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미지는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장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영상분야와 사운드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이미지를 감상할 때 배경음악이 흐르면 내러티브의 주제를 분명하게 전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73357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예술학협동과정 , 2019. 2
2019
한국어
서울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ving image and musical pattern
[7], 186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김면
참고문헌: p. 174-182
I804:11040-0000001506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상이미지는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장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영상분야와 사운드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이미지를 감상할 때 배경음악이 흐르면 내러티브의 주제를 분명하게 전달...
영상이미지는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장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영상분야와 사운드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이미지를 감상할 때 배경음악이 흐르면 내러티브의 주제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배경음악에서 일정한 유형의 리듬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음악패턴이라 한다. 음악패턴은 영상화면과 조화를 이루어 관객의 기억에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한다. 영상이미지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음악패턴은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나 사건의 암시 등에 사용되어 극의 전개를 파악하고 다음 장면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음악패턴의 반복은 감각을 단순화하여 집중 시켜나감으로써 관객의 분산된 신경을 모아줌으로써 보다 기억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은 영상이미지에서 배경음악으로 자주 등장하는 음악패턴에 대하여 분석해 나감으로써 관객의 기억에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음악패턴의 핵심 요소는 리듬이다. 리듬의 변화와 균형감은 배경음악과 내러티브에 잘 어울리는 역동적 사운드로 이끌 수 있다. 음악패턴을 구성하는 리듬의 주요 변인은 시간성과 공간성이다. 리듬은 영상이미지에서 서로 다른 요소인 시간성과 공간성의 굴곡에 놓인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룬다. 시간성과 공간성은 영상이미지 상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보다는 리듬이 매개역할을 하여 지각적 자극과 활력 요소를 확장해 나간다. 리듬패턴의 반복성은 극 중의 사건이나 리듬의 변화로 연속성을 이어가면서 이것은 다시 역동성으로 연결된다. 역동성은 시청각적 대위법을 사용한 몽타주를 적용함으로써 효과를 낼 수 있다. 인간의 음악적 지각구조는 느린 템포의 영상흐름에 비하여 비교적 빠른 흐름에서 역동성이 많이 유발되기에 단기기억에 저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음악을 청취하며 근육운동이 동원되면서 그룹화와 부호화를 거쳐 단기기억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패턴의 반복형태는 자동화 과정을 거쳐서 단기기억 단계로 진입이 가능하다. 단기기억으로부터 장기기억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부호화 과정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음악의 부호화는 리듬의 요소로서 부여할 수 있고 리듬은 강도와 관련이 가장 크다. 관객의 단기 기억 속에 저장된 이미지를 유사하게 영상화한 장면으로부터 음악이 부호화의 역할을 하게 되면 장기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음악의 부호화가 영상과 사운드와의 일치성을 이루면 장기기억의 지속효과를 최대로 이끌어 내게 된다. 즉 음악패턴의 강도가 영상화면과 사운드에서 최고의 조화점을 이룬다면 관객의 기억에 영원히 보관되는 장기기억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차이의 반복 형태는 선율과 리듬의 조화를 인지하기 위한 지각 자극을 더욱 요구하기에 단순 반복에 비하여 두뇌 기억능력을 향상시킨다. 음악 형식 중에서 변주곡 형태가 기억에 가장 오래 남는 음악패턴 형태의 특징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어서 장기기억에 저장될 가능성이 높다. 실험에 의하면 영상이미지에서 시간성과 공간성을 변인으로 하는 가운데 리듬을 연속과 불연속의 조건을 달리 하였을 때 불연속의 조건에 비하여 연속적 조건에서 관객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듬의 반복 패턴은 빠른 속도의 음악패턴이 느린 경우에 비하여 영상화면과 조화를 이루어 기억에 더욱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이미지에서 음악패턴은 규칙과 불규칙성이 변화와 조화를 이룸으로써 긴장감을 조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영상이미지 소비시대의 빠른 발전에 따라 사운드인식의 저변을 확대하는 의미에서 영상이미지에 나타나는 음악패턴이 관객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악패턴을 다양한 영상미디어에 활용하여 영상수용자들의 높아지는 기대 욕구를 충족시켜 나가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서덕원, "『재즈리듬』", 오픈하우스, 2014
