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西夏 貨幣와 宋錢의 西夏 유입

        정일교 동양사학회 2022 東洋史學硏究 Vol.160 No.-

        The coin and the system of currency in the Western Xia followed the Northern Song dynasty’s currency system and the shape of the coin. In the Western Xia, people used coins that had round outer shape and a square center hole(方孔圓形) and inscribed with the era names(年號錢). Since the region of the Western Xia was the place that shorted in copper and iron at that time, they employed mainly the coin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or the Jin dynasty. In 1044(Qingli(慶曆) 4),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the Western Xia signed a peace treaty. Yuanhao(元昊) canceled to term himself as Emperor, and the Northern Song dynasty recognized him as the ruler of Xia lands(夏國主). Also the Northern Song dynasty agreed to pay lots of coins as the annual tribute. There were also a outflow of the coin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o the Western Xia by trade on the border. In this process, the Western Xia owned a massive coins of the Song dynasty and used them in a variety of ways. Furthermore, the Western Xia minted their own coins. Western Xia first established the Supervisory house of Currency(通濟監) which were responsible for cast coin in 1158(Tiansheng(天盛) 10), and issued coin that called ‘Tian Sheng Yuan Bao(天盛元寶).’ The coin produced in Western Xia were cast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re were a close connection among the lack of coinage,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economy, and the circulation of money. The lack of coinage was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ose main factors. The outflow of Song dynasty’s coins was one of the main occasions of the lack of coinage. In the early perio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government imposed a strong ban on the outflow of coinage to foreign countries. There are a little bit records about the outflow of the Northern Song’s coin. But the writer was able to figure out the situation of the outflow of the Northern Song’s coinage by checking the policy to ban the outflow of coinage and the trade policie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shows the inflow of the Northern Song’s coinage in large quantity to the Western Xia by the trade between the Western Xia and the Northern Song dynasty. This outflow of the Northern Song’s coinage was one of the reasons to accelerate the lack of coinage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Western Xia was a sovereign nation, but small in quantity of the coinage. In the Western Xia, there were more iron coins than copper coins. It was because the Western Xia had to supply the demands due to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By the public and private trade, border trade, smuggling, and etc, the lots of coinage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flowed to the Western Xia. The coins aside from the necessary demand for circulation was used as material to make weapons or object. Thus, in the Western Xia, people treasured the Northern Song’s coinage. The Western Xia established the district of iron coin to prevent the outflow of cooper coins, and strictly managed the circulation of coinage through the announcement of the law. In this paper, the writer intend to review the relationship of the coinage exchange between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the Western Xia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Western Xia’s monetary system and the inflow route to the Western Xia of the Northern Song’s coin.

      • KCI등재

        북송 초기 銅錢의 鑄造와 流通

        정일교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3 No.-

        It was different the role of coin depending on the time that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of the Song dynasty. First, coin was the common currency that played a role of the medium of exchange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Excepting the some area such as sichuan province, coin was used as the common currency. The government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founded a paper-notes office[交子務] in Sichuan province in 1023 year[天聖 元] and first issued paper-money. However, the paper-money had been had no effect on the circulation of coin. Because it was issued on the area that iron coin was used as the common currency. The coin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played a key role as the common currency and the medium of exchange.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total amount of coinage was more than a hundred million coins[貫], and it was reached one and a half million coins per year. On the contrary, the amount of coinage was reduced to average fifteen hundred thousand coins per year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Compared with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amount was nothing more than one-tenth degree. However, it sometimes did not reach to fifteen hundred thousand coins. The Korean scholars have conducted the research on the shrinkage in the amount of coinage in the era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writer guess that the main reasons were because of the issuing paper money, the national financing problem that caused by the inflation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Using a lesson that the issuing the paper money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government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increased the kind of the paper money and the place that issuing the paper money. Accordingly, coin lost it's position as the common currenc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lthough coin kept the position of the medium of exchange, it was a role of a reserve fund. 송대 동전의 역할은 북송시기와 남송시기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우선 북송시기의 동전은 주화폐 즉 주 유통화폐로써의 역할을 하였다. 四川 지역(철전 유통지역)과 같은 몇몇 특수 지역을 제외하고는 동전을 주 유통화폐로 사용을 하였다. 1023(天聖 元)년에 사천지역에 交子務를 설치하고 송 조정에서 처음으로 지폐를 발행하였지만, 이는 철전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발행한 지폐로 동전의 유통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북송시기 동전은 주 화폐 그리고 주 유통화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증명하듯 북송시기 동전의 누적 주조량은 1억貫을 초과하였고, 연평균으로 따지면 歲鑄額이 150萬貫에 이르렀다. 반면 남송시기 동전은 연평균 주조량이 15萬貫으로 북송과 비교하여 1/10로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세주액 15만관을 모두 주조하지 못하는 해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남송시기 동전의 주조량 감소에 관해 국내 학계에서 이미 어느 정도의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필자는 남송시기 동전 주조량의 감소의 주요 원인을 지폐의 발행과 물가 상승으로 인한 국가 재정문제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남송 조정은 이미 북송시기 사천지역 교자를 발행을 통하여 지폐 발행과 유통을 선 학습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남송시기 지폐의 종류와 발행지역을 확대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지폐 발행량의 증가와 지폐 유통지역의 증가로 인하여 동전은 주 유통화폐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동전은 주화폐의 지위는 갖고 있었지만 남송시기에는 지폐의 준비금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 KCI등재

