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의 세 가지 유형

        정재환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2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cor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components of constructivism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Generally speaking, constructivist perspectives put an emphasis on ideational factors in explaining political-economic phenomena. However, not all the theories that stress the importance of ideational factors are derived from constructivist perspectives. Above all, constructivism is an social ontolog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ocial world is constructed by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functioning as a social structure. Therefore,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is a theory that aims to explain political-economic phenomena with a focus on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variants. Ontological constructivism seeks to explain how capitalist market economy is socially constructed by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Epistemic constructivism aims to explain how the cognition and judgement of economic actors are socially formed by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Agential constructivism focuses on a political process in which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are changed and reformulated by interactions among political actors. 본 논문의 목적은 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한 정치경제학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구성주의의 핵심적인 이론적 전제를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을 세 가지 유형으로분류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구성주의 이론체계는 정치경제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관념적 요인이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관념적 요인을 강조하는 모든 이론을 구성주의라고 할 수는 없다. 구성주의는 무엇보다도 사회구조로 작동하는 상호주관적 이해에 의해 사회적 세상이 구성된다고 주장하는 사회적 존재론이다. 따라서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은 모든 관념적 요인이 아니라 상호주관적 이해라고 하는 사회적 관념구조를 중심으로 정치경제적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존재론적 구성주의’는 경제체제의 사회적 구성과정에서존재론적 토대로 기능하는 상호주관적 이해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인식적 구성주의’는 경제적 행위자들의 사회적 인식과 판단이 상호주관적 이해에의해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행위적 구성주의’는 사회적 행위자들에 의해서 상호주관적 이해가 변화하고 재형성되는 정치적 과정을 분석한다.

      • KCI등재

        신무용 학술연구의 구조 분석

        김선미(Kim, Sun-Mee)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4

        When mentioning Newly Arts Dance, there are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used at the same time. Yet, scholars interpret the concept in accordance with historic events and as its interpretation varies the confusion regarding the starting point of Newly Arts Dance is under way. So forth, I studied prior studies and contractual features implied in their contents, based on which I tried to narrow the gap among diversified understandings. In regards to differences of fundamental understandings shown in studies on Newly Arts Dance, it is a crucial work to set a clear conceptual defini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ollow-up studies. In other words, as the point where we encounter the 90th anniversary of Newly Arts Dance, the importance of its study, in terms of its starting point, concept, dancers, lies a technical cause to state its historical meaning in a boundary of Korean Modern Dance, not in a rank of individual dancers. In order to get rid of remaining lack of understanding in Newly Arts Dance, I think that the 2nd generations’ further follow-up studies on analyzing exquisite pieces with overall artistic values in terms of their genres and periods are essential.

      • KCI등재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김종엽(Kim, Jong Yup)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세월호 참사”는 우리의 관습적 이해를 넘어서는 하나의 사건이다. 이런 경우 우리는 새로운 이해를 향한 강한 욕구를 느낀다. 하지만 이해의 과정은 사건성을 부인하려는 이데올로기적 개입에 직면할 수 있다. “세월호 참사”에서도 그것의 사건성을 억압하려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부인이 작동했다. 이 논문은 이런 부인 기제를 사익스와 마차의 논의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세월호 참사”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엄청나게 트라우마적이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뜻하는 바는 사건의 의미를 추구하는 주체가 피해자, 가해자, 관찰자로 분화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찰자가 피해자와 동일시하는지 아니면 거리를 두는지가 매우 중요한 이데올로기적인 계기가 된다. 현재적 혹은 잠재적 가해자에 의한 이데올로기적 개입은 관찰자가 피해자에 대해 느끼는 공감과 책임을 분리하고 피해자 집단을 사물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점점더 공공연해져간 “막말”은 이런 “분리”와 “사물화”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막말과 그것에 입각한 퍼포먼스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과 공통 의미의 생성을 가로막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Sewol disaster is an event that exceeds our conventional frame of understanding. In that case, we come to have a strong need of new understanding. But the pursuits for it can be confronted with the ideological interventions which try to deny eventuality as such. Actually, there have been various ideological denials to suppress the eventuality of Sewol disaster. This paper tries to analyses these mechanisms of denial according to the model proposed by Sykes and Matza’s famous articl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Sewol disaster is the fact that it is tremendously traumatic. It means that the subjects seeking meanings of the event are likely to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victims, wrongdoers, and observers. And it comes to be a very important ideological moment if the observers identify themselves with or keep their distance from victims. There are two modes of ideological interventions by manifest or latent wrongdoers. The one is to split observers from the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victims, the other is to induce them to reify victims. “Hate speeches” toward the victims of Sewol disaster have been more and more openly and vulgarly expressed. That can be interpreted as a symptom for ideological interventions to considerably succeed in leading observers to “splitting” and “reification.” Hate speeches and some “hate performances” have another ideological effect to prevent people from construction new understandings and common-sense about Sewol disaster.

