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사회과학 이론의 보편주의

        김현구(Hyunku Kim)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1

        근대 이래 우리의 학문적 사유(思惟)는 은연중에 ‘서구적인 것이 곧 보편’이라는 서구보편주의에 깊숙이 침윤되어 왔다. 이로 인해 우리는 그동안 독자적 개념화 · 이론화 능력을 상실한 채 서구에 의해 주어진 타자의 눈으로 자기를 구성하고 재단해 왔는지도 모른다. 사회과학 이론의 보편이 현실의 ‘보편적 특수’로부터 나온다면, 그 특수가 유독 서구의 사회현실에만 존재할 리는 없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에 짙게 드리워진 서구보편주의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 한국적 맥락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필요한 인식론적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근대학문의 보편성을 지배해 온 서구보편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다음, 그 대안으로 다원보편주의(plural universalism)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다원보편주의는 다양한 보편성의 중추이론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수용 · 동화 · 융합 · 공고화등의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인류사회에 보편적 인식의 지평을 넓혀간다고 보는 관점을 말한다. 서구보편주의가 ‘지배의 논리’를 구사해 온 ‘닫힌 보편주의’라면, 다원보편주의는 ‘공존의 원리’를 구현하는 ‘열린 보편주의’이다. 서구보편주의의 보편이 일원적 · 맥락초월적 · 독점적이고 주기만 하는 보편성이라면, 다원보편주의의 보편은 다원적 · 맥락조건적 · 경쟁적이고 주고받는 보편성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lay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for building original theories in Korean context to creatively overcome the practice of European universalism. For this purpose I critically review the attributes of European universalism which has strongly cast its shadow on Korean social sciences, and propose plural universalism as an alternative paradigm. The plural universalism is a perspective widening the horizon of universal cognition of human society through dialogical interactions among pivot theories of diverse universalities, which is adjusted by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assimilation, convergence, and consolidation. European universalism is a closed one commanding the logic of dominance, but plural universalism is an open one realizing the principles of coexistence. While universality of European universalism is characterized by monistic, context-free, monopolistic, and one-sidedly giving, that of plural universalism is characterized by plural, context-conditioned, competitive, and mutually giving.

      • KCI등재

        Yeats’s Rediscovery of India and a Development of Universalism

        Yoo, Baekyun 한국예이츠학회 2009 한국예이츠 저널 Vol.32 No.-

        In this paper, I argue that W. B. Yeats’s pursuit of universalism was rekindled by his rediscovery of the East through Tagore. Yeats’s political experiences during the 1910s also influenced his fascination with universalism. I will first discuss the significance of Yeats’s fascination with Tagore in relation to his rediscovery of the importance of East, particularly India, not only for spiritual reasons, but also for political reasons. That is, Tagore ultimately gave Yeats an opportunity to see India as a place to reconcile his split allegiance to both Romanticism and nationalism, and to art and politics. The East, for Yeats, is the place to swerve from his Romantic predecessors for political reasons. At this time, a return to East was especially important to him because it also offered a psychological vindication for his political setback—being attacked for his anti-nationalism—during the Playboy riots. That is, the pursuit of Eastern values, particularly Indian values, became his way of fighting colonialism, as well as for finding spiritual wholeness. By the time Yeats returned to the East, Yeats also began to witness the most turbulent and dramatic political events of his life such as the 1916 Easter Rising, the Irish and English War, and the Irish Civil War, which Yeats viewed as the culmination of the hatred between political groups and parties. His rediscovery of Eastern values through Tagore and his political experiences at that time slowly led Yeats to develop a concept of universalism: the unity of East and West. In other words, Yeats’s continuous movement towards universalism during this period was the necessary and inevitable course to deal with his political experiences: his psychological need to purify the bitterness and hatred Irish politics breeds into his mind, and his need to offer a more inclusive political vision to the Irish politicians who fight out of hatred of opposing parties. What Yeats basically wants to do by pursuing universalism is to create a citizen of the universe whose consciousness transcends the distinction between one and many, present and past, and East and West. Poems such as “The Double Vision of Michael Robartes,” “Sailing to Byzantium,” “Among School Children,” and “Byzantium,” written after 1919 express Yeats’s universalist idea of reconciling East and West employing a meditative scheme. It is unmistakable that all three poems encapsulate Yeats’s universal consciousness, but we also see that they are also tinged by Yeats’s skepticism about the transcendental state, as well as about universalism, in one way or another. Yeats’s doubt about universalism betrays his conflicting political agenda: his belief in the Anglo-Irish aristocratic government. Looking at other poems (“The Wild Swans at Cool,” “In Memory of Major Robert Gregory,” “An Irish Airman foresees his Death,” “A Prayer for my Daughter”)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reveal his covert allegiance to the Anglo-Irish aristocratic tradition.

