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연애, 결혼에 대한 의식과 문화 연구

        한금윤(Keum Youn H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8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삼포세대’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연구하였다. 한 신문사에서 청년들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분석하면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청년 세대를 ‘삼포세대’로 명명한 후 신조어가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언론이 제기하는 ‘삼포세대’의 문제 지점이 경제적 어려움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삼포세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도 경제적 복지 정책에 국한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 세대들이 실제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청년 세대의 다양한 의식과 문화를 제대로 조명해야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해결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세대의 연애, 결혼, 출산에 대한 의식이 무엇인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대학생들의 ‘자기서사’ 쓰기를 시행하였다. 대학생들의 ‘자기서사’ 쓰기를 통해서 대체로 연애와 결혼을 하겠다는 수가 포기하는 수보다 2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 청년세대들은 연애와 결혼을 선호함을 말해 준다. 다만 연애나 결혼을 포기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이유는 경제적인 어려움보다 외모 콤플렉스, 연애의 상처 등등 상처 받은 자아의 문제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서사’ 쓰기를 통해서 실제 청년세대들의 연애, 결혼에 대한 의식을 심층적으로 알 수 있었고, 언론보도의 논리가 지니는 문제와 한계가 무엇인가를 포착할 수 있었다. ‘삼포세대’의 문제는 외모지상주의, 물질만능주의, 소비지향적인 생활방식, 개인화된 사회에서 감정 갈등의 회피라는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sciousness of Korea’s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courtship and marriage. According to press reports, young generation is called the Sampo Generation, as they have given up the experiences of courtship, marriage, and childbirth. The expression of “give-up” aroused public debate, as the Sampo Generation is the symbol of Korea’s crisis in the future. The public opinion is focus on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and searching for solutions to increase the incidenc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by economically supporting young people. This analysis and solution have two problems. One is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not given up those experiences outnumber the members who have given them up. Therefore, young people must not be labeled the “Sampo Generation”. The other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young people. Some of young people have not given-up those experiences, but they do not take them on willingly. This is because the young people who grew up in the digital world do not want to be face the troubles with other. Young people have the culture of an individualized society that pursue personal pleasure. Therefore, the economic support policy will be limited in solving the problem of the Sampo Generation. I analyzed the logic of the main public opinion and investigated the young people’s consciousness of courtship and marriage in their journal writing.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I argued the diversity of the individuals who have given-up those experiences. I propose that our society has changed toward creating the value of community, which is considered human pleasure with other people, not alone with digital machines.

      • KCI등재후보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와 소장 학자들의 삶 기획하기

        조극훈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20

        This study is a part of the project entitled “Planning for the Society that the Youth will Face” and aims to take into account learning environments and social conditions in which young scholars’ lives and scholarship are adequately realized and enhance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changes in employment conditions in South Korea for the newly graduated doctors, the percentage of fully-employed humanities workers decreased from 56.6% in 2011 to 49.0% in 2014, 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earn more than 40 million won also decreased from 52.7% to 31.2%. This fact alone is enough to show that the lives of those who have doctorate degrees in the humanities are becoming more difficult. To discuss the conditions and the preparation for the type of society that young scholars will face in line with the worsening situation of employ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humanities, this study analyzes a capitalist society and the lives of young scholars in that society. In that regard, the current state of the youth was examined, and was found to be unstable to such an extent that a new term “the Sampo Generation” has been coined referring to a new generation in South Korea that has given up courtship, marriage and childbirth.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s clarified in terms of poverty, education and inequality. It is found that social mobility, which indicates the reliability of endeavors and accomplishments, i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younger generation. With regard to social justice and the mission of scholars, an analysis is made by means of dividing their lifestyles into active and contemplative forms of life. The present study also strong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mission of scholars as professionals, their interests and a sense of challenge in a new academic field. Lastly, for the realization of planning the lives of young scholars, some personal factors, such as reading skills on authentic texts and belief in truth, a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social factors, including fair procedure and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field in the humanities, such as humanities for the homeless, correctional humanities, and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an organization of associations of humanities workers, such as a humanities cooperative association. 이 글은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 기획하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장 학자들의 삶과 학문을 기획하고 실현할 수 있는 학문 풍토와 사회 여건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신규박사 고용 여건 변화 통계 자료에 의하면, 인문계열 상용직 취업비율은 2011년도 56.6%에서 2014년 49.0%로 감소되었으며, 연봉 4천만원이상 비율도 52.7%에서 31.2%로 감소되었다. 그만큼 인문학 박사의 연구자 생활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용여건의 악화상황에서 소장 학자들이 살아갈 사회의 여건과 준비사항을 인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하기 위해, 먼저 자본주의 사회와 소장 학자의 삶을 분석하였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포세대가 등장할 정도로 불안한 청년들의 상황을 제시하면서 그 원인을 빈곤, 교육, 불평등 문제 등으로 분석하였다. 노력과 성취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사회이동성 지수가 청년층일수록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정의와 학자의 사명에서는 학자적 삶의 양식을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으로 분석하고 전문직으로서의 학자의 사명과 새로운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과 도전의식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장 학자의 삶의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절차와 분배 정의 실현이 라는 사회여건과 함께 원전독해 능력과 진리에 대한 믿음과 같은 개인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인문학 협동조합의 결성과 같은 결사체의 필요성과 함께 노숙인 인문학, 교정 인문학,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신생 인문학 분야 개척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년 대중서로 본 동시대 청년 담론의 전개 양상

