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졸 청년여성의 취업과 직장 경험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특성화고 졸업자를 중심으로 -

        김정선,김지영,추주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이명박 정부의 특성화고 활성화 정책 이후 광주지역 특성화고를 졸업한 고졸 여성청년층의 진로・취업 현황을 분석하고, 광주지역 여성청년층 고용문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광주지역의 고졸자 취업현황을 살펴보고, 여성청년층의 진로 및 취업에 관한 경험을 인터뷰했다. 최근 4년간 특성화고 졸업자 취업현황을 성별통계화하여 분석한 결과, 취업률과 초임 연봉수준에서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안정성은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으며, 여전한 성별직종분리체계 속에서 제한적인 취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취업률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남성과 여성 모두 초임 연봉수준이 점점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의 양적 측면이 아닌 질적・문화적 수준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자들이 차별받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면접대상자인 청년여성들이 대학 진학이 아닌 취업을 선택하는 데에는 정부의 특성화고 활성화 정책인 고졸자제한경쟁제도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학교가 제공하는 다양한 진로-취업 준비활동에 참여하였으나 그러한 활동이 졸업 후 직장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자들의 노동시장 진입과 직장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균형한 노동관계, 임금, 노동환경, 노동강도, 사내복지와 같은 노동조건 등이 복합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노동시장의 불균형과는 모순적으로 학교 교육은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수월한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유지를 위한 것으로 정당화되지만 학생들의 노동권 인식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면접대상 여성들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나이, 학력 등으로 인한 차별을 받기도 하였으며, 업무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공식적인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기보다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나 개인적 전략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성화고 졸업 청년여성층의 경력유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망을 가진 직업교육 및 성별・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취업역량강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불균형한 고용노동시장과 노동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고용정책 및 사회참여 프로그램 제공이 중앙정부와 지자체 정부 차원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청년층 내부의 차이를 고려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is paper purpose to analyz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youth women’s employment, career and their experience in Gwangju by interview. For this purpose, we look at the employment situation of specailized high school graduate for last 4 years, policies about youth employment and high school graduates in Gwangju. And We tried to listen the experience of career/emplyment and the opinions of vocational education by interviewing women graduates and teacher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ituation show that women are at relatively higher employment rates and salary starting salary levels. However, women’s employment stability was low.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trictive employment in occupations still a gender separation syst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eginning salary level appeared to drop for both men graduates and women graduates, unlike the employment rate of specailized graduates rising every year. In other words, a specailized high school graduates are likely t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in terms of quality of labour. Second, interview subjects choose employment influenced by the high school graduates limited competition system. The women participated in various job preparation programs while in school, but these programs are not a real help to workplace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labor market entry and maintain work of employees is complex impact such as unbalanced labor relations, wages, working conditions, work intensity, corporate welfare and work conditions, etc.. Third, vocational education tends to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This reflects the need of enterprises, at the same time reveals a contradiction in the unequality of labour market structure. It sai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to help maintain employment and career. But actually, this training methods are likely to hinder the students recognized labor rights. Forth, Women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due to age and level of education. And There was a look of resolve to work with the informal networks and personal strategies rather than resolved through the formal system when problems occur. Social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on the basis of at lea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aintain a career for women who graduate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hat long-term prospects of va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apacity building program, concidering gender-based and job-specific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usiness environ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career develop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try to make labor-friendly and youth-friendly labor market structures, as a whole society.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정미나,임영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factors directly related to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about labor market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based o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t is used to predict variables about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by ‘decision tree analysis’ an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mportant predictors of college graduat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such as salary, job stability), a major field of study. Especially, it indicates that the most predictable factor is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hen it comes to starting work. Second, factors which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have directly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entry. Thir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 Fourth, although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indirect effect on colleg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ith specifying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as parameters, the results a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proper policy to decreas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o solve socioeconomic structural problems. And individual efforts for pre-employment are needed as well. Second, a solution can be developed to redress un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he youth labor market due to the surplus of graduates. Third, Career education for adolescent should be prepared vi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인과적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노동시장 이동경로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경력자들의 안정적 안착 기간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대졸 청년층과 비진입한 대졸 청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으로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변인을 예측하였고,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변인 간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예측하는 변인은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예컨대, 급여, 고용 안정성 등)의 중요도, 전공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노동시장 진입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있어,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가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와 구직 조건의 중요도를 매개로 하여 노동시장 진입에 간접효과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직자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정책적으로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유휴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급자 및 수요자 측면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 재직자의 직업가치 유형과 개인 및 직장 관련 요인과의 관계