2 이진경, "『노마디즘 2』", 휴머니스트, 2002
3 이재신, "『영화음악론』", 해드림출판사, 2016
4 김경숙, "『음악치료법』", 시그마프레스, 2015
5 최현주, "『영상 제작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6 미셀, 시옹, "『영화와 소리』", 민음사, 2000
7 미셀, 시옹, "『오디오-비전』", 한나래, 2004
8 이원덕, 정희구, "『Making Film Sound』", 여울미디어, 2007
9 김호영, "「영화이미지학」", 문학동네, 2014
10 정현주, "『음악심리치료』", 학지사, 2010
1 서덕원, "『재즈리듬』", 오픈하우스, 2014
2 이진경, "『노마디즘 2』", 휴머니스트, 2002
3 이재신, "『영화음악론』", 해드림출판사, 2016
4 김경숙, "『음악치료법』", 시그마프레스, 2015
5 최현주, "『영상 제작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6 미셀, 시옹, "『영화와 소리』", 민음사, 2000
7 미셀, 시옹, "『오디오-비전』", 한나래, 2004
8 이원덕, 정희구, "『Making Film Sound』", 여울미디어, 2007
9 김호영, "「영화이미지학」", 문학동네, 2014
10 정현주, "『음악심리치료』", 학지사, 2010
11 김남수, 이영철, "『백남준의 귀환』", 백남준아트센터, 2011
12 아이디, "『소리의 현상학』", 예전사, 2006
13 미셀, 시옹,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2005
14 지명혁, "『영화예술의 이해』", 집문당, 2000
15 한상준, "『영화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16 David Norman,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7 피에르, "게엔, 『영화제작론』", 시그마프레스, 2004
18 박유미, "「음악심리학의 이해」", 음악춘추사, 2004
19 이석원, "「음악심리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 5호, 1995
20 주창윤, "『영상이미지의 구조』", 나남, 2003
21 목혜정, "『영화사운드의 이해』", 아모르몬디, 2016
22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5
23 박정진, "『빛의 철학 소리철학』", 소나무, 2013
24 송낙원, "『영화 연출부 매뉴얼』",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5 민병록, "『세계영상기술발달사』", 문지사, 2001
26 오몽, 자크, "『영화 작품분석 - 1988)』", 아카넷, 2016, 1934
27 R.Hass, V. Brandes, "『음악, 그 이상의 음악』", 교육과학사, 2011
28 최유준, "『음악문화와 감성정치』", 작은이야기, 2011
29 한국음악지각인지학회, "『음악의 지각과 인지 I』", 음악세계, 2005
30 음악미학연구회, "『음악 말보다 더 유창한』", 음악세계, 2012
31 진중권, "『서양미술사_모더니즘 편』", 휴머니스트, 2011
32 심영섭, "『영화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33 Michael H., "Thaut, 『리듬, 음악 그리고 뇌』", 학지사, 2009
34 최유리, "『필름을 위한 사운드디자인』", 예솔, 2000
35 제임스, "J. 깁슨, 『지각체계로 본 감각』", 아카넷, 2013
36 최익환, "『꼭 알아야 할 영화 후반작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7 마틴, "러스, 『소리의 합성과 샘플링』", FOCAL PRESS, 2008
38 윤신향, "「현대음악과 영상(映像)의 문제」", 미학․예술학 연구 통권 29호, 2005
39 임운주, "「애니메이션 사운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권 6호, 2009
40 이동재, "『영상을 위한 사운드디자인 입문』", 한국학술정보, 2003
41 제틀, 허버트, "『영상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2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3 김정희, "「확정된 텍스트로서의 음악과 영상」", 낭만음악 39권, 1998
44 한스, "크리스찬 슈미트,『영화 음악의 실제』", 영화진흥공사, 1982
45 지명혁, "「영화에 있어서 시각적 표현의 방법론」", 프랑스문화연구 2집, 2000
46 이기호, "「증강현실의 공간적 개념에 관한 연구」", 예술과 미디어 제12권 4호, 2012
47 박은경, "『히치콕감독과 버나드 허먼의 영화음악』", 예솔, 2000
48 김기범, "「뮤직비디오의 시각적 몰입감 분석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8권, 2014
49 김은혜, "「다양한 소리의 객체를 담은 영화 사운드」", 씨네포럼 통권27호, 2017
