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비행친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linquent fri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for youth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youth cyber violence. It's specifically meant to use a path model to determine the direct effects of family violence victimizatio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on behavior of committing cyber violence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three kinds of victimization experiences through delinquent friends. Data were gathered from 1,303 secondary students who resided in the cities of Daejeon, Pyeongtaek, Cheongju, Iksan and Gun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s found that the youth risk factors for violence victimization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behavior of committing cyber violence.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delinquent friend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for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mad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ed by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It seemed that the teens who had more experience of being victimized by violence were more likely to mingle with delinquent friends, which might lead to more online risk behaviors due to the lasting adverse impact of the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violence victimization serves as a greater risk factor on the Internet.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prevention of cyber violence, full-fledged preven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function of family environments and school environm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 위험요인과 사이버폭력과의 관계에서 비행친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정폭력피해,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사이버폭력 가해행동 간에 직접효과와 비행친구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를 경로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전, 청주, 평택, 익산과 군산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 1,30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 위험요인은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이버폭력피해, 학교폭력피해, 가정폭력피해경험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폭력피해경험 위험요인과 사이버폭력 관계에서 비행친구가 매개역할을 하였고 학교폭력피해, 가정폭력피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폭력피해경험이 높을수록 비행친구와 관계될 가능성이 많아짐으로써 부정적인 영향들이 사이버에서도 적용되어 위험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실폭력경험이 사이버 상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되어진다고 볼 수 있어, 사이버폭력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의 기능을 돕는 예방적인 노력들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또한 건전한 친구관계가 사이버에서도 중요하게 적용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추후연구에서는 친구관계 요인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형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되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이 피해자의 결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데이트폭력 편견과 폭력허용도의 조절효과

        송민혁(Min Hyeok, Song),이수림(Su Lim, Lee)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피해자의 결별의도 간의 관계에서 데이트폭력 편견과 폭력허용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수집하여 294명(남자 148명, 여자 1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데이트폭력 편견 척도, 폭력허용도 척도, 데이트폭력 피해경험 척도, 결별의도 척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데이트폭력 피해경험, 결별의도, 데이트폭력 편견, 폭력허용도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확인하였다. 둘째,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이 결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편견의 유의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이 결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유의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이 피해자의 결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데이트폭력 피해자 연구 및 상담 장면에서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결별의도를 확인할 근거를 제안하였다. 둘째, 폭력에 대한 개인의 일반적 태도인 데이트폭력 편견과 폭력허용도가 데이트폭력 피해 심화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과 피해자 개입과 예방 있어 이를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effects of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and violence acceptability between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victim s intention of part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online survey and analyze 294 (148 men and 146 women)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 of dating relationship.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by using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Questionnaire(PDVQ), Justification of Violence Scale(JVS),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Intention of Parting Questionnaire(IPQ). Following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First,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intention of parting,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and violence acceptability has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oderated effects of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has been verified between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intention of parting. Third, the moderated effects of violence acceptability has been verified between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intention of parting.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s that first, the effects of dating violence victim intervention on intention of parting has confirmed and offered a rationale to consider the intention of parting on counseling scene. dating violence and violence acceptability, a person’s general attitude toward dating violence, could be risk factors for escalation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necessity need to consider this on dating violence victim interven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results.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김상우(Sang-woo Kim),김지현(Ji-hye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 가해경험, 학교풍토의 인식을 주요한 요인으로 선정하고,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종단경로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연구들은 대부분 횡단연구와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의 관계에 대한 단순 양상변화 그리고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있어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도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요인이 학교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풍토 인식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종단연구 자료를 통해 검증 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의 패널1 자료 중 2013년(중1)부터 2015년(중3)까지 3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은 총 2,411명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전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은 다음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학교풍토 역시 이전시점의 인식이 다음시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전시점(중1)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다음시점(중2)의 학교풍토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전시점(중2)의 학교풍토 인식은 다음시점(중3)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과의 관계에서 학교풍토 인식은 종단적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는 이전시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다음시점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로에서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면 이후시점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은 높아 질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elects the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the perpetrator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s major factors, and examines the longitudinal path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to the perpetrator experience. Most of the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cross-sectional studies, an aspect of simpl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experience and the perpetrator experience and the focus on personal factors. However, not only person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perpetrator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factors, in which students spe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on school violence. To this end, we inte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leading to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or experience through th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through longitudinal study data.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2013(middle school 1) to 2015(middle school 3) among panel 1 data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 were us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41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delay model. Results Th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perpetrating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affects th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perpetrating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t the next point in time, respectively, and that the previous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also affects the perception of next time. In additio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middle 1)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t the next point (middle 2), and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at the previous point (middle 2) affects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next point (middle 3). In other word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had a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perpetrating experience. Conclusions These imply that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the previous point can lead to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next time. Also, if a student perceives the school climate negatively in this path, the perpetrat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the future may increase.

