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노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으로 보고,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해 보았다. 이것은 노인의 역할 회복과 세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7651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7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동양철학과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broadening of social expansion of the elderly. ; Beyond Public benefit to Coexistence
209 p.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박상환
참고문헌: p. 198-20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노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으로 보고,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해 보았다. 이것은 노인의 역할 회복과 세대 ...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노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으로 보고,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해 보았다. 이것은 노인의 역할 회복과 세대 간 불통 문화 해소를 위한 노인 스스로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 기술적 참여 관찰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단체 <예술 공동체 스케네>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과정(목적 ⟶ 목표 ⟶ 내용 ⟶ 활동 ⟶ 평가)을 통해 노인의 사회 참여 과정을 탐구하였다.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개인의 일생에서 노인으로 살아가야하는 물리적 시간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노년의 시간을 인생의 마무리가 아닌 성장과 발전의 시간으로 인식하고 교육을 통해 주제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고령시대의 바람직한 노인 교육의 방향을 학습참여 ⟶ 자발적 실천 ⟶ 사회적 관심 확장으로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교육적 연계를 위해 <예술 공동체 스케네>는 기존의 노인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기회 균등 차원의 공익(公益)을 위시한 공적(公的)지원을 바탕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한, 공존(共存)으로의 상호(相互)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도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경험 ⟶ 노인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세대 간 소통 ⟶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형성으로 노인과 노년에 대한 이해’로 순환구조화 하였다.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에 참여하는 것으로 자기 계발 및 예술을 즐기고 경험하며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학습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노인들은 동료들과의 만남을 통해 노년의 문화를 창출하며 이로 인한 문화예술과의 매개도 이루어졌다. 앞선 학습참여로 얻어진 지식과 경험을 ‘노인에 의한 교육’으로의 실천적 모색을 통해 어린 세대의 보육을 수행하는 지역의 ‘문화 보육자’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보살피는 돌봄을 넘어 문화예술을 매개로 돌보고 가르치는 ‘보육’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보육 과정에서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통한 교감은 세대 간의 물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의미 있는 만남으로 상호 이어주는 통로가 된다. 이것은 특히, 과거 혈연 중심의 세대 공동체가 아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형태의 세대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노인들은 삶의 경험과 문화예술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살아오면서 쌓아온 지혜와 사회문화를 후세에 전승하게 된다. 노인의 능동적인 참여와 실천은 노인에 대한 우리의 인식 재고와 지위회복을 이끌어 우리 사회에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을 능동적 활동 주체이자 사회적 존재로 이끌어 우리 사회 공존의 교두보이자 새로운 문화 매개자, 문화 보육자, 문화 전승자로 역할을 담당하게 하며 노인의 사회 참여가 실현됨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임춘식, "노년층 문화", 대전문화 제11호, 2002
2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2
3 권육상,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9
4 김광득,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1990
5 김정휘, "노인 심리학", 성원사, 1990
6 이만수, "책만 읽는 바보", 이담북스, 2012
