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상해 S 대학 한국어과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김시연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ase of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y using ZOOM, an interactive real-time online platform, and responses of learners who completed one semester to reveal that ZOOM can be an appropriate platform for speaking education in online classes initiated due to COVID 19. For successful progress of online classes, it is most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online platforms suit to course characteristics before class, and quality of lecturer of being familiar with and skillfully utilizing the selected platform is essential. Learning material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need to be adapted to online class situation and media devices and equipment enhancing efficiency of online class are also required. During class, it is necessary to try various activities using online platforms with appropriate learner control. This study reveals through real-life examples that pair activities or assessments using ZOOM breakout rooms and video assignments or video feedback using ZOOM recording function are effective in enhancing Korean language skill of leaners. Finally,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1st and 2nd grade learners who completed online Korean speaking class for one semester and analyzes subjective responses over course evaluat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Given that learners’ positive responses are dominant over negative responses, ZOOM, an interactive real-time online platform, can be quite effective when Korean speaking classes are conducted online. 본고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 대학에서 시작된 온라인 수업 중 쌍방향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 ZOOM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와 한 학기 수업을 이수한 학습자의 반응을 제시하여 앞으로 지속될 수 있는 온라인 수업 중 말하기 수업에서는 ZOOM이 적절한 플랫폼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2020년 중국에서 사용된 온라인 수업용 플랫폼을 소개하고 ZOOM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를 수업 전 단계와 수업 진행 단계로 나누어 살펴 보고 학습자의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을 알아보았다. 온라인 수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수업 전 단계에서 교과목 특성에 맞는 온라인 플랫폼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선택한 플랫폼을 숙지하고 능숙하게 활용하는 교수자의 자질도 요구된다. 또한 온라인 수업 상황에 맞춰 개작한 수업 자료와 보조 자료,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미디어 기기와 장비의 준비도 필요하다. 수업 단계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를 적절히 통제해야 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말하기 수업에서 ZOOM의 소회의실 기능을 이용한 짝 활동과 평가, ZOOM의 녹화 기능을 이용한 영상 과제 및 영상 피드백이 학습자들의 한국어 실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실제 사례를 통해 밝혔으며 ZOOM의 복수 계정 활용이 안정적인 수업 진행에 필요하다는 점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이수한 중국 상해상학원 1학년과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주관식으로 응답한 수업 평가 내용을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학습자의 긍정적 반응이 부정적인 반응에 비해 우세한 것을 볼 때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온라인으로 진행할 경우 쌍방향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인 ZOOM이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심장 혈관 조영장치에서의 프레임 레이트(f/s) 변화에 따른 상관 관계 분석 : FOV 확대와 Live Zoom을 중점으로

        김원효 ( Won Hyo Kim ),송종남 ( Jong-nam Song ),한재복 ( Jae-bok Han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심장 혈관 조영술의 투시 영상과 씨네 영상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변화함에 따라 흡수선량과 획득 영상의 화질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FOV 확대와 Live Zoom 이라는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따른 변화도 고찰 대상으로 한다. 인체모형 팬텀을 심장 혈관 조영장치 위에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7.5, 15, 30 f/s로 설정하고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대하여 각각 5회씩 촬영하였다. 선량의 척도로서는 흡수선량과 에어 커머가 사용되었고, 화질 평가의 척도로는 잡음의 세기로서의 표준 편차(SD),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 등을 활용하였다. 초당 프레임 횟수가 30부터 15, 7.5 f/s로 감소되었을 때, DAP와 에어 커머는 동일한 비율로 감소하였으나, 화질의 척도인 SD, SNR과 CNR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확대 모드에의 의존도에 관해서는, Live Zoom이 FOV 확대와 비교하였을 때, DAP, 에어 커머와 SD에 대해서는 통계적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NR과 CNR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의하여, 초당 프레임 횟수는 화질의 열화 없이 되도록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확대 모드도 추가적인 선량 없이 실시간 확대가 가능한 Live Zoom 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이는 화질의 여러 척도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X-ray expos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absorbed dos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umber of frames in coronary angiography, also depending whether the zoom mode is FOV enlargement or Zoom Live. Moreover, for appropriate frame selection measures for examination, including the effect of frame change on the image quality, were sought by measuring the noise strength expressed by the standard deviation (SD),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nthropomorphic phantom on an angio-system.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rate and the radiation dose was evident. On the contrary, the indices of image quality (SD, SNR, and CNR) were almost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frame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zoom mod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AP, air kerma, and SD (p > 0.05). However, SNR and CNR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FOV enlargement and Zoom Live. In conclusion, since the image quality was not degraded significantly with the decreasing frame rate from 30, 15, to 7.5 f/s and the radiation dose evidently decreases in almost exactly linear proportion to the decreasing frame rat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needs to be maintained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s for the dependence on the zooming mode, the Live Zoom mo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mage quality indices of SNR and CNR and it justifies active use of the Live Zoom mode which enables real-time image enlargment without additional radiation dose.

