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몽주(鄭夢周)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한국의 한시사에서 고려후기는 당시풍(唐詩風)과 송시풍(宋詩風)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대부분의 시인들은 당풍(唐風)과 송풍(宋風)을 넘나들며 시를 지었다. 당시풍의 경우에는 신라 하대(新羅下代) 이후로 이미 국초(國初)부터 이어져온 만당풍(晩唐風)의 유미적(唯美的)인 시풍에 더하여 이백(李白)과 두보(杜甫)를 중심으로 하는 성당시(盛唐詩)와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같은 자연시 계열의 시풍도 혼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당시풍 경향을 보인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정포(鄭誧),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 김구용(金九容) 등을 꼽을 수 있다. 역대 시화집에서는 대체로 포은시의 주요한 특징으로 당풍(唐風)을 언급하고 있다. 당시는 시인의 감정과 감수성을 강조하기에 시가 매우 감각적이며 문학성이 뛰어난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포은시 역시 이같은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포은시에 나타난 당풍적 요소를 (1) 인생의 절망적 상처와 아픔을 노래한 애수(哀愁)에 찬 시, (2)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감각을 사용하여 시인의 섬세한 감정을 다룬 시, (3) 변방(邊方)과 전장(戰場)의 고즈넉함과 쓸쓸함을 다룬 변새시(邊塞詩)풍의 시, (4) 여인의 아름다움을 제재로 하여 읊은 염정풍(艶情風)의 시, (5) 음악성을 강조한 악부체(樂府體) 시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눠서 그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호방(豪放)’하다고 평가되는 포은시의 품격(品格)도 그 내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풍적인 면모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포은과 동시대를 살았던 시인들 중에 도은(陶隱) 이숭인과 척약재(惕若齋) 김구용의 시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이들이 포은과 밀접한 교유관계를 맺고 서로 많은 시를 주고받았음을 생각할 때, 이들의 시에서 나타나는 당풍적 성격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아니라 문단의 하나의 흐름이요 유행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4세기 고려 시단에서 포은, 도은, 척약재가 주도했던 당시풍 시의 창작 경향은 그 후 조선조의 시인들에게 계승되었고, 결과적으로 우리 한시사에서 당풍 한시 창작의 전개와 흐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is the time when there were both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So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Most of poets of the time wrote poems under the influence of both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Song’s poetical style The Tang’s poetical style includes different kinds of poetical styles such as aesthetic poems written in the Late Tang`s Poetical style, Sungdang-poem(盛唐詩) most written by Li Po(李白), Tu Fu(杜甫) and poems about nature most written by Wang Wei(王維)· Meng Haojan(孟浩然). The representative poets writing poems in the Tang’s poetical style are Jung Po(鄭誧), Jeong Mong-ju(鄭夢周), Lee Sung-in(李崇仁), Kim Gu-young(金九容). The anthologies of all time refer to the characteristic of Poeun’s poetry as the Tang’s poetical style. Poeun’s poetry is so sensuous and excellent in literary valu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ang’s poetical style. The Tang’s poetical style appeared in Poeun’s poetry is divided into five requisites ; (1) poems about the pathos of sorrows of life (2) poems about his own delicate feelings of poet expressed through aural and visual images (3) poems about the lonely and quiet life on the border area and battlefield (4) poems about the longing for woman’s beauty (5) poems emphasizing musicality. In this thesis, I look at those five requisites. It turns out that the dignity of Poeun’s poetry appraised as ‘grandeur(豪放)’ is relevant to the Tang’s poetical style.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the poems of the age written by Lee Sung-in and Kim Ku-yong have a similar style. These three poets had mutual close exchange of opinions. That is why the Tang’s poetical style appeared in their poetry was the trend of the literary world in 14th century. This tendency of creation passed down to the poets of the Chosun Dynasty. Finally it greatly influenced creation of Chinese poetry written in the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 KCI등재