      • KCI등재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

        김상우,임소라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23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30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attachment serves as a positive emotional resource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addition, we aim to present alternative programs to reduce school violence and promote positive peer attachment among children. Design: We utilized data from the 13th year(2020)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this stud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surveyors, and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1,357.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ere confirmed. Second, it can be inferred that children with isolation in peer relationships may ultimately be more vulnerable to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s their interactions in cyberspace may also be undermined, highlighting the potential impa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it can be observed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ttachment are emotionally stable, even when exposed to school violence and cyberviolence victimization, which may enable them to regulate the degree of victimization they experience. Conclusi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cyber violence experienc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relationship, positive peer attachment is a positive resource. Therefor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n preventing and overcoming school violence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solu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초기 성인기 생활만족도의 관계 :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태용(Ahn, Taeyong),강선모(Kang, S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9~24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 변인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알아본 후,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여러 개별 경로의 단독 매개효과와 순차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모든 연구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용서와 침습적 반추를 매개로 사회불안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을 매개로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개별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는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및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용서 수준의 증진을 통해 침습적 반추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ulthood,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Methods To this end, we collected 533 data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men and women aged 19-24 across the coun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osed of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Then,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veral individual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the study variable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anxiety through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ife satisfaction through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pathway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Moreover,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reduce social anxiety by reducing the level of intrusive rumination by enhancing the forgiveness level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Moreover, it shows the need for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학교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분석 연구 -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안재희 ( Ahn Jaeh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0 여성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학교 내 2차 성폭력 피해에 대한 경험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중·고등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2차 피해의 양상과 그 원인 그리고 2차 피해가 피해자에게 주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심충면접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7명으로 성폭력 1, 2차 피해를 경험한 학생 4명과 가·피해 학생들을 상담하거나 사건을 처리했던 교사 3명이다. 분석과정에서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통해 다른 일반 사회적 장과 다르게 학교가 가진 사회문화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2차 피해는 1차 피해와 동시에 SNS를 통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차 피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를 옹호했던 주변인들에게도 2차 피해가 일어났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은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 가치로 오인해 피해자들을 ‘보호받을 피해자’와 ‘비난받을 피해자’로 구별했으며 이들을 옹호하거나 학교의 성폭력 문제를 제기하는 학생, 교사들을 ‘문제를 일으키는 자’로 구별짓는 상징폭력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에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은 가부장적인 위계적 서열문화, 성적 및 대학진학이 우선시 되는 문화 등 학교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성폭력 사건을 처리하는 학교의 구조적 특성, 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적 오인과 공모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구성원들은 오랜 기간 사회화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인 가치로 오인하고 이에 자발적으로 공모하는 행위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성 윤리를 재생산시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2차 피해의 사회적 의미는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1차 피해가 축소되거나 은폐되고 징계에 대한 이중적 감정이 유발됨으로써 1차 성폭력 사건의 역학관계가 변화되었다. 또한 자기검열과 자기비난으로 인한 고립되는 학교생활 그리고 이해관계의 대립 등 일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 학생들 중 일부는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성폭력과 피해자에 대한 지배적인 상징질서를 재편하기 위한 실천을 전개하는 임파워먼트를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ts causes, an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damage to victims, focusing on secondary victimization cases of sexual violence occurr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cas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seve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our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and three teachers who consulted abusive students and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at school was done quickly through SNS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one not only to the primary victims but also to the people who defended the victims. Symbolic violence emerged at school. It also identified the victims as "victims to be protected" and "victims to be criticized." Second, there are many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schools. The first cause is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such as patriarchal community culture, hierarchical ranking culture, and culture in which university entrance is given priority. The other reason 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dealing with sexual violence cases. The last one is that school members misrecognized patriarchal sex ethics and norms as universal values. Thir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victimization varied for the victim. The dynamics of primary sexual violence cases changed as primary damage was reduced or covered up. The victims felt contradictory feelings about the perpetrator's punishment. Also, the victims' daily lives have changed due to isolated school life, self-censorship, self-criticism and conflicting interests of human relations. But some of the victims were to be empowerment if victims meet people who are with them. They looked at their experiences objectively, began to voice themselves and practiced to reshape the dominant symbolic order such as prejudices about a stereotypical image of victims and sexual violence.

