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

        나정원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1

        In the periodization of history, the Japanese scholars distinguish the pre-modern and modern period which correspond to the absolutism-modern in the Western case. But they could not agree on the starting time of ‘Modern’ and estimate without any common criteria that Meiji Restoration made start the ‘Modern’ and Meiji State is the ‘Modern-State’. To try to measure whether the Meiji State is modern or not, I prepare the criteria of periodization to compare the two Constitutions, the Great Japan of 1889 and the Japan of 1946. The areas of comparison are four: State, Tenno, sovereignty and political system(division of pow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odern State’ are monarch State, traditionalism, Statism, Divine Tenno system, monarch sovereignty and concentration of powers, whereas the ‘Modern-State’, respectively Nation State, constitutionalism, liberalism, Symbol Tenno system, popular sovereignty and division of powers. And the starting time of the ‘Modern State’ could be equalized to that of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before this time to be called as the ‘moderniz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thesis is that Meije State shows exac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 Modern State’ in the four areas. So Meiji Restoration could not build the ‘Modern State’ and the ‘Pre Modern State’ continued to exist in the way of ‘modernization’ before the pre-War era. In the periodization of Japanese political philosophy, the ‘Modern State is the ‘Japan State’ after 1945. Meiji State could not build the ‘Modern State’, and is the State of the mercantilism and absolutism which didn’t contribute to the ‘modernization’ of th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Taiwan) and Korea. 일본 학계는 근세⋅근대로 시대구분을 하며, 이것은 서양의 절대주의⋅근대에 상응한다. 하지만 일본 학계는 근대의 시점에 대해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어도, 메이지 유신을 ‘근대’의 시작으로, 메이지 국가를 ‘근대국가’로 평가하고 있다. 이 논문은 메이지 국가의 ‘근대국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대구분의 기준을 마련해서 「대일본제국헌법」과 「일본국헌법」의 비교를 시도한다. 비교의 영역은 국가, 천황, 주권, 정치체제(권력분립)등 네 가지이다. 구체적으로 ‘근세국가’는 군주국가⋅전통주의⋅국가주의⋅신권천황제⋅군권주의⋅권력집중, 그리고 ‘근대국가’는 국민국가⋅입헌주의⋅자유주의⋅상징천황제⋅민권주의⋅권력분립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근대국가’의 출발 시점은 헌법의 제정⋅반포⋅시행 시점으로 등치가 가능하며, 이 시점 이전의 기간은 ‘근대화’ 과정으로 부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메이지국가는 네 가지 영역 모두에서 ‘근세국가’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메이지 유신은 ‘근대국가’를 만들어내지 못했으며, 전전 기간 내내 근대화가 이어졌고, ‘근세국가’는 지속되었다. 일본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는 1945년 이후 일본국이다. 메이지국가는 ‘근대국가’가 아니고 중상주의⋅절대주의 국가이며, 중국(대만)이나 한국 등 동아시아의 근대화에 기여를 하지 못했다.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

