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From the peripheral point of view, it can be argued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in China has yet to be matured theoretically and still remains more sentimental than analytical. This study define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China's perception of East Asia as “an Embracing Asia Perspective,” which has been embedded in Chinese mind-set and intellectual orientation ever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sides this, China internalizes both the “representing Asia perspective” and the “China and Asia as one-body perspective”, all of which, as this paper insists,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Embracing Asia Perspective. Therefore, China rarely views peripheral states in East Asia on a horizontal perception, and instead sees itself in a hierarchical interrelationship with them. This means that China perceives East Asia, as a device or a means, not as an autonomous entity or a purpose,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US, Japan and the West. In addition, China's hierarchical view of its regional neighbors is mainly attributable to a dichotomous world-view of "China vs. the West" structure that considers China a unique counterpart matched by the West and furthermore, capable of resisting it. In this world-view, China's presence is thought to be equated with the whole of East Asia as such and peripheral states merely fall into a category of cogs or sub-system under China as a whole system. By contrast, China always draws attention to both the US and the West as a good exemplary or a bad enemy, disregarding peripheral neighbors in East Asia. Following the pan-Asianism in the 1920s,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East Asian discourse entered into a dormant phase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World War II. During the Cold War period, ideological standoff led to a frozen state of discussion of unresolved history questions in East Asia. It is therefore forth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that a reasonable and critical debate on a variety of East Asian issues would follow. In fact, recently,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ome to take part in the East Asian discourse enthusiastically than ever before. 주변부의 시각에서 비평해 보면 중국의 동아시아주의는 아직은 정서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론적 수준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근대 이래로 중국인의 문화적, 지적인 심리구조에 내면화된 동아시아관을 “포아론”적 지향이라고 정의 내리려 한다. 중국은 아직도 동아시아의 존재인식이 미국/일본/서구에 대항하는 과정에서의 수단적 의미에 머물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중국은 “중국의 동아시아”라는 기본적인 사고에서 “아시아대표의식”과 “중아일체의식”을 내면화 하고 있는데 이 같은 인식들은 “포아론”의 함의에 모두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중국의 동아시아사고는 동아시아 주변부에 대한 수평주의적 지향을 회피하면서 위계적인 관계성을 내재화하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위계적의식이 생성된 배경은 중국의 타자는 유일하게 서구이며 중국만이 서구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표적인 존재라는 “중국 대 서구의 이원적 세계관”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세계관에서 중국은 아시아 그 자체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의 하위에 있는 작은 단위일 따름이다. 반면에 서구에 대해서는 항상 중국이 배워야하는 모범으로서 혹은 대치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적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범아시아주의의 등장이래로 중국에서의 동아시아사고의 발전적 전개는 내전과 세계대전으로 휴지기를 맞이하였다. 이어서 냉전시대의 이념적 대치상태로 인해서 동아시아지역의 공통적인 주제-동아시아의 근대사문제-에 대한 지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이 정체되었다. 탈냉전은 이러한 정체상황을 토론이 가능한 상황으로 변화시켰다. 근래에는 비판적 지식인의 동아시아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中ㆍ西에 가린 동아시아 : 중국 중등학교 역사교육과 동아시아인식