      • KCI등재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을 중심으로

        김수완 ( Soo-wan Kim ),김상진 ( Sang-jhin Kim ),강순화 ( Soon-wha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This study examined welfare policy preference in South Korea,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Growth versus Redistribution’ and ‘Targeting versus Universalism’. On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Are contemporary Koreans growth oriented or redistribution oriented?’ ‘Do they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o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o are growth oriented as well as who prefe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ich type of welfare policy is most preferred?’, this study analysed quantitatively using the 5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20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Koreans prefer universal policy (50%) rather than targeting (35%), while the ratio of the growth-oriented and that of the redistribution-oriented show almost the same frequencies. Sec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growth/redistribution orientation’ and ‘targeting/universalism preference’. Third, among six independent variables, political ideology and income level affect the orientation of growth/redistribution while age and education affect the preference of targeting/universalism. Fourth, when generating four welfare policy types using two dimensions, frequencies of each type, i.e, ‘Liberal Market type(growth/targeting oriented)’, ‘Redistribution type(redistribution/ targeting oriented)’, ‘Social Protect type(redistribution/universalism oriented)’, ‘Growth-Universalism type’, do not shows much differences. Fifth, age effect exists as older people have the more targeting- and growth- orientedness, but class cleavage is not found as those with low education also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and growth. Finally, those who are males, younger, higher educated, higher incomers, conservative, and not economically active in labor market tend to be included in the ‘Growth-Universalism type’.

