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 말 鄭地의 海防論과 수군활동

        신성재(Shin Seong J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정지(鄭地)는 1347년(충목왕 3)에 나주(羅州) 거평(居平) 죽곡리(竹谷里)에서 태어났다. 그는 장대한 체구에 성격이 온화하고 문무를 겸전한 인물이었다. 그는 사졸들을 진솔한 마음으로 사랑하였고, 솔선수범하는 장수였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준비심이 투철하였고, 책임감과 사명감 또한 강한 인물이었다. 당당하면서도 천명에 순응할줄 알았으며, 직분에 충실한 장수였다. 장수로서 이러한 자질을 갖춘 정지는 조선전기 관료들 사이에서 유장(儒將)으로 존숭되었다. 정지가 태어난 1347년은 왜구(倭寇)가 침략 행위를 가시화해 가던 시기였다. 특히 1350년부터 시작된 경인년(庚寅年)의 왜구는 고려 정부에 극심한 피해를 입혔다. 고려 정부의 관료들은 방왜책을 모색하였다. 이색(李穡)과 우현보((禹玄寶)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들이 제시한 방왜책은 육지에서의 수비와 해상에서의 전투를 병행하는 것이었다. 최영을 중심으로 하는 무장층 또한 방왜책을 모색하여 대규모의 함대 건설이 추진되기도 하였다. 정지 역시 왜구를 퇴치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방론(海防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해방론은 대규모의 함대 건설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병력을 양성하여 대처하는 것이었다. 이는 실질적인 수군력 강화에 무게를 둔 대응책이었다. 정지는 자신이 제시한 해방론에 따라 무기체계와 전술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수군을 양성하였다. 이렇게 양성된 수군들은 당대에 개발된 병기와 기술, 화약 무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진포해전(鎭浦海戰)과 관음포해전(觀音浦海戰)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정지는 이러한 군사적 자신감에 근간하여 1387년 일본(日本)을 정벌하는 동정론(東征論)을 건의하였다. 그의 건의는 실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1389년 박위(朴葳)를 사령관으로하는 고려군은 대마도(對馬島)에 대한 정벌을 단행하였다. 정지의 해방론에 근간하여 수군력을 강화시킨 결과 고려는 왜구의 침략을 근절할 수 있게 되었다. Jung-ji(鄭地) was born in Naju(羅州) Geopyeong(居平) Jukgok-ri(竹谷里), 1347. He had a huge body with a gentle personality and was skilled at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He loved his soldiers and was a general who led by example. He was a character who thoroughly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and possessed a strong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ies. He had an imposing air yet resigned himself to fate and was a warrior fully committed to his duty. It was such qualities of Jung-ji that led the bureaucrat’s of early Chosun to hold him in reverence as the literati general (儒將). When Jung-ji was born in 1347, the japanese invasive activities became more notable than any other period. Especially since 1350, the beginning of the year of Kyungin(庚寅年), the Koryo administration suffered extensive damage from the Japanese invaders. The bureaucrat’s of the Koryo government began searching for defensive strategies. Lee-Saek(李穡) and Woo-Hyeonbo(禹玄寶) were two key members. They presented a defensive preparation to guard the land while engaging in combat on sea. The opinions brought up by the commanding class including Lee-Saek and Woo-Hyeonbo were accepted and expedited the establishment of a large scale fleet. Jung-ji also came up with the Maritime defense theory. His Maritime defense theory placed more weight in raising superior qualities of militant forces rather than constructing a large scale fleet. Jung-ji developed specialized naval soldiers that could effectively employ the weapon systems and tactics suggested in his Maritime defense theory. These trained naval soldiers were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the newly developed weaponries and technological, chemical weapons of the time and prevail the naval battles. Jinpo(鎭浦) and Gwaneumpo(觀音浦) naval battles were two major results. In 1387 Jung-ji proposed conquering Japan as he was confident in his military strategies. His proposal was not executed. However in 1389, with Park-wi(朴葳) as the commander of the Koryo Armed forces, went on an expedition to conquer Daema Island(對馬島). The reinforcement of the naval forces based on Jung-ji’s Maritime defense theory resulted in eradicating the Japanese invaders.