        오병수 동북아역사재단 200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19

        By focusing on Chinese perceptions of East Asia, this articlediscusses the discourse of the regional system of East Asia. A closeanalysis of history curriculum in Chinese secondary school duri ng theperiod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the present reveals theways in which Chinese intellectuals have observed the East Asia nregion and also developed their modern world-view.Chinese intellectuals have developed a world view in which Chin aand the West were located at the center, and East Asia was justmarginal. This perception of East Asia shows the moderntransformation of the theory of Huayi ,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civilized China and its negative counterparts. Assuming a natur altransformation of the non -Han people to the Han people, this theoryreveals the traditional Sino -centricism embedded within Chineseintellectuals’ perceptions of East Asia. In this theory, East Asia is notconsidered as the object of equal solidarity or the existence o f theotherness by the Chinese.Such perceptions of East Asia based on the traditional Sino -centricism have been constantly reproduced through historyeducation at secondary schools in Modern China. Especially, the92 동북아역사논총 19호history curriculum composed of the two parts, Chinese history a ndworld history, has seriously contributed to marginalize teachin g EastAsian history at school. There is no doubt that East Asia has c laimedits significance in the political rhetoric of socialistic inter nationalism.Nonetheless, its status, at least in the history curriculum, ha s beenovershadowed under the theory of Huayi . 중국의 지식인들은 중과 서로서 근대 세계를 이해하고 표상해 온 만큼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은 지극히 빈약하였다. 이렇게 중서라는 표상체계에 집착한 데에는 물론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전통적 공간인식 체계인 화이론적 세계인식의 근대적 변용과정에서 등장한 것이었다. 이러한 화이론은 국내적으로는 非漢族=支族에 대한 한화정책을 전제로 한 일련의 국민국가 건설과정으로 발현되었지만, 동아시아에 대해서는 과거와 같은 중화주의적 인식체계로서 표출되었다. 따라서 동아시아는 수평적 연대의 대상이나, 타자화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인식 틀은 중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수되고 재생산 되었다. 특히 근대 교육제도의 수용 이래 역사교육과정은 자국사와 외국사 또는 세계사를 중심으로 편제되어 왔지만, 자국사의 체계화와 서구적 보편사라는 편제 원리 사이에서 동아시아 각국에 대한 인식은 어정쩡하게 편제되었다. 물론 신중국에서 사회주의적 국제주의의 원칙에 따라 상대적으로 중시된 적도 있었지만, 그 역시 전통적 공간인식 체계와 유사한 화이론적 인식 틀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현행 역사 교육과정은 세계화의 추세에 맞추어, 탈정치화 및 다원적 세계인식이라는 원칙아래 문명간 교류를 중심으로 과정을 편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역시 국가주의적 경향성을 강화한 측면이 있다. 특히 현대화에 성공한 일본을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고 있을 뿐, 동아시아 주변 국가에 대한 인식은 대폭 축소하였다. 상호소통의 확대를 위한 심각한 방안이 요망된다.

      • KCI등재

        德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 - 청일전쟁부터 한국병합 시기를 중심으로-

        방광석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e study examines the views on East Asia held by Tokutomi Soho (1863-1957), an influential journalist and historian in modern Japan. This study focuses on his views of East Asian countries like China and Korea especially from the Sino-Japanese War (1894-95) to the annexation of Korea (1910), when he shifted to nationalistic and imperialist logics. Tokutomi's views on East Asia were related to the Datsuaron (Advocacy of Escape from Asia) He argued that Japan equipped with Western civilization could be separated from its East Asian neighbors like China and Korea, which were still barbaric and lacked the ability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civilized countries. Then, China and Korea were seen not so much a part of alliance with Japan in resistance against the inroad of Western powers as an object of Japanese expansionism. As an influential journalist, Tokutomi played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se imperialist views. Such Tokutomi's views remained unchanged even after his firsthand contacts with China and Korea. He travelled China for a long time in 1906 (righ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again in 1917 (right after the World War I). Although, he subscribed to the policy of friendly relation with China, rescinding the idea of dividing China, he repeated his unchanging views on China that the Chinese lacked modern consciousness of nation, and that they were imbued with debilitating literary values and private personal interests, which hindered them from reforming their country and society. With regard to Korea, he maintained that Koreans were so corrupt and lazy that they were unable to achieve civilization on their own, thus justifying its annexation by Japan. In justifying Japan's aggression against Korea by its role of civilizing mission, lied his deep sense of disdain and discrimination against Korea, which remained uncivilized to his eyes. The views of Tokutomi were also shared by contemporary Japanese leaders and intellectuals. He tried to be an initiator in proposing a variety of imperialist foreign policy suited to changing circumstances. Therefore, he put forth the theory of harmony of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when his Datsuaron lost prac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theory of yellow peril. Later, when Japan pursued with expansionist policy after the World War I, he advanced pan-Asianism, departing from the idea of Peaceful expansionism. His views on East Asia were in line with the course of Japanese imperialism, maintaining consistency in rationalizing and theorizing the expansionism of Japanese empire. 본 연구에서는 언론인자 역사가로서 근대일본의 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친 도쿠토미 소호(徳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한국병합 시기에 걸쳐 도쿠토미가 국가주의, 제국주의의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조선과 중국 등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나갔는지를 추적하였다. 도쿠토미의 동아시아 인식은 ‘脫亞論’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일본은 서양과 같은 문명을 구비하고 있어 ‘아시아적’이지 않으며, 중국과 조선 등 주변 아시아 국가는 기본적으로 야만적이어서 스스로 문명화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주변 나라가 일본과 마찬가지로 구미열강의 침략에 대항하는 동일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측면은 무시되고 구미열강과 일본의 팽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다. 도쿠토미는 언론활동을 통해 이러한 제국주의적 동아시아 인식을 주도했다. 도쿠토미의 동아시아 인식은 직접적인 견문을 통해서도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는 러일전쟁 직후인 1906년과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7년 두 차례에 걸쳐 장기간 중국을 여행했다. 그 사이 ‘지나분할론’에서 ‘지나친선’론으로 대외정책론은 변모를 보였으나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기본적 인식은 변하지 않았다. 중국인에게는 근대적인 국가의식이 없다든가 중국은 ‘文弱’하고 개인의 ‘이해관계’만 앞세워 스스로 개혁의 가능성이 없다고 파악했다. 조선에 관해서도 조선은 매우 부패하고 조선인은 게으르므로 스스로 문명화할 수 없으며 시대의 대세로 보아 일본에 의한 병합은 어쩔 수 없다며 식민통치를 정당화했다. 그 밑바탕에는 조선사회를 ‘야만’사회로 보는 멸시감과 차별의식이 뿌리 깊게 깔려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 의한 ‘문명화’를 강조하며 침략을 합리화해 나갔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당시 일본정부나 대부분의 일본지식인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오히려 도쿠토미는 ‘제국주의’국가 일본의 전략을 미리 제시하고 그것을 선도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대외정책론을 변화시켜 나갔다. 러일전쟁과 ‘황화론’을 통해 ‘탈아론’이 논리적 현실성을 잃자 ‘동서문명조화론’을 내세웠으며, 제1차대전 후 일본이 중국에 대한 침략을 실행해나가자 ‘평화적 팽창주의’에서 ‘아시아주의’로 나아갔다. 그는 꾸준히 일본의 대외팽창을 합리화하고 이론화하며 일본제국주의와 운명을 같이했다고 볼 수 있다.