        한국 漢詩문학에서 唐詩의 가치와 수용양상 硏究

        손복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8

        Tang (Dynasty) poem in Chinese literary history is positioned as the supreme poem as well as the great literary and cultural heritage of China and therefore, it should not be assessed simply as a poetic genre in the history. The reason why reading and appreciating Tang poem in order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and thought is meaningful is that the background of Chinese consciousness is implied in Tang poem as China itself. In particular, Tang poem is not just limited to Chinese literature. Tang poem, as a great human cultural heritage, had also influenced over our literature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ies so far while discussing over what signifies Tang poetry style in a differentiated perspective with Song (Dynasty) poem in connection with so-called Tang poetry style that was our classic poetry following Tang poetry style. In this regard, this study reviewed a pattern as to how literary historic value and features of Tang poem had been accommodated in our Chinese poetic literature and influenced over our such literature. Poetic achievement of Tang poem that was assessed as the greatest value in Chinese literary history had underwent accommodation,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in connection with our Chinese poem. Overall current of our Chinese poetic history had shown its own unique pattern depending on each times or poets along with their tendency of learning Chinese Tang poem or Song po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trenuous effort of our ancestors who tried to improve poetic level qualitatively of their own by modeling Chinese superior poems in advance was imbued in this issue of learning Tang (poem) or Song (poem). In our Chinese poetic history, Chinese poetry style has an aspect of having partly accommodated Chinese poetic achievements as they are or further developed them partly as well and its summary is as follows. First, our Tang poetry style succeeded poetry school mainly based on Jeol-gwi (절귀), not a verse (율시), in its style. There were a lot of poets who left master poems even in verse among the poets of early poetry school (학당) but while passing through early 16 century, as its style was gradually concentrated on Jeol-gwi in general, we could not find any outstanding works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Jeol-gwi. In addition, most of this Jeol-gwi was also concentrated on 7-lettered poem instead of 5-lettered poem. Second is accommodation of romantic features. Romantic features is the one that could be seen mainly in Lee, Baek’s poems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expressed poem motivated by imagination of poets, not by their experience, like unworldly expression or royal poem (궁사), Boudoir lament poem (규원시) or Frontier poem (변색시). These features could be seen conspicuously in our Chinese poetry style as time passe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trend may be mainly influenced by poems of Lee, Hu-baik who worshipped poems of Lee, Baek. Third is accommodation of sensual, splendid (염려) and luxurious (기미) expressions. In the early poetry school, such expression was prominent and gradually, its expression had been steadily imbued with refined and delicate touch strongly. Fourth is accommodation of introvert, static expression. This way of expression is to show poetic emotion implicitly with understated sense without directly exposing its emotion. Therefore, such poems have a tendency of naturally introvert and static pattern. As these features are elements harmonized with our emotion, it is hard to regard such elements as a specific poet’s influence. Fifth, elements like maximization of image exploitation and strengthening accustomed Tang poem and reading poem (소리 시) could be enumerated and these elements are evaluated to be a unique poetic achievement of our poetic school that was almost impossible to be found in Tang poem and an early poetic school. Learning Tang (poem) of our country had been succeeded by starting f...

