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수치심과 분노 정서에서의 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타인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65496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2019. 8
2019
한국어
서울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 Sequential mediation of shame proneness and trait anger
vi, 92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장혜인
부록: 1.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 2. 자의식적 정서 척도(TOSCA-3), 3.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4. 자기보고식 공격성 및 사회적 행동 질문지(SRASBM)
참고문헌: p. 60-78
I804:11040-0000001553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수치심과 분노 정서에서의 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타인에 대...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수치심과 분노 정서에서의 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을 보이는 이들의 타인에 대한 높은 공격성은 정서조절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정서조절곤란은 다양한 정서에 대한 내적조절과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각 장애의 증상에 기여하는 정서조절곤란의 구체적인 양상을 세분화해서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온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격특성의 공격성이 나타나는 맥락에서 두드러지는 수치심과 분노 정서에서의 조절곤란 및 두 정서 간 관계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경계선 성격특성이 수치심 경향성과 특성 분노를 차례로 거쳐 타인에 대한 높은 공격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경계선 성격특성, 수치심 경향성, 특성 분노, 타인에 대한 공격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를 이용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계선 성격특성을 많이 보일수록 타인에 대한 공격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성 분노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였다. 예상과 달리,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 간 관계에서 수치심 경향성과 특성 분노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수치심 경향성과 특성 분노의 하위요인 수준에서 추가로 분석한 결과, 수치심 경향성의 행동적 회피 하위요인과 특성 분노의 분노 반응은 다른 하위요인의 수준을 통제하고도 정적으로 유의한 순차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치심 경향성의 행동적 회피 하위요인은 특성 분노 하위요인들과 독립적으로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 데 반해, 수치심 경향성의 부정적 자기평가 하위요인의 독립적 매개효과는 부적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특성 분노의 분노 반응과 분노 기질 하위요인은 각각 수치심 경향성의 하위요인과 독립적으로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구체적인 수치심과 분노 정서에서의 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 간 관계를 잇는 여러 경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effects of dysregulation in shame and anger o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ggression toward others.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re aggres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effects of dysregulation in shame and anger o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ggression toward others.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re aggressive toward others because of their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However, emotion dysregulation is a highly complex concept including various internal regulatory processes in multiple emotions and it is needed to specify problems with emotion regulation contributing to each disorder’s symptom. Therefore the current study considered dysregulation in shame and anger and their interplay which are especially prominent when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re aggressive.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shame proneness and trait anger would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A total of 273 female undergraduates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shame proneness, trait anger,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more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re more aggressive toward others. Trait ang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Inconsistent with hypothesis, shame proneness and trait anger were not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ors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may differ across subcomponents of shame proneness and trait ang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shame proneness’s behavioral avoidance and trait anger’s anger reaction was significant when other subcomponents were controlled. Also, whereas shame proneness’s behavioral avoidance uniquely mediated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in the positive direction, shame proneness’s negative self-appraisal mediated in the negative direction. Trait anger’s both anger reaction and anger temperament uniquely mediated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in the positive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