        王國維 五代 · 北宋詞 우위론의 실제비평양상과 주요 논점 고찰

        홍서연(Hong, Seu-Youn) 중국문화연구학회 2017 중국문화연구 Vol.0 No.3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Wang Guo-wei’s practical criticism of the superiority of the five dynasties &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its theoretical features. These aspects having been excluded from previous research of the Ci-xue theory by Wang Guo-wei. For that purpose, this research thoroughly analysed and translated a total of 154 articles of the Zhou Xi-shan edition of the RenJianCiHua. Those criticisms of Wang Guo-wei about important successive generations of Ci writers have been reconstructed based on those analyzed documents. Three categories resulted from the analyses of the practical criticism and its theoretical features of the superiority of the five dynasties & the Northern Song Dynasty of Wang Guo-wei: highly valued, poorly valued and complex valued. The highly valued category of writers mainly originates from the five dynasties & the Northern Song Dynasty. Representative writers of this group are: Li Yu(李煜) and Feng Yan(馮延巳) Si from the five dynasties and 0u Yang Xiu(歐陽脩), Qin Guan (秦觀) and Su Shi(蘇軾)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with the exception of Xin Qi Ji(辛棄疾) and Na Lan Xing De(納蘭性德), respectively from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the Ch’ing dynasty. All the writers belonging to the poorly valued category originate from the Southern Song Dynasty, such as Zhang Yan(張炎), Wu Wen Ying(吳文英), Zhou Mi(周密), Shi Da zu(史達祖) and Wang Yi Sun(王沂孫). Representative writers belonging to the complex valued category are Zhou Bang Yan(周邦彦) and Jiang Kui(姜夔), respectively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theoretical features of this criticis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incerity of the emotions’, ‘natural form of language’, ‘writer’s style’, ‘relations between the writers through the ages’, and ‘Wen Ren Ci’. This research could be used in the future as elementary material for research on the superiority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 the Northern Song Dynasty of the Ch’ing dynasty’s Ci-xue theory.

      • KCI등재

        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심영환(Shim, Young-hwa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0 泰東古典硏究 Vol.26 No.-