      • KCI등재

        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5 No.-

        Seolgok-Jungpo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His son is Wonjae-Jungchoo and his grandson is Bokjae-Jungchong. They all won literary fame and left their mark in literary history. The critics of a previous generation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 of Jungpo’s poetry as Chungjagye(淸字系)-Chungryo(淸麗), Seummi(纖美), Chunjul(淸絶). Chungryo(淸麗)and Chunjul(淸絶) are major dignity of Tang’s poetical style. Seummi(纖美) is also one of various dignity related to Tang’s poetical style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ry written in refined and beautiful poetic word. The dignity of Jungpo’s poetry is related to his view of life. He is not interested in worldly success and honor. It is said that the poetical circles of Goryeo had been in succession to the late Silla’ poetry and had been influenced by Tang’s poetical style in early days. But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s poetry was affected by Song’s poetical style. At last both poetical style coexisted in late Goryeo Dynasty. The representative poets who wrote poems in Tang’s poetical style are Honggan(洪侃), Jungpo(鄭誧), Jungmongju(鄭夢周), Anchuk(安軸), Kimguyong(金九容), Leesungin(李崇仁).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ir poets have dignity of Chungsin(淸新)・Chungryo(淸麗)・Chunsum(淸贍). As this fact suggests, we know that the poems written in late Goryeo Dynasty developed into poems which have 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 being in opposition to worldly success and honor. This may be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social and political chaos of late Goryeo Dynasty. In this script, I looked at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 and the meaning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addition, I inspected the development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ate Goryeo Dynasty’s literature. As a result, the tradition of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inherited Honggan’ poetry and continue to not only Kimguyong and Leesungin’ poetry but also Samdangsiin’s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설곡(雪谷) 정포(鄭誧)는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들은 원재(圓齋) 정추(鄭樞)이고, 손자는 복재(復齋) 정총(鄭摠)인데 3대가 모두 문명을 떨치며 문학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 전대의 비평가들은 정포 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청려(淸麗), 섬미(纖美), 청절(淸絶)함을 꼽고있다. 청려・청절 등 청자계(淸字系) 시품(詩品)은 일반적으로 당시풍 한시에서 나타나는 주된 품격으로 알려져 있다. 섬미 역시 아름답고 세련된 시어의 구사와 시상의 전개에서 나오는 품격으로 당시와 관련이 깊다. 설곡시에 청자계 시품이 나타나는 것은 세속적인 물욕이나 명예와 거리를 두었던 그의 인생관과 관련이 있다. 또한 그의 선친대(先親代)부터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강직하고 꼿꼿한 선비정신도 그의 시세계 구축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시단은 초기에는 신라 하대를 계승하여 당시(唐詩)의 영향을 받다가 성리학이 전래된 중기 이후에는 당대(當代) 중국의 시풍을 받아들여 송시(宋詩)의 영향 하에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그러나 사실은 고려후기에도 당시풍과 송시풍이 함께 공존하였다. 고려후기 문단에서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들로는 홍간(洪侃), 정포(鄭誧), 안축(安軸), 정몽주(鄭夢周), 김구용(金九容), 이숭인(李崇仁)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시풍이 대체로 모두 청신(淸新)・청려(淸麗)・청섬(淸贍) 등의 시품인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로 보면 고려후기의 당시풍 한시 창작은 세속적 가치와 거리를 두는 청자계 시품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고려말이라는 정치적・사회적 혼란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정포를 통해 그의 시에 보이는 당풍적 요소가 무엇이며, 또 그같은 당풍적 시창작이 문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더불어 고려후기 한시사에서 당시풍 한시의 전개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포의 당시풍 시쓰기, 특히‘청자계 시품’의 전통은 선배 홍간을 이어받고, 김구용과 이숭인으로 계승되었다가 멀리는 조선조 중엽 소위 삼당시인을 비롯한 당시풍 작가들의 시쓰기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惕若齋 金九容 시에 나타난 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하정승(Ha, Jung-seung)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6