        나정원(Nah, Jeong W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한국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최초의 ‘근대국가’가 무엇인가를 찾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조선조 이후 한국사에서 선포된 두 개의 국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가운데 대한제국의 근대국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위해서 한국에서 근대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대구분 작업을 먼저 진행하였다. ‘근대국가’는 ‘근대’에 만들어진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근대국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근대’의 시작 문제를 먼저 다루어야 한다. 서양사의 삼분법을 바탕으로 한국사에 적용될 수 있는 시대구분 틀을 만들어, 이를 바탕으로 한국정치사상사에서 ‘근대국가’가 무엇인가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검토 결과, 조선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한국정치사상사에서 대한제국은 ‘근대국가’가 아니라 중세와 근대의 과도기인 절대주의 국가로 평가되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을 최초의 ‘근대국가’로 가정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는 대한 민국임시정부가 있었지만 한반도에 영토와 국민은 있었어도 주권이 일제에 박탈당한 상황에서 주권 회복을 위해 노력했던 시기, 즉 국민국가나 민족국가인 ‘근대국가’를 이루려고 노력했던 시기이므로 ‘근대’라고 할 수 없다. 일본의 식민지근대화는 민족국가 · 근대국가와 관계가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식민지근대화 과정 이후에 형성된 한국 역사상 최초의 ‘근대국가’라고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된 민족국가를 ‘근대국가’라고 하면 대한민국은 아직도 ‘근대’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은 ‘근대성’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북한은 절대주의 국가, 절대군주권 , 군주의 지배에 가깝다. 그리고 지금으로서는 이념과 체계를 초월하는 통일헌법의 구상조차도 이론적으로도 거의 불가능하다. ‘인민국가’와 ‘국민국가’의 근본적인 차이는 ‘민족국가’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있다. 한반도의 ‘근대화’는 1876년 이후 미완의 ‘근대화’로서 2019년 지금도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은 ‘근대’ ‘국민국가’이지만 ‘근대’ ‘민족국가’는 아니다. This treatise investigates the first Modern State in the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ccordingly, it examines which among the two States the DaeHan Empire and Republic of Korea, following the reign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first Modern State in Korean political thought history. For this purpose, periodiz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what is modern in Korea, since identifying the Modern State is the preliminary step to estimating the start of the modern era; the Modern State was built during the modern era. To realize a periodization that could be applied to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the tripartite periodization method based on European history was revised to suit the Modern State.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DaeHan Empire was an absolute state and not a modern one in the history of Korea. The DaeHan Empire was situated between medieval Joseon and the Republic of Korea, which could be supposed merely as modern before being examined.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d a provisory government at the tim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not be considered modern since Korea was deprived of its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is period; hence, the colonial period is not related to the Modern State. Therefore,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it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can be considered the first Modern State in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However, if the unified national One Korea is the Modern State, two Korea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Republic of Korea should undergo unification to become a Modern Nation State by connecting the citizen’s state and people’s state. Hence, the two Koreas must work together to build the Modern Nation State.

      • KCI등재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김동택(Kim Dong Taek) 21세기정치학회 201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0 No.1

        This article examines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in terms of transition to the modern society and evaluate its historical character. Not only political conflicts but also social movement and enlighten movement occurred in this period were to set modern institutions and eventually articulated to modern state formation. Main actors of this period were King, enlightened intellectuals and bureaucrats. Their political lines shared its commoness which excluded nation or people in pursuing modern state, but were differed by who took the initiative in making modern state. But Shinminhue decisively differed from previous two lines in that it pursued modern nation-state in modern state making. Kwangmu emperor's trial to make modern state through the form of empire did not lag behind with other empire states in late 19th century. However, Kwangmu emperor never dreamed nation-making which other empire states at least pretended to. Enlightened intellectuals and bureaucrats in late 19th century also never dreamed to nation-making. Rather, they regarded people as just means of mobilization or objects to be exclud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y wanted to introduce the assembly with privileged orders and never thought the political system constituted by people with sovereignty. After all trials to make modern state were in vain, the movement to pursue nation-state appeared around 1907-8. Shinminhue tried to make nation which has a sovereignty, spirit and essential mind to build state in modern society. It claimed that, although Korean lost its sovereignty, people or nation which have a spirit of sovereignty would rebuild or remake state in some time. And this line found the corner stone of modern state in Korea.