        박은규(Eungyu Park),조아름(A-Reum Jo)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 직업가치관 검사의 직업가치 요인들을 활용하여, 대졸 청년 재직자 대상 직업가치 선호에 따른 직업가치 유형을 분류하고, 직업가치 유형과 개인 및 직장 관련 요인과의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직업심리검사 DB 자료 중 2019년에 직업가치관 검사를 실시한 대졸 청년 재직자 13,5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직업가치 유형 구분을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실시한 결과, 대졸 청년 재직자의 직업가치 유형은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전반적 저인식형, 안정적 보상추구형, 가치고민형, 전반적 중시형, 안정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대졸 청년 재직자의 직업가치 유형별 개인특성과 관련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결혼, 전공 모두 직업가치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가치 유형별 직장관련 요인의 차이 분석 결과, 이직 경험 여부를 제외하고, 사업체 규모, 이직경험 여부, 직업만족의 분포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생애경력개발 관점에서의 대졸 청년 재직자의 유연한 직장적응 및 경력개발을 지원하고, 대졸 청년들의 직업가치를 고려한 합리적인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work value according to preference for youth employees with college graduates by using the work value factor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Work Value Test,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types and individual and workplace factor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13,596 youth employees with college graduates who took the work value test in 2019 among the data from the WORKNET vocational psychology test DB of the KEI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to classify work value types, there were five types of work value for youth employee with college graduates, and they were named as overall low perception type, stable reward seeking type, value concern type, overall emphasis type, and stability-oriented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th employee with college graduates by type of work value,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riage, and major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 of work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workplace characteristics by work value typ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business, turnover experience, and distribution of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excluding turnover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eek specific and practical intervention to support flexible workplace adaptation and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graduat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career development and to help them choose a reasonable career path considering the work value of youth employees with college graduates.

