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시대 상례 복식 문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9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죽음에 관한 의식형태를 ‘상장례(喪葬禮)’라고 한다. 상장례는 망자(亡者)를 ‘이승’에서 ‘저승’으로 떠나보내는 마지막 의례(儀禮)로서 망자의 죽음을 인식한 순간부터 매장(埋葬)에 ...

      죽음에 관한 의식형태를 ‘상장례(喪葬禮)’라고 한다. 상장례는 망자(亡者)를 ‘이승’에서 ‘저승’으로 떠나보내는 마지막 의례(儀禮)로서 망자의 죽음을 인식한 순간부터 매장(埋葬)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 의례행위이다. 이러한 상장예식에서 가장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바로 예복(禮服)인 ‘상복(喪服)’이다. 상복은 망자에 대한 애도(哀悼)와 미안함이 철학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고려는 불교국가로서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웠지만 삼국 시대부터 보급된 유학이 고려 성종 때부터 확산되었다. 그러나 귀족과 관인(官人) 층에서도 화장(火葬)한 사례 나타났는데 화장은 고려가 불교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장례방법이다. 이렇듯 화장이 유행했던 고려시대에는 제사나 장례가 사찰에서 행해졌으며, 가묘(家廟)는 일반화되어 있지 않았다. 집에서 임종(臨終)한 경우 빈소를 사찰로 옮겨 장례를 치렀으며, 심지어 사찰에서 임종을 맞은 경우도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제사도 가묘제사를 하지 않고 사찰에서 재(齋)를 올렸다. 그리고 제사의 주관도 아들‧딸의 구분 없이 행해졌는데, 이것을 ‘윤행(輪行)’‧‘윤회봉사(輪廻奉祀)’라 하며 재를 준비하기 위한 비용도 아들과 딸이 균등하게 부담하였다. 당시에는 아들과 딸이 균등하게 상속받았으므로 딸도 제사에 참여 할 수 있었다.
      고려에서는 계층에 따른 다양한 장례방법이 존재했다. 왕실에서는 주로 유가식(儒家式) 매장을 하였고 귀족 및 관인(官人) 계층 에서는 유가식(儒家式) 매장과 불교식 화장도이 함께 행해졌다. 또한 서인층에서는 주로 전통적 방식의 복차장의 매장법과 더불어 간혹 시체를 그대로 산야에 방치해 두는 풍장(風葬)도 행해졌다.
      오복제(五服制)는 친족의 대상에 따라 상복을 구분하는 제도로 고려는 성종 4년(985)에 도입하였다. 그러나 고려에서는 고려의 상황에 맞게 상기를 다르게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의례(儀禮)』나 조선조의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외할아버지를 위한 상복은 소공(小功) 5월로 하였는데 반해, 고려는 재최(齊衰) 1년으로 변경하였다. 처부모를 위한 상복 또한 시마(緦麻) 3월이었으나, 고려에서는 소공(小功) 5월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명종 14년(1184)에는 처부모복을 소공(小功) 5월에서 재최(齊衰) 1년으로 더욱 무겁게 높여 변경하였다. 처와 외가의 복(服)을 유가식(儒家式) 상기(喪期)보다 더 높여 시행했다.
      또한 삼년상(三年喪)도 본격적으로 시행하지 않았는데 왕은 물론이고 관리, 특히 군관(軍官)이 삼년상을 치르는 데는 많은 무리가 따랐다. 문종 8년(1054)에 방어관(防禦官)은 부모상에 100일이 되면 부임하게 하였고, 충렬왕 7년(1281)에는 사졸은 비록 부모상을 당했더라도 50일이 지나면 종군하게 하였다. 고려시대에 삼년상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상주(喪主)의 여묘(廬墓)생활도 잘 지켜지지 않았다. 지배층들은 노비에게 분묘를 지키도록 하고 3년이 지나면 양인으로 신분을 상승시켜 주기도 하였다.
      고려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사상과 철학이 혼재된 사회였다. 이와 같은 사회 분위기는 왕실의 유가식 상례와 귀족, 관인 층의 불교식 상례, 일반 서인 층의 전통식 상례 등 다양한 상례가 공존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가의 종법질서를 대변하는 오복제도의 역할이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유교식 전례를 따랐던 왕실에서 조차 실용적인 의미에서의 역월제(易月制)를 통해 복상기간을 축소하였고, 오히려 유가로부터 화장(火葬)의 장례법에 대해 비난을 받아온 불가의 승려들이 유교의 예를 따라 사승의 상(喪)에 변형된 최복(衰服)을 착용하는 모습이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및 의의 1
      • 제2절 선행연구 고찰 5
      • 제3절 연구 내용과 및 방법 22
      • 제4절 연구자료 2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및 의의 1
      • 제2절 선행연구 고찰 5
      • 제3절 연구 내용과 및 방법 22
      • 제4절 연구자료 26
      • 제5절 상장(喪葬)의 용어개념 30
      • 제2장 고려 이전 상례(喪禮) 복식 문화 고찰 33
      • 제1절 장례문화의 발생 33
      • 1. 장례행위와 무덤 33
      • 2. 구석기 시대의 장례 행위 37
      • 3.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장례행위 흔적 43
      • 제2절 유가식(儒家式) 상례 복식의 성립 45
      • 1. 유가식 상례문화의 기원 45
      • 2. 유가(儒家)에서의 죽음 관 49
      • 3. 다양한 죽음에 관한 용어 51
      • 4. 상례 복식의 성립 59
      • 5. 오복제도(五服制度)의 구조 64
      • 제3절 기록에 나타난 고려 이전 우리나라 상례복식문화 고찰 83
      • 1. 장례 방법 83
      • 2. 상례 제도 85
      • 3. 상복 제도 86
      • 제3장 고려시대 상장례 복식문화 고찰 97
      • 제1절 고려시대 상장례 양식 97
      • 1. 『고려사(高麗史)』에 나타난 왕실의 상례(喪禮) 97
      • 가. 『고려사』의 편찬 배경 및 구조 97
      • 나. 『고려사』에 나타난 태조의 유조 분석 100
      • 다. 고려율령에 보이는 고려시대의 상례 제도 120
      • 2. 묘지명 분석을 통한 관인(官人)층의 상장례 131
      • 가. 화장(火葬)이 확실시되는 묘지명 분석 136
      • 나. 묘지명에 나타난 고려시대 관인층의 장례풍속 164
      • 3. 일반 서인 층의 상장례 176
      • 제2절 고려시대의 상례 복식 문화 179
      • 1. 유가식 상복의 적용 179
      • 2. 승려의 상복제도 183
      • 제4장 고려시대 상례 복식 문화의 특징 및 사회적 기능 190
      • 제1절 고려시대 상장례의 특징 190
      • 제2절 고려시대 상례 복식의 사회적 기능 196
      • 제5장 결론 199
      • 참고문헌 204
      • ABSTRACT 22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승민, "10~12세기 하생신사 파견과 고려-거란 관계 역사와 현실 89 2016, 고려 시대 國喪절차와 삼년상 史學硏究 122 2017, 고려 國喪에 대한 거란 금 송의 弔問使行양상과 다층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48 2017", 10세기 국제정세와 고려의 외교 자세 한국중세사연구 51, 2013