      • KCI등재

        1890-1910년대 한국 근대 매체 속에투영된 타자로서의 중국 심상(心像) 연구

        류창진 중국인문학회 2017 中國人文科學 Vol.0 No.67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requisit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terary 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period of the modern public area between 'Korea' and 'Modern' in the 1890-1910s. During this period, many epic literary works with the character of the narratives were appeared in th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particular, the intellectuals of this period tried to present their arguments with the spaces and devices called 'modern' and 'medium' while suggested a paradigm to cope with the crisis of the times. Based on this prerequisit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and implications. First, exploring the expansion of China's research area is incorporated into a field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such as '1890-1910', 'Korea' 'modern' and to the literary specificity of the image of China in the media and the newspaper. Second, we explore China as projected into the other in narrative literature, and then look closely at the Chinese cognitive system of Korea in the modern order of East Asia. This is the discussion of how the mechanism of 'China' was perceived and operat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discourse of 'people', 'modern nation state' and 'civilization flower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China as projected into the other in the Korean modern media from 1890 to 1910, 1) Acceptance of civilization flowering and China as the other. 2) China as self-establishment of nation and as the other. and 3)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stablishing the modern nation state and China as the other. First, Acceptance of civilization flowering and China as the other. In modern times, the Joseon Dynasty began to recognize Western civilization as a universal civilization.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West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minant framework of recognition that excludes the traditional meaning of "Chinese" while dismantled the traditional or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ransformed the society. Therefore,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is period devoted a lot of space to the contents of 'Blooming', 'Boom', 'Civilization' and 'Barbarism' In this process, if the civilized and the blooming countrie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set as positive some, China, other semi-armed states and barbarians were set as negative others. In particular, China functioned as a lesson and a negative image to Korea.Second, it is China as self-establishment of nation and as the other. The most remarkable of the discourses of civilization in this period w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modern country. In particular, self-determination as a 'nation' had led to the expectation of the birth of a new concept of 'modern nation state'. Therefore, it is early days to criticize the reality of the period and to emphasize the self-establishment of nation. However, the image of China and Chinese people projected into the media were negative at that time. Chinese and Chinese performed their role as a lesson to the Joseon Dynasty and were represented as negative the others. It can be said that it used the appropriate matur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suitable for the modern nation and shaped the concrete self-establishment as the nation. Third, it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stablishing of the modern nation state and China as the other. In general, the core interest of intellectuals in the era of crisis is concentrated on the search for a new social order which is appropriate on the period. And it leads to the propos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 state. Especiall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1890-1910, enlightenment for civilization, blooming, and even the ultimate goal of nation state was essential. And this was embodied as emphasi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stablishi...

      • KCI등재

        근대 국민국가에서 탈근대 민주적 공간으로: 근대 국가에 대한 논의 지형 변화의 역사와 사상

        홍태영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3

        This article approaches the state in the two levels: one is modern nation-state as political community and time-space conception which is formed in the modern times; the other is state power which is power concentrated body in the modern nationstate as political community. The arguments around the state have changed in the transformation of state since its birth. The principal arguments on state as object of modern political philosophy were its origins and legitimacy. After the French Revolution, the state became the research question of social sciences, which formed around ‘the social’ and arised with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the 20th century, the arguments on state is formed by political sciences which concentrate on the democracy, that is a principal problems of welfare state and the Third World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But in the debut of 21st century, we don’t say the state after globalisation. This means crisis of nation-state, and new research of democracy. This article examines what are the changement of arguments on the state as modern political community, and which moments the topology of the modern state vacillate through. And we try to search for points of thoughts to transform the modern democracy in the globalisation and the crisis of modern state. 이 글에서는 국가를 두 가지 층위에서 접근하고 있다. 하나는 근대에 형성된 정치공동체의 형태이자 시공간적 개념으로서 국민국가이며, 다른 하나는 그러한 정치공동체로서 국민국가 내에서 작동하는 권력의 집중체로서 국가(권력)의 문제이다. 이러한 국가를 둘러싼 논의는 근대 국가가 출현하고 이후 전환되는 과정에서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17세기 홉스 이래 근대정치철학의 대상으로서 국가에 관한 논의는 국가의 정당성과 그를 둘러싼 기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프랑스혁명과 함께 근대 국가가 본격적으로 출현하고 자본주의의 발전과 궤를 같이하면서 국가는 ‘사회적인 것’을 둘러싸고 그것을 해결할 것인가의 문제를 두고 다양한 사회과학들의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20세기 들어서 복지국가의 발달과 국가의 역할 확대 속에서 다시 국가의 위상과 국가권력의 민주화 그리고 제3세계의 해방 이후 민주화 과제 등 민주주의의 문제를 둘러싸고 정치학적 논의가 주를이루었다. 그리고 21세기에 들어서 국가에 대한 논의는 세계화 속에서 급속히 약화되었다. 그것은 국민국가 위기의 반영이기도 하고, 또한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탐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글은 근대 정치공동체로서 국가에 대한 논의가 그 출발의 시점에서부터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다양한전환의 계기들을 통해 어떠한 쟁점을 가지면서 위상의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시점에서 국가에 대한 논의를 둘러싼 쟁점, 특히 세계화와 그에 따른 국민국가의 위기 상황 속에서 민주주의가 새롭게 재구조화되기위한 정치적 공간에 대한 사유의 지점들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중국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

