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7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주제전문사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12가지 항목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 중, 경험, 참고업무, 교육능력, 참고업무 관련 기술, 업무능력, 인성Ⅱ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인식이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2가지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상세요인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 각각의 집단 내 인식에 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경험, 학력 등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 대한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일부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최종학력과 사서자격증 등급이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관련 수강 과목 수와 주제전문사서직 종사 희망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및 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인이 어떠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재확인하였다. 산출된 요인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제전문사서 관련 분야에서 주요한 핵심 집단인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집단별 후속 연구 진행이 가능할 것이며, 주제전문사서의 전문화 촉진 및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주제전문사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12가지 항목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 중, 경험, 참고업무, 교육능력, 참고업무 관련 기술, 업무능력, 인성Ⅱ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인식이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2가지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상세요인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 각각의 집단 내 인식에 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경험, 학력 등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 대한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일부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최종학력과 사서자격증 등급이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관련 수강 과목 수와 주제전문사서직 종사 희망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및 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인이 어떠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재확인하였다. 산출된 요인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제전문사서 관련 분야에서 주요한 핵심 집단인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집단별 후속 연구 진행이 가능할 것이며, 주제전문사서의 전문화 촉진 및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to confirm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y implemen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yste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rating items of importance regard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Through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of survey questions, 12 types of items were derived as element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Of these, experience, reference work, training skill, reference work skill, task ability, personality Ⅱ ite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and the former group's perception appeared more highly.
      Additionally,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group's perception regarding the 12 item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 influence of two groups' experiences and their academic careers on perception degree about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was investigated. In some entries, the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with a higher educational degree and a higher librarian license grade,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lso, the library science students with a higher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a greater desire to work as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configured items were derived, and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concepts that defin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were re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ing data for proposing el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Also, central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correlated fields, the two groups' perception degrees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n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From henceforth, a follow-up study founded on this research that targets each group will be possible and can also be used as data for promo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pecialization and developing subject specialist training cours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to confirm the perception diffe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to confirm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y implemen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yste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rating items of importance regard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Through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of survey questions, 12 types of items were derived as element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Of these, experience, reference work, training skill, reference work skill, task ability, personality Ⅱ ite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and the former group's perception appeared more highly.
      Additionally,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group's perception regarding the 12 item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 influence of two groups' experiences and their academic careers on perception degree about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was investigated. In some entries, the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with a higher educational degree and a higher librarian license grade,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lso, the library science students with a higher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a greater desire to work as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configured items were derived, and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concepts that defin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were re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ing data for proposing el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Also, central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correlated fields, the two groups' perception degrees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n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From henceforth, a follow-up study founded on this research that targets each group will be possible and can also be used as data for promo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pecialization and developing subject specialist training cour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1.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목 차
      • Ⅰ.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1.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1.3 연구의 제한점 4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 2.1 이론적 배경 5
      • 2.1.1 주제전문사서 5
      • 2.1.2 직업전문성 13
      • 2.2 선행연구 17
      • 2.2.1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및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17
      • 2.2.2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20
      • 2.2.3 직업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22
      • Ⅲ. 연구방법 25
      • 3.1 연구가설 25
      • 3.2 변인 측정 28
      • 3.2.1 독립변인 28
      • 3.2.2 종속변인 28
      • 3.3 연구설계 29
      • 3.3.1 연구대상 선정 29
      • 3.3.2 설문 구성 29
      • 3.4 분석방법 32
      •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4
      • 4.1 설문지 배포 및 회수 34
      • 4.2 신뢰도 검증 34
      • 4.3 요인분석 36
      • 4.3.1 교육적 배경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37
      • 4.3.2 경험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38
      • 4.3.3 실무적 지식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39
      • 4.3.4 실무적 기술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41
      • 4.3.5 업무능력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43
      • 4.3.6 인성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44
      • 4.4 표본조사 45
      • 4.4.1 대학도서관 실무자 45
      • 4.4.2 문헌정보학 전공학생 48
      • 4.5 가설 검증 49
      • 4.5.1 교육적 배경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49
      • 4.5.2 경험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51
      • 4.5.3 실무적 지식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52
      • 4.5.4 실무적 기술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55
      • 4.5.5 업무능력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57
      • 4.5.6 인성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 59
      • 4.6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 62
      • 4.6.1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인식 62
      • 4.6.2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67
      • Ⅴ. 결론 71
      • 참고문헌 75
      • 부 록 79
      • Abstract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