      • 상대화 시각의 동아시아사 인식과 교육 방안

        황지숙 한국역사교육학회 2007 역사교육연구 Vol.- No.5

        East Asia history of China-centrism, it has been criticized in history education, comes from the concept of a cultural area. The cultural area of East Asia, on the basis of the center-periphery theory, was born as the concept arising from Chinese tribute system, Confucianism, Statute, Buddhism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covered Korea, Vietnam, Japan, etc. The recognition of cultural area-centered East Asia history makes it difficult to comprehensivery understand entire East Asia beyond one state due to the spreading of Chinese culture to peripheral nations, or due to segmental understanding of history by dynasty or nation. To overcome the recognition of East Asia with the existing cultural area-centrism, the author takes the viewpoint of "East Asia as a method" , which means a conversion of an angle. Dakeuchi Yoshimi(1910-1977) was the first person who suggested this viewpoint, but Miyazima Hiroshi and Mizoguchi Yuzo developed the viewpoint as a method concept. The most key point in the "East Asia as a method" is the viewpoint of relativization. The viewpoint of relativization enables us to get out of Ethnocentrism by overcoming Eurocentrism and relativizing States or Nations, and to recognize the region or periphery that has been neglected as the subject of histoIY. It also extends the scope of history of intercommunication or relationship, which could not go beyond two nations before. Most of all, it enables us to constantry raise questions about, and give thoughts to any given values. In addition, it provide us with the various and balanced viewpoint for admitting difference, pursuing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based on the west, modern, civilization, agriculture, and development. The history of East Asia is composed of the installation-tribute system in premodern times, and the contents like equality and peace with the tragedy of spoilage, wa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n modern times when big events of the world history happened. This look makes us take a view of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wide and long constructive view. The author selected the theme and contents that focus on the relativization of state and nation, the periphery's viewpoint and regional viewpoint, the viewpoint of wide relationship and multilayer intercommunication, and the admission of difference. 역사교육에서 비판받고 있는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사 교육은 문화권 개념에서 비롯된다. 동아시아 문화권은 중심과 주변이라는 이론 틀에 기초하여 중국의 책봉조공체제와 유교·율령·불교·한자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베트남, 일본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탄생하였다. 문화권 중심의 동아시아사 인식은 중국 문화의 주변 국가로의 전파나 왕조별, 국가별 각국의 분절적인 역사 이해로 일국을 넘어선 동아시아 전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 기존 문화권 중심의 동아시아사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 관점의 전환을 의미하는 '방법으로서 동아시아' 시각을 수용하고자 한다. 이런 시각을 제기한 사람은 일본의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 1910-1977)이지만 방법 개념으로 발전시킨 사람은 미야지마 히로시(宮嶋博史)와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다. 이들에 의해 발전된 '방법으로서 동아시아'에서 가장 핵심적인것은 상대화 시각이다. 상대화 시각은 유럽 중심주의를 넘어서고 국가와 민족을 상대화하면서 자국·자민족 중심주의를 벗어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이나 주변을 역사의 주체로서 인식하게 한다. 또한 기존에 양국 중심을 넘어서지 못했던 관계사나 교류사의 영역을 넓혀준다. 상대화 시각은 주어진 어떤 가치에 대해 끊임없이 문제제기하고 성찰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서구, 근대, 문명, 농경, 선진 등의 기준으로 역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공존공생을 위한 다양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동아시아사 내용 구성에서는 동아시아를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구조 속에서 조망할 수 있는 열쇠로 전통시대는 책봉조공체제라는 국제질서를 중심으로, 근현대는 세계사의 대사건들이 일어난 공간으로서 침략·전쟁·차별·억압 등의 사건과 함께 평등 평화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국가와 민족의 상대화, 주변과 지역의 시각, 광역적 관계와 다층적 교류, 차이의 인정 등 4가지 시각이 담긴 주제들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단원 구성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항전시기 중국의 “중국 근대사” 서술과 동아시아 인식의 변용 및 그 유산

