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28정신’의 보수이념적 의미론

        채장수 ( Chae Jangsoo )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2

        At least until the Park Chung-hee regime settled down, Daegu was a region that led the modern value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defined the spirit of 2·28 as an ideological asset of Daegu conservative and defined it in a conservative way. In Chapter Ⅱ, the original meaning of conservatism was conceptualized as 'substantial and universal conservatism', and the reactionary tendencies of Daegu conservative were critically reviewed through comparison with this. Then, the conservative semantics of the spirit of 2·28 were constructed. In Chapter Ⅲ, the conservatism of the spirit of 2·28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thought. Here, while pointing out the paradoxical situation of the ideological poverty inherent in Korean conservative, the relevance between the spirit of 2·28 and traditional thought was discussed, focusing on ‘righteousness’, ‘progressiveness’, and ‘commitment to nation.’ In Chapter Ⅳ, ‘conservatism of the spirit of 2·28’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democracy. Here,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democracy,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2·28 which advocated the realization of general democracy, and ‘conservative democracy’ was examined.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raised a critical view on the reality that 2·28, which played a leading role in realizing modern valu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nation-state, was exhausting its continuity as a ‘meaningful history.’

      • KCI등재

        2・28 정신과 전태일 정신의 현대적 재조명: 쉴 권리를 중심으로

        정재요(Jae-Yo Ju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3

        2・28 정신과 전태일 정신은 오늘날 어떠한 내용으로 재조명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물음에 대해 2・28과 전태일의 서사를 통해서 도출 가능한 ‘쉴 권리’가 하나의 유의미한 답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역사 정신을 매개로 하여 쉴 권리의 고유한 가치를 모색하는 작업은 쉴 권리에 둔감한 우리사회에 중요한 시사와 전언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에서는 ‘2・28민주운동 결의문’과 ‘전태일 수기’ 분석을 통해 2・28 정신과 전태일 정신 모두가 쉴 권리에 대한 역사적인 준거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검토하고, 쉴 권리에 둔감한 우리 사회의 구조와 맥락을 탐사하는 차원에서 입법・행정・사법 권력과 연동된 정당강령과 사법판결 또한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지금-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공동체의 위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언급될 수 있겠지만, 특히나 비극적인 것은 노동현장에서 각종의 산업재해와 노동자의 사망이 마치 일상이 된 것처럼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2・28 정신과 전태일 정신은 쉴 권리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우리시대의 기획인 휴식권의 헌법규정화, 연결차단권의 설계, 기본소득제의 도입과 같은 정책적 설계에 강력한 역사적 정당성을 부여해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의 문명시대를 지속하기 위한 지성의 발현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How can the spirit of 2・28 democratic movement and Jeon Taeil’s spirit be re-examined on today?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right to rest’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narrative of 2・28 and Jeon Taeil can be one answer to this question. The work of seeking the inherent value of the right to rest through the spirit of history can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our society, which is insensitive to the right to rest. This article reviews the fact that both the 2・28 and Jeon Taeil’s spirit can function as historical references for the right to re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28 Democratic Movement Resolution and the Jeon Taeil’s memorandum.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our society, which is insensitive to the right to rest, I will also critically review the party platform and judicial decisions linked to the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The community crisis we are facing now can be dealt with in many ways, but what is particularly tragic is that various industrial accidents and worker deaths are unfolding as if they had become a daily routine. In this situation, I think that the 2・28 spirit and Jeon Taeil’s spirit can give strong historical justification to the constitutional regulation of the right to rest, the design of the right to disconnect, and introduction of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ractical guarantee of the right to rest. And this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intelligence to continue today’s civilized age.

      • KCI등재

        2·28민주운동과 탈냉전의 흔적

        안도헌 ( Ahn Do Hun )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이 남긴 교우지와 그들의 4월 혁명기 활동을 중심으로 2·28민주운동에 드리워진 탈냉전의 흔적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미국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학생들이 냉전논리에 갇혀 있었다면, 자유진영의 중심 국가인 미국을 비판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탈냉전의 영향을 받은 학생들은 한국전쟁과 남북분단, 그리고 한미경제협정과 관련해 미국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둘째, 2·28 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북한과 남북통일에 관해 민족적이고 평화적인 시각을 간직하고 있었다. 냉전논리 안에서는 북한을 같은 민족으로 보기 어렵고, 박멸해야 할 적으로 인식했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은 냉전논리에서 벗어나 북한을 우리와 동일한 민족으로 인식했고, 평화적 통일의 한 주체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한국전쟁에 관해 인도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냉전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 한국전쟁과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과 전쟁의 비극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점을 갖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전쟁의 비참함을 드러내고 무기 사용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탈냉전 의식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and post-Cold War, focusing on the school magazines left by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and their activities during the April Revol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took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If students were trapped in Cold War logic,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criticize the United States, the central country of Free World. However, students affected by the post-Cold War took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U.S. in relation to the Korean War,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Korea-U.S. Economic Agreement. Seco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had a national and peaceful view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ithin the Cold War logic, it would be hard to see North Korea as the same nation and would have recognized it as an enemy to be eradicated. However, students broke away from the Cold War logic and recognized North Korea as the same nation and recognized it as a subject of peaceful reunification. Thir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had a humanitarian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f they had not escaped from the Cold War logic,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nd humanitarian perspective on the tragedy of the war. However, students showed an attitude of accepting the post-Cold War consciousness by revealing the misery of war and show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weapons.

      • KCI등재

        광주3․15장송데모의 역사적 의의와 통일정신

        오수열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2

        While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 of 1919 and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f 1980 ar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of democracy in Gwangju, only a few people remember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and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This may be because the memory and shadow of the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and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e so large, and because of actual limitations that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is represented by Masan and the April 19 Revolution is represented by Seoul. However, if we remember the historical fact that na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continuing hold on power by the despotic government of the Liberal Party was not triggered in Masan, we must remember and reevaluate the February 28 Demonstration which broke out in Daegue by students in Daegue and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which broke out in front of the Jeonnam Police Station as a command post for an unfair election.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progres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March 15 Funeral Escort Demonstration which occurred along Geumnamro in Gwangju, and its unification spiri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us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storical events which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such as the February 28 Demonstration in Daegu, the Gwangju March 15 Demonstration, the April 19 Revolution in Masan and demonstrations by Seoul and Korea University students. 광주(光州)의 민주성(民主性)을 대표하는 역사적 사건으로는 1919년의 광주학생운동과 1980년의 5․18민주항쟁이 지목되고 있는 반면 1960년의 광주3․15의거나 그 연장선상에서의 4․19혁명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는 광주학생독립운동과 5․18민주항쟁의 기억과 그늘이 워낙 넓은 까닭일 수도 있지만, 3․15의거의 대표성은 마산에 의해 행사되고 있고 4․19혁명은 서울로 대표되고 있는 현실적 한계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자유당독재정권의 영구집권 음모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마산에서 촉발된 것은 아니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억한다면, 대구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이미 2월에 발발한 대구2․28의거와 투표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부정선거의 총지휘소인 전남경찰국 면전에서 진행된 광주 3․15의거는 반드시 기억되어야 하고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1960년 3월 15일 광주 금남로에서 발발한 ‘3․15장송데모’의 경과와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 그에 바탕하여 거기에 담긴 통일정신을 고찰함으로써 대구2․28, 광주3․15, 마산4․19, 서울 고대생시위 등 한국의 민주화에 기여한 역사적 사건들의 연계성을 찾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도 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