      • KCI등재

        채무자회생법상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관한 입법적 과제

        김영주 ( Young J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1

        종래 우리나라는 국제도산에 관하여 오랫동안 엄격한 속지주의를 취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 법원의 외국법원의 도산절차에 대한 종속을 거부하고, 국내사법권을 보호하고자 했던 입법정책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2005년을 기점으로 채무자회생법을 제정하여 국제도산편을 신설하면서 입법방식의 체제정비를 시행하였다. 채무자회생법 제5편의 국제도산은 구 도산법상의 극단적 속지주의 규정들을 전면적으로 삭제하였고, 모델법의 수정 보편주의를 입법주의로 채택하였다. 다만 채무자회생법은 그 입법정책상의 이유로 모델법상의 취지가 배제되거나 또는 반영되지 않은 측면도 있다. 예컨대, 외국도산절차의 주종을 구별하지 않고, 외국도산절차 승인의 효력부분에서 그 자동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외국도산관재인이 국내도산절차를 개시신청하거나 참가하는 경우 해당 외국절차의 승인을 요구함으로써 그 접근권을 제한하고 있다. 문제는 채무자회생법의 이러한 태도가 모델법을 수용한 입법적 함의를 크게 손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국제도산의 입법주의 이론들을 재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법의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관한 입법정책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법상 잔재된 속지주의적 입법정책을 버리고, 모델법을 재조명하여 국제적 조류에 동참할 것을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개정검토사항을 제안하였다. 즉, 채무자회생법상 ① 외국주절차와 외국종절차를 구분하고 정의규정을 마련하는 사항, ② 외국도산절차의 승인결정에 자동적 효력을 부과하는 사항, ③ 외국도산관재인의 국내도산절차 접근권에 외국절차의 사전승인을 폐지하는 사항 등을 반드시 재검토되어야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international the legal frame work of international insolvency law, especially the effect of insolvency proceedings. By analyzing theories of cross-border insolvency law legislation, the paper proposes that international suitability and global fitness in international insolvency regime in Korea. Generally, cross-border insolvency cases can involve either a single case where the debtor`s assets are located in multiple jurisdictions or the insolvency of multiple members of a cross-border group resulting in concurrent insolvency proceedings in multiple jurisdictions. Also, insolvency within multinational enterprise groups raises complex issues due to the foreign elements of the case and the multiplicity of debtor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asons for the complexity and problems in the matter of cross-border insolvency, it might be helpful to clarify the different approaches of countries to insolvency proceedings. Historically, the territorialism and universalism approaches are the main labels used to describe the approaches employed in dealing with cross-border insolvency. The territorialism in international insolvency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insolvency proceedings should be confined to such property as is located within the territorial jurisdiction of the country in which the proceedings are opened. By contrast, the universalism invoke a universal effect to insolvency proceedings. The universalism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 single insolvency court controls the administration of the debtor`s assets and makes the distribution to creditors worldwide. Although the universalism is a widely held approach among the scholars in the cross-border insolvency field, this approach realize the difficulty in putting such a regime into practice in the field. Hence the current goal of international level is to design an interim solution which is the modified universalism. UNCITRAL Model Law (1997) adopted the modified universalism, and it has been adopted in Japan (2001), United States (2005), United Kingdom (2007) and so on. In Korea, from 2006, the new era of insolvency law governing international insolvency began. The previous three bankruptcy laws - Bankruptcy Act, Composition Act, and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 have been merged into, and were replaced by,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of Korea (DRBAK).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on the Act is the introduction of modified universalism of an international insolvency part by adopting the UNCITRAL Model Law. Although Korea established new modified universalism system with respect to international insolvency problems, the research and the study of effects and values of new system is still necessary.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여성보편주의 - 드라마와 케이팝을 중심으로 -

        장원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3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9

        이 연구는 <여성보편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한류 콘텐츠에서 이개념이 어떻게 표현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보편주의는 문화콘텐츠에서 표현되는 합리적면서 공감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서구의 백인남성보편주의에 대비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즉, 서구 대중문화에서는 백인남성을 인류를 대표하는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집단으로 표현하는 데 반하여, 한류 콘텐츠에서는 여성의 아름다움과 지혜, 용기와 공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 과정에서 프로이드와 버틀러 등에 의해 제시되었던 멜랑콜리아의 개념을 한류의 확산을 설명하는데 적용해서, 전 세계 여성팬들이 한류 소비를 통해 이러한 멜랑콜리아를 해소하고 극복하고 있고, 이것이 한류 확산의 주된 요인 중의 하나라는 점을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한류의 확산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여성보편주의의 모습을 드라마와 케이팝을 중심으로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여성보편주의가 한류콘텐츠의 중심이 되어 가는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기존의 한국한 연구가 외국의 이론이나 개념들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 연구가 제시하는 여성보편주의는 한국적 상황에서 발전한 개념이 서구 및 국제 학계에 역으로 영향을 미칠 수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troduces a new concept called “Female Universalism” and explores how this concept has been expressed and developed in Hallyu content. Female Universalism can be considered a concept that contrasts with the so-called “White Male Universalism,” portraying wise and empathetic representation of women in cultural content. In other words, while White Male Universalism contends that white male represent humanity as a rational and just group, Female Universalism proposes that women represent humanity though beauty, wisdom and empathy. In so doing, the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melancholia, as presented by Freud and Butler, to explain the spread of Hallyu, arguing that female Hallyu fans alleviate this melancholia through the consumption of Hallyu. The paper argues that this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in the global spread of Hallyu. The research illustrates various expressions of Female Universalism in the development of Hallyu and suggests that Female Universalism is now becoming a central aspect of Hallyu content. Furthermo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offering a new direction for Korean studies. While most of the previous Korean studies mainly apply foreign theories and concepts to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concepts developed in the Korean context influencing Western and international academia in return.