      2 이민홍, "諡法", 서울: 문자향, 2005

      3 김시덕, "상례", 누구를 위한 의례인가 민속학연구 7, 2000

      4 고려사, 형법지, 채웅석, 고려사, 백관지, 박용운, "역주", 서울: 신서원, #REF!

      5 이준영, "주례", 서울:자유문고, 2002

      6 강호선, "강호선", 宋 元代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歷史學報 206, 2010

      7 강호선, "강호선", 조선전기 국가의례 정비와 ‘국행’수륙재의 변화 한국학연구 44, 2017

      8 강호선, "강호선", 고려 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설행의 의미 불 교연구 38, 2013

      9 문형만, "문형만", 高麗特殊官府硏究 釜山史學 9, 1985

      10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 31 2008,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 동양철학 연 구 54 2011, 덕치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즉위의례 한국실학연구 21 2016", 鄭玄禮學의 이론 구성적 성격-정현 三禮學과 古禮의 재구성 태 동고전연구 36, 2007

      1 이승민, "10~12세기 하생신사 파견과 고려-거란 관계 역사와 현실 89 2016, 고려 시대 國喪절차와 삼년상 史學硏究 122 2017, 고려 國喪에 대한 거란 금 송의 弔問使行양상과 다층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48 2017", 10세기 국제정세와 고려의 외교 자세 한국중세사연구 51, 2013

      2 이민홍, "諡法", 서울: 문자향, 2005

      3 김시덕, "상례", 누구를 위한 의례인가 민속학연구 7, 2000

      4 고려사, 형법지, 채웅석, 고려사, 백관지, 박용운, "역주", 서울: 신서원, #REF!