50 최학연, "「Digital Book Interface에서 증강현실 기술 응용」", 디지털디자인연구 8권1호, 2008
51 김옥랑, 이종상, "「영상의 혼돈미학 Ⅲ-영상공간의 혼돈미학」", 미학․예술학 연구 통권 제 18호, 2003
52 박은정, "「음악정보처리와 음악적 기억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3 왕택근, "「표현기호로서의 영화적 리듬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5권, 2010
54 목혜정, "「영화 사운드 연출과 수용방식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55 이상윤, "「영화의 소리가 시공간성 해석에 주는 의미」", 음악교육공학 15호, 2012
56 이동재, "『영상사운드 라디오드라마 게임사운드제작』", 이단, 2009
57 최승원, "「영화영상에서 표현된 리듬형성의 유형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권 3호, 2014
58 구경은, "「영화 음악의 역할 : 영화적 요소로서의 기능」",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59 이상윤, "「영화와 주제음악의 형식적 관계성에 관하여」", 음악과 민족 40호, 2010
60 현경실, "「장면의 분위기에 따른 배경음악의 자동작곡」", 대구교육대학교논문집 31호, 1996
61 허철, "「‘에워싼’ 사운드의 시화 기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6권 1호, 2010
62 박유미, "“연주자의 작품 표상을 위한 음악적 내러티브.”", 음악논단 37호, 2017
63 김서경, "「창의적 음악 사고를 위한 영상자료 활용 방안」", 음악교육. 제7호, 2007
64 최현주, "『영상문법 - 영상연출과 편집을 위한 기본 원리』", 한울아카데미, 2011
65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공간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권 5호, 2016
66 영상기술센터 편집부, "『멀티미디어용 필름사운드 마스터링에 관한 연구』", 영화진흥회, 2012
67 유회종, "「영상음향의 구조가 수용자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68 오호준, "「영화사운드 시간성과 시간성 표현의 물리적 속성」",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4권 6호, 2017
69 조광제, "「유비쿼터스 공간의 매체 철학적 함축에 대한 고찰」", 시대와 철학18권, 2007
70 배상준, "「시청각적 유사성의 패턴을 이용한 영화의 장면전환」", 한국언어문화 48집, 2012
71 사이토, "히로시, 『음악심리학- 마음을 컨트롤하는 소리의 기술』", 스카이, 2011
72 김완석, "「반복사운드 활용이 게임유저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0권 3호, 2010
73 박숙영, "「시각매체로서의 소리가 사용된 오브제-환경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10호, 2010
74 박정순, "「디지털 게임에서 소리(Sound)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0권, 2011
75 최원호, "「영상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영상문화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학연구 제11집, 2007
76 윤대선,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감성과 소통의 연구」, 해석과 연구 27집", 철학과현실사, 2011
77 서인정, "「20세기 후반 음악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포스트모던적 다양성」", 미학․예술학 연구 통권 제30호, 2009
78 곽봉철,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 환경과 콘텐츠 역할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11권3호, 2008
79 이상윤, "「영상과 음악의 리듬으로 형성되는 영화의 시청각적 리듬 특성」", 음악교육공학 13호, 2012
80 이내선, "『대위적 화성의 역사: 선법음악의 음정에서 조성음악의 화음으로』", 심설당, 2015
81 이상윤, "「뮤직비디오의 음악적 공간과 영상적 공간의 관계 분석에 관한 제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 회논문지 10권 2호, 2016
82 김연화, "「상업영화 속 음악 장면에서 시각적, 음악적 템포의 정량적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5
83 김진곤, "「미디어 재매개적 관점에 의한 증강현실 가상성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2권 4호, 2011
84 방영주, "「디지털 게임 효과음의 실재감이 사용자 경험과 뇌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3호, 2015
85 정진아,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물질성에서 비물질성으로의 이 행에 관한 연구」", 한국영상학 회논문집 제14권 5호, 2016
86 목혜정, "「현대영화에 적용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수직적 몽타주와 그에 따른 사운드 몽타주로 의 이행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36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