        나정원(Nah, Jeong W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2

        한국·중국·일본 동북아 3국의 근대화는 유럽의 영향과 3국의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었다. 유럽이나 일본의 영향을 절대시하면 중국과 한국의 근대화는 서구화이며 제국주의·식민주의를 정당화하고 유럽중심주의나 오리엔탈리즘을 긍정하게 되며, 이때의 근대화는 반(半)식민지근대화나 식민지근대화가 더 부각되는 근대화가 된다. 또한 중국이나 한국의 내재적 근대화 노력은 좌절되고 실패한 근대화로, 일본의 근대화는 성공한 근대화로 평가 받게 된다. 이러한 일방적인 평가를 극복하기 위한 3국 근대화에 대한 비교연구는 동북아 3국의 ‘근대국가’ 형성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드러냄으로써 동북아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진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동북아 근대화 비교 연구에서는 ‘근대’는 언제 시작되었으며, ‘근대국가’는 무엇인가에 대한 ‘적용 가능한’ 시대구분이라는 비교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근대국가’도 ‘근대 민족국가’와 ‘근대 국민국가’·‘근대 인민국가’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정치사상사의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를 분석하였다. 청조 이후 근대화 과정을 통해 ‘근대국가’가 성립된 중국사의 두 계기는 중화민국(1912년)과 중화인민공화국(1949년)이다. 본 논문에서 신해혁명 이후의 중화민국은 ‘근대를 지향하는 과도기 국가’ 로 평가하였다. 한편 통일된 민족국가를 ‘근대국가’라고 규정하면 중국은 아직도 ‘근대’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두 개의 중국이 있다. ‘인민국가’와 ‘국민국가’의 근본적인 차이는 ‘민족국가’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있다. ‘중국의 ‘근대화’는 아편전쟁 이후 미완의 ‘근대화’로서 2019년 지금도 진행 중이다. The modernization in the North Eastern three countries was proceeded in the European influence and mutual relations among them. If we stress on the European or Japanese power, the modernization of China and Korea become the westernization which embraces th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leading to recognize the Euro-centrism or Orientalism, so the Chinese and Korean modernization could be equalized to the failed colonial or semi-colonial modernization whereas the Japanese one to the succeeded one. To reconsider this dichotomous evalua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modernization in the North Eastern three countries is necessary which reveals the common and differentiated characters in the formation of Modern State to diagnose the possibility to formulate the North Eastern Community. And to this work to analyse when the modern era started and what is the Modern State, the periodization as an applicable criteria for comparison should be prepared and the concept of Modern State specialized into the Modern Nation State and Modern People’s State. After the analysis of the Chinese case, we arriv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public of China of 1912 could be estimated as ‘the Modern Oriented transient State’. In the modern history there are two kinds of movement of State building in China;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fter the World War Ⅱ, these two Chinas could be evaluated as ‘the Modern State’ but not as ‘the Modern Nation State’. The modernization movement for the Modern Nation State building is still on going after the Opium War even in this 2019.