      5 이준영, "주례", 서울:자유문고, 2002

      6 강호선, "강호선", 宋 元代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歷史學報 206, 2010

      7 강호선, "강호선", 조선전기 국가의례 정비와 ‘국행’수륙재의 변화 한국학연구 44, 2017

      8 강호선, "강호선", 고려 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설행의 의미 불 교연구 38, 2013

      9 문형만, "문형만", 高麗特殊官府硏究 釜山史學 9, 1985

      10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 31 2008,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 동양철학 연 구 54 2011, 덕치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즉위의례 한국실학연구 21 2016", 鄭玄禮學의 이론 구성적 성격-정현 三禮學과 古禮의 재구성 태 동고전연구 36, 2007

      11 김한규, "天下國家", 서울: 소나무, 1999

      12 장경희, "고려왕릉", 서울: 예맥, 2008

      13 왕의, 임민혁, "이름, 묘호", 서울: 문학동네, #REF!

      14 김용천, "의례 역주 6", 서울: 세창출판사, 2014

      15 장동우, "의례 역주 7", 서울: 세창출판사, 2014

      16 곽성문, "춘추공양전", 서울: 인간사랑, 2015

      17 허흥식, "韓國金石全文", 서울: 亞細亞文化社, 1984

      18 민현구, "高麗政治史論",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19 변태섭, "高麗史의 硏究", 서울: 삼영사, 1982

      20 안병우, "개방성과 고려", 그리고 현재의 동아시아 한국중세사연구 42, 2015

      21 안주섭, "고려 거란 전쟁", 서울: 경인문화사, 2003

      22 신동준, "역, , 사기 본기", 서울: 학오재, 2016

      23 나희라, "7~8세기 唐, 新羅", 日本의 國家祭祀體系비교 한국고대사연구 33, 2004

      24 권덕영, "古代韓中外交史", 서울: 一潮閣, 1997

      25 전해종, "韓中關係史硏究", 서울: 일조각, 1970

      26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 서울: 일조각, 1993

      27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서울: 한림대학교출판부, 2003

      28 심경진, "고려시대 연력표", 서울: 한국천문연구원, 1999

      29 정용숙, "고려시대의 后妃", 서울: 민음사, 1992

      30 김갑동, "고려전기 정치사", 서울: 일지사, 2005

      31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3

      32 장동익, "宋代麗史資料集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3 지두환, "朝鮮前期儀禮硏究",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34 高麗史選擧志譯註, "高麗史選擧志譯註", 서울: 경인문화사, 2012

      35 심재석, "高麗國王冊封硏究", 서울: 혜안, 2002

      36 류, "류 수, , 예의 정신", 서울: 東文選, 1994

      37 나영남, 조복현, 이계지, "역, , 요 금의 역사", 서울: 신서원, 2014

      38 고병익, "東亞交涉史의 硏究",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39 최연식, "韓國金石文集成 (27)", 서울: 韓國國學振興院 靑溟文化財團, 2013

      40 공병석, "예기 상례의 인문관", 서울: 학고방, 2013

      41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42 신채식, "宋代對外關係史硏究",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8

      43 이상옥, "新完譯禮記 상 중 하", 서울:明文堂, 2003

      44 이범직, "韓國中世禮思想硏究", 서울: 일조각, 1991

      45 최재석, "韓國古代社會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7

      46 김순자, "高麗中世韓中關係史", 서울: 혜안, 2007

      47 윤용혁, "高麗對蒙抗爭史硏究", 서울: 일지사, 1991

      48 김순자, "고려전기의 거란[요]", 여진[금]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연구 26, 2009

      49 김지영, "즉위식, 국왕의 탄생", 서울: 돌베개, 2013

      50 김재만, "契丹 高麗關係史硏究", 서울: 국학자료원, 1999

      51 고병익, 원과의, "관계의 변천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REF!