      • 다문화사회의 평화교육 과제와 뇌교육의 의미: 문화 간 이해를 중심으로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가 제기하는 문화 간 이해의 과제를 평화교육이라는 보다 확대된 교육적 범주 안에서 조망해 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법으로서 뇌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질적 문화 간의 `평화로운 공존`은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수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뇌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즉, 뇌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홍익인간`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간이해에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이질성이 조화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뇌교육의 체험적 방법론은 평화적 감수성을 함양하여 평화로운 관계의 일상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우리의 교육적 전통을 재해석한 뇌교육이 다문화적 상황에서 평화교육의 넓은 범주를 아우르는 기본교육모델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peace education which is a super ordinate categor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e are on an unavoidable journey to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o, there is an urgent need of a plan for peaceful coexistence among the people of various cultures. The goal of the brain education, `Hong-ik-in-ghan(弘盒人間)`thought has a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about understanding the human be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n it changes the heterogeneity into the source of harmony instead of trouble. Furthermore, the experiential learning in view of practical method put the human on the daily life which is filled with peaceful relationship. Finally, the brain education which come from our educational tradition has a possibility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fundamental model for peace education in multicultural era.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이해 프로젝트 이야기

        이진희(Lee, Jin-Hee)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5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5 No.1

        오늘날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유아교사들이 문화적 민감성과 유능성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국제연계를 활용한 문화이해 프로젝트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어떠한 관점의 변화를 보이는지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28 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하여 한 문화의 세부적 관심사를 한 달 동안 탐구하도록 하였다. 다문화효능감척도로 이들의 다문화 경험, 태도, 효능감과 관점을 살펴보았으며 발표자료, 토의자료, 학습자 저널 등을 수집하고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이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는 호기심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통해 관심사가 확대될수 있으며 무엇보다 생생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전해줄 수 있는 인적 자원의 풍부함이 결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이해 프로젝트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단순한 문화 인내 관점은 감소한 반면 권익주창 관점은 증가하였다. 참여 예비교사들의 목소리는 의미 있는 다문화교육의 방안으로 프로 젝트의 가능성을 찾으면서 교사 자신의 편견을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갈 것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hift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culturally responsive and competent. This study aimed at illuminating how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 culture-study project with global connection opportunities, and how their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may change through their increasing cultural understanding. A total of 28 preservice teacher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studied specific aspects of a culture for a month. Their cultural experience, attitude, and efficacy as well as conceptualizations of multiculturalism were measured by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and their discussion minutes, presentation files and written reports, along with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The result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tial curiosity would matter but the scope of participant’s interests could be expanded through experiences, and rich human resources delivering vivid stories and in-depth expertise would be the very key to the successful culture-study projects. Through the project, the tolerance 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ism decreased while advocacy perspective increased. The voices of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suggest the potentials of projects as a meaningful multicultural education strategy, and the importance of perceiving their own cultural biases and prejudices and then making new meaning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최윤형 ( Choi¸ Yunhyeong ),이수진 ( Lee¸ Soo Ji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 Vol.60 No.3