        ?若齋 金九容은 13세기의 정치가였던 金方慶의 후손으로 안동김문이라는 명문가의 자제로 태어나 이른 나이에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오른 뒤 승승장구하였지만, 驪興유배와 중국 雲南유배라는 큰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결국에는 운남 유배 도중에 먼 이역의 땅인 四川에서 죽게 되는 비극적인 결과가 있었고, 이는 그의 시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특히 그는 14세기 전반기에 문명을 떨쳤던 문인인 及菴閔思平의 외손으로 어려서 급암에게 시를 배웠기에 시풍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즉 급암시의 가장 큰 특징은 平淡ㆍ沖澹인데 척약재시에도 평담함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평담이나 충담의 시품은 자연시 계열의 唐詩風작품들에서 흔하게 보이는 품격으로 척약재시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唐風의 시풍을 보이고 있는 척약재시에서도 평담은 閒適이나 낭만적 정서의 형태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결국 척약재만의 당시풍을 형성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前代의 비평가들은 대체로 척약재시의 특징을 淸新ㆍ雅麗ㆍ淸贍등의 詩品으로 비평하고 있다. 사실 이 비평어들은 모두 당시풍 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품들이다. 청신·청섬 등 청자계 시품은 당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雅麗는 典雅·綺麗의 줄임말로 뜻과 표현력이 아름다운 시문의 품격을 의미하는데 이 또한 唐詩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14세기 고려후기의 한시사에서 김구용은 洪侃, 鄭?, 정몽주, 이숭인과 더불어 당시풍의 한시 창작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14세기 고려문단의 당시풍 詩作은 멀리는 신라하대 崔致遠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가까이는 12세기의 鄭知常과 13세기의 李奎報, 陳?를 계승하였다는 문학사적 의미가 있다. 김구용의 시는 동시대 시인들 중에서도 정포나 이숭인의 매우 감각적인 당풍적 시풍과는 구별되는 척약재만의 낭만적인 독특한 시풍을 보여준다. 척약재 등이 추구했던 고려후기의 이러한 시풍은 조선초에도 그대로 이어져 선초의 成任같은 만당풍을 추구했던 시인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Chukyakjae-Kim Guyoung(金九容) is a descendant of Kim Bangkyung, politician in the 13th century and a man out of the Kims of Andong.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found success at an early age, but he died in Sacheon on his way Unnam to be sent into exile. His poetical style is similar to Gubam-Min Sapyong’s because he learned creation of poetry from Gubam who is his maternal grandfather and famous poet in the 14th century. The best features of Gubam’s poetry are Pyongdam(平淡)ㆍChungdam(沖澹), which permeated Chukyakjae’s poetry. Pyongdam(平淡) or Chungdam(沖澹) is major dignity of Tang’s poetical style and importanr factor to understand Chukyakjae’s poetry. Pyongdam(平淡) is appeared as Hanjeok(閒適) or romantic emotion and eventually played a important role in forming Tang’s poetical style in Chukyakjae’s poetry. The critics in previous generation defined the characteristic of Chukyakjae’s poetry as the dignity of poetry-Chungsin(淸新)ㆍ Aryo(雅麗)ㆍChungsum(淸贍).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re the dignity of poetry in Tang’s poetical style. Chungsin(淸新) and Chungsum(淸贍) are linked closely to Tang’s poetry. Aryo(雅麗) is short for “Juna(典雅)ㆍKiryo(綺麗)”, which means the dignity of beautiful poetry. This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Tang’s poetry. Along with Jung Po(鄭?), Jung Mongju(鄭夢周) and Lee Sungin(李崇仁), Kim Guyoung leaded creative activity of poetry with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of late Goryeo dynasty. Writing poetry with Tang’s poetical style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14th century is traced back to Choi Chiwon of late Shilla, Jung Jisang of the 12th century, and Lee Kyobo·Jin Hwa of the 13th century. Poetry of Kim Guyoung shows the unique style of poetry distinguished from the sensitive poetry of Jung Po or Lee Sungin with Tang’s poetical style. Chukyakjae’s poetical style handed down to poet of Chosun Dynasty. It influenced not only Sung Im(成任) of early Chosun who pursued the Late Tang’s Poetical style but also writing poetry with Tang’s Poetical style of Three Great Poets in the 16·17th century.