        중국 당(唐)의 고신(告身)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와서 돈황과 토로번에서 발견된 실물 고신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당 고신의 연구는 주로 일본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많은 연구결과를 축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서학은 물론 제도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에는 일본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에서도 당의 제도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흥미를 끌고 있다. 그런데 송(宋)의 고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주목할 만한 연구 업적이 나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송의 고신으로 현재까지 전존하는 실물문서가 많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계속 실물문서가 발굴되는 당의 고신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었다. 다른 이유로는 당의 고신 연구를 일본학 자들이 주도했다는 점이다. 이들 연구는 기본적으로는 당의 문서에 대한 연구 이지만, 그 저변에는 당의 율령(律令)을 계수한 일본 고대사의 해명이라는 문제를 저변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일본의 율령체제에 영향을 거의 주지 못한 송의 고신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은 일본과는 다르다. 한국은 당의 율령체제를 신라시대부터 도입하였지만 일본의 경우처럼 전면적으로 계수한 것이 아닌 부분적인 도입이었 다. 한국이 당의 율령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한 시기는 고려 성종대이다. 이때는 이미 중국에서 당(唐)이 몰락하고 오대(五代)를 거쳐 북송(北宋)이 지배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당시 고려는 당의 율령을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송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려의 고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당의 고신은 물론 송의 고신도 연구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북송의 고신 중 칙수고신(勅授告身)을 시론 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현재 필자가 파악한 북송 고신은 문헌에 전사되어 있는 5점과 실물 고신 1점이다. 이를 북송의 원풍(元豐) 관제개혁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북송의 원풍 관제개혁 이전의 칙수고신은 실직 (實職)이 아닌 권직(權職, 差遣)에 의해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 당육전≫에 나타나는 3성제의 시행을 목표로 시행된 원풍 관제 개혁 후에는 기본적으로는 당의 칙수고신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 글은 북송의 칙수고신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가한 것은 아니다. 다만 현전하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당시 작성된 고신의 형태로 복원 하였고 교감을 하여 후일의 연구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후의 과제는 북송의 고신과 남송의 고신 전반을 아우르는 연구와 함께 고려시대 고신 연구에 점진적인 해명을 시도하는 것이다. This paper targets Chishougaoshen(勅授告身) which is one of Gaoshen(warrant) styles of Northern Song Dynasty. According to a survey, there were total 6 Chishougaoshen in Northern Song Dynasty, and one of them was a real document. In this research, these 6 documents were considered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元豊). Chishougaoshen of Northern Song Dynasty has the identical styles to those made in Tang Dynasty, since it succeeded to Gaoshen styles of Tang Dynasty. However, bureaucracy in the real document was different from Tang Dynasty 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Lingwaiguan(government service without statutes) that was went by the name of a dispatch(Chiqin), substituted for official duties of officials in documents made before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 On the contrary, documents made after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 had unique styles of Northern Song Dynasty,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like Privy Council wasn t abolished, although they were modeled on Tangliudian of Tang Dynas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document styles of Goryeo Dynasty through Northern Song Dynasty s in China. Therefore, not only documents of Northern Song Dynasty, but also documents drawn up in Southern Song Dynasty need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document structures of the whole East Asia and find out how they had influence on document styles of Goryeo Dynasty.

      • KCI등재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

        최일례(Choi, Il-rye)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1

        본 논문은 장수왕대 외교의 방향을 살핌으로써 그에 부응했던 세력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추이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수왕 전기는(즉위~27년)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장수왕 중기는(28~49년) 북위와 외교를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다. 장수왕 후기는(50~79년) 북위와 더 중점적으로 외교하였다. 장수왕은 평양세력의 협력 아래 평양으로 천도하였고(427),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이후 북연이 멸망하자 북연민을 영입하였다(436). 이는 고구려의 전세를 강화하여 특히 백제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군사력이 되었다. 그러나 고구려가 북연민을 영입했던 사건은 한편으로는 북위와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이후 고구려는 북위와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고 이 시기 신라가 고구려를 압박할 정도로 성장해갔다. 광개토왕의 남정 이후 고구려에 줄곧 종속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신라가 급기야는 실직의 들판에서 사냥하던 고구려의 변장을 살해하는 사건마저 발생하였다(450). 얼마 후 고구려는 신라의 북변을 침입하였고(454) 신라 또한 축성 등을 하면서 적극적인 공격태세를 갖추어 나갔다. 신라의 성장은 고구려 내부에서 대송외교에 반대하여 대북위외교를 지지하는 세력의 입장을 강화시켜 주었던 듯하다. 이후 장수왕은 북위와의 외교를 재개하였고(462), 얼마 후 북위가 고구려에 국혼을 제의하였다(466). 비록 고구려와 북위가 국혼에 합의하지는 못했지만 이를 통해 친북위세력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장수왕 60년을 기점으로 고구려는 북위에 보내는 공물의 양을 이전의 배로 하였고, 북위 또한 이에 대한 보답을 조금 늘렸다(472). 그런데 바로 이 시기,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에는 고구려 내부가 극도로 혼란했고 심지어는 권세있는 귀족과 호족들마저 숙청되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장수왕 50년 북위외교가 재개되었고, 점차 북위에 치중해가는 시기에 행해진 숙청이었던 점에서 외교정책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짐작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시기별로 차이를 보이는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변화는 대외적인 조건과 그에 대한 대응을 둘러싼 고구려내 귀족세력의 동향과 관계가 깊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diplomacy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in Goguryo and explained the relevant powers. The transitions of diplomacy with China at that time was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enthronement to his 27th year), Goguryo had a balanc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the middle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28th year to his 49th year),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stopped while that with the Song Dynasty was maintained. In the late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50th year to his 79th year), it focused on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King Jangsoo moved the capital to Pyeongyang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owers there(427) and had equal diplomacy with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n when North Yeon collapsed, he included its people in his country(436). This added military power to Goguryo and King Jangsoo could intensify pressure on the Baekje Kingdom. However, the strategy where Goguryo accepted people from the Northern Dynasty caused conflicts with the Northern Dynasty. Then Goguryo stopp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maintain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while the Shilla Kingdom grew and exerted pressure on Goguryo. After King Gwanggaeto invaded the South, Shilla, which had been subordinate to Goguryo, even killed a commander of Goguryo who was hunting in a field(450). After a while, Goguryo invaded across the northern boundary of Shila(454) and Shila defended itself against this attack while constructing fortresses. It seemed that Shilla’s growth reinforced the positions of powers who advocat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oppos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King Jangsoo resum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462) and after a while, the Northern Dynasty suggested a royal marriage to Goguryo(466). Even though they did not agree to the marriage, th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powers friendly to the Northern Dynasty. With the 60th year of King Jangsoo’s reign as a base, Goguryo doubled payments to the Northern Dynasty, and the Northern Dynasty also increased its returns(472). However, at this time, in a national letter King Gaero sent to the Northern Dynasty, it was written that the political atmosphere of Goguryo was in disorder and the nobility and powerful families were reformed. Unexpectedly,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as resumed in the 5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angsoo and in that the reform was performed in a period when diplomatic focus was inclined toward the Norther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reform was related with diplomatic policy. In such a context, changes in diplomacy with China under King Jangsoo’s reign were closely related with external conditions and Goguryo’s aristocratic trends.