      52 류선영, "高麗太祖의 6王后硏究",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3 채미하,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서울: 혜안, 2008

      54 한형주, "朝鮮初期國家祭禮硏究", 一서울: 潮閣, 2002

      55 안희재, "朝鮮時代國喪儀禮硏究",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6 남인국, "高麗中期政治勢力硏究", 서울: 신서원, 1999

      57 박윤미, "高麗前期外交儀禮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58 이정훈, "高麗前期政治制度硏究", 서울: 혜안, 2007

      59 정동훈, "高麗時代外交文書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0 박옥걸, "高麗時代의 歸化人硏究", 서울: 국학자료원, 1996

      61 이진한, "고려시대 송상왕래 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2011

      62 안지원, "고려의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63 김철웅, "한국중세의 吉禮와 雜祀", 서울: 경인문화사, 2007

      64 정동훈,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홍무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 심으로 역사와 현실 89 2015,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역사와 현실 98 2016, 고려-남송 외교 관계에서 商人의 역할 동서인문학 51 2017", 冊과 誥命- 고려시대 국왕 책봉문서 사학연구 126, 2013

      65 구성희, "?漢代厚葬風俗과 薄葬論?", 史林, 2001

      66 홍승현, "고대 중국의 예제와 예학", 서울: 혜안, 2014

      67 이희덕,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 서울: 一潮閣, 1984

      68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1 2", 서울: 경인문화사, 2014

      69 박한남, "高麗의 對金外交政策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70 조우현, "朝鮮時代喪服에 關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71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서울: 혜안, 1993

      72 김대식, "고려전기 중앙관계의 성립", 서울: 경인문화사, 2010

      73 반고, "반고, 신정근 역, 백호통의", 서울: 소명출판, null

      74 방향숙, "한중 외교관계와 조공책봉",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2005

      75 이석현, "송 고려의 외교교섭과 인식", 대응-북송말 남송초를 중심으로 中 國史硏究 39, 2005

      76 이근명, "송원시대의 고려사 자료 1 2", 서울: 신서원, 2010

      77 이상아, "이상아 외, 국역 의례-상례편",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5

      78 高麗時代對外關係史綜合年表, "高麗時代對外關係史綜合年表",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79 하일식,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서울: 혜안, 2007

      80 서긍, "민족문화추진회 역, 고려도경", 서울: 서해문집, null

      81 김용천, 장동우, "중국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 서울: 동과서, 2007

      82 도현철, "高麗末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서울: 一潮閣, 2002

      83 전해종, "고려와 송과의 관계 東洋學 7 1989", 고려와 송과의 교류 국사관논총 8, 1977

      84 문형만, "문형만, , 高麗諸司都監各色硏究", 서울: 第一文化史, 1986

      85 이정신,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서울: 경인문화사, 2004

      86 이규철,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7 오기승, "13-14世紀麗蒙接境地域高麗人勢力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88 김윤정, "고려 원 관계 추이와 복식문화의 변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89 역사학회, "역사학회, ,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서울: 일조각, 2006

      90 도현철, "12세기 公 私禮와 金富軾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 혜안 2003, 원간섭기 ?사서집주?이해와 성리학 수용 역사와현실 49 2004, 고려말 經 權道의 활용과 體制保守 역사와 담론 37 2009, 종법의 관점에서 본 고려말 왕권의 변동 한국사학보 35 2014", 이숭인의 정치활동과 성리학적 예제 인식 퇴계학보 135, 2000

      91 이, "이 욱, ,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서울: 민속원, 2017

      92 이익주, "高麗 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政治體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93 강선정, "조선중기 이후 가사(袈裟)의 유형과 변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94 장호수, "개성지역 고려왕릉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혜안, 2000

      95 김혜원, "麗元王室通婚의 成立과 特徵 梨大史苑 24?", 25, 1989

      96 이기백, "高麗初期에 있어서의 五代와의 관계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1 2003, 高麗 元王室通婚의 政治的의미 韓國史論 49 2013,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의 한 측면 동국사학 54 2015, 고려-몽골 간 使臣들의 활동 양상과 그 배경 한국중세사연구 43 2015", 元宗代고려 측 對몽골 정례적 의례적 사행 양상과 그 배경 한국 문화 69, 1959

      97 임석재, "예(禮)로 지은 경복궁: 동양 미학으로 읽다", 서울: 인물과 사상, 2015

      98 김순미, "불가(佛家)의 상례(喪禮)와 승상복도(僧喪服圖)", 동양한문학연구, 21, 2005

      99 하워드, "웨슬러 저, 임대희 역,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서울: 고즈윈, null

      100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편 ,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서울: 두산동아, 2005

      101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 역주 한원",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8

      102 이제현의, 최봉준, "성리학적 역사관과 전통문화인식 韓國思想史學 31", 고려 태조∼현종대 다원적 사상지형과 왕권 중심의 사상정책 한 국중세사연구 45, 2016