      • KCI등재

        고졸청년의 미취업 원인에 대한 인식이 구직기준(취업눈높이)에 미치는 영향

        최지수,김은비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1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unemployed young people on the basis of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number of unemployed high school graduates is decreasing while the number of unemployed university graduates is increasing. Such a change is going on rapidly. In 2013, which is the base year of the panel data used in this study, the ratio of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among unemployed young people was similar. However, the gap became wider in four years, and the ratio of the unemployed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72.8%) was more than two times than that of the unemployed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in 2016. Despite such a dramatic rise in the number of young people with bachelor’s degree of higher, the ratio of full-time workers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71.5% to 73.8%) wa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14.0 percent to 15.1%), and this gap has maintained. Regarding the levels of employment expectation, the standard for whether the job was blue collar or white collar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one while the standard for irregular working hour and holiday work was the lowest one. The focus is that the standard for whether the type of employment linked to the stability of employment is full-time or non-regular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for four years. The salary desired of young people also seemed to increase for three years, but it radically decreased in 2016―the last year of the research, which showed that their overall levels of expectation for salary were confirmed to decrea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y classifying the group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awareness of the university graduates was generally higher in terms of the basic cause of youth unemployment, and the differences in academic backgroun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young peopl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appeared to recognize the awareness on the level of employment expectation more seriously in the item related to the young people’s lack of ability and problem with their expect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ose with bachelor’s degree or higher was significant. The young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showed the higher level of expectation for employment excluding the size of company than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andard for work and life balance increases as the education level gets higher.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people’s awareness on unemployment and their levels of employment expectation showed that the model was suitable. 본 연구는 급변하는 고용과 경제 상황 아래 불안정한 고졸 청년 노동자들의 실정을 파악하고 그들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을 살펴 미취업에 대한 원인인식이 구직눈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기초로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취업 청년 중 학력을 기준으로 구분했을 때 고졸 이하는 감소 추세에 있고 대졸 이상은 증가하고 있다. 취업 눈높이는 근무부서가 생산직인지 사무직인지에 대한 기준이 지속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규칙한 출퇴근 및 휴일 근무 여부에 대한 기준이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고용의 안정성과 연계된 고용형태가 정규직인지 비정규직인지에 대한 기준은 4년간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의 희망 연봉 역시 3년간 증가하는 듯 보였으나 마지막 조사연도인 2016년 급격하게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연봉에 대한 기대나 눈높이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력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청년실업에 대한 근본원인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대졸 이상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청년 개개인의 능력부족이나 눈높이 문제라는 항목에서는 고졸 이하 청년들이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졸 이상 청년들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취업눈높이는 기업의 규모를 제외하고는 모두 고졸이하 청년들보다 대졸 이상 청년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력이 높아질수록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준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졸 청년들의 미취업에 대한 인식과 취업눈높이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청년 노동시장에서 고졸이라는 학력은 고용의 양과 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고졸이라는 학력은 안정적인 노동시장 진입의 가능성이 대졸 청년들에 비해 낮고, 이로 인해 유휴인력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고졸 미취업 청년층 문제는 사회양극화 문제와 직결되므로 사회통합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연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조대연,두민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for reducing early turnover of young college graduates. This study classified young college graduates by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on their first job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terms of work value, turnover experience, causes of turnover, reservation wage,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experience, and job search preparation. We analyzed data on 5,558 young college graduates and the participants were clustered into 5 group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These groups are: 1)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2) job search trial out 3) reality obedient 4) career aptitude oriented, 5) passive job seek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experience and job search preparation among the five groups;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s outperformed other typ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Fur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sons for turnover in the first job and the turnover intention in the current job remained identical. This finding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work valu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s were found to be the best candidates for recruitment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llege life and job search preparation of successful job search winner type in future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llege students,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첫 일자리의 만족도에 따라 청년 취업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대학 재학시절의 취업 준비, 학교생활 만족도, 현 일자리에서의 이직의도와 사유를 비교 분석하여 취업 준비생, 대학 및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고용정보원의 2014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년제 대졸 상용근로자 5.5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유형 분류를 위해 비위계적 군집분석 방법인 K-means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졸 청년층 취업자는 총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주요 직업 가치, 첫 일자리 이직 경험 여부와 사유,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 5가지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 1) 준비된 취업 성공형, 2) 취업 시행착오형, 3) 현실 순응형, 4) 적성 및 미래 중시형, 5) 소극적 취업자형. 5가지 유형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취업 준비 경험을 비교한 결과, 첫 일자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취업을 한 준비된 취업 성공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학교 생활 만족도와 취업 준비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첫 일자리 만족도가 가장 낮고, 이직률이 높았던 취업 시행착오형은 학교생활 만족도이 낮고, 취업 준비경험에 대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유형의 현 일자리에서의 이직의도와 사유, 의중임금을 비교한 결과, 준비된 취업 성공형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고, 취업 시행착오형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들의 향후 이직을 고려하는 사유는 첫 일자리의 이직 사유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직업가치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청년층 취업자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 지원을 하는 대학과 청년층 취업자를 채용하는 기업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4년제 대학생들의 졸업유예가 취업과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분석

        민현주,한성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2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elayed graduation on the first job’s earnings among university graduates using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youth employment cliff, prior studies suggested mixed results regarding the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mong college graduates. There are conflicting perspectives on why college students choose delayed graduation: one is that students delay their graduation unvoluntarily because they cannot find a job; the other is that they strategically choose delayed graduation for a better job which is commensurate with their expectation. This study focused on delayed graduation as a strategical choice of highly educated youth.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delayed graduation among university graduate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the earnings on the first job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생의 졸업유예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년고용절벽의 현실에 맞서 4년제 대학졸업자들이 선택하는 졸업유예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혼합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대학생들의 강요된 선택으로 졸업유예를 바라보는 시각과 더 나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자발적으로 전략적으로 선택한다는 논의들이 혼재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고학력 대졸자들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졸업유예가 그들의 노동시장성과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Heckman의 선택적 편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학졸업자들의 졸업유예 경험은 취업확률과 첫 일자리 임금수준 모두를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일반선형모형과 Heckman의 선택적 편의모형 모두에서 졸업유예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MZ세대를 중심으로

        배가나,김형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ork adjustment among early-career MZ generation college graduates, explore latent classes with distinct work adjustment changes, verify influencing factors, and examine tenure and stress differences based on these classes. Methods For this purpose, 9th to 14th wave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2007 were utilized to conduct analyses on the latent growth model and growth mixture model of work adjustment for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Results Firstly, when examining the averages of work adjustment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at three time points, the level of work adjustment followed a linear latent growth model.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at the initial stage, confirming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within the change trajectory. Secondly, work adjust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the “Low-Increasing” group (2.5%), the “High-Decreasing” group (12.7%), and the “Mid-Level Sustaining” group (84.8%). Thirdly, factors predicting the latent classes included congruence between job details and skill level,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number of job search experience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mong the work adjustment groups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The “Low-Increasing” group had lower stress levels compared to the “High-Decreasing” group, and the “Mid-Level Sustaining” group exhibited lower stress levels than the “High-Decreasing”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fferent patterns of work adjustment changes among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of the MZ generation and identified implica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onboarding strategies for each group.