        본 연구는 Gess-Newsome(1999)의 변형적 관점에서 수학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잠재적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지도 방법 간의 관계를 면밀히 이해하고자 중등 수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을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조사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을 예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적 행동과 수학적 이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DU에 주목한 2명은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에 성공했으나, 다른 2명은 가분수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상호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를 어려워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구상한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에서 확인된 교수적 행동은 그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주목했던 수학적 이해가 투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수학 내용에 대한 교사의 KDU와 교수 활동을 위한 지식과의 연결 사례를 제시함으로 교사교육 연구에 기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a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understandings of teachers and ways in which their knowledge transferred in designing lessons for hypothetical students from Gess-Newsome (1999)’s transformative perspectiv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this end, we conducted clinical interviews with four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f their solving and teaching of equation writing. After analyzing the teacher participants’ attention to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Simon, 2007) in solving equation writing,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of the problems and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the problems to hypothetical students. Two of the four teachers who attended the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solved the problems more successfully than those who did not. The other two teachers had trouble representing and explaining the problems, which involved reasoning with improper fractions or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quantities. The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of all four teachers were reflected in their pedagogical actions for teaching the equation writing problem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eacher education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ir knowledge for teaching particular mathematics.

      •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학령기 아동의 역할과 사회적 이해

        차윤희,박경자 한국생애학회 2011 생애학회지 Vol.1 No.1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roles played in peer bullying from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class. Differences i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understanding level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peer bullying. 746 5th-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nominated their class mates on their roles in peer bullying by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 Based on peer nomination, 180 children were selected for 6 peer-bullying groups: the bully, the reinforcer, the assistant, the defender, the outsider, and the victim.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s were measured by the Social Understanding Story Tas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participated in peer bullying as the outsider(24%), the defender(21%), the assistant(13%), the reinforcer(10%), the bully(8%), or the victim(7%). As for social understanding, the defenders had higher cognitive understanding than the victims, and higher emotional understanding than the bullies.

      • KCI등재

        기독교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비교 연구—

        황병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This research examines high school principals’ understanding of highly competitive college entrance exam in Korea. Moreover, it display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with regards 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entrance exam, 2) the educational purpose, 3)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4) self-learning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s, and 5)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all the above mentioned categorie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have higher Christian perspectives on college entrance exam: the perspective of God’s calling, the perspective of God’s talents, the perspective on building God’s Kingdom, and the perspective on excellency in the order. This research found that while mission schools focused on happiness in life, raising virtuous humans, and cultivating men of talents for the nation; alternative school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students as truly faithful Christians and professional Christians. Alternative schools showed that higher the mean of educational purpose is, higher the mean of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becomes. Alternative schools rarely or selectively enforced extra self-learning time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practiced higher levels of character education, religious (Biblical knowledge) education, chapel (worship) service, Bible study, and Q.T.(quiet time). Specifically, for Q.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schools encouraged students to exercise Q.T more than mission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e importance of the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high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and mission schools and to suggest what factors influence to Christian understandings of college entrance exam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안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이 미션스쿨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상인 대학입시 과열경쟁에 대해 기독교학교 교장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것을 대안학교와 미션스쿨로 분류하여 대학입시 이해의 차이, 교육목적의 차이, 학생진로교육 가치기준의 차이,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 실시여부, 신앙생활의 중요성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션스쿨 학교운영자들과 비교해서 대안학교 학교운영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기독교적 입시관을 보였는데, 하나님의 부르심(소명)의 관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은사(재능)의 관점,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관점, 그리고 전문성(탁월성)의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의 교육목적이 행복한 생활, 덕 있는 사람 양성, 나라발전의 인재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기독교 대안학교는 진정한 신앙인을 키우는 것과 기독교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그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학교의 교과과정을 따르고 있는 미션스쿨은 학생들의 진로교육 가치기준이 기독교 대안학교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생진로교육 가치관이 대안학교의 교육목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또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에서는 교육의 목적이 높아지면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도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은 대안학교에 비교해서 더 높은 수준의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을 실시하였다. 대안학교의 경우,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은 거의 실시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는 더 높은 수준의 인성교육, 종교(성경지식)수업, 채플(예배), 성경공부,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의 실시여부는 대안학교가 미션스쿨보다 더 심도 깊게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앙생활의 중요성은 교육의 목적과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대안학교와 미션스쿨 학교운영자의 입시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기독교적 입시관의 방향을 제시한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 KCI등재