      • KCI등재

        李崇仁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경향과 미적특질

        하정승 ( Jung Seung Ha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Doeun-Leesungin is considered one of the poets who wrote sensuous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That is because his way of expression possesses sensuous beauty. He has much skill in a command of imagery. His imagery is synaesthetic-a mixture of foure senses(sight,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In particular, visual images are the critical element in his imagery. But his imagery is well beyond drawing pictures and like a net woven from many different kinds of sensuous images. That net is not simple collection of images since it connotes multiple meanings. It is closely connected to ‘eusang(意象)’, which equals images in oriental style of aesthetic terms. In this thesis, I look at pathos expressed through his imagery. His poems have a well-organized plot to show sensuous beauty effectively. In other words, sensuous beauty mixes well with architectonic beauty in his poems. Doeun’s sensuous mode of writing poetry is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Tang’s poetical style. His poems have Tang’s literature-influenced element over most along with poems written by Jungjisang, Jungmongju, Kimkuyong. The poetry of the Goryeo Dynasty has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and also a poetical style of Song dynasty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This trend of poetry creation had been handed down since Unified Silla Period. This thesis examines who adopted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to his poetry creation in the history of Goryeo literature.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this trend more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focus on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showed in Leesungin’s poetry, which has to do with the expression of sensuous images. A study on poetical style of Tang dynasty introduced into Koryo could help know such poetical style’s change and development in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Increasingly,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in Leesungin’s poetry. Because he is the representative poet who wrote poems pursuing the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 KCI등재

        논문(論文) : 옥봉(玉峯)의 시세계(詩世界)

        천부성 ( Boo Sung Ch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본 논고는 16世紀 韓國 漢詩史上 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던 詩風이 唐詩風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그 중심에 있던 三唐詩人 중 湖南 제일의 시인으로 꼽히며 五言絶句의 風格이 千年 속에 가장 위대하다고 定評이 나 있는 玉峯 白光勳의 詩世界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서론에서는 三唐詩人의 정의와 玉峯 白光勳의 詩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 본 논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玉峯의 시세계에서는 作品의 槪觀 및 內容別 作品을 통하여 玉峯의 시세계를 分析하였다. 作品의 內容에서는 객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이나,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孤獨의 情恨, 그리고 역사적 현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연상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읊은 無常의 懷古, 산수를 벗하며 자연에 심취 또는 계절의 정취를 읊은 自然의 景物, 마지막으로 世俗을 떠나 山寺에서 짓거나 여러 승려들과 주고받으며 느낀 것을 표현한 交遊의 脫俗으로 분류하여 作品을 분석해 보았다. 玉峯詩의 特徵에서는 修辭的 측면과 內容的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修辭的 特徵에서는 經史 및 故人古事·名人名句에서 詩意와 詩語를 통하여 표현하는 用事性, 자연의 뛰어난 景物을 통해 얻은 시인의 정감을 눈앞에서 그림을 보고 있는 듯 묘사하는 繪·性, 觀念化한 사물을 詩를 통하여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삶을 나타내는 象徵性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또한 內容的 特徵에서는 淸新한 內容과 古淡한 內容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이 玉峯의 詩는 기존의 詩가 까다로운 修辭와 난해한 典故를 사용하며, 文學을 과시 혹은 心性修養의 도구로 생각하던 主理的 성향에서 탈피하여 聲律의 생동감 및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언어로 표현하는 主情的 성향의 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玉峯詩가 관념적이지 않고 개인의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며, 生活的 情感을 詩化하여 文學의 獨自性을 확립한 점과, 唐詩의 詩法을 수용하면서도 우리의 풍토에 맞는 개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自主性은 특히 玉峯詩를 韓國 漢詩史的 측면에서 조명해 볼 때, 그 位相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A poetical style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w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Song dynasty`s poetic style including Su Dongpo. From a year of King Seongjong, especially the Gangseo poetical style dominated momentarily even out of Song dynasty`s poetic style. Tang Poetry, which had been intermittently followed from the early foundation of a country with entering the 16th century, was finally in full blossom with entering the period of Mokneungseongse(穆陵盛世). In the meantime, the poetic style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age of Korea`s Hansi(Chinese poetry) history. There were three tang-style poets in the center of Learning Dang`s Poem.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oetic world of Okbong Baek Gwang-hun, who published collection of poems for the first time among three tang-style poets, whose number of works are extraordinarily many, too, who is selected as the best poet in Honam, and who is publicly acknowledged to have greatest refinement of Five-word Poems in a thousand y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Ⅰ, it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inquired into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 In Okbong`s poetic world of ChapterⅡ, it performed the formal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based classification in works first through a general survey of works. It examined by segmenting the contents of works in the world of work into what feels homesick in a strange land, what expressed the yearning heart with having a friend far away, the sorrow of solitude, which feels regrettable for separation from a friend, the reminiscence of uncertainty, which recited sentiments of being felt while associating with historical fact on the historical field,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natur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matter-based ego in the subject amid nature, the uneasiness about life that is felt in government-post life of the chaotic world, and the unworldliness in friendship of being felt while giving and receiving poem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N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of ChapterⅢ, it proceeded with approach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by exploring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based characteristics. Okbong accepted Tang Poetic Style, but maintained individuality. He completed individual and intuitive poetry that is excellent in creativity, thereby having obtained a name as a poet of Tang poetical style by changing himself in the middle of poem with leading a peaceful living, and allowed even internal conflict to be sublimed artistically. He can be said to be great in the significance of poetic-literary history in a sense that individualized literature by freely poetizing the specific and individual living emotion and by recovering independent world in poem with escaping from the trend of regarding poem as a means of cultivating culture or nature in life of Sadaebu(scholar-officials of Joseon).