7 허정무, "노인 교육학개론", 양서원, 2007
8 기영화, "노인 교육의 실제", 학지사, 2011
9 한정란, "노인 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5
10 조용환, "문화와 교육의 갈등", 교육인류학연구, 2001
1 임춘식, "노년층 문화", 대전문화 제11호, 2002
2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2
3 권육상,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9
4 김광득,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1990
5 김정휘, "노인 심리학", 성원사, 1990
6 이만수, "책만 읽는 바보", 이담북스, 2012
7 허정무, "노인 교육학개론", 양서원, 2007
8 기영화, "노인 교육의 실제", 학지사, 2011
9 한정란, "노인 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5
10 조용환, "문화와 교육의 갈등", 교육인류학연구, 2001
11 윤경남, "노년학을 배웁시다.", 홍성사, 1993
12 이종수, "한국 사회와 공동체", 다산출판사, 2008
13 한정란, "노인교육과정 개발 실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14 곽덕주, "미적 체험과 예술 교육", 이음스토리, 2014
15 고양근, 홍기형, "평생학습과 노인 교육", 1998
16 고경화, "예술 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17 한준상, "생의 과: 평생교육의 현상", 학지사, 2013
18 박상환, "고쳐 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2011
19 조수동, "•불교, 생명사상에 관한 고찰",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 18집, 1999
20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21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
22 최재목, "儒家에서 ‘老’의 의미와 기능", 儒敎思想硏究 제33집, 2008
23 박동석, 지영한, 조진형, "고령화 사회 생존전략 퇴직연금", 굿 인포메이션, 2006
24 김향숙, 한정란, 김종남, "노인 평생교육 참여의 장해요인", 한국성인교육학회, 한국 성인교육연구, 2010
25 윤종주, "노인과 사회참여: 그 현황과 전망", 한국 노년학, 1994
26 유경, "노인문화 및 어르신과의 의사소통", 꿈꾸는 청춘예술대학 사전워크숍 자 료집, 2009
27 박성희(Park, Seong Hie), 최일선(Choi, Il Seon), 원영희(Won, Young Hee), 한정란(Han, Jung Ran), "중년층과 노년층의 노인교육 요구",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 연구, 2009
28 김기석, 이혜연, "한국노인 교육정책의 전개와 특징",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제29권 3호, 2009
29 정경희, "2014년도 정책보고서: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0 기영화, "노인 문화예술교육모델발굴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구보고 서, 2010
31 장상호, "실버문화학교와 지방문화원의 역할", 전남문화 제21호, 2008
32 문화적, 이화정, "전환을 위한 노인교육의 새로운 과제", 평생교육학 연구, 2000
33 박정은, "초기 여성노인의 사회 참여 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개발원 제46권, 1995
34 곽영순, "질적 연구-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15
35 정병은, 이기홍,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韓國老年學會, 한국노년학, 2009
36 한정란, "세대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공동체 교육", 현대사회문화연구 246호, 2003
37 우주희, 허은영,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05
38 장상희, 조정문, "가족 사회학: 현대에서 가족은 무엇인가", 아카넷, 2001
39 정경희, "노년층은 어떤 프로그램을 원하나 문화도시", 문화복지 81, 2000
40 박응희, "대도시 노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한국문화교육학회, 문화예술교육연구, 2011
41 손희영, "2012년 ‘꿈꾸는 청춘예술대학’ 최종 보고서", 예술 공동체 스케네, 2012
42 손희영, "2015년 ‘꿈꾸는 청춘예술대학’ 최종 보고서", 예술 공동체 스케네, 2015
43 이승연, "儒家에 있어서 老人: 늙음에 대한 인식과 대처", 유교사상연구, 2010
44 조성남, "에이지 붐 시대(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5 이명, "사회관계망이 노인의 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15
46 김경효, "웰에이징: 노년의 삶에 대한 여헌 장현광의 성찰", 동양고전학회, 동서고전연구 제49 호, 2012
47 이현지,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본 한국 노인복지의 현주소", 동양사회사상학회, 사회학회 사회학대 회 논문집, 2010
48 김도일, "先秦儒家의 仁의 확장과 그 혈연적 기초에 대하여", 중국학보, 2015
49 김현진, 이현승, "늙어가는 대한민국 : 저출산 고령화의 시한폭탄", 삼성경제연구 소, 2003
50 장찬애, "노인의 문화예술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마차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51 김동일, "노인의 설 땅은 어디인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 한국가족문화학 회, 2001
52 이한길, "“30명으로 시작한 책 읽어주는 할머니 지금은 940명”", JTBC, 년 4월 8일, 2013
