 상태 두 가지가 있다고 전제하였다. 그리고 주체와 객체의 分離 상태에서 도덕적인 판단과 행동의 기준이 대상으로 객체에 존재하면, 도덕적인 판단과 행동이 객체에 구애될 여지가 많으므로, 도덕적으로 덜 주체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주체와 객체의 合一 상태에서 그 기준이 주체의 주관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경험되어서 존재하면, 주체로부터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기준이 생겨나기 때문에 객체에 덜 구애되므로, 도덕적으로 주체적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도덕적 주체성은 儒家의 핵심이다. 하곡의 도덕적 주체성을 논의하기에 앞서 먼저 공자와 맹자에게서 心·性·天에 대해 조명하였다. 대부분의 경우에 心性은 도덕적 주체, 天은 도덕적 주체의 확립 근거를 지칭하기 때문에, 이 관계에 대해 조명하는 것은 공자와 맹자에게서도 중요하다. 이 논의를 통해서 하곡의 도덕적 주체성의 근간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宋明儒學을 대표하는 주희와 왕수인의 도덕적 주체성에 관한 대비되는 특징을, 마찬가지로 主客의 分離와 合一을 가지고 格物致知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희의 理는 주객이 분리 상태에서 대상화된 理이고, 왕수인의 理는 주객이 합일된 상태에서 경험하는 理이다.
      하곡은 기본적으로 왕수인의 주객이 합일된 상태에서 경험하는 理를 生理와 眞理 등으로 서술하며 중요시한다. 하지만 하곡은 주희의 理 역시 物理라고 하여 자신의 사유에서 다루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하곡은 도덕적 주체성의 확립을 心·性·天의 合一을 통해 이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 合一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至誠, 致中和, 愼獨을 들었다. 至誠은 스스로 속이지 않는 마음을 지극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곡은 사사로움과 고집과 기필을 없애서 致中和를 이루어야 함을 말한다. 또한, 하곡은 至誠과 致中和는 홀로 있을 때도 삼가는 마음인 愼獨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至誠, 致中和, 愼獨은 間斷이 없이 天人合一을 이루는 것으로, 대상화를 통해 주객이 分離된 상태가 아닌, 주객이 合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하곡은 이러한 방법을 통해 天과 合一된 마음 상태가 행동으로도 間斷없이 이어지는 知行合一을 이루어서, 상황에 따라 창조되어 주관에서 경험되는 도덕이 행동으로 이어져야 함을 말한다. 이는 도덕적 주체성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Gok Jeong Jeong-du(1649-1736) is a Yangmyeonghak(陽明學) scholar who represents Joseon.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moral subjectivity of Ha-Gok and how to establish the moral subject through subject and object’s division and unity. ...

      Ha-Gok Jeong Jeong-du(1649-1736) is a Yangmyeonghak(陽明學) scholar who represents Joseon.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moral subjectivity of Ha-Gok and how to establish the moral subject through subject and object’s division and unity.
      The reason why Ha-Gok’s moral subject became the subject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theory for the moral subject to take the initiative in moral judgment and conduct. When making moral judgments and moral actions, it is difficult for us to make moral judgments and actions on our own if the criteria for our judgments and actions is in the object. However, if the standard is in a subject, it can be more self-reliant when making moral judgments and actio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first presupposes that there were two the states of human consciousness: the state of divis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he state of the unity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addition, if the moral judgment and behavior criteria existed as the object, leading to fixed objects, there was less room for moral self-reliant, and if the criteria existed as being experienced in the state of the subject, there was more room for moral self-reliant.
      This moral identity is the core of yuga(儒家). Prior to discussing Ha-Gok's moral identity, this thesis trie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of xin(心), xing(性) and heaven(天) from Confucius and Mencius. It is also important for Confucius and Mencius to shed light on this relationship, because, in most cases, 心性 is a moral subject and 天 designates the rationale for establishing a moral subjectivity.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basis of Hagok's moral identity. Next, this thesis analyzed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the moral identity of Zhu-Xi(朱熹) and Wang Yangmyeong(王陽明), who represent Song-Myeong yuhak(宋明儒學), putting focus on the state of the division and unity of the subject and object centrally ‘A study on things and realizing innate knowing’(gyeongmul chiji 格物致知). Zhu-Xi's Li(理), which owns morality, is a Li which is targeted on the condition of object being separated from subject while Wang Yangmyeong's Li is that which can be experienced on the condition of subject and object being united.
      Ha-Gok basically puts emphasis on Wang Yangmyeong's Li, regarding Li which can be experienced on the state of subject being united as ‘principle of life’(saengli 生理) and ‘principle of truth’(jinli 眞理). However, Ha-Gok insists that Zhu-Xi's Li is also ‘principle of object’(mulli 物理), dealing with the characteristics under the domain of his contemplations as well. And Ha-Gok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moral subjectivity should be achieved through xin(心)·xing(性)·heaven(天) union. And he told that specific methods for the union were ‘utmost truthfulness’(zhicheng 至誠), ‘achieving centrality and harmony’(chijunghwa 致中和), and ‘taking care when alone’(sindok 愼獨). A zhicheng is to make the mind which doesn't deceive oneself extremely. And Ha-Gok insists on achieving chijunghwa by eliminating self-interest, stubbornness and assurance of fulfillment. Also Ha-Gok says that they should be based on sindok, a mind that refrains from zhicheng and chijunghwa even if alone. These zhicheng, chijunghwa, and sindok are to achieve ‘a unification of heaven and man’(cheonin habil 天人合一) without ‘gap’(gandan 間斷) under the state of unity of subject and object, not under the state of division of subject and object. And Ha-Gok insists that through these methods, the state of united mind should be connected with actions without gandan, and the morality crea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experienced in the subject should lead to actions. This means that moral identity has been achie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13
      • Ⅱ. 孔·孟·朱·王의 도덕적 주체성 19
      • 1. 孔·孟의 心·性·天과 도덕적 주체성 19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13
      • Ⅱ. 孔·孟·朱·王의 도덕적 주체성 19
      • 1. 孔·孟의 心·性·天과 도덕적 주체성 19
      • 1) 공자의 仁과 克己復禮 19
      • 2) 맹자의 盡心知性知天 23
      • 2. 朱·王의 格物致知해석과 主·客의 分離·合一 27
      • 1) 회암의 格物窮理와 性卽理 27
      • 2) 양명의 致良知와 心卽理 33
      • Ⅲ. 하곡의 理·心性과 도덕적 주체성 41
      • 1. 하곡의 理의 구분과 心性 41
      • 1) 物理生理, 眞理와 主·客의 分離·合一 41
      • 2) 生理, 眞理와 心性 49
      • 2. 하곡의 心·性·天과 도덕적 주체성 52
      • 1) 心性의 一元構造 52
      • 2) 心性과 天道의 合一 56
      • Ⅳ. 하곡의 도덕적 주체 확립의 방법 62
      • 1. 至誠, 致中和와 愼獨 62
      • 2. 間斷이 없는 知行合一 69
      • Ⅴ. 결론 78
      • 參考文獻 81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