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FX(Visual effect) 프로세스 환경 변화 연구 - 시각 효과 개발 업체 “Videocopilot” 중심으로 -

        김형재,윤수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시각 효과 기술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빠르게 보편화 되고 있다. 영상 제작의 다양한 방식의 시각 효과 기술들이 적용이 되고 있으며, 영상 속 시각 효과 비중이 확대 되고 있다. 시각 효과의 사용 비중은 영상 제작의 예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많은 예산을 사용 하는 영상의 경우 시각 효과의 질 적 완성도가 높아져 왔다. 하지만 대규모 투자를 통해 개발된 시각 효과 기술의 정보 공유는 제한적이고 발전의 속도가 더디게 이루어진 반면, 소규모 영상 제작자를 위한 시각 효과 기술 정보 공유는 온라인의 확산으로 인하여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질적인 완성도는 예산에 의해 정해지지만 시각 효과의 과 정과 방법의 변화로 영상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소수만이 가지고 있던 시각 효과 기술 정보와 자료들의 확산과 증가가 다수의 전문적인 시각 효과 업체들의 출현을 야기 시키고 영상 시각 효과 제작 프로세스를 바꿔놓았다. 다양한 시각 효과 개발 업체들은 기존에 시각 효과 작업 방식을 토대로 과정의 변형과 생략으로 예산 절감과 함께 질적인 측면을 높이려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많은 시각 효과 개발 업체들 중 Videocopilot은 Adobe After effects를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플러 그인 개발과 판매를 이루고 있는 동시에 Videocopilot 웹페이지를 통하여 개발자 간의 소통을 이끌어 내 고 시각 효과 정보 고유 및 새로운 창작물 공유를 동시에 이루고 있다. Videocopilot은 간략한 시각 효과 프로세스를 제시 하여 다른 개발 업체와는 차별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플랫폼과 창작자 사이의 거리를 좁 혀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Videocopilot을 통해 새로운 시각 효과 제작 환경 변화와 그 의미를 알아보고 향후 영상 후반작업 제작 과정을 예측해본다. Visual effects technology is rapidly becoming universal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isual effects technologies in various ways of video production are being applied, and the proportion of visual effects in the video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visual effects use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budget of video production, and the quality of visual effects has increased in the case of images that use a large budget. Although information sharing of visual effects technology developed through large-scale investments is limited, it is more common for small-scale video producers, due to the spread of online environments. Qualitative completeness is determined by budget, but changes in the process and method of visual effects are taking place to increase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images. The proliferation and growth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on visual effects technology, once possessed by a few, has led to the emergence of many companies specialized in visual effects. Thus, this has resulted in a change in the visual effects production process for videos.Various visual effects developers have previously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quality, along with budget cuts, by modifying and omitting processes based on visual effects working methods. Videocopilot, among many visual effects companies, uses Adobe After Effects to develop and sell highly polished plug-ins while sharing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technology with visual effects developers. Furthermore, Videocopilot helps the communication between developers through its webpage, simultaneously achieving information sharing and visual design. Videocopilot has shown a rapid visual effects process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developers, narrowing the gap between platform and creator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production environment and its meaning by analyzing the case of Videocopilot, and further predicts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캐릭터 특수 분장 시각효과

        정민수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4 No.-

        The precedent study "Research on systemization of types of visual effects" classified components of visual effects into five groups, and then subdivided into character visual effect, animation visual effect, special makeup visual effect, and animatronics visual effects. A study of visual effect is newly systemizing field.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regarding the subdivision of visual effects. This study deduce the process of making special makeup by experimenting techniques of visual effects in special makeup, like manual special makeup visual effect, 2D digital special make up visual effect, and 3D digital special makeup visual effect, to train talents with a combine skills of manual and digital technique. 선행연구 “시각효과유형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에서 시각효과의 구성요소적 유형을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고, 그 중 캐릭터 시각효과를 애니메이션 시각효과. 특수 분장 시각효과, 애니메트로닉스 시각효과로 세분화하였다. 시각효과분야는 새롭게 체계화되고 있는 학문분야임으로 후학들을 위해서 세분화된 시각효과들에 대한 깊이 있는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한다고 판단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특수 분장 시각효과에서 수작업 특수 분장 시각효과, 2D디지털 특수 분장 시각효과, 3D디지털 특수 분장 시각효과의 기술실험을 통한 수작업과 디지털 작업의 융합 형 인재양성을 위한 ‘특수 분장 제작프로세스’를 도출한다.

