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수행과 상사의 동기귀인이 상사의 부하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석화(Seokhwa Yun),박희태(Hee Tae Park),손승연(Seung Yeon Son),이수진(Soo Jin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3

        신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부하의 상사신뢰에 집중 되어 있었고, 상사의 부하신뢰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상사의 부하신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부하의 직무수행 즉, 과업성과와 조직시민행동(OCB)이 상사의 부하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동기귀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결과 첫째, 부하의 과업성과와 OCB 중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OCBI)은 상사의 부하신뢰에 대해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효과에서 부하의 과업성과 정도에 따라 부하의 OCBI와 상사의 부하신뢰 관계가 변화되었다. 이는 과업성과가 높을 경우 대체로 상사들은 부하들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과업성과 가 낮을 경우 부하의 OCBI에 따라 상사의 부하신뢰는 강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OCB 중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OCBO)의 경우 직접효과 및 과업성과와의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둘째, 상사의 동기귀인의 매개효과의 경우는 상사가 인식한 부하의 이타적 동기는 부하의 OCBI가 상사의 부하신뢰에 미치는 관계에서만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rust has been one of major research area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Much of research on trust in organization has focused on subordinate’s trust in supervisors.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s, especially antecedents of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Recognizing this issue, we intend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rust in an organization by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This research has three main purposes. First, we intended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We suggested that both subordinate’s task performanc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s) have positive effects on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Second, we argued that task performance mod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OCBs on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in addition to the main effects suggested above. Third,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s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OCBs and supervisor’s trust. Thus, we developed the following hypotheses: H1: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to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H2: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H3: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su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upervisor’s trust is stronger when task performance is low. H4:Supervisor’s attribution of subordinate’s altruistic motive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upervisor’s trust in subordinate.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upervisors working in northeastern area in USA.

      • KCI등재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대한 차별적 영향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곽종국(Jong Kuk Kwak),김학수(Hack Soo Ki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2

        기업의 윤리적 이슈는 사회 전체구성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업의 흥망성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단순한 선언적 명제로서 윤리경영을 외치던 시대에서 벗어나 윤리경영이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인 시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윤리경영은 조직구성원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며 기업 및 상사의 비윤리적·비도덕적 행위에 의하여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고 기업에서의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어 신뢰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대상에 따른 신뢰 유형인 조직신뢰, 상사신뢰로 구분하여 매개역할을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차별적 영향력이 있다고 보았다. 사회 교환 이론을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에서 실행하여 조직과 조직구성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가 실행하여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550명의 조직구성원에게서 수집된 자료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상사신뢰에 유의하지 않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으나 상사신뢰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 영향력의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상사신뢰보다 조직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보다 상사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조직신뢰, 상사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경영학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corporate ethical issues are attracting attention from all members of society and can be seen as having a impact on the rise and fall of companies. Now, the argument that business ethics regards as a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s becoming a practical task, not just a declarative proposition. Therefore, business ethics has a influence o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ich affect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corporate ethical issu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rust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trust according to the target, such as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nd examines that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can have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than supervisor trust, and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can have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supervisor trust than organizational trust. The data collected from 550 organizational members empirical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empirical analyzed differential effect of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 tru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nd,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but no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differential effect showed that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than supervisor trust, and the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supervisor trust than organizational tru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anagement implications of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supervisor trust on turnover inten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도서지역 호텔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종사원의 상사신뢰, 상사충성도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경열 ( Park Kyung-yeol ),이승일 ( Lee Seung-il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his employees' trust in the supervis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workers' trust in their supervisor and their commitment to work or the supervisor. This paper also provides support for hotel employer's good decision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is because employers and employees at hotels on the islands of South Korea need to increas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to achieve their personal goals as well as organizational objectives. One of the most common cooperative efforts is communication between a hotel employer and his employees. Hotel employer's careful attention to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fects myriad factors, such as corporate cultur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s and job satisfaction. Hotel employer's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argely determines a change in the attitudes and values of employees, such as employees' commitment to organiza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r's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hotel employees' attitudes, a survey of employee perception was conducted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examine perception and reactions of 242 workers at four hotels located on islands area of South Korea. Thus, this paper categorizes four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of hotel employers: trust-type, professional-type, cooperation-type and control-type communication styl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First, the result of this paper presents that both professional-type and trust-type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employer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On the other hand, either cooperation-type or control-type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employers does not have any impact on hotel employees' trust in supervisors. Second,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tel workers' loyalty to their superintendents. Third,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orkers' commitment to work. Hence,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hotel employees show a higher level of trust in their supervisors when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 and fully informed of the tools and knowledge to work in the hotel industry. Therefore, one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hotel employer's communication styles on his workers' trust in supervis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trust in supervisors and their loyalty to work or supervisors with the perspectives of hotel workers. Another significant implication is to provide the basis for specific research propositions and sugges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tel industry.