      • KCI등재

        <宴飮圖>로 본 북송대 고분벽화의 세속화 경향

        지민경 ( Ji Min-kyung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5 No.-

        중국의 장의예술은 보수성을 띄며 전례를 중시하기에 다른 예술장르에 비해 민족성과 지역성이 아닌 시대와 사회 변화에는 그다지 민감하지 않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북송 말엽 화북지역에 집중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한 벽화고분은 전례 없는 특이점들을 보이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화의 원인으로 벽화고분의 주요 주문자인 묘주층의 사회적 신분 변화가 지적된 바 있다. 송대 이후 성장한 부유한 중간계급은 기존의 상류계급 전유의 고급문화를 선호하여 벽화고분 축조를 주도했지만, 형식상의 전례를 따르지 않고 벽화의 구성과 양식을 취향에 맞게 변화시키는 등 자기화하였다. 북송대 이후의 신흥 묘주층은 벽화고분의 형식을 바꾸어 놓았을 뿐 아니라 벽화고분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이용되는 방식도 바꾸어 놓았다. 이 점에 있어 북송대 벽화고분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가 형성되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다르게 이해되고 받아들여졌는가를 살펴볼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송대 벽화고분의 특징을 가장 잘 보이는 벽화 속 <宴飮圖>를 집중 분석하여 이 시대의 벽화고분이 오대 이후 급변한 사회를 반영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이 주목하는 <연음도>는 묘주부부가 한가로이 연회를 즐기는 장면으로 단순히 벽화를 구성하는 하나의 도상일 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묘주의 정체를 명확히 하고 그들의 내세생활을 대변하는 벽화의 중심 주제로서 기능하였다. 따라서 그 세부 표현에 있어서는 묘주의 신분과 사회적 위치가 강조되며 사자의 특권으로서 현실에서 보기 힘든 신비로운 광경들이 연회의 장면으로 연출되곤 하였다. 그러나 북송대 고분벽화에서의 <연음도>는 묘주의 표현으로부터 전반적인 분위기에 이르기까지 이전시대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그 차이는 ‘세속성’의 강화로 요약되며 이는 묘주인 중간계급이 벽화고분 축조와 사용에 투영한 그들만의 바람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북송대 고분벽화 속 <연음도>에서 세속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분석하고, 그것이 벽화고분이 오랜 전통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는 근본적인 요소로서 작용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Chinese funerary art has been known as being conservative to the temporal and social changes. However, the mural tombs constructed in the northern China since the en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began to show unprecedented characteristics; this shift was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status of the mural tomb owners-wealthy middle class, a rising local elite. The middle class led the construction of mural tombs as a desire to emulate the preexisting high-class culture. Still, they did not just follow the precedent forms but customized the styles according to their tastes. This change of tomb owners’ social classes after the Northern Song Dynasty not only changed the form of mural tombs but also affected the way mural tombs were socially recognized and used. In this respect, the mural tombs of the North Song Dynasty show how traditional values were understood and accepted differently in the changing histor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the mural tomb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reflect the social changes by analyzing the painting of ‘Tomb Owners’ Banquet’ in the mural, which characterizes the mural tombs of the North Song Dynasty. The theme of ‘Tomb Owners’ Banquet’ which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generally denotes the scenes of the tomb owner couple enjoying a banquet in their happy house; this was not merely a theme that constitutes a tomb mural, but the long been central theme of the tomb mural that has a function identifying tomb owners and suggesting ideal afterlife. Therefore, in their details, the social status of the tomb owner had been emphasized, and as the privilege of the dead, a luxurious banquet scene was described. However, the banquet scenes in the tomb mural of the North Song Dynast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era,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tomb owner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se differences are summarized as ‘reinforcement of secularity’ reflecting the new tomb owners’ wishes at the construction and use of the tombs. This study analyzes how such secularity is expressed in banquet scenes in tomb murals of the North Song Dynasty and attempts to show how the long tradition of funerary art came to divaricate from this transitional time.