      • KCI등재

        간판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이수연 한국옥외광고학회 2012 OOH광고학연구 Vol.9 No.1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motion oriented products, visual was more effective than text in the advertis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reason oriented products, text was more effective than visual. This study could confirm its result was similar with the result of existing researches through the facts that a text outdoor sign was more effective in the reason oriented product rather than in the emotion oriented product, on the other hand, a visual outdoor sign was more effective in the emotion oriented product rather than in the reason oriented product. Second, in the research of advertising effect for message appealing type and involvement, visual was more effective than text in all situations including advertisement attitude in high involvement and low participation, shop's attitude and visit intention, a visual outdoor sign ha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in high involvement than in low participation, in case of a text outdoor sign, there was no remarkable signific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Third, in case of the advertising effect for message appealing type and need for cognition, a visual outdoor sign ha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than a text outdoor sign in both high need for cognition and low need for cognition. and a text outdoor sign showed a higher advertising effect in low need for cognition , on the other hand, a visual outdoor sign in high need for cognition. 본 연구는 간판의 광고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간판의 메시지 소구유형을 비주얼과 텍스트로 구분하고 제품유형, 사인에 노출되는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과 관계된 관여도와 인지욕구가 간판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보고 각 변인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감성제품의 경우 텍스트보다 비주얼의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이성제품은 텍스트보다 비주얼의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텍스트 간판은 감성제품보다 이성제품에서 효과가 좋았으며 비주얼 간판의 경우 이성제품보다 감성제품의 광고효과가 높아서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메시지 소구유형과 관여도에 대한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는 고관여와 저관여에서 광고태도, 상점태도, 방문의도 모두 텍스트보다 비주얼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주얼 간판은 저관여보다 고관여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텍스트 간판의 경우는 관여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셋째, 메시지 소구유형과 인지효과에 대한 광고효과는 고인지욕구와 저인지욕구 모두 텍스트보다 비주얼 간판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텍스트 간판은 저인지욕구에서, 비주얼 간판은 고인지욕구에서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시각효과 유형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정민수 ( Min Soo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3 No.-

        콘텐츠기획 및 제작에서 시각효과의 비중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시각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공학에 기반을 둔 프로그래밍 연구, 영상작품에 나타난 미학적 측면의 분석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시각효과 유형의 체계화와 시각효과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술의 상관관계를 조명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하는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에서 그 비중이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문분야에서도 독자적 영역을 형성해 가고 있는 시각효과 유형의 체계화와 시각효과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술의 상관관계를 조명해보았다. 표본 추출을 위하여 세계적으로 성공한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각효과 유형분류 및 수작업 시각효과와 디지털작업 시각효과의 상관관계의 체계화가 시각효과 전문가를 양성하려는 교육기관에서 차별화된 특성화 커리큘럼을 개발하는데 주춧돌이 되기를 희망한다. As the weight and the influence of visual effect of contents planning and creation grew larger, many researches began to be conducted on the visual effect.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the programming based on engineering and the aesthetic aspects of visuals, while there have never been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ization of visual effect pattern and the technology for realizing the visual effect. S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ization of visual effect and the technology for embodying the visual effect which are not only forming their own independent academic domains but also increasing their weight in successful content planning and content cre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extracting samples from the Star Wars series, which were successful movies in the world. I hope the systemiz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visual effect, the manual visual effect and the digital visual effect drawn by this research will be the groundwork for education institutes for visual effect specialists to develop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curricula.