        오병수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이글은 중국의 근대사 서술에 투영된 동아시아 인식을 계통적으로 성찰하고, 대안적 서술을 전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중국에서 독립적인 학문영역으로서 ‘근대사’가 성립한 것은 1930년대였다. 근대 역사학의 발전과 일제의 침략으로 고조된 민족주의가 그 배경이었다. 따라서 ‘근대사’는 아편전쟁 이래 열강의 중국 침략과 청 정부의 무능한 대응을 주요한 내용으로 하면서, 邊疆과 屬國에 대한 전통적 지배권 상실 등에 대한 비판적 서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항전의 전개와 함께 이러한 민족주의적 역사 서술은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중국은 일본의 침략적 동아시아 담론에 대응하면서 스스로의 민족・강역・문화를 절대화 하는 한편, 기왕의 동아시아 인식을 재구성하였다. 전통적인 중화주의를 대신하여, 자국의 안전과 문화적 통합의 대상으로서 동아시아를 새롭게 창출되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인식은 현재, 자국의 안전을 위해서는 주변에 대한 정치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역사 서술로 계승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각국이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역사 서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trace out the Chinese view of East Asia supposed in their modern historical narration, and to reveal their imperial intention in it. In China, modern history as modern science was formed in 1930s.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and development was nationalism which Japan’s invasion had occasioned. Its main focus, thus, was to criticize incessant invasions of the Powers since the Opium Wars and Qing’s inability to defend against them. The general tenor of the Chinese modern history narration was their nostalgic sense of having lost their traditional frontiers and tribute states. Along with their resistance against foreign invasions, the nationalistic tenor of their historical narration has gained in an increasing strength. In particular, it has reified the Chinese view of nation, frontier, and culture, in response to the Japanese historical discourse of East Asia. Here, the idea of East Asia was forged for the purpose of the Chinese security and integration, substituting the traditional view of order of which China was the center. Now, the China-centered view of East Asia in the historical narration plays the role of justifying the Chinese intervention into the neighbouring countries and it is expected to do so. To overcome conflicts over historical interpretation among the countries concerned, we need to invent a new paradigm of the history of East Asia that all are obliged to share.

      •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

        비온티노 유리안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간과 문화 연구 Vol.20 No.-

        본고는 지역연구사적 문화사적 시각으로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일상적 접촉이 없는 일반 독일인이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독일의 동아시아 각국(일본, 중국,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에 대한 연구의 역할과 한류의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despite of a lenghty history of German – East Asian relations, there is no special view on East Asia in present Germany. German perspectives on th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explained from a japanologist perspective and a cultural history approach. Afterwards it is shown which East Asia discourses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East Asian Area Studies in Germany. It is to see that these Area studies are taking the lead in forming a German perspective on East Asia. This is supplemented by an overview of how the „Korean wave“ came to Germany and which role it plays in fostering a German understanding of East Asia.

