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투자는 다수 투자자로부터 투자재산을 모아 운용하기 때문에 다수 당사자 공동의 법률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구(scheme)가 필요하다. 자본시장법은 우리 법체계에 존재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77730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상사법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340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legal constitution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xii, 253 p. ; 30 cm.
지도교수: 정경영.
참고문헌: p. 236-2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집합투자는 다수 투자자로부터 투자재산을 모아 운용하기 때문에 다수 당사자 공동의 법률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구(scheme)가 필요하다. 자본시장법은 우리 법체계에 존재하는...
집합투자는 다수 투자자로부터 투자재산을 모아 운용하기 때문에 다수 당사자 공동의 법률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구(scheme)가 필요하다. 자본시장법은 우리 법체계에 존재하는 법적 실체(entity)를 중심으로 집합투자기구를 구성함으로써 대리인문제 등 법률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법적 구조를 다양화함으로써 투자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확보해 주었다. 또한 상법 등에 규정되어 있는 투자자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도입하였다.
집합투자기구의 법적 구조 다양화는 투자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확보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다양화는 집합투자기구의 운용과정에서 법률문제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투자자보호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 법적 구조를 통한 집합투자기구의 다양화, 투자자보호 장치가 제대로 갖추어진 집합투자기구의 다양화가 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다양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해석상, 법적 구조상, 운영상 문제점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자본시장법에 다양한 집합투자기구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입에 따른 법리적 문제점에 관한 연구나 법률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추후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법률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명확한 법률관계의 해석이 없기 때문에 다툼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해석상 대립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문제점 지적 및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집합투자기구를 다양화하는 과정에서 집합투자기구로 활용하기에 부적합한 법적 구조까지도 집합투자기구로 규정되었다. 문제점에 대하여 보완이 가능한 집합투자기구는 법적 구조 보완을 통하여 집합투자기구로 활용가능성을 모색해야 하지만, 법적 구조가 집합투자기구로 구성하기 부적합하다면 다양성 확보에 일부 부족한 점이 발생하더라도 집합투자기구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다 적합한 법적 구조가 존재하는 집합투자기구는 적합한 법적 구조로 변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집합투자기구의 운영 원리는 투자자보호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는데, 연기집합투자자총회는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이며 법률적으로도 많은 난해한 문제점을 유발함으로써 투자자보호에 적합하지 못하므로 폐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반대매수청구권이나 결의하자 관련한 소송 등 투자자보호를 위해 도입한 제도들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해석상, 법적 구조상, 운영상 문제점 등에 관한 개선방안의 연구와 더불어 집합투자기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도 필요할 것이다. 개정상법에 제한이 완화된 유한회사와, 새롭게 규정된 유한책임회사 구조의 집합투자기구의 도입, 합자조합 도입에 따른 투자조합의 투자합자조합으로 변경은 집합투자기구의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 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내부구성이 자유로운 조합형 집합투자기구에 전문 지식을 갖춘 일반 법인이 업무집행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과, 집합투자기구에 관하여 개별법에 산재한 규율체계를 자본시장법에 일원화하여 효율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