        이광석(Kwang-Suk Lee),윤자형(Ja Hyung Yu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2

        이 글은 2000년대 말 ≪88만원세대≫를 시발점으로 삼아 청년과 관련된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청년 독자들의 시선을 끌었던 출판계 청년 대중서들의 주요 담론과 토픽 흐름을 추적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지난 십여 년에 걸쳐 시중에 출판된 청년 대중서의 담론 특성과 계열 흐름을 읽는 질적 연구이자 메타 분석에 해당한다. 이 글은 대중 출판 시장의 청년서가 청년 스스로 담론 소비와 생산 주체로 등장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청년 주체 형성 과정과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매체로 기능했다는 점을 주목한다. 동시대 청년 담론의 특징과 변화 지점들을 읽기 위해 본 연구는 편의상 신생 담론 구성의 시기 구분 방식을 따른다. 연구자들은 이를 통해 각 시기별로 청년 담론이 구성되는 과정에 ‘주류’ 담론 질서의 반복과 누적이 크게 자리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지속적으로 이를 반박하거나 신생의 담론 계열체 형성이 이뤄졌음을 확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990년대 말 직장인들의 자기계발서 열풍을 잇는 새로운 버전, 청년 힐링과 멘토 열풍의 담론 구성이 어떻게 청년 ‘주체’의 자립과 자율의 대항 담론으로까지 이어지는지에 대한 청년 논의의 변화 양상을 추적한다. 결론에서는 청년 자립과 자치에 관한 최근 신간들이 갖는 실천적 함의를 주목하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construction of major discourses and topics in the popular young adult non-fictions that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young readers by directly addressing the youth-related issues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880,000 won Generation in the late 2000s. this study is methodologically based upon a qualitative study and meta-analytic study, by which it would read discursive characteristics and their paradigmatic relation of the popular young adult non-fictions published on the market over the past decade. This article notes that the young adult essays synchronize themselves as a significant medium to read how to form young people’s ‘subjectivity’, while young people themselves appear as the subjects of both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discourses. For an analysis, this study periodically divides a structure of the discourses in order to debunk the characteristic and changing points of contemporary youth discourses. In this study, although the repetition and reproduction of the ‘mainstream’ discourses are largely plac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youth discourse in each period, there has also been the formation of ‘counter-discourse’ against them. Specifically, we pursue the changing patterns in youth discourses as to how the discourse of young people’s ‘healing’ and ‘mentor’ fever has been finally led to the emergent discourse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youth. The conclusive remark intends to draw ou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recent tendency of youth self-reliance and autonomy shown in the domestic book publishers.

      • KCI등재

        불안정한 현실과 대면하는 이 시대 청년들의 삶에 관한 질적인 분석

        송동욱(Dong-Wook Song),이기형(Keehyeung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4 No.4

        이 작업은 현재 ‘헬조선’으로 상징되는 한국 사회에서, 다수의 청년주체들이 대면하고 있는 극심한 사회경제적인 불안과 이들의 삶을 옥조이는 과도한 경쟁의 집합적인 효과를 질적인 분석과 비판적인 문화해독의 방식으로 접근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에 섭외된 청년층이 기존의 ‘삼포세대’ 담론에 관하여, 또한 자신들이 처한 불안정하고 그늘진 상황과 이에 연동하는 주요 사회적인 이슈들에 대하여, 어떠한 복합적인 반응과 구체적인 비판, 그리고 항변 등을 제기하는지를 세밀하게 진단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이들 청년주체들이 표출하는 자기서사와 그 속에 배태된 다기한 감정의 결을 조밀하게 탐구함으로써, 이 시대 청년층이 처한 상황이 응축하는 구체적인 맥락성의 특징과 특히 ‘생존주의’의 명암을 진중하게 조명하고자 한다. This work critically deals with the much unstable and fragmented states of young adult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Nowadays, most of young adults in Korea have encountered much severe, uncertain, and ‘hellish’ socio-economic situations while their dreams of getting regular jobs are hard to achie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uanced and detailed analysis of their sedimented feelings, variegated emotions, as well as embodied positions by utilizing in-depth interviews and critical explorations on their particular modes of surv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