      • KCI등재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Frame (f/s) Change of Cine Imaging in Coronary Angiographic System: With Focus on FOV Enlargement and Live Zoom

        Won Hyo Kim,Jong-Nam Song,Jae-Bok Han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심장 혈관 조영술의 투시 영상과 씨네 영상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변화함에 따라 흡수선량과 획득 영상의 화질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FOV 확대와 Live Zoom이라는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따른 변화도 고찰 대상으로 한다. 인체모형 팬텀을 심장 혈관 조영장치 위에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7.5, 15, 30 f/s로 설정하고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대하여 각각 5회씩 촬영하였다. 선량의 척도로서는 흡수선량과 에어 커머가 사용되었고, 화질 평가의 척도로는 잡음의 세기로서의 표준 편차(SD),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 등을 활용하였다. 초당 프레임 횟수가 30부터 15, 7.5 f/s로 감소되었을 때, DAP와 에어 커머는 동일한 비율로 감소하였으나, 화질의 척도인 SD, SNR과 CNR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확대 모드에의 의존도에 관해서는, Live Zoom이 FOV 확대와 비교하였을 때, DAP, 에어 커머와 SD에 대해서는 통계적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NR과 CNR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의하여, 초당 프레임 횟수는 화질의 열화 없이 되도록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확대 모드도 추가적인 선량 없이 실시간 확대가 가능한 Live Zoom 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이는 화질의 여러 척도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X-ray expos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absorbed dos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umber of frames in coronary angiography, also depending whether the zoom mode is FOV enlargement or Zoom Live. Moreover, for appropriate frame selection measures for examination, including the effect of frame change on the image quality, were sought by measuring the noise strength expressed by the standard deviation (SD),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nthropomorphic phantom on an angio-system.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rate and the radiation dose was evident. On the contrary, the indices of image quality (SD, SNR, and CNR) were almost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frame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zoom mod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AP, air kerma, and SD (p > 0.05). However, SNR and CNR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FOV enlargement and Zoom Live. In conclusion, since the image quality was not degraded significantly with the decreasing frame rate from 30, 15, to 7.5 f/s and the radiation dose evidently decreases in almost exactly linear proportion to the decreasing frame rat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needs to be maintained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s for the dependence on the zooming mode, the Live Zoom mo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mage quality indices of SNR and CNR and it justifies active use of the Live Zoom mode which enables real-time image enlargment without additional radiation dose.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영상예술- <The Mask Debate>를 중심으로

        김이진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1

        Along with the intact communication activated by the pandemic COVID-19, a Zoom play, referring to an online performance,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performances. Even if Zoom plays appeared to be any port in a storm,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y should be aesthetic projects that convey the theme of the work in a persuasive manner in order for each work to have power as art. This study examines The Mask Debate (2021), a YouTube video version of a Zoom play created by Kyung Hyun Kim in 2020. As a work in the form of a real-time Zoom play, The Mask Debate has characteristics that combine theater, film and video, bu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film theory. The valid reasons why this paper analyzes this work from a cinematic context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 is being screened as a narrative film on YouTube. Secondly, though its last two scenes are not related to a Zoom meeting in terms of content, visual compositions of these scenes differ from those of a general Zoom play because they split the screen as in prior Zoom meeting scenes but with deleted graphics unique to Zoom. Moreover, directing which added motions to a small screen through post-production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digital films that involve active experiments on a split screen. Research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Zoom plays were transformed in a cinematic manner in The Mask Debate and whether it conveys the narrative of the work effectively will examine the aesthetic potential of Zoom plays. In this case, the present study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the process by which existing cinematic techniques, i.e., a frontal view and a split screen, encounter Zooms play and present new implications.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하여 비대면을 통한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온라인을 통한 공연인 줌 플레이가 기존의 공연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줌 플레이가 궁여지책으로 등장하였다 하더라고 각 작품이 예술작품으로서의 힘을 가지려면 줌 플레이라는 형식이 작품의 주제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미학적 기획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The Mask Debate>(2021)는 김경현이 2020년 창작한 줌 플레이의 유튜브 영상 버전이다. <The Mask Debate>는 줌을 통해 실시간 공연될 수 있도록 쓰여진 작품으로서 연극과 영화, 비디오를 넘나드는 특성을 가졌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 작품을 영화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작품을 영화의 맥락에서 보는 것이 타당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작품은 현재 유튜브를 통해 보통의 내러티브 영화처럼 상영되고 있다. 둘째, 마지막 두 개의 장면이 내용상 줌 회의와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앞선 줌 회의 장면들처럼 화면을 분할하면서도 줌 고유의 그래픽은 삭제하였기 때문에, 이 장면의 시각적 구성은 일반적인 줌 플레이의 그것과 다르다. 더욱이 후반작업을 통해 작은 화면들에 움직임을 더한 연출은 분할화면을 적극적으로 실험해 온 디지털 영화의 영향을 드러낸다. 줌 플레이의 특성이 <The Mask Debate>에서 어떻게 영화적으로 변용되었는지, 이 작품의 서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를 논의하는 것은 줌 플레이의 미적 가능성을 타진하는 일이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영상 기법인 정면보기와 분할화면이 줌 플레이라는 형식을 만나 새로운 함의를 획득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경계에 선 가이아 : 줌(Zoom) 기반 온라인 국어-연극 융합수업에 대한 세 예술교육가들의 경험 탐구

