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가족의 소통을 재조명하여 현대가족 소통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당시 유가(儒家)의 핵심 개념인 인(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77706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6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소비자가족학과 , 2016. 8
2016
한국어
서울
(A) study of family communication in Dasan's family
v, 149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조희선
참고문헌: p. 141-1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가족의 소통을 재조명하여 현대가족 소통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당시 유가(儒家)의 핵심 개념인 인(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가족의 소통을 재조명하여 현대가족 소통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당시 유가(儒家)의 핵심 개념인 인(仁)의 실천은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는 인간관계를 통해 형성되었다. 관계의 친밀함과 화합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인(仁)과 소통(疏通)의 지향점은 유사성을 갖는다. 동양적 입장에서 소통에 대한 정의는 선이해(先理解)를 비운 '나'가, 진정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타자(他者)와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비로소 마음의 화합을 이루는 것으로, 막혔던 것을 터서 물이 잘 흐르도록 하는 작용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다산의 소통논리의 핵심은 인간(人間) 중심의 실천을 통한 발현에 있으며, 관계를 최상의 상태로 만들어 소통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소통 논리의 기반을 이해 할 수 있는 그의 사상과 가족들과의 소통을 매개하기 위한 도구들 -서간, 가계, 시문, 서첩, 족자, 편액 등-의 내용에 관련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다산의 유배로 그의 가족은 현대의 분거가족(分居家族)과 유사한 형태로 생활하였다. 가족의 분리는 가족 간의 소통을 절실하게 만들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방식을 살펴보면 첫째, 심재(心財)의 소통방법으로 물질적인 방식이 아닌 마음의 재산을 마련해주고자 하였다. 둘째,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소통하고 있는데, 가장으로서의 훈계의 방법도 있지만 그 보다 칭찬하기를 선호하였다. 또 당시에는 효(孝)사상이 중요한 덕목이었기 때문에 효하는 마음으로 인생을 바르게 살기를 권유하였다. 셋째, 소통을 위한 다양한 매개로 글로는 가계(家誡), 증언(證言), 서(書), 묘지명(墓誌銘) 등이 있으며, 기물로는 편액(扁額), 서첩(書帖), 그림[畵]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찻자리를 통하여 가족 간에 화합을 도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가족의 소통 덕목으로 인(仁)을 실천하는 기제인 ‘효(孝)ㆍ제(弟)ㆍ자(慈)’실행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5가지 가족소통의 덕목으로 ‘성심(誠心), 환애(歡愛), 부격(孚格), 화기(和氣), 사무괘체(事無絓掣)’로 정리할 수 있다.
다산가족의 소통 양상으로 부부간에는 사이를 연결해주는 소통의 매개물과 시(詩)가 등장하며, 부자지간에는 자아소통(自我疏通)과 타자소통(他者疏通)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형제지간에는 가사(家事)에 관련된 문제들을 함께 상의하여 결정하고 서로 의견을 충분히 받아들이며 존중하는 우애 있는 소통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다산가족의 소통을 바탕으로 현대가족에게 소통방식을 적용해 보았다.
정신적 요소로는 심재(心財), 마음의 재산을 물려주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예시하였고, 현대가족에서 응용할 수 있는 소통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여 실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실천적 요소로는 우선 나와 타인을 대하는 태도를 살펴본 후, 다양한 소통방식의 활용을 위해 가훈을 실현하는 과정, 손글씨 쓰기, 편액의 활용을 예시하였다. 가족관계에 적용을 위해 부부간에는 서로 교감할 수 있는 소통의 매개물을 나누는 방법, 편지나 정서적 글쓰기를 통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부자관계․형제관계의 소통을 위한 방법도 함께 모색하였다.