      • KCI등재

        전자책 단말기의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관한 연구

        주선(Ju, Sun),류한영(Ryoo, Han Young),박주현(Park, Joo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디지털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전자책 시장이 급속도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전자책 단말기 사용자들의 물리적인 행위에 반응하는 시각적 피드백 효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국내외에 시판중인 대부분의 전자책 단말기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의 전자책 단말기는 색상과 채도가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색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 효과의 표현에 제약이 있다. 기존의 시각 정보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시각적 피드백 효과와 같은 시각 정보를 전달할 때 색이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색의 표현에 제약이 있는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 단말기를 선별하여 시각적 피드백 효과를 수집하고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서 나타난 형, 명도, 크기, 도치, 그래픽 심벌의 5가지 디자인 요소를 기반으로 시각적 피드백 효과를 유형화하였다. 유형화된 시각적 피드백 효과를 실험을 통해 평가한 결과, 도치, 중명도와 그래픽 심벌, 각진 형태의 면이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형, 축소, 저명도의 형은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대한 연구와 달리 색의 표현에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의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e-book markets have been activated across the worl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visual feedback effects which respond to physical actions from the users of the e-book devices are getting magnified. Most of e-book devices which have been placed on internal and external markets have e-ink display. And yet there is a restriction for expressing visual feedback effects with color because hue and chroma can"t appear in e-ink displaying e-book devices. When we look into the former researches, color has a dominant role when visual information such as visual feedback effects are conveyed. Thus a study which is related to this is needed at this point of time. In this study, visual feedback effects were collected from selected e-book devices, and types of visual feedback effects were classified based on 5 visual elements such as shape, value, size, invert, and graphic symbol which appeared in visual feedback effec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ith geared experiment stimulation based on typology, invert, middle level of value co-occurring graphic symbols, and faceted shapes of faces had positive effects. However, line shapes, reduction, and low level of value co-occurring shapes had negative effects. This study researched visual feedback effects in an environment which has restrictions of expressing color so that it has a different significance from existing research.

      • KCI등재후보

        시각효과적인 영상에 필요한 음향효과 디자인의 효율적인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이상윤 ( Song Yoon Lee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10 디지털영상학술지 Vol.7 No.1

        Sound effects design for visual effects images needs the more quantitative work as compared to the sound effects design for a general moving image work. And various methods on the classification of sound effects have to be thought by sound designer when he works on editing sound effects. Because many sound effects are put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ut distinction between the sound effects lay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effects and the external sound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technical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epth of sound effects related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steners should be assigned adequately. When various sound effects hit each other, the appropriate use of contrast between them should be applied, but they should be able to fuse with each other. The appropriate use of sound effects is needed for the manipulated images. Sound effects design has to be thought with the role and function not only for the sound effects but also as a part of for overall moving image work including visual effects. The plan and production of sound effects design for visual effects image have to be flexible, depending on the genre and scale of the moving image. It has to be recognized how virtual sound effects and symbolic sound effects are interpreted in the visual effects image work when the sound designer works on the sound effects editing. Before starting sound effects design for certain moving image work including visual effects, the message, story, and finality of the work should be needed to analyse accurat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plan of sound effects design should be set up.

      • KCI등재

        얼굴 표정의 주의 포획 효과: 정서와 하위 시각 특질의 상호작용

        윤영준,주성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6 No.2

        화난 얼굴이 웃는 얼굴보다 더 우세하게 지각되는지에 대해서 치열한 논쟁이 있어 왔지만, 선행 연구의 결과가 혼재되어 있기에 수렴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시각 탐색 패러다임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반응시간과 완만한 탐색 기울기를 보이는 등, 화난 얼굴은 주의 포획에 있어서 우세함을 보였다. 그러나 얼굴과 치아의 대비와 같은 하위 시각 특질이 주의 포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서의 영향을 고려한 해석은 이러한 하위 수준의 해석에 의해 도전을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표정과 얼굴 치아 대비를 모두 조작하여 선행 연구의 혼재된 결과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 탐색 및 시각 단서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주의 효과를 측정하고 하위 시각 특질의 효과를 높은 수준의 정서 효과와 분리하였다. 시각 탐색 과제에서 화난 얼굴이 웃는 얼굴보다 더 빠르게 탐색되었고, 얼굴 치아 대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적으로 정서와 얼굴 치아 대비의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목표 자극에 대한 시각 탐색 처리가 하위 수준의 시각 특질과 더불어 정서의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시각 단서 과제의 경우, 높은 얼굴 치아 대비 자극을 제외한 화난 얼굴 조건에서 주의 포획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각주의 포획에 대한 정서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의 결과는 분노 우월 효과를 지지함과 동시에 시각주의에 대한 얼굴 표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정서와 시각 특질을 통합하는 모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Whether angry faces are superior to happy faces has been fiercely debated,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reconcile the literature as previous studies yielded mixed results. For example, angry faces appear to attract more attention resulting in faster reaction times (RTs) and the shallow search slope in a visual search paradigm. However, this high-level account has been questioned by a low-level account claiming that this result is due to low-level visual saliency (e.g., higher contrast between face and teeth color). In the present study, we seek to reconcile the discrepancy between mixed results by manipulating both facial expressions and face-teeth contrast. Specifically, we measured attention effects in both the visual search and cueing paradigms and aimed to tease apart high-level, emotion effects from low-level effects. In the visual search experiment, we found that RTs were faster for angry faces compared to happy faces. Furthermore, faces with higher face-teeth contrast yielded faster RTs compared to faces with lower face-teeth contrast. Criticall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face-teeth contrast and emotion, suggesting that emotion may affect target processing on top of low-level effects during visual search. In the visual cueing experiment, we found that angry faces but not faces with higher face-teeth contrast did capture attention despite being task-irrelevant, bolstering the role of emotion in attention capture. Overall, our findings support the anger superiority effect and suggest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model combining emotion and visual features to explain the effect of facial expressions on visual attention.