53 이성규,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한국케어매니지 먼트연구 제13호, 2014
54 김아란, 문주영, "“서울시, ‘노인’ 명칭 ‘어르신’으로 변경 논란”", 경향신문, 년 9 월 10일, 2012
55 손희영, "노인 문화예술교육 ‘중랑이’, 2008∼2012 연구보고서", 예술 공동체 스 케네, 2012
56 전영수,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들의 밥그릇 쟁탈전 세대 전쟁", 이인시각, 2013
57 나항진, "아동과 노인 간의 세대공동체 구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009
58 이원희, "노인의 게이트볼동호회 참여를 통한 사회구조의 재생산", 경북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12
59 나항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004
60 박경숙, "세대 갈등의 소용돌이: 가족 경제문화 정치적 메커니즘", 다산출판사, 2013
61 박재홍, 정지홍, "독거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 노인 복지연구 통권47호, 2010
62 황금숙, "방과 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63 김세훈, "저, 사회적 취약계층 문화 활동 지원을 위한 법, 제도개선방안", 한국 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64 김면수, "“행자부, 65세 이상 고령층 700만 명 육박…15세 미만 첫 추월”", 이투데 이, 년 1월 19일, 2017
65 허우정 ( Woo Jeong Hur ), 황해익 ( Hae Ik Hwang ), 임부연 ( Boo Yeun Lim ), 조민영 ( Min Young Cho ), 김은주 ( Eun Ju Kim ), 하은옥 ( Eun Ok Ha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노인-아동 세대통합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006
66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한국 성인교육학회, 2002
67 최상민, 한정란, "세대 공동체 봉사학습 프로그램효과: 청소년과 시설노인을 중심 으로", 한국노년학, 2007
68 김하연, "“지하철 보호석에 앉은 임산부 폭행한 70대 노인, 임부복까지 들춰봐”", 중 앙일보, 년 9월 29일, 2016
69 권미애, "노년기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활동 유형별 분 석", 성신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70 박상철, "생명체의 생존전량으로서의 노화, 그리고 장수사회 , 한국생물공학회", 년 생물공학의 동향 학술발표자료, 2005, 2005
71 최용구, "문화예술교육에 참여 노인의 문화예술 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 한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72 김귀자, "아동 노인 간의 세대 공동체교육 프로그램 연구 : 프로그램 개발 및 실 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년, 2004
73 주경희,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2011
74 권현정, 박화옥,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 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008
75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에서 공동체와 지역성 , 제5차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움 자 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1
76 심성보, "학교공동체의 실현과 문화예술교육 , 제5차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움 자 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1
77 오세근, "현대복지국가의 돌봄 위기에 대응하는 유교사상의 정책 담론 도출에 관 한 연구", 사회사상과 문화 제 24집, 2011
78 손희영, 황두진, "실버 연극교육의 실천적 지도방안 연구: 꿈꾸는 청춘예술대학 중랑이를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2011
79 지은정,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 노인일자리 사업과 자원 봉사를 중심으로", 노인인력개발포럼 8, 2012
80 박성희, "프랑크푸르트 노인대학사례를 통한 대학 확장교육으로서의 노인 교육 활 성화방안",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2권, 2007
81 이초영, "2015 안양, 노년을 노닐다 : 활동노년 예술 워크숍 및 대화모임 기획 ㆍ운영 결과보고", (재)안양문화예술재단, 2015
82 이금룡, 원영희, 한정란, "청소년과 노인 간의 세대차이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 도 분석 모형을 기초로", 한국노년학, 2004
83 박애선, 서석희,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 19권, 2007
84 강정석, 심광현, 노명우, "미래교육의 열쇠, 창의적 문화 교육: 협력적ㆍ다중 지능 적ㆍ창의적 발달을 위한 새로운 교육학", 살림터, 2012
85 박소영, 박혜은, "노인을 위한 아웃리치 미술교육프로그램개발 :국내외 미술관에 서의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에 기초하여", 미술교육논총, 2016
86 김정수, "노인복지시설프로그램의 참여현황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 주거복지시설과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