본 연구로 다산가족을 통해 현대가족이 화합할 수 있는 소통의 방식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가족이 더욱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익성, "역", __, 1977
2 김윤수, "역", __, 1983
3 박석무, 장순범, 성백효, "역", __, 1986
4 성백효, "역", 『旅軒集』, __, 1996
5 정선용, "역", 『潛谷遺稿』, __, 1999
6 최길렬, 우시우스, "역", 角川書店, __, 1994
7 장재한, "역", 近藤出版社, __, 1984
8 정태현, "역", 법인문화사, __, 1985
9 墨子, "『묵자』", 筑摩書房, 길, 2012
10 오강남, "역, 『장자』", 현암사, 1999
1 이익성, "역", __, 1977
2 김윤수, "역", __, 1983
3 박석무, 장순범, 성백효, "역", __, 1986
4 성백효, "역", 『旅軒集』, __, 1996
5 정선용, "역", 『潛谷遺稿』, __, 1999
6 최길렬, 우시우스, "역", 角川書店, __, 1994
7 장재한, "역", 近藤出版社, __, 1984
8 정태현, "역", 법인문화사, __, 1985
9 墨子, "『묵자』", 筑摩書房, 길, 2012
10 오강남, "역, 『장자』", 현암사, 1999
11 김기현, "「음양오행」",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Vol.1. pp.333-340, 1998
12 박무영, "「정약용론」", 『조선후기한문학작가론』, 집문당, 1994
13 김정탁, "「다산과 소통」", 관훈클럽, 『관훈저널』, No.123, pp.282-294, 2012
14 이제상, 송유미, "『가족의 실패』", 형설출판사, 2015
15 오석원, "유교와 한국유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4
16 한미라, "한국인의 생활사", 일진사, 2005
17 성백효, "역,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09
18 성백효, "역, 『맹자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10
19 홍승표, "『유교의 마음공부』", 공동체, 공동체, 2015
20 이수진, "『장자의 소통 미학』",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1 정석종, "『정다산과 그 시대』", 민음사, 민음사, 1986
22 조남욱, "조선조 유교 정치문화", 儒敎文化硏究所(성균관대학교출판부),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 2008
23 김석진, "역, 『대산 주역강해』", 대유학당, 2007
24 성백효, "역, 『대학 중용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10
25 김정탁, "「원효의 의사소통관」",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0-3호, pp.49-82, 2006
26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문화』", 사계절, 사계절, 1997
27 강신주, "『철학이 필요한 시간』", 사계절, 2011
28 이지형, "역, 『역주 논어고금주』", 사암, 2010
29 김상홍, "「다산의 자식교육 세계」",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동양학』44권, pp.113-135, 2008
30 류정희, "『다산의 자녀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31 이정신, "다산 정약용의 인성교육론",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2 이을호, "역, 『정다산의 대학공의』", 명문당, 1992
33 이지형, "역, 『역주 다산 맹자요의』", 현대실학사, 1994
34 이성철,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5 정미정,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6 정옥자,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돌베개, 2012
37 류건집, "「丁茶山의 茶에 대한 精神」", 『차문화연구소 학술심포지엄』, Vol1, pp.65-81, 2010
38 탁현숙, "『다산 정약용의 서간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9 최이호, "『다산 정약용의 서찰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학위논문, 2007
40 김재섭,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 硏究",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회,『한국교육사학』21권, pp.85-117, 1999
41 안대회, "「다산 정약용의 아동교육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 Vol.18, pp.81-116, 2011
42 정성윤, "『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관』",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3 김상목, "『다산 정약용의 자녀훈육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4 금장태, "『한국실학의 집대성 정약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45 이상은, "禮樂思想의 形成과 本質的 理念", 『유교사상문화연구』Vol.34, pp.31-55, 2008
46 임형택, "「신발굴자료 남당사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No.20, pp.431-448, 2002
47 백민정, "『한국문화전통과 배려의 윤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한국학중양연구원출판부, 2015
48 김진혁, "「패륜범죄의 원인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한국범죄심리연구』 제9권 제2호, pp.49-69, 2013
49 김미진, "『다산 교육론의 사회과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0 김양호, 김태현, "「장기분거 가족에 대한 일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4 No.3, pp.297-326, 2009
51 이문영, "『다산의 현실 개혁적 교육 사상』",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2 이지형, "공역,『栗谷全書』,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1968
53 정 민, "다산의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술문화재단,『다산학』18권, pp.117-163., 2011
54 김유경, "「茶山 家書의 세대 간 소통 양상」", 『세계한국어문학』, Vol.2, pp.11-40, 2009
55 이순형, "「정약용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교육학연구』35(1), pp.41-65, 1997
56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철학연구회,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57 김현수, "「장자철학에서 심의 고립과 소통」",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철학 사상 문화』 동서사상연구소 제2호, pp.171-187, 2005