      • KCI등재

        시각과 청각 정보의 의미적 일치성에 따른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

        김보성(Boseong Kim),민윤기(Yoon-Ki Min)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2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동시에 제시될 때, 두 정보가 모두 지각되기 보다는 시각 정보가 더 우세하게 지각되는 현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시각 우세성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시각 우세성 효과에 각 정보의 의미적 일치여부의 속성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목표자극이 되는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의 의미적 속성이 서로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오류율의 분석에서는 의미적 일치 여부에 따라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응시간의 분석에서는 의미적 일치 여부에 따라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과제의 특성에 따라 의미적 일치성이 시각 우세성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When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simultaneously, we perceive visual information dominantly over auditory information. This effect is called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gruence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on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e semantic congruence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dominance effect obtained in error rates was not modulated by semantic congruence, whereas the effect in RT was. It is suggested that this modulation of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gruence on the visual dominance effect would be due to the task type.

      • KCI등재

        디지털 색채계획을 위한 색채 시지각 효과에 관한 연구

        김병수(Kim Byoung-Soo),추승연(Choo Seung-Yeon),서원덕(Seo Won-Duck)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3

        The color which stimulates the visual perception of a human is not only able to affect the human's spatial feeling according to its usage but also a very effective means in order to express the user's preference and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 scholar on the color (L. Cheskin), a human's response to the image is rather rational about the form but is very sensual to the color. Like this, the color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elements in a human's visual perception and sensual aspect. For now,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lor plan, a lot of research on the color scheme related with color effects has been done, but it is the reality tha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visual perception effects of color using digital sp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for us to exam and study about the visual perception effects of color that affect the color plan in architecture. This paper intends to give basic information for digital color plan in future by deriving excellence of visual perception effects of color through the analysis of color theories an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done by using digital simulation after dividing the visual perception effects of color into a psychological effect, a spatial effect, and a gaze leading effect.

      • KCI등재

        의미적 속성을 가진 시,청각자극의 SOA가 시청각 통합 현상에 미치는 영향 -중복 표적 효과와 시각 우세성 효과를 중심으로-

        김보성 ( Bo Seong Kim ),이영창 ( Young Chang Lee ),임동훈 ( Dong Hoon Lim ),김현우 ( Hyun Woo Kim ),민윤기 ( Yoon Ki Min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SOA(stimulus onset asynchrony)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the integration phenomenon of audio-visual senses. Within the stimulus integration phenomenon, the redundant target effect (the faster and more accurate response to the target stimulus when the target stimulus is presented with more than two modalities) and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e faster and more accurate response to a visual stimulus compared to an auditory stimulus) were examined as we composed a visual and auditory unimodal target condition and a multimodal target condition and then observed the response time and accuracy. Consequently, despite the change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i SOA, there was no redundant target effect present. The auditory dominance effect appeared when the SOA between the two stimuli was over 100㎳. Theses results imply that the redundant target effect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when the SOA between two modal stimuli is altered, and also suggests that the behavioral results of superior information processing can only be deducted whe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nset of the auditory stimuli and the visual stimuli is approximately over 1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