        교사의 개인배경 및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 ( Sung Youl Park ),김재훈 ( Jae Hoon Kim ),임걸 ( Keol L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정부주도하에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될 스마트교육 계획에 비추어 볼 때, 교육의 주요한 주체인 교사관련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의 미비 및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현재 시점에서 교사들의 성별, 연령, 기기 보유여부 등의 개인변인과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및 경기권 중등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4부의 설문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으며, 태도 역시 비교적 긍정적이지 않았다.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는 이해수준을 비롯하여 연령이 주요한 변인으로 확인된 한편, 교사의 성별 및 기기 보유여부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었다. 이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스마트교육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이해 및 태도수준의 향상, 교사의 연령을 고려한 탄력적 교육 등이 요구되었으며, 학생 및 학부모 등으로 확대된 스마트교육 관련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considering current little research and needs on teacher variable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government`s plan for the ``Smart Education 2015``. According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understandings on attitudes towards Smart Education. A total of 264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from the participant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did not understand Smart Education much and there needed to be improvements on attitudes toward Smart Education as well, Meanwhile, age w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attitudes, however, gender and possession of smart devices were no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enhancement of understandings and attitudes, professional developments considering ages, and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for students and par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 가족 변화의 의미

        임돈희(Yim Dawn-hee),로저 L. 자넬리(Roger L. Janelli) 비교민속학회 2002 비교민속학 Vol.22 No.-

        Modernization theory per se has fallen out of favor, in large measure because neither industrialization nor its concomitant social changes were found to have followed the same trajectory in all societies. Yet, some of these theories’ fundamental premises about the uniformity of social transformations persis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ow that recent changes in the South Korean family that accompanied industrialization were no mere automatic response to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Comprehending these changes requires a consideration of shifting cultural understandings about family and kinship, the government’s choice of industrialization policies, and the ways in which easier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have fostered a rethinking about possibilities for maintaining ties among separated kin. Modernization theorists hypothesized that families would become smaller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Careful scrutiny of South Korean families, however, do not substantiate the claim that a smaller family size has been the result of succumbing to the functional demands of an industrialized way of life. First of all, a majority of Korean households appear to have been composed of nuclear families even before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high rates of rural emigration by the younger segment of the population, which separated adult offspring from their siblings and parents, was encouraged by the government’s choice of an urban- and industrial-zone-centered export-oriented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strategy. Third, higher standards of education, the rising cost of raising children, and various governmental birth-control campaigns have shifted cultural understandings about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that parents can raise adequately. Fourth, the development of easier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between persons living in separate residences has made possible the maintenance of a quasi-family relationship over distances. Indeed.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which persons belongs to one’s own “family” is often a contested issu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And finally, stronger ties between married women and their natal parents have encouraged an extension of family relationships with matrilateral relatives, despite a continued if weakening reluctance of elderly parents to live with their married female rather than male offspring. In sum, new Korean family forms appear not to be the result of an automatic functional adaptation to the demands of industrial life, as modernization theorists hypothesized, but have resulted in no small measure from governmental and individual choices made in light of shifting cultural understandings about the nature of the family and obligations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in new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