        김윤경 ( Kim Yunkyo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줌 기반 온라인 국어-연극 융합수업’(이하, 줌 수업)에 참여한 세 예술교육가의 수업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학교 안 예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학교 안 예술교육을 실천해 온 세 명의 예술교육가이다. 이들은 자유학년제인 경기도 A 중학교 1학년 대상의 국어-연극 융합수업을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오프라인에서 시도해왔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에는 오프라인용 프로그램을 온라인용으로 전환하고, 줌 수업을 시도하였다. 연구 기간은 9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이며, 연구방법은 예술 기반 연구(ABR) 중 하나인 에스노드라마(ethnodrama)다. 담화자료는 대화적 인터뷰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Nvivo11을 활용하여 드라마투르기적 코딩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드라마적 글쓰기로 기술되었다. 연구 결과, 세 예술교육가들은 각기 예술, 교육, 연구의 입장에 따라 온라인 줌 수업에 대한 경험과 관점과 비전의 차이점이 있었다. 예술 입장에서 줌 수업은 학교 밖에서는 여러 조건이 잘 갖춰져 희망적이나, 학교 안은 기술을 배척하는 문화로 인해 부정적이었다. 교육 입장에서 줌 수업은 힘은 많이 드는데 보람과 가치가 없어 매우 부정적이었다. 연구 입장에서 줌 수업은 미래교육을 위한 연구가치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줌 기반 온라인 국어-연극 융합수업의 교육주체인 예술교육가들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둘째, 교육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학교 안 예술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논의하였다 셋째, 에스노드라마라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학교현장에 대한 예술 기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in school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ree art-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Zoom-based Online Korean-Drama Convergence Class’ (Zoom clas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art-educators (artist, teacher, researcher) who have practiced art education in schools. From 2018 to 2020, they conducted offline classes for first-year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hich is a free grade system.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the offline program was switched to online, and a Zoom class was attempted. The research is conducted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23rd, and the method is ethnodrama, one of Art-Based Research (ABR).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conversational interview. It is analyzed by dramaturgy coding by Nvivo11, and described by dramatic writing. As a result, the three art-educators had differences in their experiences, perspectives, and visions for Zoom clas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art, education, and research posi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the Zoom class is hopeful, well equipped with various conditions outside the school, but the inside of the school is negative due to a culture that rejected technology. From the standpoint of education, the Zoom class is very powerful, but very negative because it is not worthwhile. From the view of research, the Zoom class is valuable to research for futur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art educators who are the educational subjects of Zoom-based online Korean-theater convergence classes were explored. Second,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art education in schools' were explored through the diverse voices of education subjects. Third, the horizon of art-based research was expanded with a new research methodology called ethnodrama.

      • KCI등재

        Design of an 8× Four-group Zoom System without a Moving Group by Considering the Overall Length

        박성민,이재우,박성찬 한국광학회 2022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6 No.1

        We present a method to count the overall length of the zoom system in an initial design stage. In a zoom-lens design using the concept of the group, it has been very hard to precisely estimate the overall length at all zoom positions through the previous paraxial studies. To solve this difficulty, we introduce T eq as a measure of the total track length in an equivalent zoom system, which can be found from the first order parameters obtained by solving the zoom equations. Among many solutions, the parameters that provide the smallest T eq are selected to construct a compact initial zoom system. Also, to obtain an 8× four-group zoom system without moving groups, tunable polymer lenses (TPLs) have been introduced as a variator and a compensator. The final designed zoom lens has a short overall length of 29.99 mm, even over a wide focal-length range of 4‒31 mm, and an f-number of F/3.5 at wide to F/4.5 at tele position, respectively.