      • KCI등재후보

        玉峯 白光勳의 唐詩風 展開樣相 考

        朴秉益 한국고시가문학회 200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14

        Okbong Paek Kwang-hun(玉峯 白光勳), who belonged to Three-tang School as a literary man in the mid Chosun Dynasty, wrote the poetry of Tang poetic style. His Tang poetic style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s follows. He commanded colloquial expressions in his poems, used place names of Chosun, and tended to be conventional in using those of China. He made use of various methods to describe the surroundings realistically. He freed from the formal rhythm of a rigid Chinese poetry style, Jintishi(近體詩), and used not only the rhythm of Yuefushi(樂府詩), a style of Chinese poetry which was mostly about human nature and customs, but also Chinese sounds in a Korean style. The theme of Okbong's poetry shows that he transcended the anxiety and solitude which stemmed from his life, accepting the reality he faced These characteristics led to a new poetical style of the day.

      • KCI등재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본고에서는 겸재 정선이 제작한 詩意圖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의도는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되는 회화분야로서 크게는 사의산수화의 한 경향이다.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가로서 높은 명성을 누렸지만, 평생동안 꾸준히 사의산수화도 제작하면서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畫境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정선이 제작한 시의도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존하는 시의도 관련 기록과 작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선이 陶潛의 「歸去來辭」를 토대로 한 시의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이후의 시로는 唐詩를 자주 인용하였으며, 宋詩나 明詩, 朝鮮詩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인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에서도 半官半隱을 추구한 王維의 시를 가장 자주 인용하였는데, 이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脫俗을 추구했던 왕유의 삶을 추앙하고, 이를 현실 속에서 실천하려고 하였던 이 시기 조선 사대부 선비들의 心想을 시사하는 현상이다. 이후에는 정선의 생애 주기에 따른 시의도의 제작양상과 시의도의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정선의 시의도 관련 활동은 3,40대 중년기로부터 확인되는데, 왕유와 관련된 기록이 많았다. 이 시기의 시의도로서 현존하는 작품은 거의 없지만, 30대부터 진경을 그릴 때 시적인 畫意를 담아내려고 하였던 만큼 시의도에 대한 관심은 젊은 시절부터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선의 시의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작품과 기록이 전해지는 시기는 개성적인 화풍과 화경이 정립된 5,60대인 노년기이다. 이 시기에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그릴 때 시 의도의 성격을 가미하거나, 시의도를 그릴 때 진경산수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등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창작에 임하였다. 시적인 이상이 곧 현실적 속에서 이루어진 것을 시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선은 말년기에도 독자적인 경지를 모색하며 시의도를 꾸준히 제작하였다. 《사공도시품첩》, 王守仁의 明詩 등 중년기나 이후 다른 화가들이 다루지 않은 시를 표현하는 등 독창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말년기에는 화풍이 도식화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진경산수화와 사의산수화 양 방면에서 모두 나타났다. 특히 진경산수화의 화풍과 기법이 시의도 속에 혼효되는 일이 잦아졌다. 