      • KCI등재

        항공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안전보고인식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 매개효과 검증

        홍순남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8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flight attendants‘s safety reporting perception, and how it is mediating on their supervisor’s trust and the self-leadership performed by flight attendant within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lement safety reporting system at workplace so that it could give a direction on how to manage and train flight attendants for obtaining self-leadership and cultivating trust. Results from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with flight attendants working for domestic airlines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of flight attendant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fety reporting perception as well as their trust in supervisors. Second,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s trust. However, natural reward strategies,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trust, a sub-factor of supervisor’s trust while flight attendants’ trust in supervis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fety reporting perception. La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in supervisor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leadership and safety reporting perception. However, emotional trust in supervisors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reward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and safety reporting perception since natural reward strategie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trust among sub-factor of trust in supervis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in supervisors on flight attendants is a valid variable for recognizing problems ahead of time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developing self-leadership to take proper actions to improve work environment that leads to reaching goals without feeling fears of getting penalties. Self-leadership and trust in supervisors are important core competencies in voluntary safety reporting perception of flight attendant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afety reporting culture. 본 연구는 안전보고제도에 직접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항공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안전보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직내에서 상사의 신뢰가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과 안전보고인식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하여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안전보고문화 활성화를 위한 조직문화 방향을 제시하고 셀프리더십 및 신뢰 함양을 위한 인적관리 및 교육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한 결과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은 안전보고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은 상사신뢰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연보상전략은 상사신뢰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상사신뢰는 객실승무원의 안전보고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과 안전보고의식 사이에서 상사신뢰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연보상전략은 상사신뢰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사에 대한 정서적 신뢰는 셀프리더십의 자연보상전략과 안전보고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객실승무원의 안전업무 수행에 있어 자발적인 참여로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을 위한 적극적 행동 및 목표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과 징계나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 없는 안전보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가 유효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셀프리더십과 상사신뢰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보고에 있어 중요한 핵심역량이며 안전보고문화 정착에 중요한 요소이다.

      • KCI등재

        상사의 행동특성이 부하의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 사무직종사자와 비서직종사자의 직종간 비교 -

        김미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1

        Trust in supervisor is an important social resource that can enhance subordinate's job attitude and facilitate his/her cooperation within organiz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ious studies of the subordinate's and secretary's trust in superviso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or and time(duration of relationship). It was hypothesized that behavior factors(ability, benevolence, integrity) and time factor(duration of relationship) have an effect on the trust in supervisor. Data were collected from secretaries and office workers and analyzed the effect of factors on the trust in supervis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behavior factor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ust in supervisor. Among of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 the ability has more effect on the trust in supervisor than any other factors. Secretaries showed higher effect of ability and integrity on the trust in supervisor than office workers did. Office workers showed higher effect of benevolence on the trust in supervisor than secretaries did. 조직 내 부하의 상사신뢰는 부하의 개인적 업무태도뿐만 아니라 조직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들이 상사를 신뢰하는데 상사의 행동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부하의 상사신뢰와 상사의 행동특성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을 비서직과 사무직으로 구분하여 직종간 상사신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직종에 따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비서직과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사의 행동특성 요인인 능력, 배려, 진실성이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으며, 각 변수들이 상사신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상사신뢰 선행변수 중 상사의 능력이 부하의 상사신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배려, 진실성의 순으로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인 비서직과 사무직의 직종 간 비교분석결과 능력과 진실성요인에서 비서직 종사자가 사무직 종사자보다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침묵에 미치는 영향