      • KCI등재

        북송시기(北宋時期) 동전감(銅錢監)의 규모(規模)와 인적구성(人的構成)에 관한 연구

        정일교 ( Jeong Ilgy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9 No.-

        송대 주전감은 대부분 주전감은 州에 소속되어 있었다. 주전감에서 주조하는 금속화폐는 주로 銅錢과 鐵錢이었지만,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주전감의 설치 지역도 漢代에는 주로 銅鑛이 존재하는 산악 지역에 주전감을 설치하였던 반면 송대에는 교통이 원활한 지역에 주로 주전감을 설치하였다. 이는 동전을 생산하는데 주재료인 銅뿐만 아니라 기타 원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전감의 규모는 동전을 생산하는 인원이 규모가 큰 경우에는 수천 명에 이르는 예도 있었다. 그리고 보통 3인의 관원이 전감을 관리하였다. 규모가 큰 전감은 文武 관원이 각각 1명 혹은 3명씩 있었고 작은 경우에는 1명 혹은 지방관이 겸직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감의 노동자 구성을 보면 송대는 당대와는 조금 다른 경향을 보인다. 당대 전감에서 주전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구성을 보면 대부분이 임시로 징발되어온 番匠과 役人이었다. 그렇지만 송대 전감의 노동자들을 보면 우선 기술을 가진 工匠, 일반 노동자, 군인 그리고 죄인의 4종류의 노동자들이 전감에서 주전사업에 종사를 하였다. 이들 중에 기술이 없는 자도 시간이 지나 기술을 습득하면 工匠이 될 수 있었고, 군인은 대부분이 죄를 짓고 전감에 배정된 “配軍”이었다. 이는 동전을 주조하는 일이 고된 노동이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북송시기에는 이들 노동자들에 대한 대우가 비교적 좋은 편이었고 부역자들은 대부분이 공장과 일반 노동자들이었다. 그렇지만 남송시기에는 이들에 대한 대우가 북송과 비교하여 안 좋아졌으며 부역자들 또한 대부분인 군병과 죄인이었다. 송대 전감은 관원과 다양한 부류의 인원으로 구성이 되어있었고 그 규모도 매우 다양하였다. 송대 특히 북송시기의 금속화폐의 유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Most of the mint bureaus of the Song dynasty were affiliated to provinces[州]. For the most part of the coin, that was casting by the mint bureau, were copper and iron coins. However, there were also the other coins that the classification was not clear. In the era of the Han(漢) dynasty, the mint bureaus were established around mountainous area that had a copper mine. On the contrary, the mint bureaus of the Song dynasty were set up on the transportation hubs. That was for the smooth supply of the other materials as well as copper. In some cases, a mint bureau had thousands workers who cast coins in copper and iron. Generally, there were 3 government officials, who supervised the bureau. There were each 1 to 3 literary and military officials in the large mint bureau. Whereas, in the small mint bureau, there was 1 official or 1 local official. The local official both worked as a local official and as the administrator of the mint. Also, it is differen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mint bureau’s workers between the era of the Tang(唐)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In the era of the Tang dynasty, the workers of the mint bureau were consist of temporary craftsman and citizens who carries out the duty to their country. On the contrary, in the era of the Song dynasty, they consisted of master craftsmen, general laborers, soldiers, and prisoners. Among them, the soldiers was who had committed a crime. And general laborer who learned skills could become the craftsman. It shows that the coin casting was very hard.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workers consisted of craftsmen and laborers, and they had been treated well. However,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y became poorly paid, and most of them consisted of soldiers and prisoners. The mint bureau was consisted of officer and many different kinds of workers, the size was also various. The mint bureau played a key role in metal currency circulation in the Song dynasty, especially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 KCI등재