      • 유럽적 보편주의를 넘어 세계적 보편주의로!

        김규종(Kim Gyu Jong)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0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4 No.-

        This review is about book, named “European Universalism: The Rhetoric of Power” of Immanuel Wallerstein. This book contains about European universalism, Global universalism, orientalism and rhetoric power. And this book emphasize the role of intellectual for achievement of Global universalism.

      • KCI등재

        메타-사피엔스의 지적 계보학과 탈중심-보편주의 지평 연구: 주체의 변화, 연대의 상실, 개조된 공동체에 관한 크레올화

        최병학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In this paper, in order to reconsider anthropology and human communities in general in the era of the mutation of Sapiens, a new conceptual term in anthropological research, ‘meta-Sapiens’, is created and the new horizon of human communities is ‘Decentered’. The intention is to present it as a conceptual term called ‘postcentering-Universalism’. This analyzes the current appearances of ‘change of subject - loss of solidarity - remodeled community’, and in response, ‘intellectual genealogy of metasapiens and horizons of decentralized universalism’ as ‘reconstruction of subject - beginning of solidarity - new universalism’ The intention is to set and present it as an area of ​​. To this end, rather than focusing on a single theo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we chose a methodology that de-appropriated the concept of creolization, which was commonly used in linguistics, and borrowed it from human identity (subjectivity and solidarity) and the community area (solidarity and community). I want to do it. The discussion of creolization in each horizon of Sapiens’ ‘change of subject, loss of solidarity, and remodeled community’ ultimately seeks to replace imperialism that sutures everything, and at the same time individualism and relativism that pursue only each (at the national level). It is a request for ‘decentralized universalis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tionalism. This is a very important task in anthropology and the study of human communities. Rather than dismantling the uniform truth of modernism and falling into ethical relativism (a weakness of postmodernism), a new universalism, like Badiou’s strategy of reinstating truth in four areas (rather than suturing the problem with a coherent solution), or A reinterpretation of truths is necessary.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emergence of metasapiens makes that possible. And we will take a look at the world they are creating, the era of decentralized universalism.

      • KCI등재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

        조강석(Cho, Kang-Sok)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해방기의 많은 문학론들은 좌우를 막론하고 공히 보편론의 입장을 띠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 시기 문학론의 특징은, 실제로 당대의 구체적 정황 속에서 배태된 논의라 할지라도 문학을 보편적 맥락에서 규정하려는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방기 문학론들은 많은 경우 구체적 역사 현실에 대한 실제적 개입과 실천을 목표로 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이론적으로도 중요한 논의들을 생산해내었다. 또한 이 시기의 시론들 역시 특수한 상황에서 당대의 구체적 요청에 응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세계사적 요청에도 동시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언명되었다. ‘계급의 이익’ ‘당파성’, ‘민족의 당면과제’, ‘민족성’ 등과 같은 어휘들이 이 시기 시론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지만 그와 동시에, ‘세계사적 요청’, ‘문학의 본질적 가치’와 같은 수사들 역시 좌우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등장한 것도 사실이다. 바로 그런 맥락에서 이 글은 각별히 당시의 중요한 시론들을 ‘복수의 보편주의’라는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이들 각각의 면모와 그 의의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 시기에 단편적 구호에 그치거나 공소한 고담준론에 머물지 않고 체계적인 논리를 통해 시론을 전개한 대표적 논자들인 김기림, 조지훈, 김동석의 시론을 보편과 특수의 관계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통해 관계적으로 살펴 보았다. 그 과정에서 본문에서는 이들 각각이 ‘실재에의 열망’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는가에 따라 정화와 공제의 보편주의, 심미적 보편주의, 감산적 보편주의로 규정되었다. 이는 구체적 논의들의 우열을 가리려는 것이 아니라 해방기의 시론들이 상관적으로 전개됨으로써 펼쳐내는 생산적 논의의 장을 보다 실감 있게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oetic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f Korea(1945~1949).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ism suggested or alluded in the major poetics of this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many poets submitted their own poetics to satisfy both social and aesthetic requires. Universalism was the possible logical solution to those requires. In that sense, this paper covers three major poets’ poetics by the terms of universalism. Kim, Ki-Rim’s poetics can be redefined as poetics of the universalism of purify and subtraction. Cho, Ji-Hun’s one can be understood as poetics of aesthetic universalism. And Kim, Dong-Suk’s one, as that of subtractive universalism. The end of this paper is not to decide which one of those three kinds of poetics is superior to others.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suggest a correlative view of the poetics in the liberation period. Universalism might be a good guide to lead us to that way of understanding of the poetic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유럽의 지방화’ 논제와 계몽주의적 보편주의 비판

