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력과 타력의 양립문제 - 淸虛 休靜의 󰡔禪家龜鑑󰡕을 중심으로 = The compatibility problem between the Self-power and the Other-pow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98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력문은 붓다가 제시해놓은 길을 따르되, 스스로의 힘으로 깨달음을 얻는 길을 의미한다. 타력문은 자신이 아닌 불보살의 힘에 의해 구제되고 극락왕생하는 길을 말한다. 자력과 타력이라...

      자력문은 붓다가 제시해놓은 길을 따르되, 스스로의 힘으로 깨달음을 얻는 길을 의미한다. 타력문은 자신이 아닌 불보살의 힘에 의해 구제되고 극락왕생하는 길을 말한다.
      자력과 타력이라는 개념이 석가모니의 재세 당시부터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석가모니의 입멸 후 대승불교가 태동하던 시기와 비슷하게 타력의 사상, 즉 정토사상이 성립된다. 대승불교의 초기 논사로 알려진 용수, 천친 등은 자신들의 교학체계와 별도로 공히 타력문을 강조한다. 인도의 정토사 상은 중국으로 전달되어 담란, 도작, 선도를 통해 정토교로 발전한다.
      한국의 정토사상은 원효가 활동하던 신라시대에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고려의 지눌, 요세 등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 조선시대의 나암 보우에 이르 러서는 타력문과 자력문을 동등한 위치로 끌어올리는 모습이 보이며, 조선을 대표하는 고승 청허 휴정에게 그러한 모습은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그는 자성문과 정토문이 결코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휴정의 관점에 대해 일본의 누카리야 카이텐은 ‘휴정은 선승이면 서도 염불을 통해 극락왕생을 희구한다’며 비판한다. 휴정은 실제 염불을 하근기 중생을 위한 방편만으로 여기지 않았으며, 선과 염불을 공히 중시 했다.
      이 문제제기에 대한 해결을 위해선 자(自)와 타(他)의 개념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우선 주체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일찍이 붓다는 ‘무 아’를 가르쳤다. 애초에 ‘나’라는 개념은 임의적이다. 자력과 타력의 구분은 그것이 이원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의적인 관찰이 빚어낸 가공물일 뿐이다. 참선의 배후에 참선하는 자는 없고, 염불의 배후에 염불하는 자는 없다.
      자와 타는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별 속에서 의미를 획득하는 개념들은 본질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굳이 표현하면 일심(一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자력문에서 시작하든 타력문에서 시작하든 그 목표점은 자타불 이의 일심이며, 자력과 타력의 양립가능성은 자와 타라는 환상의 해소에 의해서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lf-power is a way to follow the path that Buddha has suggested, but to gain enlightenment by oneself. The Other-power refers to a way to be saved by the power of Buddha and to live in bliss. The concept of Self-power and Other-power did not exi...

      The Self-power is a way to follow the path that Buddha has suggested, but to gain enlightenment by oneself. The Other-power refers to a way to be saved by the power of Buddha and to live in bliss.
      The concept of Self-power and Other-power did not exist when Buddha was alive. Similar to the time of Buddha s death when the Mahayana Buddhism was established, the Statue of salvation or Pure-land is formed. Nagarjuna and Vasubandhu known as the early Buddhist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and both separately from their academic systems also stress the Other-power. Indian Pure-land theory is transferred to China and developed.
      Korean Pure-land theory was actively conceived by Won-hyo during the Silla Dynasty, and can also be found in Ji-nul and Yo-se of Goryeo. Bo-woo of the Joseon Dynasty shows the gate to be raised to the same position of the Other-power and the Self-power. This is clearly observed at Hue-jung representative gate of Joseon. He insisted that the Self-power and the Other-power were no different.To solve this problem, we must address the concepts of the Self-power and the Other-power. To do this, the subject should be put first, and Buddha initially taught the idea of self-abidence. Initially the concept of I is arbitrar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lf-power and the Other-power is just a figment of a blind eye in that it is based on dualism. There is no one behind the meditation, and there is no one behind the prayer.
      Concepts that obtain meaning from discretion are inherently unsuitable, because I and the others are not separate. So when you say it with a heart, it is called One mind.
      Therefore, whether starting Self-power or Other-power, its target points are generally unifiedness and the compatibility of the Self-power and the Other-power is possible with the elimination of the illusion of I and the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와 구상
      • Ⅱ. 自力과 他力의 역사
      • Ⅲ. 󰡔禪家龜鑑󰡕에 나타나는 쟁점
      • Ⅳ. 自他不二와 一心
      • Ⅴ. 정리와 맺음
      • Ⅰ. 문제와 구상
      • Ⅱ. 自力과 他力의 역사
      • Ⅲ. 󰡔禪家龜鑑󰡕에 나타나는 쟁점
      • Ⅳ. 自他不二와 一心
      • Ⅴ. 정리와 맺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