        김수희(Kim, Su-hee),최애경(Choi, Ae-Kyung),마크누펠드(Neufeld, Marc)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성공적인 기업경영을 위해서 구성원들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은 때로 침묵을 선택함으로써 조직 내 정보의 흐름을 단절시키고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구성원의 신뢰 및 직무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사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10대 기업에 속하는 제조업 분야의 A기업 일반 사무직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09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지배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정(+)의 영향을, 상사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지배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구성원의 상사신뢰에 부(-)의 영향을, 상사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구성원의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신뢰는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신뢰는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구성원의 침묵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상사신뢰를 매개로 구성원의 침묵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침묵을 줄이고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상사신뢰가 중요하며 조직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s perceived by the employees influences the silence through the employee’s trust of the superviso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4th to May 2nd on 307 employees who were working for “A” company.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communication style of the supervisor had a positive (+) effect on an employee’s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whereas , the social communication style of the supervisor had a negative (-) effect on an employee’s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Second, the dominant communication style of supervisor had a negative (-) effect on an employee’s supervisor trust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style of the supervis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mployee’s supervisor trust. Third, an employee’s supervisor trust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employee’s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Finally, an employee’s supervisor trust mediated the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 and the employee’s silence. In conclusion, a supervisor with a social communication style will be more successful in building a trust with his/her employees and reducing their silence. Having an established trust between a supervisor and employees will decrease the employee’s silence. Therefore, appropriat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ducation and support of a company are required to develop the supervisor’s social communication style and employee’s trust of the supervisor.

      • KCI등재

        공식적ㆍ비공식적 배려행동 및 상사신뢰가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종찬(Lee Jong Ch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배려행동이 상사신뢰형성을 통해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배려행동이 상사신뢰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베트남 기업을 대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배려행동을 공식적 배려행동과 비공식적 배려행동으로 나누고, 공식적 배려행동은 발전기회제공을, 비공식적 배려행동은 호의적 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이들 변수가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상사신뢰는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한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 및 타이응웬 지역의 5개 기업에 근무하는 19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식적인 배려행동인 발전기회제공과 비공식적 배려행동인 호의적 행동 모두가 상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신뢰는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식적인 부문에서의 배려행동과 비공식적 부문에서의 배려행동 모두가 상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카자흐스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이전의 연구에서 비공식적 배려행동이 신뢰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This paper has the purpose of identifying how consideration and supervisor trust affect leadermember exchange(LMX) in Vietnamese companies. Consideration divided formal(self-development opportunity) and informal consideration(favor doing). It is hypothesized that self-development opportunity and favor doing affect supervisor trust, and then supervisor trust affects LMX. Data were collected to testify the model from the samples of 195 employees of 5 companies in Hanoi and Thai Nguyen province, Vietnam.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individual-level data such as self-development opportunity, favor doing, supervisor trust, leader-member exchang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xamined to test theoretical model via path analysi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0. It was found that self-development opportunity and favor doing affect supervisor trust. And it could be also found that supervisor trust positively affected LMX. It showed that the formal consideration affected supervisor trust, and informal consideration affected too supervisor trust in Vietnam companies. Thi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 that formal consideration affect supervisor trust, but informal consideration does not affect supervisor trust in Kazakhstan companies.