58 김정탁, "「仁의 구현을 통한 다산의 소통관」", 『한국언론학회』, Vol.2012 No.10, pp.169-170, 2012
59 박준영, "「다산 교육관의 현대 교육적 의의」", 한국교육사상연구회, 『교육사상연구』, 16권, pp.23-37, 2005
60 정지영, "「조선시대 ‘가장'의 지위와 책임」", 『가족과 문화』, Vol.25 No.1, pp.121-149, 2013
61 강신주, "『莊子哲學에서의 소통(通)의 논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2 송정애, "『莊子의 소통과 초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3 이용형, "茶山 丁若鏞의 人間敎育에 관한 硏究", 조선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생활지도연구』 Vol.19, pp.187-202, 1999
64 서재복, "「다산 정약용의 초등교육사상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Vol.9 No.3, pp.1-15, 2011
65 백문철, "『다산의 도덕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6 박미해, "「다산 정약용의 가(家)와 가(家)의식」", 『사회와 역사』, Vol.103, pp.119-152, 2014
67 손혜정, "『다산 시에 나타난 ‘가족애’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8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한국화법학회, 『화법연구』 Vol.9, pp.351-389, 2006
69 이상은, "중화(中和)개념의 형성과 그 미학적 의의", 『동양문화연구』 6권, pp.115-142, 2010
70 지영숙, "「다산의 가정교육에 관한 현대적 의의」", 성균관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19권, pp.275-296, 1999
71 권상우, "「유가“관계 맺음”에서 바라본 잘 삶」",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Vol.53, pp.7-40, 2008
72 이진숙, "『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3 김도련, "역, 『定本 與猶堂全書』,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1984
74 이제희, "『다산 정약용의 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5 임형택, "「전통적인 인문 개념과 정약용의 공부법」", 다산학술문화재단,『다산학』 18권, pp.7-34, 2011
76 이두원, "우리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소통학회』 한국스피치 커뮤니케이션학회, 춘계학술대회, pp.97-117, 2002
77 조만제, "「도덕성과 인간성 회복을 위한 실천 방안」", 慶熙大學校 밝은社會問題硏究所, 『밝은社會硏究』, Vol.17 No.1, pp45-79, 1996
78 송해경, "「초의『다신전』등초의 차문화사적 의의」", 한국선학회, 『한국선학』, Vol.36, pp.37-66, 2013
79 이현지, "「한국사회의 가족문제와『주역』의 해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42권, pp.207-226, 2011
80 백민정, "「맹자 읽기의 진수, 다산의 혁신적 인간상」", 다산연구소 다산학특강, 2016
81 김정탁, "『禮와藝-한국인의 의사소통 사상을 찾아서』", 도서출판한울, 2004
82 정무곤, "「조선시대 가훈서의 분류 체계에 관한 검토」",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pp.163-186, 2007
83 김상빈, "『가족 및 부부관계와 자녀의 심리적인 특성』",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84 고래억, "『다산 ‘행사(行事)’의 교육인간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85 임미애, "『다산 정약용의 가정교육에 관한 견해 검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6 채경선, 황현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Vol.20, pp.159-190, 2014
87 고대혁(Ko Dae Hyuk), "인간의 도덕 주체성과 교육의 실천 윤리적 성격", 한국복음주의기독교상담학회, 『교육사상연구』 Vol.29, pp.1-24, 2015
88 송선희, 임송자,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pp.243-255, 2012
89 임형택, "「정약용의 강진 유배시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한국한문학연구』21권, pp.113-151, 1998
90 임혁백, "「한국에서의 불통의 정치와 소통 정치의 복원」",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Vol.2011 No.5, pp.5-26, 2011
91 송석재, "「정약용의 가악적 인간관의 도덕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윤리교육학회, 한국윤리교육학회 편, 『윤리교육연구』 24권, pp.237-254, 2011
92 강해련, 오익수, "교사의 격려반응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초등상 담연구』Vol.7 No.2, pp.131-140, 2008
93 진재교, "「다산과 문학: 人間茶山과 茶山의 人間學을 中心으로」", 『韓國漢文學硏究』 Vol.50, pp.71-99, 2012
94 박수원,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5 전용표, "『역대 편지글의 읽기ㆍ쓰기를 통한 의사소통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6 이혜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공격성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7 윤호균, 이선희, "부부의 MBTI 성격유형의 유사성과 의사소통 및 결혼만 족도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98 문혜정, "「디지털 시대 손글씨 쓰기가 갖는 의미와 쓰기 교육 강화 필요성」", 한국서예학회, 『서예학 연구』, Vol.15. pp.5-35, 2009
99 허주연,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체계가 아동의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0 고경애, 정민정,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Vol.15 No.2, pp.301-320, 2007
101 김보민, "『다산의 여민(與民)사상과 사회과 교육의 비교를 통한 소통가능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2 지교헌, "「『孟子』不忍章 ‘不忍人之心’에 대한 理解와 바람직한 國譯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제16권 제3호, pp.101-117, 1993
103 오은주, "『초등학생의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4 오경애,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