      • KCI등재

        비대면 시대의 신종 범죄 피해와 대응방안 - 줌바밍(Zoom-Bombing)을 중심으로

        김희정 ( Kim¸ Hee-jung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1 과학기술법연구 Vol.27 No.3

        COVID-19는 2021년 현재까지도 전 세계 그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있고, 펜데믹이 2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겪고 있다. 국경봉쇄, 국가 간 이동 제한, 자가격리 등으로 이동의 제한이 생기면서 업무, 회의, 세미나, 강의, 각종 모임 등에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줌과 같은 화상 플랫폼을 많은 사람이 대책으로 이용하게 되었고, 비대면 수업, 비대면 회의 등의 수요가 급증함과 동시에 새로운 유형의 피해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른바 줌바밍(Zoom-Bombing)에 대한 피해가 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 보고되고 있다. 줌바밍은 같은 공간에서 같은 시간 안에 다양한 가해행위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며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런 피해는 가상공간 안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가해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특성도 있는 반면, 접속 명단을 통해 쉽게 가해자가 특정될 수 있는 특성도 있다. 이렇듯 줌바밍은 사이버범죄의 집합체와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줌바밍처럼 사이버 상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하나의 피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해 행위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피해자도 동시에 여러 명 발생할 수 있어 그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정의는 아직도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유형과 피해에 따라 산발적으로 규정된 여러 법을 검토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이버상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신속한 예방과 적절한 처벌을 위한 사이버범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많아지고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사이버 범죄에 대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같이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책임 문제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COVID-19 continues to spread around the world even as of 2021, and as the pandemic lasts nearly two years, people are experiencing many restrictionof their lives. COVID-19 has prompted everyday activity to move online and demand for videoconference platforms such as Zoom. And it was reported a new type of cyber disruption- zoom-bombing. Zoom-bombing means to the uninvited entry into and disruption of a videoconference, often by means of obscene, hateful, or threatening language or images. Zoom-Bombing is being reported not only in foreign countries but also in Korea. Zoom-Bombing occur simultaneously in the same space within the same time, and multiple victims occur. Because such damage occurs in a virtual space, it make difficult to identify the perpetrator. Law and policy can respond to reports of these disruptions by threatening to impose criminal charges and fines on would-be “Zoom-bombers.” And we can respond to the Zoom-Bombing to impose Cyber law and Computer Abuse Act. The law provides for criminal and civil liability for unauthorized access or damage to a protected computer. Also, Zoom-Bombing can be punished for sexual violence and defamation. Not only that, we can punish Zoom-bombers as a deepfake criminal of new type of crime. The definition of cybercrime is still not clearly defined. There is a difficulty in reviewing various laws sporadically stipulat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damages of cyber crimes.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Cybercrime Act for the prompt prevention and appropriate punishment of cyber crimes.

      • KCI등재

        Zoom을 활용한 ‘상담자의 자각 증진 프로그램’ 적용

        김현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Application of ‘Counselor’s Self-awarenessImprovement Program’ Using ZoomHyeonjoo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to assess the practice of the Counselor’s self-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through group counseling using Zoom. For this purpose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Zoom was conducted for 12 counselors belonging to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 a total of 16 hours over 2 weeks at weekly intervals of 8 hours per da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for the counselor’s self-reflec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rough 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In addition,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group counseling using Zoom were explored.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for counselors to overcome their problems and it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reference when preparing and conducting group counseling using Zoom. Key Words: Self-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Counselor’s Self-reflec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Group Counseling Using Zoom Zoom을 활용한 ‘상담자의 자각 증진 프로그램’ 적용김 현 주*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자각 증진 프로그램’을 줌을 활용한 집단상담으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Zoom을 활용한 집단상담의 실제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1주 간격으로 8시간씩 2주에 걸쳐 16시간 동안 줌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시행 후, 시행 1달 후의 3 시점 간 상담자의 자기성찰, 무조건적 자기수용, 역전이 관리능력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사전과 비교해 사후, 추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줌을 활용한 집단상담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 문제 극복을 위한 자각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줌을 활용한 집단상담을 준비하고 시행할 때 실질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어: 자각 증진 프로그램, 상담자 자기성찰, 무조건적 자기수용, 역전이 관리 능력, 줌을 활용한 집단상담 □ 접수일: 2022년 2월 24일, 수정일: 2022년 3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전북대학교 박사과정(Doctoral Course, Junbuk National Univ., Email: trip66@naver.com)