      • KCI등재

        비평논문(批評論文) : 근대적 재정국가의 수립과 재정능력, 1894-1910 - 갑오개혁과 대안적 경로 -

        김재호 ( Jae Ho Kim ) 경제사학회 2014 經濟史學 Vol.57 No.-

        이 글의 목적은 갑오개혁의 핵심인 재정개혁을 갑오개혁 이후에 진행되는 대안적 경로와 비교함으로써 근대국가의 성립과정을 근대적 재정국가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갑오개혁과 그 이후 대한제국의 황실재정 확충과 보호국기의 ‘재정정리’는 모두 재정능력의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가 크게 달랐다. 조선왕조는 갑오개혁의 ‘재정집중’이나 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제국의 황실재정의 확충을 통해서도 근대적 재정국가를 수립할 수 없었다. 갑오개혁은 ‘재정집중’과 ‘개방’이라는 청사진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건의 미비로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대한제국은 ‘재정집중’을 포기한 채로 국가재원의 이속과 백동화 발행으로 황실재정을 확충함으로써 정부재정을 침해하였기 때문이다. 근대적 재정국가 수립을 위한 재정능력의 증대에 가장 큰 난관은 지방재정의 통합이었으며, 각 경로의 차이를 발생시킨 주요인은 군주권의 통제, 화폐금융제도의 활용, 외자의 도입 여부였다. 러일전쟁 이후 ‘재정정리’만 유일하게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춤으로써 재정능력을 현저히 증대시켰다. 근대적 재정국가가 확립되었던 것은 아니지만 재정능력을 외자에 크게 의존하는 19세기 선발국과는 다른 유형의 근대적 재정국가가 성장하고 있었다. 이 점에서 갑오개혁에서 시작하여 보호국기와 식민지기, 그리고 해방 이후로 이어지는 강한 경로의존성을 발견하게 된다. The paper compares Gabo fiscal reform with its alternative paths to shed new light on the building of modern state as modern fiscal state. Gabo fiscal reform, the royal financial expansion in the Great Han Empire, and fiscal arrangement in the protectorate period all differed in paths toward the common goal, that is to increase fiscal capacity. Choson dynasty could not establish modern fiscal state by means of not only fiscal concentration in Gabo Reform but also the alternative, the expansion of royal finance in the empire. Although Gabo Reform had its blueprint of fiscal concentration, It could not succeed in building modern fiscal state because of immature conditions. The empire also could not increase her fiscal capacity because royal financial expansion with abandonment of fiscal concentration undermined governmental finances.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modern fiscal state was to integrate local finances with the central ones. Main factors to differ paths were control of monarch power, utilization of monetary and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troduction of foreign loans. The financial arrangement in the protectorate period remarkably increased fiscal capacity because it had all the three conditions above mentioned. New type of modern fiscal state, who was different with the type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developing. From the point of strong reliance on foreign loans we can find strong path dependence from Gabo reform to the colonial period, and even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 KCI등재

        18세기 전반 러시아 국가의 수도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