        박치완(Tchi-Wan Park)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4 No.-

        미국이 기술-경제-군사력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심지어는 유럽도 국제사회에서 주변부 국가로 밀려나고 있다. J. 데리다는 이를 ‘유령의 지배’라고 비판하면서 「희망의 유럽(A Europe of Hope)」에서, 유럽은 계몽주의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되살려 ‘반세계화 투쟁’에 나설 때라고 호소한다. 하지만 데리다의 이와 같은 계몽주의적 꿈이 과연 인류를 위한 꿈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은 그가 유럽을 “다른 인간 문화들 중의 하나의 본보기라거나 다른 지역 문화들 중의 하나의 지역 문화가 아니라 최상의 모델이자 최고의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드는 생각이다. 데리다의 이와 같은 ‘극장의 우상’은 ‘유럽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모면하기 힘들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계몽주의적 유럽중심주의를, D.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을 지방화하기』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논의를 해볼까 한다. 이 책에서 그는 서구유럽이 주도한 역사는 ‘보편적 역사’를 서술한 것이 아니라 서구유럽인만을 위한 ‘지방의 역사’, 즉 ‘특정 지역에 특화된 역사’의 서술일 뿐이라고 단정한다. 유럽은 보편주의의 산실이 아니라 특수주의의 온상이라는 것이다. 『유럽을 지방화하기』는 바로 이러한 유럽식 보편주의의 오남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보편주의의 재구성’에 도전한다. ‘재구성되어야 할 보편주의’는 로컬 지역들의 다양한 지식들, ‘위계없는 지식들’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이런 까닭에 차크라바르티가 꿈꾸는 보편주의는 절대/상대, 중심/주변(지역)의 이분법적 논리 안에 유폐되지 않고 모든 지식이 하나의 생태학을 지향하게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보편적인 것’은 어느 지역에나 존재한다. 모든 지역이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서고, 스스로 근대화되는 것, 이것이 데리다의 유럽에 제한된 계몽과 구분되는 차크라바르티의 본래적 의미의 ‘계몽’이라 할 수 있다. As the United States took over the power of technology, economics, and military power, even Western Europe was pushed from the center to peripheral countries. J. Derrida, criticizing it as “domination of ghost”, in the 「A Europe of Hope」, makes an appeal that it is time to turn to “anti-globalization struggles” by reviving the legacy inherited from Enlightenment. But can we say that this kind of Enlightenment dream is the dream for mankind? The reason that this question is raised is because he is calling Western Europe as “not one example among the other human cultures or one local culture among the other local cultures but the best model and the best culture.” It would be hard for Derrida’s “Idol of the Theater” like this to escape critique of “Europeanism”. In this paper, we, centering on D. Chakrabartys Provincializing Europe, will discuss this Enlightenmental Europeanism critically, In this book, he argues the history led by Western Europe as being not a description of the “universal history” of humanity, but a description of “local history” only for Western Europeans, vis. “specialized history to a particular region”. Here is the paradox of universalism. Western Europe is not a breeding ground for universalism, but a hotbed for particularism. Provincializing Europe raises a question to this misuse of Western European universalism and challenges the reconstruction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which needs to be reconstructed dreams of a new world where various knowledges of locality and ‘non-hierarchical knowledges’ coexist. For this reason, Chakrabartys dream of universalism is not confined in the dichotomous logic of absolute / relative, central / peripheral (local), and all knowledge is directed towards an ecology. According to this criterion, ‘the universal’ exists in any region, viz. in any locality. That all locals stand by themselves and bloom by themselves, it is the Enlightenment which Chakrabarty intends originally, which results in distinctness from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limited to Western Europe.