정선은 진경과 사의를 넘나들면서 현실 속의 이상, 이상에 대한 지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i-eui-do, 詩意圖(poetic painting) by Jeong Seon(1676-1759). Though Jeong Seon is well recognized as a mas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is imagery stretched beyond it. The preceding contents of this article is a catalogue of existing records and works on poetic painting by Jeon Seon. It suggests that Jeong Seon quoted preferably from poems of Tang period, and quite reluctantly from Sung, Ming, and Korean poems. Wang Wei’s poems were most often quoted. The liking of such mirrors the images of the mind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valuing the lifestyle of Wang Wei. In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Jeong Seon’s poetic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specific time periods. Considering that his effort to dissolve poetic images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tarted in his 30’s, it can be assumed that Jeong Seon had interest in poetic painting from his earlier days. In his elderly years from 50’s to 60’s, Jeong Seon firmly established his imagery and painting style. His works of true-view landscape were imbued with attributes of poetry, and of course, the reverse as well, an implication of poetic ideals taking place in reality. Jeong Seon’s dedication to poetic paintings did not wither in his 70’s and 80’s, more later years. Though his effort, as referencing poetry neglected by other painters, resulted originality, both Jeong Seon’s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started to show stereotyped painting styles. Jeong Seon yearned for realization of ideals, through his imageries of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His life was a tireless search for the ideal which was expected to be realized in reality.

      • KCI등재

        李達 詩와 15·6세기 學唐과의 관련 양상

        전송열 洌上古典硏究會 2005 열상고전연구 Vol.21 No.-

        蓀谷 李達의 시가 唐詩에 淵源하며 또한 그것을 적극 模擬하여 이루어낸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지금까지 그의 시에 대한 연구는 그의 시의 연원이 唐詩라는 것과 그리고 이에 따라 시에서의 唐風的 특성을 규명해내는 작업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그의 시가 일방적으로 唐代 시인들의 시에서 영향을 받아 모의한 것으로만 해석함으로써 지나치게 비교문학적인 관접에만 머무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말하자면 이달 시의 연원을 우리 漢詩史的인 맥락으로도 한번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이달 시의 연원을 唐詩에다 그 직접적인 연원을 두되 한편으로는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한시의 내재적인 축적과 발전적 계승의 결과로도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달의 시를 단순히 중국 唐代 시인들의 영향과 그 模擬의 결과로만 보지 않고 이달 이전부터 꾸준히 이루어져 온 우리 漢詩史 중 특히 15·6세기 學唐 작품들과의 구체적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달의 시가 前代의 唐風的 특징들을 공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차별화 된다는 관점에서 그 관련 양상을 밝힌 것이다. It is accepted as a fact that Lee Dal's poems came from Tang's poetry and resulte by imitating them. Therefore, scholars in common have discovered that his poems were originated in Tang's poetry and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ang poetic style from them. However, the existing explanation that his poems just imitated Tang's poetry cannot be accepted as a fact without any argument. That is only one perspective. We can approach to his poems with another view point of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It might he suggested that we need to consider that though his poems which came from Tang's poetry: the results of intrinsic accumulation and developmental succession of Chinese poetry. Consequently, the article indicates that Lee Dal's poems not on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ang poetic style, but also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m. The methodology that is used to analyze the result was comparative study between Lee Dal's poems and poetry of 15-16 century's Learning-Tang with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 KCI등재