      • KCI등재후보

        만주국과 중국관

        성근제 ( Seong Geunje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0 중국사회과학논총 Vol.2 No.1

        이 글은 20세기 전반기 일본 제국주의의 아시아 대륙 침략 과정과 그 논리를 일본의 ‘중국관(中國觀)’이라는 틀을 통해 재조명해보고, 일본의 중국관이 한국의 중국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초보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은 한반도와 아시아대륙에 대한 제국주의적 진출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양한 이데올로기들을 제출한 바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입구론’으로부터 제국 말기 대동아공영론에 이르는 일련의 이데올로기들은 아시아 내에서 일본의 지위를 특권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아시아에서 중국이 전통적으로 차지하고 있었던 지위와 위상에 대한 재조정이 요구되었다. 때문에 20세기 초반 일본의 아시아론의 이면에는 고유의 ‘중국관’이 숨겨져 있다. 만주국의 수립 과정은 이 일본의 ‘중국관’이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본의 ‘중국관’은 그 고유한 논리와 모순, 한계들을 모두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그 모순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15년에 걸친 만주국 경험은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전후 냉전 시기에까지 의외로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중국관’의 문제는 그 중요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이 글은 이 일련의 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오늘날 일본의 식민지 경험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중국관에 대한 역사적 재검토가 탈식민적 과제로서의 의의를 지닐 수 있음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the process and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of the Asian continent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framework of Japan’s ‘View of China’ and to give a rudimentary look at how Japan’s view of China influenced the formation of Korea’s view of China. Japan has submitted various ideologies to justify its imperialistic advance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sian continent. From Yukichi Fukuzawa’s “The Departure from Asia for Europe” to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ory’ at the end of the empire, Japanese Ideologies were aimed at prerogating Japan’s status within Asia. However, this inevitably required readjustment of the status traditionally occupied by China in Asia. Thus, behind Japan’s Asian the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a unique View of China is hidden. The Manchukuo proces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is Japanese ‘View of China’ to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And in the process, Japanese “View of China” reveals all its own logic,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Despite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however, the 15-year experience of Manchuria has had an unexpected impact until the Post-War era in many Asian countries, and the issue of the View of China is one of the key examples. Through a review of this series of processes, This article attempted to reveal that historical reexamination of View of China in various Asian countries with Japanese colonial experience today could have significance as a decolonial task.

      • KCI등재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다시 읽는 <최척전>,<김영철전>

        김경미 ( Kyung Mi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이 글은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동아시아의 개념, 동아시아적 거점과 시각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지금 인문학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동아시아는 지리적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인식단위 혹은 방법론이다. 이 글에서도 동아시아를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보고,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로 이중언어, 유교, 유교가부장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를 하나의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놓게 될 때 동아시아를 서구에 대립하는 또 하나의 중심으로 만드는 것을 우려하여 주변적 시각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고소설 가운데 동아시아로 공간과 인물을 확장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재해석 하였다. 포로가 되거나 전란 중에 가족과 헤어진 국가 경계를 넘어 교류하는 인물들의 경험을 담고 있는 이 두 작품은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가 펼쳐진 것으로 해석되어왔다. 그러나 두 작품이 보여준 인적 교류는 제한적이며, 따라서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로만 보기 어렵다. 오히려 이 두 작품은 국가 경계를 넘어선 주변인들의 교류를 통해 국가 정체성을 강하게 주장하지 않을 때 새로운 관계가 열릴 가능성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In this essay, I try to reinterpret Choicheok-jeon, Kimyoungcheol-jeon from the East Asian view. Here I see East Asia not as a geographical concept, but a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as is discussed in humanities of Korea. In order to support this view, I consider diglossia, Confucianism, and Confucian patriarchy as the basic conception of the East Asian View.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is essay is the possibility of the danger of centrism we can fall into if we regard the East Asian view as one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So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the marginal is stressed here. Choicheok-jeon and Kimyoungcheol-jeon are good to be analysed from the East Asian view in that their characters and their environments are enlarged to the East Asia. Their characters were shown to separate from their family and cross the national border because of wars. These works have been interpreted to show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love for human beings. But from my point of view, the personal exchanges between characters are limited, and it is hard to read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feeling for human beings from this work. On the contrary, these nove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new relationship can be possible when the marginal characters exchange across the border without insisting their own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칼 야스퍼스의 역사철학에 관한 논고 - 실존사관을 중심으로 -

