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 특성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5년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KELS)의 3차 데이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69540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22. 2
2022
한국어
서울
The effects of student-perceived teacher characteristics on middle school student creativity
76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고장완
참고문헌: p. 64-73
I804:11040-00000016933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 특성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5년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KELS)의 3차 데이터...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 특성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5년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KELS)의 3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 변인으로 창의성을, 독립 변인으로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교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 성취압력을 주는 교사, 그리고 친화적 관계를 맺는 교사 변인을 설정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분석, 그리고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특성이 학생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독립 변인이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상관분석 결과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교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 성취압력을 주는 교사, 그리고 친화적 관계를 맺는 교사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창의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 변인 외에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창의성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차이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국‧공립, 사립의 설립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남녀 성별, 특별시, 대도시,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의 지역규모, 남학교, 여학교 및 남녀공학의 학교 유형은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에 순차적 회귀분석에서 창의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범주형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통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통제하고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인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교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 성취압력을 주는 교사, 친화적 관계를 맺는 교사 변인을 추가하여 모형 2로 지정한 뒤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화적 관계를 맺는 교사, 성취압력을 주는 교사,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교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 순으로 중학생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창의성의 변화량의 약 16.1%는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교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 성취압력을 주는 교사, 친화적 관계를 맺는 교사에 의해서 설명 가능했다.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 교육에서 창의성을 촉진하는 학습환경으로서 교사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기존 연구들을 뒷받침한다. 특히, 친밀하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교사의 특성이 중학생 시기에 창의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의 지원에 높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교사는 학생들의 창의성 촉진을 위해 학생들에게 인간적인 따뜻한 관심과 지지를 보내주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며 동기부여를 해주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개별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특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한 학교 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학교 및 제도적, 행정적 차원의 지원 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창의성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환경으로서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교사 특성을 학생의 지각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예비 교사를 비롯한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이러한 교사 특성의 개발이 중요함을 안내하고, 이를 위한 교사 교육 및 학교 차원의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 정책적 지원을 위한 방향 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ache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tudents’ creativity. The study investigates the third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13, collected in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ache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tudents’ creativity. The study investigates the third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13, collected in 2015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creativ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rised of four teacher characteristics: ‘Teachers who provide individual guidance’, ‘Teachers who interact actively’, ‘Teachers who give achievement pressure’, and ‘Teachers who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As for the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udy, I used SPSS Statistics 23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ll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it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eachers who provide individual guidance’, ‘teachers who actively interact’, ‘teachers who give achievement pressure’, and ‘teachers who have friendly relationship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iffer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confirm whether the demographic variable influences crea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ablishment types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By contrast, gender, the size of the region (special cities, large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owns), and school types (boys', girls', and coeducational schools) had influence on creativity. Accordingly, categorical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creativity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verted into dummy variables and controlled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ure effects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characteristic. When the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 creativity are listed in order, they are ‘teachers who have friendly relationships’, ‘teachers who give achievement pressure’, ‘teachers who provide individual guidance’, and ‘teachers who actively interact’. In particular, about 16.1% of the change in students’ creativity was explainable by teacher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 existing studie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characteristics as a learning environment that stimulates creativity in creativity educa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form intimate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hows that teachers should place a high weight on supporting their students not only in cognitive but also in affective aspect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foster characteristics of supporting students, such as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s, presenting clear goals, providing individual guidance, and actively interacting and motivating the students. The schools, on the other hand, should build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of nurturing the intimat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 characteristics meaningful to students as a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their development of creativity. Thus, the results inform the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uch characteristics, while provid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on teacher preparations and on building school-level support system for enhancing creativity education in school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