        16세기 湖南詩壇 詩의 自然스러움

        김종서(Kim Jong-Se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金宗直 이후 성리학을 삶의 기본으로 삼았던 士林派 가운데 성리학을 긍정하면서도 사장詞章을 부정시하지 않고 생활의 여기로 받아들여 자연스런 정감을 울려내어 시화하려던 부류가 湖南詩壇을 이루었다. 朴祥은 士林派의 선비이지만 실재의 시문 창작에 밝았던 시인이었다. 이러한 사장에 대한 긍정과 서정적인 당시풍을 지향했던 박상에 의해 호남시단에 전파되었고, 그의 제자였던 林億齡과 조카 朴淳에게 전해졌으며, 이어 16세기 朝鮮 시단을 풍미했던 학당의 새 풍조는 마침내 崔慶昌, 白光勳, 李達이라는 삼당시인에 와서 문풍을 변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자연스런 시란 정교하게 조탁하여 이 가해졌음을 느끼면서도 그 수식을 잡아낼 수 없는 것을 뜻한다. 작품의 내밀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조탁을 하되 작품 속에 조탁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경지가 자연이란 언어예술풍격이다. 湖南詩人 시인들은 시인으로서 천재적 재능이 있고, 또 한 전공하고 연마하여 자연스런 시를 창조해내었다. 그들은 호남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唐詩를 수용하여 시 창작에 있어서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典故의 사용을 배제하고, 자신의 삶에서 우러나온 솔직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산수?전원간의 풍류와 이에 대한 희구를 그리는 내용이 많다. 이러한 내용의 시를 통하여 불우한 자신들의 현실을 超克하고, 나아가 雅麗한 자연미와 淸澄한 전원생활의 멋을 담박하게 그려냄으로써 고결한 시 세계를 이룰 수가 있었다. 그들은 온후하고 古雅한 인간미와 섬세한 정감을 가진 시인들이었다. 그들은 자신이 느낀 정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탁월한 詩才를 바탕으로 같은 詩材일지라도 분위기나 상황에 따라 適宜한 시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미를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관념적이라기보다 실제 생활에서 느낀 구체적이며 개인적인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여 생활의 정감을 詩로 형상화하였다.   Honam poetical circle was mainly composed of scholars of Shi-lin(士林) who acknowledged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deny Ci-zhang(詞章). Pak Sang(朴祥) was one of the scholars of Shi-lin(士林) and he was talented in creative writing. His acceptance of Ci-zhang(詞章) and lyrical poeti style influenced Lim Eyok-Lyeong(林億齡), his student, and Pak Soon(朴淳), his cousin and finally Choi Kyeong-Chang(崔慶昌), Baek Kwang-Hoon(白光勳), and Lee Dal(李達), Samdang School poets.   Honam poetical circlel poets were not only gifted as poets but also exerted themselves to create unartificial poems. They incorporated Tang poetry amidst the cultural ambience of the Honam(湖南)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re fastidious rhetoric and abstruse use of authentic precedents(典故), they expressed there honest arising from there own life expriences in a language that were easily comprehensible. There poetry abound with the picturesque scenery of nature and are filled with a longing for rural life. Composing there kind of poetry helped them overcome the adverse realities of there life. Furthermore, by depiciting the elegant beauty of nature and the charm of rural life in a frank, open-hearted manner, they achieved a lofty poetic style.   They had a gentle pernogality and a humaneness endowed with a classical grace and refined sensibility. They possessed a superb talent for versifying there emotions freely, and even when they wrote about the same subject, they expressed the beauty of nature in the context of the atmosphere and situation at hand and chose the most suitable poetic diction accordingly. There poetry are far from being purely idealistic or metaphysical; by honestly expressing the very personal and concrete feeling derived from there own life they shaped the emotions of everyday life into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