      • KCI등재

        여성폭력 및 여성폭력방지기본법 개선 모색

        정도희(Dohee Je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1

        여성폭력의 유형은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다양한 폭력유형 가운데에서도 현행법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이 “분절적으로” 입법되었고, 가해자 처벌을 위한 입법과 피해자 보호로 이원화되어 있다. 여성폭력 피해자의 통합적인 지원체계와 포괄적인 입법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계속되었고, 우리 사회에서는 격렬한 논쟁 끝에 2018년 12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이 제정되었고, 2019년 시행되었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종래 개별적으로 규율되던 여성폭력을 통합적으로 규율하고, 여성에 대한 새로운 유형의 폭력을 반영하여 여성폭력의 확대를 고려한 포괄적인 성격의 법률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 방지와 피해자 보호와 지원에 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하고, 여성폭력방지정책의 추진을 규정하며, 여성폭력 특수성을 반영하여 피해자 지원시스템과 일관성 있는 통계 구축 등을 통하여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법의 제정 과정에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의 대립이 있었고, 현재에도 개정이 필요하다는 논의와 그 방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보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하여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스페인의 입법례를 소개한다. 스페인은 ‘젠더폭력 통합 보호 조치에 관한 조직법’(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과거 가정폭력 피해가 빈번하고, 등한시되었던 여성의 권리가 입법을 통하여 강력하게 보호되어야 하고, 남성과 여성의 평등한 권력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자각 하에 이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젠더폭력 사건에서의 대응을 위한 것으로, 사건 발생 후의 경찰에의 신고, 피해자에 대하여 의료지원,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여성피신처 및 상담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것이다. 2022년 9월 스페인은 성폭력범죄의 처벌과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는 형법 개정을 이루기도 하였는데, 스페인의 입법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의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수정이나 대응에 착안점을 줄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피해자보호명령제도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도입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여성폭력 피해자의 권리와 여성폭력의 유형, 스페인 여성폭력 지원 관련 입법례를 살피고,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주요내용과 비판을 검토한 후,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여성폭력과 여성폭력 피해자의 개념 확장, 2차 피해 용어의 명확화와 불이익처우금지의 확대, 피해자보호명령제도의 도입 및 조문의 신설・개정을 통한 미비점 보완 노력을 제안하였다.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are wide and varied. Among various types of violence, the current acts are “segmentally” legislated on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and are divided into legislation to punish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The need fo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comprehensive legislation continued, and after intense debate in our society,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was enacted in December 2018 and implemented in 2019. The Act is a comprehensive act that comprehensively regulates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d previously been individually regulated and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xpans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a new type of violence against women. It clarif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stipulates the promo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policies, and supports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establishing consistent statistics with the victim support system.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is Act, there was a conflict of opinions for and against it, and discussions on the need for revision are still being conducted.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supplement to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to this end, introduces a legislative example of Spain, which may be unfamiliar to us. Spain h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Organic Act 1/2004 of 28 December on Integrated Protection Measures against Gender Violence」( 「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In Spain, this Act was enacted under the awareness that domestic violence was frequent in the past, that women's rights, which had been neglected, should be strongly protected through legislation, and that an equal power structure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formed. This Act is for responding to cases of gender violence, reporting to the police after an incident occurs, providing medical support to victims, and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women's shelters, and counseling services. In September 2022, Spain also made amendments to the Criminal Code that strengthened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Examining Spain's legislative examples can give an idea for revising or responding to our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particular, the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is worth introducing in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This paper reviews the rights of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legislative examples related to support for violence against women in Spain, and major contents, criticisms of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were sought. This paper emphasizes efforts to make up for deficienci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efini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clarification of secondary victim damage terms, the expansion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provisions.

