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한국의 디지털 격차 분석

        최성인,황현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nalyzing Digital Divide in Korea with Latent Growth ModelSeongin Choi & Hyunjung Hwang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digital divide in Korea as mobile media usage increases. First, we observed the changes in mobile media usage from 2016 to 2018 using latent growth model. By inputting sociodemographic factors into the model, it was found that a “grey divide” still exists. The rapid change in younger generation makes narrowing the gap difficult. Second, we identified the causes of the gap amongst users in their 60s and over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They had significantly lower usage even with the possession of smartphones, and income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gap. Alth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did not reflect the latest data, it confirmed which factors influence digital divide. With regard to social inequality in mobile use, it is hoped that the factors of change will continue to be uncovered by conducting similar analysis in future research. Key Words: Mobile Media Use, Digital Divide, Grey Divide, Latent Growth Model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한국의 디지털 격차 분석최 성 인*ㆍ황 현 정** 요약: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이용의 증가에 따른 국내 디지털 격차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2016년에서 2018년까지 모바일 미디어 변화량을 관측하는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해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을 투입하여 모형을 분석한 결과, 연령에 의한 ‘회색격차’가 여전히 존재했다. 젊은 층의 빠른 변화로 인해 격차를 좁히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 다음으로, 횡단분석을 통해 60대 이상의 이용자들에서 발생하는 격차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어도 이용량이 낮았으며, 소득수준이 ‘회색 격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최근의 자료를 반영하지 못했지만, 모바일 미디어 이용자의 수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요인이 디지털 격차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이용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과 관련해서 지속적인 추적과 향후 연구에서 유사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변화의 요인들을 계속해서 밝혀낼 수 있길 기대한다. 핵심어: 모바일 미디어 이용, 디지털 격차, 회색 격차, 잠재성장모형 □ 접수일: 2022년 1월 26일, 수정일: 2022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수료(First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Seoul National Univ., Email: seongin8862@gmail.com)** 공동저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Co-author, Researcher, Seoul National Univ., Email: hjhwang@snu.ac.kr)

      • KCI등재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승윤,김동욱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uch of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is changing to mobile bas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s that elderly people who have relatively low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ability are likely to have an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transportation, purchasing, finance, administration, and living welfare information) that provide convenience in daily life migh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For comparative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general public under 54 years of age to examine these effects are unique trends in the elderly. In order to analyze our research hypotheses, this paper used the raw data of <2018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 Also, each service usage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wever, the level of service usage has just a partial mediating effect not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services.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저조하다고 논의되는 장노년층들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 있어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교통, 구매, 금융, 행정, 생활복지정보) 이용수준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인지 확인하기 위해 만 54세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도 동일한 모형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국민에 비해서도 그 영향력이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 수준은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두 장노년층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만, 장노년층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직접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여, 모바일기반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는 젊은 연령층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의 함양과 이들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활용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이용실태에 따른 고령자 주택 공간디자인 선호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장설한,김용구 조선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2022 문화예술산업연구 Vol.22 No.2

        인터넷을 활용하는 고령자는 사용하지 않는 고령자에 비해, 생활에 더욱 적극적이고, 주변 환경 변화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므로 공간 디자인 선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인터넷 사용 기간은 주택공간디자인 선호에 대한 관련성 및 인과관계를 갖는다. 두 번째, 고령자 혼인 상황은 주택 공간디자인에 대한 선호와 연관이 있으며, 일반인의 성별 요인은 주택 공간디자인 선호에 대한 상관성 및 인과관계가 있다. 세 번째, 고령자는 성향에 따라 유형이 분류되며, 고령자를 배려한 주택 공간을 위한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할 때, 고령자 유형별 디자인을 검토해야 함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