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사 발의를 활용한 초점 기반 다자대화 대화시스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74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자대화는 여러 명의 사람 간의 대화를 지칭하며, 두 명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대비된다. 일상적으로 여러명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에서 쉽게 일어나며,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온라인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여러명이 참여하기 때문에, 각 발화마다 직접적으로 연관이있는 현재 발화자와 발화 대상자 뿐만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듣는 간접적 참여자들도 존재하게 된다. 기존 대화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화자가 여러명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자대화 환경을 고려한 과거 연구의 경우 직접적인 참여관계만 반영하여 그래프로 모델링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직접적인 참여관계만 반영하게 되면 간접적인 참여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대화 양상에서는 대화 히스토리에 대한 적절한 응답 생성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참여관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참여관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개의 모듈로 기존 트랜스포머를 개선하는 SoPI 모델을 제안한다. 두 개의 모듈은 각각 초점 토큰 합산기와 발화자-발의 부분 임베딩으로 트랜스포머에 다자대화 해석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한다. 또한, 대화 히스토리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발의 개념을 도입해서, 대화의 초점을 찾음으로써 더욱 알맞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SoPI 모델은 다자대화 응답 생성 태스크인 Ubuntu IRC 벤치마크에서 실험 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이전 최고 성능 모델 및 다양한 기준 모델들을 뛰어넘는 우수한 성능을 기록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화 내 참여자 수의 변화가 각 모델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분석을 통해서 다각도로 제안하는 SoPI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번역하기

      다자대화는 여러 명의 사람 간의 대화를 지칭하며, 두 명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대비된다. 일상적으로 여러명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에서 쉽게 일어나며,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온라인...

      다자대화는 여러 명의 사람 간의 대화를 지칭하며, 두 명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대비된다. 일상적으로 여러명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에서 쉽게 일어나며,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온라인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여러명이 참여하기 때문에, 각 발화마다 직접적으로 연관이있는 현재 발화자와 발화 대상자 뿐만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듣는 간접적 참여자들도 존재하게 된다. 기존 대화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화자가 여러명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자대화 환경을 고려한 과거 연구의 경우 직접적인 참여관계만 반영하여 그래프로 모델링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직접적인 참여관계만 반영하게 되면 간접적인 참여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대화 양상에서는 대화 히스토리에 대한 적절한 응답 생성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참여관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참여관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개의 모듈로 기존 트랜스포머를 개선하는 SoPI 모델을 제안한다. 두 개의 모듈은 각각 초점 토큰 합산기와 발화자-발의 부분 임베딩으로 트랜스포머에 다자대화 해석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한다. 또한, 대화 히스토리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발의 개념을 도입해서, 대화의 초점을 찾음으로써 더욱 알맞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SoPI 모델은 다자대화 응답 생성 태스크인 Ubuntu IRC 벤치마크에서 실험 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이전 최고 성능 모델 및 다양한 기준 모델들을 뛰어넘는 우수한 성능을 기록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화 내 참여자 수의 변화가 각 모델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분석을 통해서 다각도로 제안하는 SoPI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party conversations commonly take place on online discussion platforms as well as in various off-line situations. For dialogue systems to effectively comprehend multi-party conversa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 nature of engagement between speaker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peaker. However, recent approaches only emphasize the direct engagement of a speaker and addressee, leaving out other indirectly participating interlocutors. In this work, we present a simple yet effective method, SoPI, which introduces two novel modules to capture the subtle variations in engagement level. We also introduce the concept of pseudo initiative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dialogue context as a key element in multi-party dialogue generation. Extensiv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the UbuntuIRC benchmark and SoPI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in all metrics including human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state-of-the-art model and various baselines.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varying number of interlocutors further show the effectiveness of SoPI in Multi-party conversations.
      번역하기

      Multi-party conversations commonly take place on online discussion platforms as well as in various off-line situations. For dialogue systems to effectively comprehend multi-party conversa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 nature of engag...

      Multi-party conversations commonly take place on online discussion platforms as well as in various off-line situations. For dialogue systems to effectively comprehend multi-party conversa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 nature of engagement between speaker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peaker. However, recent approaches only emphasize the direct engagement of a speaker and addressee, leaving out other indirectly participating interlocutors. In this work, we present a simple yet effective method, SoPI, which introduces two novel modules to capture the subtle variations in engagement level. We also introduce the concept of pseudo initiative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dialogue context as a key element in multi-party dialogue generation. Extensiv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the UbuntuIRC benchmark and SoPI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in all metrics including human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state-of-the-art model and various baselines.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varying number of interlocutors further show the effectiveness of SoPI in Multi-party convers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목적 1
      • 1-2 연구방법 5
      • 제2장 관련 연구 7
      • 2-1 발화자 모델링 연구 7
      • 제1장 서론 1
      • 1-1 연구목적 1
      • 1-2 연구방법 5
      • 제2장 관련 연구 7
      • 2-1 발화자 모델링 연구 7
      • 2-2 다자대화 대화시스템 8
      • 2-3 페르소나 추출 9
      • 제3장 제안 방법 10
      • 3-1 제안 시스템 구조 10
      • 3-2 SoPI 모델 12
      • 3-2-1 초점 토큰 합산기 모듈 12
      • 3-2-2 발화자-발의 부분 임베딩 모듈 13
      • 3-3 디코더 학습 14
      • 제4장 실험 방법 15
      • 4-1 데이터셋 15
      • 4-2 실험 및 평가 환경 16
      • 4-2-1 실험 환경 16
      • 4-2-2 평가 환경 16
      • 제5장 실험 결과 및 분석 18
      • 5-1 실험 결과 18
      • 5-1-1 각 방법론 별 성능 비교 18
      • 5-1-2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 20
      • 5-1-3 인적 평가 21
      • 5-2 실험 결과 분석 22
      • 5-2-1 합산 방법 분석 22
      • 5-2-2 대화 참여자 수에 따른 성능 분석 23
      • 5-2-3 대화 이해 태스크에 적용 24
      • 5-2-4 소극적인 참여 관계 분석 25
      • 5-2-5 유사 발의 분석 26
      • 5-2-6 사례 분석을 통한 정성 평가 28
      • 제6장 결론 32
      • 6-1 연구 성과 32
      • 6-2 향후 연구 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