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 과정과 내용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약물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02311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3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3. 2
2013
한국어
36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f the recovery experience from drug dependence : focused on human becoming approach
vi, 125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혁구
참고문헌: p. 115-12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 과정과 내용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약물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들...
본 연구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 과정과 내용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약물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들의 회복이 무엇이며 또 회복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자원들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논의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 구성을 위해 연구자는 먼저 선정기준을 만들었다. 기준은 첫째 단약기간이 3년 이상이고 꾸준히 자조모임과 같은 모임이나 전문가들과 치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것, 둘째 자신이 경험한 약물의존자로서의 회복체험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회복자로서 연구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동의하는 것으로 했다. 해석을 위한 원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이들의 자료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언어로부터 추출한 내용을 연구자의 언어와 종합하여 회복체험의 본질을 도출해냈다. 의존자의 회복경험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인간되어감의 개념과 연결해 해석하여 회복체험의 구조를 분석하고 현상학적 논의를 하였다. 회복체험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➀ 절대적 고독에서의 불안과 단약수행
② 타자에 의해 구성된 자기 정체성과 그림자 인생
③ 가족과의 재결합과 새로운 공동체와의 유대감 필요
④ 허무의 자리에서 이루어진 책임 있는 주체로의 재탄생
⑤ 미래의 가능성으로의 자기 기획
⑥ 공동존재로서의 삶 추구
⑦ 삶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의미부여
위와 같은 본질에 근거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회복 체험의 구조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약물의존자들은 절대적 고독에서 존재론적인 불안을 느꼈고 이를 통해 단약 의지를 발현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타자에 의해 구성되고 자기가 결여된 그림자 인생을 살아오면서 이러한 인생이 허무하고 무의미함을 자각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허무의 자리를 털고 책임 있는 주체로 재탄생 하려 하고, 끊임없이 공동존재로서의 삶을 꿈꾸며 미래로 자기 자신을 기획 투사했다. 이러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관점은 바뀌었으며 삶과 자기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하고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하고 있는 회복체험은 자신이 가족에게 인정받은 일원이라는 것, 사회 속의 한 인간으로 하루하루를 건전하게 살아가는 경험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이고 이것이 결국 회복력이며 그들이 원하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은 각자가 다양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과거의 약물 경험으로부터의 상처로 인한 좌절감과 낙인감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많은 제한과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긍정적인 삶으로 변화해가는 삶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인간 되어감’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주제어 : 약물의존자, 회복, 인간되어감, 의미화, 율동적 관계패턴, 공동초월, 공동존재.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covery experience from drug dependence; the true meaning of their recovery to pursu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hey recover from drug dependence" based on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specifically and ...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covery experience from drug dependence; the true meaning of their recovery to pursu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hey recover from drug dependence" based on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identifying and discussing social resources to support their recovery process; and proposing specific plans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11, and the researcher established criteria for participants. First, the participants had been free from drugs or substances over three years and engaged in self-help groups or professional therapy sessions. Second, the participants agreed to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vividly describing their firsthand experiences of drug dependence. Raw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nder the frame of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participants' language were combined with the researcher's language to find the nature of recovery experience. The concept of human becoming was adopted to structurally integrate and interpret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and discuss the phenomena.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is summarized as below:
➀ Anxiety in absolute solitude and decided abstinence
② Self-identity composed by others and a shadow life
③ Needs for reunion with family and bond with new communities
④ Rebirth as a responsible being from emptiness
⑤ Self-planning for future possibilities
⑥ Pursuit of life as co-exist
⑦ Change of perspectives on life and mean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nature,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are described as follows. The participants felt existential anxiety in absolute solitude and expressed their commitment to abandoning drugs. They realized that they have lived shadow lives where their self-identities were composed by others, and thus such lives were empty and futile. They sought to be reborn as responsible beings and projected themselves onto a better future as co-exist beings. Accordingly, their perspectives on their lives were changed and they became positive about themselves and their lives, and pursued new lives.
In addition, their recovery experiences have them realize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part of their family and the society, and living healthy within the society meant they were connected with other people. This was the source of their recovery and ultimately what they wanted.
In sum, recovery experiences of the drug dependent provides significance to themselves and their lives, departing themselves from the frustration and the scarlet letter of their past, by interacting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move forward to a brighter future and positive lives despite restrictions and obstacles, which can be said a process of "human becoming."
Keywords : drug dependence, recovery, human becoming, meaning, rhythmicity, transcendence, co-exis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