      103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서울: 민속원, 2012

      104 최진묵, "중국 고대 孝이념의 형성과 그 변화 효학연구 1 2010", 漢書 禮樂志의 세계 역사문화연구 37, 2004

      105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 祭禮 한국고대사연구 65 2012", 신라의 흉례 수용과 그 의미 韓國思想史學 42, 2012

      106 홍승현, "中國古代禮制硏究의 傾向과 課題 中國史硏究 36 2008", 晉代喪服書의 편찬과 성격 東洋史學硏究 102, 2005

      107 이미지, "이미지, ,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 관계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2

      108 양승이, "한국의 상례-한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서울: 한길사, 2010

      109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110 앤거스 그래이엄 저, 나성 역, 2015, 도의 논쟁자들, "앤거스 그래이엄 저, 나성 역, , 도의 논쟁자들(개역판)", 서울: 새물결, 2015

      111 한규철, "高麗來投 來往契丹人-渤海遺民과 관련하여 한국사연구?", 47, 1984

      112 이바른, "거란의 ‘고려사신의례’ 구성과 의미 역사와현실 98 2017", 고려 예종대 胡宗旦의 행적과 평가 한국민족문화 64, 2015

      113 박경안, "고려전기 다원적 국제관계와 국가 귀속감 동방학지 129 2016", 고려시대 神觀에 관한 연구-의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53, 2005

      114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 중세사회의 변화와 조선건국", 서울: 혜안, 2005

      115 와타나베, "와타나베 요시히로 저, 김용천 역, , 후한 유교국가의 성립", 서울: 동과서, 2011

      116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서울: 혜안, 2005

      117 박용운, "高麗 宋交聘의 목적과 使節에 대한 考察(上) 韓國學報 21 1996", 高麗 宋交聘의 목적과 使節에 대한 考察(下) 韓國學報 22, 1995

      118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 서울: 경인문화사, 2010

      119 민현구, "高麗恭愍王의 反元的改革政治에 대한 一考察 진단학보 68 1998", 高麗前期의 對外關係와 國防政策-文宗代를 중심으로 亞細亞硏究 41, 1989

      120 임형수, "高麗後期禿魯花의 性格變化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고려 케시크(怯薛)의 기능과 개혁 방향 민족문화연구 60, 2008

      121 김위현, "契丹社會文化史論, 서울: 景仁文化社 2004, 高麗時代對外關係史硏究", 서울: 景仁文化社, 2004

      122 이정란, "이정란, , 고려 肅宗妃明懿太后의 정치적 위상 한국인물사연구 6 2011", 고려 宣宗妃思肅太后와 仁宗妃恭睿太后 한국인물사연구 16, 2006

      123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서울: 신서원 2011,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서울: 경인문화사, 2002

      124 조우현, "?사례편람(四禮便覽)에 기초한 남자 상복(喪服)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 服飾, 66(8), 2016

      125 김용선, "역주 고려 묘지명 집성 상, 강원도: 한림대학교출판부 2016, (속)고려묘지명집성", 강원도: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126 이미지, "이미지, , 고려 성종대 地界劃定의 성립과 그 외교적 의미 한국중세사연구 24 2014", 13세기 초 고려의 국제 환경 변화와 생애 기록-고려 墓誌를 중심으 로 고려사학회 55, 2008

      127 최종석, "여말선초 명의 예제와 지방 성황제 재편 역사와 현실 72 2010, 1356년(공민왕 5)~1369(공민왕 18) 고려-몽골(원) 관계의 성격 歷 史敎育 116 2010, 조선초기 ‘時王之制’의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朝 鮮時代史學報 52 2010, 고려시대 朝賀儀의례 구조의 변동과 국가 위상 韓國文化 51 2016,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사학 60 2017, 고려후기 ‘자신을 이(夷)로 간주하는 화이의식’의 탄생과 내향화-조 선적 자기 정체성의 모태를 찾아서- 民族文化硏究 74 2017", 13~15세기 천하질서하에서 고려와 조선의 국가 정체성 역사비평 121, 2009