        박지배(Park, Ji-b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6 No.-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 러시아 국가의 중요한 특성들 즉 중앙집권적 절대국가의 형성, 서유럽 근대문화의 수용, 근대세계체제로의 편입이 18세기 전반 페테르부르크의 건설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페테르부르크는 18세기 초에 중앙집권적인 절대국가로 부상한 러시아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후 페테르부르크는 러시아 황제의 궁정이 있는 왕도였고, 또한 원로원, 콜레기야 같은 중앙집권적인 행정기관들이 들어선 행정 중심지였다. 또한 페테르부르크는 크렘린을 중심으로 자연발생적으로 확산되는 러시아 중세의 도시들과 달리 설계안에 따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건설된 도시였다. 그리고 페테르부르크는 러시아 근대 문화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중세를 대표하는 모스크바의 교회-스콜라 풍의 교육이 아니라 근대 학문의 특징인 경험적 실용 학문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더욱이 페테르부르크는 더 이상 고립된 모스크바 국가의 도시가 아니었다. 러시아는 페테르부르크를 통해 유럽세계경제와 확고히 연결되었고 결과적으로 근대세계체제의 한 영역이 되었다. 이렇게 전반적인 모습을 보면은 페테르부르크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여러 측면에서 서유럽의 근대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은 몇 가지 점에서 서유럽의 근대 도시들과는 달랐다. 먼저 페테르부르크의 성장은 자생적 측면보다는 국가 주도적 측면이 지나치게 강했다. 특히 페테르부르크의 건설과 급속한 발전은 표트르 대제라는 강력한 지도자의 강제적인 정책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은 시민적 성격보다는 국가적인 성격이 강했고, 이는 결국 러시아 국가의 지배계급인 봉직귀족들이 주도하는 근대성이 되었다. 표트르 사후 페테르부르크의 교육이나 사교에서 볼 수 있듯이 귀족들은 중류층을 밀어내고 러시아의 근대 문화를 주도했다. 한편 페테르부르크의 교역은 근대세계체제 내에서 전형적인 주변부의 모습을 보였다. 페테르부르크 항구는 러시아 내부의 귀족 영지에서 생산된 농산물 또는 반제품 등을 수출하고 서유럽의 사치품과 아메리카 작물 등을 수입했다. 페테르부르크 항구를 통해 유럽의 상인들은 러시아로 들어와서 러시아 무역을 실질적으로 주도했다. 이렇게 보면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은 대단히 이중적이었다. 근대국가, 근대 학문, 근대교역의 발전은 과도한 국가주의, 주변부적 교역과 중첩되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은 부르주아가 아닌 특권 귀족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그것은 근대 러시아 국가의 주역이 부르주아가 아니라 드보랴닌이라고 불리는 봉직귀족이었기 때문이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n characters of Saint-Petersburg, the capital of modern Russian state, in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Early in the eighteenth century, Saint-Petersburg became the capital of the Russian Empire, which was emerging as a centralized absolutist state. Petersburg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modern Russian state, in which were located the imperial court and administrative organs. And Petersburg gradually became the cultural center of Russian Empire. Throughout Petersburg port, Russia was connected with European World-Economy and as a result became a part of Modern World-System. But the modern elements of Petersburg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cities of Western Europe. Above all, Petersburg was constructed not by civil initiative, but by a series of forceful policies, which was dominated by the state. Therefore the modernity of Petersburg was characterized by aristocracy, who was the ruling class of modern Russian state. And the trade of Peterburg port showed a peripheral character of modern world-system. Russia exported through Peterburg port the agricultural raw materials, that were produced in the aristocratic estates by serf labor, and imported the industrial and luxury goods that was made in western European states. The modernity of Saint-Petersburg in the first half of eighteenth century was ambivalent. The development of modern state, studies, and trade overlapped with excessive statism, peripheral character.

