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불교 상장례(喪葬禮) =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es as Seen Through Epitaphs of the Goryeo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1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재가자의 묘지명을 바탕으로 임종의례와 시다림, 다비의례 등 불교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임종의례의 경우, 불설관무량수불경과 불설무량수경, 불설...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재가자의 묘지명을 바탕으로 임종의례와 시다림, 다비의례 등 불교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임종의례의 경우, 불설관무량수불경과 불설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 등에 근거한 십육관(十六觀)과 십념(十念)이 통일신라 이래 고려에 전습되었으며, 8세기 초반에 신라에 유입된 불설무상경은 고려시대 재가자의 임종 행법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하였다. 한편 시다림 행법의 경우 범망경에 근거한 신라시대의 예와 함께, 불설관정수원왕생시방정토경에 따른 시다림 행법이 고려시대에 행해졌음을 말하였다. 한편 삼국 이래 행해진 다비는 고려시대에 민간에까지 확산되었음을 말하는 가운데, 이차장(二次葬)과 관련해 고려시대에 시행된 권안(權安)의 예와 의미를 설명하였다. 또한 묘지명에 기록된 묘장다라니(墓葬陀羅尼)의 전통과 관련해 불설관무량수불경 내지 현밀원통성불심요집 등이 고려 묘지명 내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분 출토의 범자경(梵字鏡) 역시 묘장다라니의 한 예로서 불교 상장례의 한 요소가 되었음을 말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rveys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uals(喪葬禮) by examining epitaphs(墓誌銘) of lay Buddhists of the Goryeo period. As for deathbed rites(臨終儀禮), the sixteen meditations(十六觀) and ten recollections(十念) based on t...

      This study surveys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uals(喪葬禮) by examining epitaphs(墓誌銘) of lay Buddhists of the Goryeo period. As for deathbed rites(臨終儀禮), the sixteen meditations(十六觀) and ten recollections(十念) based on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Sukhavati-vyuha Sutra(佛說無量壽經), and Amitabha Sutra(阿彌陀經), which had been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performed. The Anityata Sutra(無常經), transmitted to Sil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appears to have impacted deathbed rites of lay Buddhists during the Goryeo period.
      A funerary rite, known as Sitarim(屍多林) and based on the Dharma Net Sutra(梵網經), was performed in the Silla period, and another practice following the teaching of the Foshuo guanding suiyuan wangsheng shifang jingtu jing(佛說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 was also carried out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cremation(茶毘), which began to be practi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dopted by lay Buddhists in the Goryeo period. This study also examines cases of “kwonan(權安),”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temporary placement of the body at Buddhist temples, and elaborates upon its meaning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secondary burials(二次葬). With regard to the practice of funerary dharani(墓葬陀羅尼), it shows that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or Xianmi yuantong chengfo xinyao ji(顯密圓通成佛心要集) influenced the contents of Goryeo epitaphs.
      It further demonstrates that bronze mirrors with Sanskrit letters(梵字鏡) found within tombs were also formed a part of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es during the Gorye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석, "藍史鄭在覺博士古稀記念 東洋學論叢" 고려원 1984

      2 정각(문상련), "한국의 불교의례" 도서출판 운주사 2001

      3 김용덕, "한국민속학연구논집–관혼상제 15" 거산 1998

      4 정각, "천수경연구" 도서출판 운주사 1996

      5 김상현, "원효의 미타증성게" 동국대학교사학회 6 : 1987

      6 김용선,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하, 개정중판)"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7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고시"

      8 강인구, "백제고분연구" 일지사 1977

      9 종석(전동혁), "밀교의 수용과 그것의 한국적 전개" 中央僧伽大學 6 : 1995

      10 이난영,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장례고"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1 최재석, "藍史鄭在覺博士古稀記念 東洋學論叢" 고려원 1984

      2 정각(문상련), "한국의 불교의례" 도서출판 운주사 2001

      3 김용덕, "한국민속학연구논집–관혼상제 15" 거산 1998

      4 정각, "천수경연구" 도서출판 운주사 1996

      5 김상현, "원효의 미타증성게" 동국대학교사학회 6 : 1987

      6 김용선,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하, 개정중판)"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7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고시"

      8 강인구, "백제고분연구" 일지사 1977

      9 종석(전동혁), "밀교의 수용과 그것의 한국적 전개" 中央僧伽大學 6 : 1995

      10 이난영,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장례고"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11 이승혜, "농소고분(農所古墳) 다라니관(陀羅尼棺)과 고려시대 파지옥(破地獄) 신앙"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341-381, 2019

      12 안지원, "고려후기 금석문을 통해 본 불교의례의 새로운 동향" 한국역사연구회 (80) : 123-153, 2011

      13 김수연, "고려전기 금석문 소재 불교의례와 그 특징" 한국역사연구회 (71) : 33-61, 2009

      14 정길자, "고려시대 화장에 대한 고찰" 부산사학회 7 : 1983

      15 박혜원, "고려시대 아미타내영도와 임종의례의 관련성 시론" 국립중앙박물관 (80) : 45-68, 2011

      16 김인호, "고려시대 국왕의 장례절차와 특징" 한국중세사학회 (29) : 265-299, 2010

      17 박진훈, "고려시대 관인층의 장례기간 분석 -묘지명 자료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59) : 81-129, 2016

      18 박진훈, "고려시대 官人層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국학연구원 (172) : 67-93, 2015

      19 정길자, "고려귀족의 조립식 석관과 그 線刻畵 연구" 역사학회 (108) : 1985

      20 박진훈,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官人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35) : 141-176, 2006

      21 이난영, "高麗鏡 硏究" 도서출판 신유 2003

      22 주영민, "高麗墳墓 출토 銅鏡 연구" 영남고고학회 (56) : 131-170, 2011

      23 김용선,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24 "高麗史"

      25 "顯密圓通成佛心要集(TD, 46)"

      26 엄기표, "韓國 梵字 眞言銘 銅鏡의 特徵과 意義" 역사문화연구소 (58) : 35-82, 2016

      27 "阿彌陀經疏 (韓佛全, 1)"

      28 "續古今譯經圖紀 (TD, 55)"

      29 "無量壽經宗要 (韓佛全, 1)"

      30 허일범, "淳昌 雲林里 農所古墳"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6

      31 엄기표, "淳昌 雲林里 農所古墳"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6

      32 "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 (TD, 24)"

      33 鄭吉子, "新羅藏骨容器硏究" 崇田大學校 大學院 1979

      34 "彌陀證性偈 (韓佛全, 1)"

      35 "大乘莊嚴寶王經(TD, 20)"

      36 "增補文獻備考"

      37 문상련(정각), "喪葬禮에 나타난 往生 彌陀淨土 행법 - 한국 所傳 行法의 형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정토학회 6 : 2003

      38 "佛說阿彌陀經 (TD, 12)"

      39 "佛說觀無量壽佛經 (TD, 12)"

      40 "佛說無量壽經 (TD, 12)"

      41 "佛說無常經 (TD, 17)"

      42 "佛說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 (TD, 21)"

      43 "三國遺事"

      44 김용선,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출판부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OJOSASANG, Journal of Bojo Thought -> 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3 1.60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