      • KCI등재

        유럽적 보편주의 비판과 보편적 보편주의의 조건

        이효석(Lee, Hyo-Se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이 글은 응구기의 특수와 보편에 대한 사상에 주목하고 보편의 다양성에 대한 그의 논의가 구연문학론과 기쿠유어로 창작한 후기 작품들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럽중심주의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유럽이 유럽 자신의 체제와 가치를 절대적인 보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이를 근거로 세계를 ‘유럽과 유럽 이외의 나머지’ 지역으로 나누고 후자를 유럽의 사회적 가치로 키질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는 저명한 역사학자 잭 구디나 사상가 이매뉴얼 월러스틴, 심지어 보수적 정치사상가 사무엘 헌팅턴조차 인정하는 역사적 사실이다. 이들은 유럽이 절대적인 윤리적 가치로 내세우는 문명, 인권, 민주주의 등이 특수한 보편인 ‘유럽적 보편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이 가운데 월러스틴은 특수한 보편이 절대적 보편의 자기 모순적 주장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 특수한 보편주의를 넘어선 ‘보편적 보편주의’를 제안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보편들의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호미 바바는 개별 특수한 문화들에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그 옆의 다른 무엇”을 향한 운동을 요구한다. 그가 수직적 운동이 아니라 수평적 운동과 공간을 상정한다는 점에서 가라타니 고진의 사유와도 연결된다. 가라타니 고진은 특수한 보편주의로 구성된 특정한 공동체를 벗어나는 길은 다른 규범과 가치를 가진 다른 공동체들 ‘사이’로 나가는 길 뿐이라고 주장한다. 프란츠 파농은 절대적 보편성을 가진 개인이나 공동체는 없다는 것을 주장하면서도 그들이 각자의 폐쇄적 공간으로 퇴각하려는 상대주의도 비판한다. 이와 비슷하게 응구기 와 시옹오 역시 ‘다양한 중심’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개별 문화에 절대적 중심의 권위를 부여하려는 시도를 경계한다. 그는 예술과 번역에 문화적 소통과 연대의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십자가의 악마』와 『마티가리』는 로컬적 예술양식이자 다른 문화를 향해 열린 정신을 구현하는 소설들이다. One of the problems which Eurocentrism has with its concept is that it assumes its own system and values to be reasonable and ‘universal.’ Ever since the Enlightenment, Western intervention in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has been justified by notions of civiliz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The assumption has been that such ideas are universal, encrusted in natural law. As Immanuel Wallerstein argues, however, these concepts are not global but Eurocentric. For their genesis is only European and their function has been the smoke screen of European dominance around the world. Wallerstein’s criticism on European universalism and suggestion for universal universalism can be found such thinkers as Frantz Fanon, Homi Bhabha, and Kojin Karatani. They seem to share a common interest in a cultural movement toward a universal place known the Third Space where to overcome the binary distinction between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and not to fall into cultural relativism. In this respect, Ngugi wa Thiong’o’s concepts of ‘decentralization’ or ‘a plurality of centers’ can be helpful. By reconstituting the local culture as ‘universal one,’ he believes, these plural centers will eventually be the basis of the universal universalism. For him the novel turns out to be one of the traditional African forms of orature, that is, oral literature. When the novel meets orality, it becomes a polyphonic space where various languages and voices, literary genres, cultural heritages hidden in the text could be exposed from inside. In this aesthetic strategy, he made Devil on the Cross and Matigari different from those of Achebe, Soyinka, and even his earlier English novels. These two Gikuyu novels are, in its form and content, both old and new, and particular and universal. He wants to authorize art and translation to functi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Devil on the Cross and Matigari are the cultural mode of novels where the particular culture can be open to others and the univers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