      • KCI등재

        대졸 초기 취업자의 직업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 연구

        백상현(Sanghyon Bae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하는 청년패널(Youth Panel) 조사의 8차(2014), 10-12차 (2016-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졸 초기 취업자의 직업만족도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직업만족도의 성장 추이와 개인특성 및 대학교육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학생활만족도는 대졸 취업자의 직업만족도 초기치에 대해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변화율에 대해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성별, 최종학력, 직업준비행동은 직업만족도 초기치와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킴으로써 그들의 대졸 초기 직업만족도는 개선시킬 수 있지만, 변화율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책적 제언으로 학생들의 교육적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여,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 개인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직무 및 직업분야가 무엇인지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을 대학 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patten of youth college graduates’s job satisfaction by using the data of the Youth Panel(YP)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analyze longitudinal change with nfluence of individual and colleg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student’s college life satisfaction affected on the change of job satisfaction at the early stage of youth college graduates but it had no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Second, college student’s sex, educ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no effect on the initial level and change in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job satisfaction. While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found to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at the early-career but it did not continue to influence changes in job satisfaction over time. It is suggested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improve the student’s campus life satisfaction. Also, it is necessary to iprovide opportunities for individual student to search for their job and career through various education programs.

      • 소년원 퇴원생의 자기표현력을 위한 랩 중심 음악치료 사례연구

        서종현(Seo, Jong-hyun),문소영(Moon, So-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21 통합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랩을 작사하고 노래하며 감상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치료적으로 구성한 ‘랩 중심 음악치료’가 소년원 퇴원생의 자기표현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고찰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A시 소재 W센터의 공동생활가정에 거주하며 재사회화 교육을 받고 있는 소년원 퇴원생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8년 3월 8일부터 2018년 4월 26일까지 주 1회 각 50분씩 총 8회기로 구성하여 랩 중심 음악치료를 진행하였다.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ㆍ사후 자기표현력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매 회기별 내용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표현력 사후 점수는 사전 점수와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랩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들의 회기별 자기표현력 내용 분석에서는 소년원 퇴원생들의 언어적, 음성적, 비언어적 자기표현력의 하위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랩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소년원 퇴원생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에서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프로그램으로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rap-centered music therapy’, which is a therapeutic process of writing rap lyrics, singing, appreciating and discussing raps on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of youth detention center graduates, through integrated analysis methods, includ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targeted 2 youth detention center graduates, who are living at a group home of W center in A city and are receiving resocialization education. For this study, total 8 sessions of rap-centered music therapy were applied, and each session was performed for 50 minutes per week from March 8th to April 26th 2018.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differences in pre and post self-expression scores were analyzed, and contents of each session were analyzed to see changes in self-expression improveme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pre and post scores in self-expression of the subjects positively increased. Second, self-expressive contents of the subjects during each session positively changed too while experiencing the rap-centered music therapy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ap-centered music therapy could be applied broadly as a resocialization program for youth detention center graduates, by proving the effect of the rap-centered music therapy program on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of youth detention center graduates.

      • 산업진흥경영 :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이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

        박진아 ( Jin Ah Park ) 산업진흥원 2016 산업진흥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 요소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준비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반적 직장만족, 개인의 발전가능성, 자율성/권한, 현직장 월평균 근로소득(p<.001), 근무환경, 근무시간, 전공도움정도(p<.01), 인사체계, 고용안정성, 복리후생(p<.05)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또한 성별, 혼인상태, 학교유형(국공사립), 전공계열, 대학유형, 학교소재권역, 고용형태(종사상지위, 정규직여부) 등에 따른 이직준비 여부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년층 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고 안정적인 직장 정착을 높이기 위한 고용정책을 펼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youth university graduates’ workplac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for turnover by analyzing panal dat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general workplace, possibility of personal development, autonomy/authority, monthly wage(p<.001), working environment, office hours, usefulness of major(p<.01), personnel system, employment stability, welfare benefits(p<.05) affected preparation for turnover. Also, sex, marital status, type and location of university, major, status of workers affected preparation for turnover.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 for reducing turnover and enhancing workplace settlement by confirming the effect of youth university graduates’ workplac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for turn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