      128 김인호, "高麗後期士大夫의 經世論硏究, 서울: 혜안 2017, 고려시대 사람들의 사유와 집단 심성", 서울: 혜안, 1999

      129 나말려초, 한준수, "금석문에 나타난 불교사원과 승려의 교류와 소통 한국중 세사연구 47 , 고려전기 연등회 팔관회의 기능과 의례적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0 한정수, 2005,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이해와 정치적 상징 국사관논총 106 2007, 고려시대 유학 연구와 방법론 모색 역사와현실 66 2012, 고려-송-거란 관계의 정립 및 변화에 따른 紀年의 양상-광종~현종 대를중심으로 韓國思想史學 41 2012, 고려 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史學硏究 107 2013, 고려전기 정기적 국왕행사의 내용과 의미 역사와현실 87 2014, 고려-금 사절 왕래에 나타난 주기성과 의미 史學硏究 91 2015, 고려 태조대 대외 교섭과 외교의례 한국사연구 170 2017, 10∼12세기 초 국제질서와 고려의 연호기년 한국중세사연구 49 2017", 고려전기 異邦人 歸化人의 입국과 해동천하 한국중세사연구 50, 2017

      130 홍영의, "恭愍王初期改革政治와 政治勢力의 推移(下)-元年 5年의 改革方案 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43 44 2017",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 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50, 1992

      131 김철웅, "고려 國家祭祀의 體制와 그 특징 한국사연구 118 2005, 고려시대 太廟와 原廟의 운영 國史館論叢 106 2009",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정신문화연구 32-1, 2002

      132 김용천, "전한(前漢) 애제(哀帝)의 입계대통(入繼大統)과 ‘위인후(爲人後)’ 예설 (禮說) 논쟁(論爭), 중국사연구 2013", 北魏孝文帝‘三年喪’의 실체와 그 성격 中國史硏究 86, 2006

      133 이강한, "고려 충선왕의 국정 및 ’구제’복원 震檀學報 105 2008, 고려 충선왕의 정치개혁과 元의 영향 한국문화 43 2009",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 65, 2008

      134 허인욱, "고려 성종대 거란의 1차 침입과 경계 설정 전북사학 33 2013, 高麗ㆍ後周관계와 光宗의 영토 확장 전북사학 43 2016", 후백제의 對중국 교류 연구 사학연구 122, 2008

      135 박진훈,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관인가족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35 2015, 고려전기 국왕 殯殿의 설치와 의례 한국중세사연구 43 2015, 고려시대 관인층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 172 2016, 고려시대 관인층의 빈소 설치장소와 그 변화상 한국사학보 62 2016, 고려시대 官人層의 火葬 歷史學報 229 2016", 고려시대 관인층의 장례기간 분석-묘지명 자료를 중심으로 역사 교육논집 59, 2006

      136 根英行, 2006, 상제례, "?根英行, , 상제례(喪祭禮)의 기원과 복장(複葬), 亞細亞文化硏究, 11 2007, 한일 무속 사자의례(死者儀?)의 기원과 복장(複葬)", 日本文化硏究 第24輯, 2006

      137 이정훈, "高麗時代都監의 구조와 기능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 혜안 2005, 高麗前期各司의 설치와 운영방식의 변화 한국사연구 128 2015", 고려시대 금과의 대외관계와 同文院 사학연구 119, 2000

      138 장동익, "금사 고려관계 기사의 어휘집성 역사교육논집 33 2008, 10세기 고려왕조의 대외관계 기사에 대한 補完 퇴계학과 유교문 화42 2009", 고려시대의 景靈殿 歷史敎育論集 43, 2004

      139 이익주, "고려 원 관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 韓國史論 36 2009,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시각의 검토 : 고려-몽골 관계사에 대한 공시 적, 통시적 접근 한국중세사연구 27 2016",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동북아역사논총 53, 1996

      140 고려사, 정구복, "예지의 성격과 가치 고려시대연구 Ⅴ, 한국정신문화연구 원 , 고려사 예지 역주(3) 고려시대연구 Ⅷ,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7, 고려사 예지 역주(4) 고려시대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5

      141 이진한, "高麗武臣政權期宋商의 往來 民族文化 36 2012, 高麗太祖代對中國海上航路와 外交 貿易 한국중세사연구 33 2015, 高麗時代外國人의 居留와 投化 한국중세사연구 42 2017", 高麗時代農法의 변화와 投化人의 土地開墾 역사학보 234, 2011

      142 채웅석,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론 역사와 현실 32 2014,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연구 38 2016, 고려전기 사회적 분업 편성의 다원성과 신분 계층질서 한국중세 사연구 45 2017", 고려전기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문화인식 한국중세사연구 50,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