        전홍석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This study was planned out to inspect the present semantic network of the ‘existential philosophy of history—theory of axial civilization,’ created by Karl Theodor Jaspers(1883~1969) in Germany, in the transformative period of global civilization called the first and second industrial revolutions, as a preparation for the ‘new civilization system’ of East Asia which follows the reciprocal, symbiotic, and inclusive megatrends of the 21st century. When designing a new regional habitat in East Asia, the anachronistic ‘progressive ideology’ transplanted by the Western world to East Asia during the first and second industrial revolutions, such as modern Western capitalism, nationalism, and scientific civilization, needs to be modified. Moreover, there must be a sustainable global-peace cooperation system of East Asia that embraces the multilayered and evolved transmodernity of the 21st-century civilization, along with a dignified humanistic discourse which supports the system. In this context, the existential view of history or existential philosophy of history presented by Jaspers provides significant intellectual inspiration as civilization is facing another transformation period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civilization demands a psychological revolution to accompan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humankind beyond simple rationality. Jaspers regarded the appearance of Eastern and Western existence, represented by saints and the enlightened, as the origin and goal of history, and named this existence the Axial Age (BC 800~BC 200). This Axial Age is an existential historical age during which the root of present-day human beings can be found with the most productive intellectual, psychologic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changes. The Axial Age is a great energy source in the history of human mentality for the creation of a new civilization system in East Asia. 본 연구는 과학기술문명의 1ㆍ2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세계문명사의 대변혁기에 생성된 독일 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 1883~1969)의 ‘실존적 역사철학—기축문명론’을 21세기 메가트렌드 호혜적ㆍ공생적ㆍ포용적인 동아시아의 ‘신문명시스템’을 예비하는 차원에서 그 현재적 의미망을 점검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동아시아라는 새로운 지역 삶터를 구상할 때 1ㆍ2차 산업혁명기 서구가 동아시아세계에 이식시킨 지극히 폭력적이고 정복적인 근대 서구식 자본주의, 국민국가주의, 과학기술문명 등 시대착오적 ‘진보 이데올로기’를 수정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더욱이 21세기 문명의 다층적이고 진화한 트랜스모더니티를 포용하는 지속가능한 동아시아의 지구지역적(glocal) 평화협력체제와 이를 추동하는 품격 높은 인문학적 담론이 요청된다. 그런 맥락에서 야스퍼스의 실존사관, 곧 실존적 역사철학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문명의 대전환기에 당면해 유의미한 지적 영감을 제공해준다. 그것은 단순한 합리성을 넘어서는 과학기술적 인류능력과 동행하는 어떤 정신적 혁명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야스퍼스는 성자聖者, 각자覺者로 대변되는 동서양의 실존의 출현을 역사의 기원이자 목표로 간주하고 그 실체를 기축시대(Axial Age, BC 800~BC 200)라고 명명했다. 이 축의 시대는 전체 속의 인간존재가 비약을 감행한 현재적 인간의 근원성, 즉 지적ㆍ심리적ㆍ철학적ㆍ종교적 변화가 가장 생산적으로 이루어졌던 실존의 역사시대로서 오늘날 동아시아의 신문명시스템 창출을 위한 위대한 인간정신사적 에너지원이다.

      • KCI등재

        대만 민주좌파 지식인의 국족주의 비판과 동아시아상상

        고성빈(Ko Sung 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4 亞細亞硏究 Vol.57 No.2

        Taiwan has witnessed an internal conflict derived from both a split identity between Taiwanese and mainlanders and a domestic controversy over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which created a so-called ‘Taiwanese nationalism’ that remains an repressive mechanism for autocratic governance. But, these two factors aforementioned aside, a shadow of historical regrets of imperialism, colonialism, and cold-war system have incessantly tormented this island country. In the view of democratic-leftist intellectuals, Taiwan has still come under a threat from mainland China and an influence of America’s neo-colonialism following the Dutch, Japanese and the KMT’s rule, respectivel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ritical intellectuals have been motivated to push for an intellectual campaign that features “post-imperialismㆍpost-colonialismㆍpost-cold-war,”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East-Asian discourse in Korea. Specifically, they have been impressed with the view that the discourse in Korea draws much emphasis to the peripheral view of the reg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critical intellectuals seem to regard the East Asian discourse as a feasible way to cope with the Taiwan’s dilemma in the face of a strong pressure of the PR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