      • KCI등재

        소년수형자의 교도소 내 피해와 가해 경험에 대한 연구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16 矯正硏究 Vol.- No.7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extent of victimization and violence among Korean young inmates. Previous research on prison misconduct suggest that the younger inmates tend to have much more experience of being victimized and/or victimizing others within prisons than adult prisoners, an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being victimized and exerting violence are blurred. Based on these previous findings about prison victimization and violence, this study set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much and what type of victimization will be found among youthful inmates? Second, how much and what types of violence exist among juvenile prisoner?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dult prisoners and young prisoners with regard to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nd violence? Fourth what factors can explain victimization and violence among young inmat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108 young offenders residing in a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located in the south region of Korea. Analysis showed that Korean juvenile inmates have experienced far less victimization and violence than previous research expected. In addition the percent of being victimized and victimizing others among young prisoners were far lower than adult counterpart. Absorption to inmate codes explained a little variance of victimization but not that of violence. Thus, this study failed to explain the link between victimization and viol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emed hot that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e reason can be found data collection process in that young prisoners did not feel safe during conducting questionnaire. Another possible reason may be that Korean young prisoners are more rule abiding than Western counterparts because of cultural heritage in which young people should show respect to adults through behaving what the norms and rules direct. More research should be followed to confirm the right interpret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소년 수형자들이 교도소 내에서 경험하는 각종 폭력행동과 피해의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청소년들의 폭력행동과 그로 인한 피해, 즉 학교폭력에 대한 우리사회의 각별한 관심과는 대조적으로 구금시설에 있는소년들의 폭력가해와 피해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다는 데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음의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소년수형자들의 폭력피해의 실태는 어떠한가? 그 유형은 무엇이고 그 빈도는 얼마나 되는가? 둘째, 소년수형자들의 폭력가해 경험은 얼마나되는가? 그 유형은 무엇이고 그 빈도는 얼마나 되는가? 셋째, 소년수형자들의 폭력피해와 가해의 경험을 성인수형자와 비교할 때 차이가 있는가? 넷째, 소년수형자들의 폭력피해경험과 가해행동을 설명하는 요인이 있는가? 김천소년교도소에 수용되어 있는 소년수형자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소년교도소에서 발생하는 폭력피해와 가해의 규모는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폭력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신체적, 성적, 금전적, 심리적 폭력의 피해와 가해경험을 가진 소년수형자들은 소수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주장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또한 성인수형자에 대한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소년수형자들의 폭력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더불어서 폭력피해와 가해행동을 설명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분석결과 박탈모델과 유입모델의 변수들의 설명력이 크게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피해와 가해의 중첩성도 발견하지 못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추론과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 수사단계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방안

        김용근 한국피해자학회 2008 被害者學硏究 Vol.16 No.2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s of laws about sexual violence crimes, the measures for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have started to be arranged in Korea. However, still more 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devices and system for saving and protecting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are required. Especially, the second damage for the victim of sexual crimes occurring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criminal justice is leading to duplicate pain and scar for them. Although recently the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crimes are being carried out by exclusively assigned female police officers as the center, and the efforts to protect the victims are seen through methods such as the video statement for child sexual violence, still the current state is difficult for the victims to visit the investigation institution to report being the victim of sexual violence. This can be thought of as the general perception about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which are still prevalent in our society. It can be found in the tendency where the sexual violence in our society is thought to be the problem of purity or chastity for the victim or believed to be an interest stimulating incident rather than regarded as a crime where sexual right to choose was violated or other person's human right was vio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exual Violence Special Laws, the attention for the victims which has been ignored and the development in the study of victims have been achieved by making issues out of sexual violence crimes which had been hidden without being publicized socially. However, although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xual Violence Special Laws, still the need for reinforcing inadequate aspects of protecting the victims is being raised. Therefore, in this paper, in regards to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from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for our country are examined, and the effective and realistic ways of improvement are sought.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피해 유형을 중심으로

        신경희,전병주,김해인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Tedeschi & Calhoun 모델을 적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수준 및 그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고등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가장 많은 피해 유형으로 보고된 언어폭력, 신체폭력, 집단 따돌림 등 3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IBM SPSS Statistics ver. 27.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은 학교폭력의 피해 유형에 따라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 수준은 언어폭력 피해 집단이 신체폭력 피해 집단과 집단 따돌림 피해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은 학교폭력 피해 유형에 따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요인이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 피해 집단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후 경과 기간, 외상, 자기노출, 비공식적 영역의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폭력 피해 집단에서는 외상, 의도적 반추, 비공식적 영역의 지지 그리고 집단 따돌림 피해 집단에서는 외상, 공식적 및 비공식적 영역의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이 폭력에 따른 외상에서 벗어나 청소년기 삶을 재건하고 긍정적인 삶을 향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that was applied to the Tedeschi & Calhoun model.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In this proces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ostracism group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BM SPSS Statistics ver. 27.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the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the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differed by group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n the verbal violence victim group, factors such as the period after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 self-disclosure, and informal area support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In the physical violence victim group, factors such as trauma, intentional rumination, and informal area support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And in the ostracism victim groups, factors such as trauma, formal and informal area support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to escape from trauma caused by school violence and to rebuild their adolescent lives and enjoy a positiv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