      • KCI등재

        줌(Zoom)연극의 특성에 따른 배우의 연기 접근 방법 연구 - 프로젝트, 홍도(2020)의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정은영(Eunyo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코로나19의 출현 이후 국내외 공연계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예술적 실험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극 공연을 위한 창작 도구로 활용된 줌(Zoom)의 기능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우선 줌을 활용한 국내외 연극 공연 사례와 그 특징들을 살펴본 후, 줌 연극 〈프로젝트, 홍도 Project, Hong-Do〉의 제작 단계를 리서치 중심의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단계, 대본을 바탕으로 각 장면을 구성하는 장면 워크숍(Scene Workshop)단계, 장면별 실시간 녹화를 진행하는 레코딩(Recording) 단계와 공연을 상영하기 위한 스트리밍(Streaming)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줌을 통해 창작한 연극의 특성을 고찰할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제작 과정에서 나타난 배우의 연기 접근 방법을 시선의 분리, 공간의 재인식, 표현적 제스처의 활용, 능동적 행동으로서의 리액션(Reaction)으로 상정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줌을 활용한 연극 작업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과 이에 따른 배우의 연기 접근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Performing industries in Korea and abroad have been attempting a wide range of artistic experiments utilizing online platforms ever since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Zoom, which was used as a creative tool for theater performances. At first, after examining theater performances presented in Korea and abroad using Zoom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production stage of the Zoom play 〈Project, Hong-Do〉 will b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ollowing stages; a research-based pre-production stage, a scene workshop stage that composes each scene based on the script, a recording stage filming each scene on Zoom, and Streaming stage for presenting the show. Furthermore, the actors approaches to acting in this production process was presumed to be separation of gaze, re-recognition of space, utilization of expressive gestures, and reaction as an active action. As a result, it proposes the possibility of ongoing development of theatrical work using Zoom and the evolutionary aspect of actors acting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theatrical work via Zoom.

      • KCI등재

        일본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수업 인식조사 및 운영 현황 분석 - 실시간 zoom수업을 중심으로 -

        裵銀貞 한국일본어문학회 2021 日本語文學 Vol.91 No.-

        本研究では、釜山所在のB大学の日本語専攻者80人を対象に、専攻科目の非対面授業の運営現況を調べると同時に、先行研究ですでに提示されている長·短所の他、非対面授業の運営における学習者のニーズには何があるのかを詳細に分析した。特に本研究ではzoom授業に焦点を当て調査を行ったが、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 【zoomの運営現況関連】 ① 学習者のカメラを’オン‘状態にするのを義務とする授業が殆んどである。 ② 判書、動画、小会議室などを活用する授業が少なく、特に判書機能を活用しない割合は、高学年に比べ、低学年に高く方である。 【zoom授業の認識関連】 ① zoom授業の際、カメラをつけることと判書機能を活用することは、学習効率を高めるのかについての学生反応を見た結果、カメラをつけることは集中度にあまり関係しない、判書機能を活用することは学習効率を高めることに効果があると答える。 ② zoom授業の短所を補うため、zoom授業の録画、関連内容をまとめた録画映像などの資料が必要であると判断している。 ③ 学習者が好む非対面授業のタイプは、zoom授業50分*2+50分の録画講義、50分の録画講義二つ+50分間のzoom授業であり、低学年は後者を、高学年は前者の形を好んでいる。 ④ 前年、前学期対比、zoom授業運営の向上度を把握した結果、過半数以上が肯定的な評価を出しているものの、“変化無し‘と答えた学習者も45%存在している。 ⑤ zoom授業に関する不満事項として、参加学生が消音の設定をしない場合、教員の声が聞こえにくい場合、などが上位を示している。 ⑥ 専攻科目のうち、録画講義よりzoom方式が合っていると判断される科目は「レベル別日本語教科目」がもっとも高い割合で1位を取っており、「日本語文法」「日本語作文」「日本語試験特 講」などが上位を占めている。 In this paper, we divided Japanese learners into major and non-major group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Japanese learners regarding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mmar for communication” did not sympathize not only with Japanese majors but also with non-Japanese majors. This means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beginner level learners is not positively evaluated even by beginner level learner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proving that the assertion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that is not based on the needs of actual learners has many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