      • KCI등재

        코로나 시대, 서구 위기담론에서 드러난 근대국가와 종교 문제: 슈미트의 정치신학적 관점에서

        김태연 ( Kim Tae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우리는 현 팬데믹 시기에 국가주도의 위기관리 정책의 중요성을 경험한다. 어떤 종류와 성격을 띤 방역정책이 시행되든지 세계적으로 공통되는 상황이란 바이러스에 맞서 자국민의 생명을 보존해야하는 국가의 책임과 그 기능의 전면적 부상이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 속에서 ‘강력한 국가’ 필요성의 재등장과 함께 ‘민주주의 위기’의 심화에 대한 우려 또한 나타난다. 특히 서구 지식인들 사이에 국가론을 둘러싼 문제가 첨예하게 두드러진다. 그들 논의 가운데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중심이 되는 주제는 유대-그리스도교적 종교문화를 배경으로 등장하는 서구 근대국가론와 그 정치의 문제이다. 아감벤은 팬데믹 초기 국면에서 국가 방역정책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응하여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이에 대해 한국의 지식인들 또한 관심을 드러냈다. 아감벤이 제기한 문제는 그가 지속적으로 천착해오던 정치신학적 작업의 연장선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감벤은 그의 책 ≪내전≫의 “리바이어던 베헤못”에서 슈미트의 ≪리바이어던≫에 대한 분석을 적극적으로 참조하며 그에 대해 고찰했다. 슈미트는 법과 국가 체계가 잘 작동하기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어 좋은 세계가 펼쳐지리라는 생각은 단지 근대적 발상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슈미트에게 “국가란 강대한 실력으로써 지속적으로 억지된 내란상태에 불과”했다. 서구 근대국가론의 정치신화를 폭로하는 슈미트의 논의를 참조함으로써 현대의 국가질서 속에서도 여전히 살아있는 ‘종교적인 것’에 대해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홉스의 ≪리바이어던≫에 관한 슈미트의 정치신학적 해석을 조명하고 슈미트식 해석의 현대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구 근대국가론의 문제점을 정치신학적으로 읽어낸 슈미트의 사유에서 종교와 정치 문제의 긴밀한 연관성이 잘 드러나고 있으며, 아감벤과 지젝을 둘러싼 논쟁을 이해할 수 있는 참조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슈미트와 아감벤이 고민하고 있는 서구 근대국가론의 근본적 문제점과 그 배후에 존재하는 종교문제에 관한 논의를 조명함으로써, 오늘날 왜 이들의 논의에 대해 우리가 관심을 갖는지, 왜 한국의 코로나 시국에서 국가론과 종교 담론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과 고민이 필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In the current pandemic, the importance of state-led crisis management policies is emerging. Regardless of the type and nature of Covid-19 policies implemented, a common consent around the world seems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tate’s responsibility, its function to fight against the virus and preservation of the lives of the people. However, in the midst of the Corona-crisis, the necessity of a “strong state” reappears. At the same time, concerns are raised about the deepening of the “crisis of democracy”. In particular, the debate about the state among Western intellectuals are well noticeable. Although not explicitly revealed in their discussion, the central theme is the issue of the Western modern state and its politics that appears in the background of Judeo-Christian religious culture. This could be said to be a key part of the problem of Western modernity. In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Giorgio Agamben caused controversy, because he reacted very critically to the national quarantine policy. Korean intellectuals also showed interest in it. The problem which Agamben raised stems from the extension of thought about the political and political-theological works he has been working on steadily. Particularly he critically examines Schmitt’s analysis about Leviathan in “Leviathan and Behemoth” in his book Stasis. Schmitt considered the people’s belief, in which as long as laws and the state system would function well, all problems would be solved and a better world would be developed, as just a ‘modern’ idea. For Schmitt, “the state is nothing more than a state of civil war that is constantly being suppressed by powerful force of the state”. By referring to Schmitt’s discussion of the debunking of the political myths of western modern state theory, we could discover insight into “the religious” that are still vividly alive in the modern state order.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Schmitt’s political-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obbes’ Leviathan, which fundamentally implied sense of Western self-problem about modernity and suggests implications of that interpretation. By illuminat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Western modern theory of the state that Schmitt and Agamben are struggling with the religious issues behind them, I would like to think about that for what reason Korean intellectuals are interested in these views and the need to consider the modern state theory and related religious discourses.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전사자 위령에 대한 연구사적 접근

        이영진(Yung Jin Le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비교문화연구 Vol.17 No.2

        In this manuscript, I reviewed recent Japanese research on national commemoration of war deads in Yasukuni shrine and state Shintoism in post-World War II Japa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why such commemoration has been disputed in post-war Japan, unlike other modern states where similar commemoration of unknown fallen soliders is regarded as natural. Reflecting the critical stance against Japanse war efforts in the post-World War II academia, Japanese scholars` research on state-Shintoism has strongly maintained a counter-ideology against ultra-nationalism. And also,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previous counter-ideology-based academic research had posed meaningful questions against the conservative swift of Japanese society, like the effort of estabilishing the bill that proposed the state control of Yasukuni shrine. However, the trend of most recent Japanese research on this issue has switched to empirical investigation of why and how commemoration of war deads has been increasingly accepted as a shared responsibility among people in modern Japan. Taking notice of irei [慰靈] the unique belief system regarding death in modern Japanese society, I summarized major issues regarding state Shintoism in Japanese scholars` research on irei. Then I reviewed recent research findings that considered the process that Japanese public has embraced and internalized the com- memoration of war deads as an institute of the modern nation state in relation to civic morality and patriotism [kyodoai]. In my view, the process in which the commemoration of war deads is institutionalized in modern Japan reflects not only the universal process found in other modern nation-states but also unique Japanese experience of rapid construction of the nation state in Japan via importing modern insti-tutions from Western powers and waging a series of wars against neighboring countries. Furthermore, we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e shock experienced by Japanese public at the time of World War II defeat, which severed the pre-war link between the state and Shinto and brought the fundamental change to pre-war commemoration of war deads.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how the specters of war deads recalled by the immortal community of the Japanese nation are to be incorporated and disappeared in the frame of the nation state. Further investigation is deemed necessary in order to explore the dynamism of the political field, where the specters of war deads bring a crack in emotive community and the nation-state tries to suture it despe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