      • KCI등재

        论后冷战时代韩国海洋安全战略演变及中国因素: 以防御性现实主义视域下的海权为中⼼

        蔡捷(Cai Ji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해양은 한 국가의 발전과 성장의 지속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차원에서 해양을 둘러싼 문제는 그 중요성이 꾸준히 증대되어 왔다. 특히 세계 연안국들이 자국의 실정에 알맞은 해양안보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이, 동아시아 해상강국으로 한국이 부상했고, 현재 세계 각국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 해군은 20년이 지난 지금 급격하게 성장했고, 동북아 해양강국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한국의 군사논리 발전, 전략 범위 등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에 대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이 해양안보전략을 책정하거나 해군력이 증강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I장에서는 탈냉전기 한국 해양안보전략 연구가 지닌 의미를 설명하고, 선행연구 및 ‘방어적 현실주의 이론 시야 하의 해양력’이라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제Ⅱ장에서는 한국 해양안보전략 변천 과정의 이행과 특징을 전략 방향 조정과 전략 범위 변화라는 두 가지 축으로 개관한다. 제Ⅲ장에서는 탈냉전기 한국 해양안보전략 변화 과정에 존재하는 중국으로부터의 요인을 고찰한다. 주로 중국 국방정책과 군사교리 발전 및 이어도를 둘러싼 한중 양국의 대립과 해상교통로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한다. 제Ⅳ장에서는 결과적으로 한국의 해양안보전략 변화에 중국 요인이 작동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어적 현실주의 이론 시야 하의 해양력’이란 구조에서 한국 해군력 강화와 한미동맹 강화를 초래하며, 현재 한국의 대양해군 전략과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전략이 동북아 지역의 군비경쟁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해양충돌 가능성이 커진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권익 분쟁을 둘러싼 한중 간 대립의 단면을 보고 우리가 21세기 양국 간 전략적 소통 및 해상협력을 어떻게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경제의 발전과 효익 상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을지 시대적 과제로서 숙고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ocean has been a vital role for a country’s development and growth.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issue about the ocean and its security in East Asia have been steadily highlighted. South Korea has emerged as an East Asian powerful nation and receives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while coast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triving to establish ocean security strategy based on their situations. The South Korea Navy has grown rapidly over 20 years and settled as ocean powerful nation in Northeast As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and how South Korea’s military logic development and strategic scope have changed. Adding to this, it would be a great importance to analyze the main factors when South Korea sets up ocean security strategy or strengthens its naval power.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explains the meaning of research on post-cold war era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and presents a framework for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sea power from the point of view of defensive realism theory”. Chapter 2 outlines the imple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in two: “Coordination of strategic direction” and “Change of strategic scope.” Chapter 3 considers the Chinese factors that are found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during the post-cold war era. It focused on analyz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ith China’s defense policy, development of military doctrines, and Ieodo Ocean and the importance of ocean transportation routes. Lastly, chapter 4 shows that Chinese factors are related to changes in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Sea power from the point of view of defensive realism theory” leads to strengthening South Korea’s naval power and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and the U.S. “Return to Asia” strategy make arms race inevitable in Northeast Asia,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ocean collision. For us living in the 21st century, it is regarded that it is our task to consider how to strengthen strategic communication and ocea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it is thought to be a task of the time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ocean economy and co-prosperity in terms of benefits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over the dispute of ocean rights and interests as shown in this study.

      • KCI우수등재

        환재 박규수와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

        김성배(Su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2

        본 연구는 19세기 중후반 한국외교사에서 환재 박규수가 보여준 독특한 국제정치적 대응에 주목한다. 박규수는 초기에는 비교적 선명한 화이관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편전쟁과『해국도지』영향을 받아 해방론으로 이양한다. 그의 해방론은 서양세력을 국제정치적 실체이자 타자로서 인정한다는 점에서 척사론과는 구분된다. 또한, 2차 연행 이후 에는 만국공법 질서에 대한 초보적 이해와 서양제 국과의 수교에 대한 개방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만국공법의 주권질서 조직원리와 행위자로서 국민국가를 문명표준으로 냉철하게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다.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와 근대 주권질서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중국을 단지 하나의 영토국가가 아니라 동아시아 문명이자 힘의 실체로 이해했으며 문명적 선호와 전략적 시세판단에 입각하여 한중관계를 기축으로 서양세력의 도전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은 전통과 근대가 모두 투영된 복합적 국제정치학이자 문명의 국제 정치학, 그리고 그가 선호하는 표현을 빌자면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이라고 할 것이다. This study pays focuses on the international politics that Park Kyu-soo showed in the Korean diplomatic history in the mid-late 19th century. Park certainly had Sinocentrism at an early stage, but was transferred to the theory of the maritime defen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pium War and the book of HaeKugDoJi(海國圖志). His view on maritime defense is differentiated from the tradtional perspective, Chok-Sa to the extent that it acknowledges the western power as international political entit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tage, it has been found that he fundamentally understood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assumed openness toward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countries. But he fails to keenly recognize the state nation as standards of civilization and an organizing principle of sovereignty. The major feature displayed in his international politics, is that he considers the traditional order of East Asia and the Western sovereign order at the same time. He identifies China not as a territorial state but as civilization of East Asia and stands up against the challenge of the Western power with a focus on the Sino-Korearelationship, based on cultural preference and strategic judgment. In this respect,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Park, can be termed as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civilization and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Si-mu(時務) as he prefers to c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