      • KCI등재

        접점 직원의 상사 신뢰와 냉소: 선행요인과 결과

        지성구 ( Ji Seong Goo ),장성희 ( Jang Seong-he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접점 직원은 기업을 대표하며 고객의 입장을 대변하는 경계확장자들이다. 이들은 일상에서 고객과 상사와의 접촉 빈도가 다른 종업원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사의 신뢰와 협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상사 신뢰와 상사 냉소의 선ㆍ후행 변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접점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에 대한 접점 직원의 신뢰와 냉소에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커피 전문점의 접점 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점 직원의 상사 지원은 상사 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냉소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접점 직원의 상사 무례는 상사 신뢰에 부의 영향을, 상사 냉소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접점 직원의 상사 신뢰는 상사 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상사 냉소는 상사 협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 점포에서 접점 직원 관리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rontline employees represent the business and are boundary spanners that represent the customer’s interest. Trust and cooperation for their supervisors are important because Frontline employees are frequently in contact with customers and supervisors in daily lif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for the frontline employees’ trust and cynicism in their supervisor.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the frontline employees’ trust and cynicism in their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employees of coffee shop are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s support for the front line employe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trust and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cynicism. Second, the supervisor’s incivility for the frontline employee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trust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cynicism. Third, the supervisor trust of the frontline employe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cooperation, while the supervisor cynicism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pervisor cooper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provided implications for frontline employees management in service stores, and pointed 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long with its respective limitations.

      • KCI등재

        조직 및 상사에 대한 신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김인자(Kim In-Ja) 한국비서학회 200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5 No.2

        신뢰는 조직이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집단 및 조직의 목표달성 을 위한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과 같은 조직유효성 변수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신뢰는 조직생존의 팔수조건이며,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기업체에서 근무 중인 정규직 비서와 사무직 근로자 228명 을 대상으로 신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신뢰는 조직에 대한 신뢰(제도적 신뢰)와 상사에 대한 신뢰(대인간 신뢰)로 세분하여 각 변수가 직무태도 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또한 직 종에 따라 신뢰성 지각수준과 직무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으며, 신뢰수준 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직종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직에 대한 신뢰와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비서직 종사자와 사무직 근로자 사이에는 조직과 상사에 대한 신뢰성 지각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서직 종사자가 사무직 근로자에 비해 조직과 상사에게 더 많은 신뢰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신뢰는 비서직 종사자의 높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성 지각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종에 따른 차이는,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 및 상사에 대한 신뢰는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무직 근로자들의 조직 및 상사에 대한 신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occupational category may moderate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amples of 228 female employees working as a secretary or a clerical worker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rust in organization was found to have much mor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rust in supervisor. Second. secretaries showed higher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than clerical workers. Furthermore. the trust has caus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it is investigated that occupational category can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rust in organization/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hile trust in organization and supervisor of secretari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at of clerical workers had no effect on them

      • KCI등재

        The Effect of Intrapreneurship and Supervisor Trust on Management Performance

        장홍붕,왕환환,김종관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1 No.4

        Intrapreneurship has recent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intrapreneurship and trust in a supervisor (also referred throughout as “supervisor trust”) promote management performance so as to expand research on intrapreneurship. The study’s sample set is taken from 288 employees of 38 different companies to statistically verify the hypotheses. Through the SPSS 24 statistical method, the study’s main results were uncovered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trapreneurship. Second, intra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trust in a supervisor has a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in a supervisor are found between intrapreneurship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recognized. Firstly, although research on intrapreneurship has been carried out for more than 30 years, it is still in the stage of systematic theory, and there is room for further research, especially when the cultural background is different, the results may come out differently. Secondly, if the degree of intrapreneurship increases, the management performance will be high. Trust in the supervisor is consistent with this viewpoint, because if subordinat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there will be positive business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intrapreneurship and trust are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achieving performanc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tual business. Thirdly, trust in the supervisor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intrapreneurship and performance, which means that a structural mechanism exists between them.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entrepreneurship at the appropriate level in SM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intrapreneurs receive education and develop trust in their supervisors.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entrepreneurial education leads employees to focus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intrapreneurship and that a high degree of supervisor trus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These findings can help companies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achieve their business tar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