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초기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규칙위반과 폭력행동을 중심으로

        조영오(Jo, Youngoh)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교규칙위반과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t검정 결과에 의하면 가정에서의 학대, 성적 스트레스, 친구관계, 비행친구관계 및 동네사람 애착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규칙위반과 폭력행동 각각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정에서의 학대가 심할수록, 성적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폭력비행에 가담한 친구가 많을수록 학생의 폭력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친부모와 함께 살지 않는 소년이 친부모와 함께 사는 소년보다, 부모 및 교사와의 애착이 낮을수록, 성적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학생들은 학교규칙위반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폭력행동과 학교규칙위반을 구분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대가 심할수록, 친구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폭력비행을 저지른 친구가 많을수록 학교규칙위반보다는 폭력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체적으로 경미한 일탈과 심각한 일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이론적 및 정책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school rules violation and violent behavior among 6<SUP>th</SUP> gra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use at home, stress of grade, relationship with peers,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for school rules violation and violent behavior showed that males and increases in abuse at home, stress of grade, and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led to increase in violent behavior. However, males, students from broken home, decreases in attachment with parents and teacher, and increase in stress of grade increased school rules violation. Moreo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male students got involved in more violent behavior than female students. Increases in abuse at home and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decrease in relationship with prosocial peers led to more probability of violent behavior than school rules viol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correlates between minor deviant behavior and serious deviant behavior.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청소년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이 폭력태도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인형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학교 스포츠클럽 참여 청소년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이 폭력태도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양적,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통합방법론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특별시와 광역시 그리고 경기도에서 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1114명과 지도자 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한 인지적 공감과 긍정성은 폭력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공감은 공격성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인지적 공감은 문제행동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문제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폭력에 대한 태도는 문제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aimed at proving by evidence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f youth' empathy ability and resilience on the violence attitude and problematic behaviors in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The integrated method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used for the study. 1114 students who participating sports club i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9 instructor of sports club were sampled by purposive sampling. The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were used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extual analysis were employed for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gnitive empathy and positivity through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Second, the affective empathy hae a direct positive effects the aggressiveness and the cognitive empathy hae a indirect negative effects on the problematic behavior through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Also, sub-factors of resilience had a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he problematic behavior. Third,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had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의 폭력적 미디어 노출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비행행동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지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적 미디어 노출이 이들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과 비행행동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중학교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02명의 청소년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폭력적 미디어 노출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첫 번째 매개변수인 정서조절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두 번째 매개변수인 비행행동은 두 변수간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폭력적 미디어 노출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과 비행행동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nd delinquent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the exposure to violent media on the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youth. For this purpose, survey was conducted to 402 adolescents in middle schools bas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exposure to violent media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exposure to violent media on the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ird, delinquent behavior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violent media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youth. Forth, emotional regulation and delinquent behavior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exposure to violent media on the cyberbullying perpetration.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tervene in preventing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youth.

      • KCI등재

        폭력적 영상물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우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1

        기본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매체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며 여가생활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출연자의 폭력행위, 노출, 음란행위 등의 유해성 요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모방심리를 부추겨 비행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폭력적 영상매체(TV)에의 노출 수준과 청소년 비행 행동을 살펴보았는데, 텔레비전에서 시청하는 프로그램 중 구체적으로 폭력성의 장면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의 선호하는 정도를 응답하게 한 후, 그 영상매체의 노출정도와 직접적인 폭력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폭력적 영상매체에의 노출이 증가하면 청소년의 폭력적 비행 행동 수준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주중 TV시청 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1-2시간, 그 다음은 30분-1시간 미만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의 폭력성 여부에 관계없이 부모는 시청 지도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폭력행동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는 물질적, 실체적 폭력에 비하여, 언어적 폭력 행동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폭력물 노출도가 폭력적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폭력물 노출도와 폭력적 비행행동 그 자체의 단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폭력물 노출도(β=.144, t=3.136, p<.01)는 폭력적 비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시청 환경을 살펴보고, 특히 폭력물에의 노출도를 확인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으나, 설문 문항 설계상의 복잡성, 서울 지역에 한정하여 조사한 점 등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이다. The Influence of Media occupies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e life of children or adolescents. Media is a kind of something special to watch and family activity seems to provide parents and children opportunities of interaction, but this interaction is unhealthy in general. It is because parents and children can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m with the issue of time and quantity of TV watching. In particular,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bring negative effects to the mind and body of adolescents and therefore watching on it needs parents' proper guid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of violence and routine acceptance if it and then present some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focusing on their exposure to the violent program of visual media.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 study hypothesis was established. It seems that when adolescents' exposure to visual media increases, their imitative disposition increases too in averag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adolescents' of violence and violent TV programs, the acceptance of violence in everyday life is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exposure to violent visual media. This finding shows that adolescents definitely need parents' guidance and concern for their watching on violent TV. In conclusion, adolescents' watching on visual media for violent TV program has great influence upon their acceptance of violence.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must properly guide adolescents for their TV watching. Media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school in order for adolescents to use media correctly. In addition, a family control is also important. These measures are necessary to form adolescents' appropriate personality and will be greatly effective in preventing adolescents' violence which increases its severity day after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