        북송 도학(道學)과 도통(道統)- 정이천과 도학군체를 중심으로 -

        황태현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3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relations of Dao Xue and Confucian orthodoxy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which had huge influences on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as its early form, with a focus on the Dao Xue community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its core figure Cheng-yi-chuan.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was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Confucian revival movement that began with Han-yu in late Tang Dynasty. Han-yu's Confucian orthodoxy theory in late Tang provided theoretical grounds for the Confucian revival movement designed to restore the Confucian tradition against Taoism and Buddhism.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underwent huge changes to its content and form from late Tang to early Song.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was combined with the writing and virtue(Wen and Tao) controversy and developed into a discussion about legitimacy between the literature and Taoism school. Various divisions emerged within Confucianism over the years of Qingli, which gave birth to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in various forms based on academic schools and ties. Combining with the basis of civil administration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Confucian revival movement that began in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in late Tang started to obtain leading status in the world of thoughts. In this atmosphere, the term Dao Xue appeared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term had its origin in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and was used for various scholars and schools to express their legitimacy and pride in their study and school in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Dao Xue around two Cheng’s brother. Zhang-zai, Shao-yong, and Si-ma-guang had close exchanges and were homogeneous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around Cheng’s brother, thus forming some sort of academic or political colony. The study used the term Dao Xue Colony to refer to them. They maintained a conservative position politically and shared such characteristics as the orientation of studying Confucian classics by philosophical connotation, internal saints and external kings, the idea that myriad things share one body, and the claims of Buddhism and Taoism academically, expanding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They also built a foundation for Neo-Confucianism by discussing together "What Tao was transmitted by saints?," "How can one acquire Tao?" and "Who are saints and how can one become a saint?" 본 논문은 성리학의 초기형태로써 성리학의 다양한 철학적 담론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북송시대 유자들의 도통과 도학의 의미와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북송 도학군체의 대표인물인 정이천의 도학과 도통의 의미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통설은 당말 한유로부터 시작된 유가부흥운동의 이론적 근거로, 한유와 당말의 도통설은 도불에 맞서 유가의 전통을 회복하고자하는 유가부흥운동의 이론적 근거였다. 도통설은 당말 송초를 거치면서 그 내용과 형식에서 있어 큰 변화가 발생한다. 도통설은 북송에 이르러 문도(文道)논쟁과 결합해 문학파와 도학파간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로 전개된다. 경력연간을 거치면서 유가 내부에서 다양한 분화가 발생함에 따라 도통설 또한 학파와 학맥에 기초해 다양한 형태의 도통설이 출현한다. 당말 도통설에서 시작된 유가부흥운동이 북송의 문치주의 기조와 결합하면서 사상계에서 주도적 지위를 확보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도학이라는 명칭이 북송대에 출현한다. 도학이라는 명칭은 도통설에서 기원하며 초기에는 다양한 학자들과 학파들에 의해 자신의 학문과 학파의 정통성과 자부심을 표현하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그 중 본 논문은 이정을 중심으로 하는 도학에 주목한다. 이정을 중심으로 장재, 소옹, 사마광은 긴밀하게 교류했고 정치적, 학문적으로 동질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일종의 학술군체, 정치군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도학군체라는 명칭으로 통칭한다. 이들은 정치적으로 보수파의 학문적으로 의리경학사조, 내성외왕, 만물일체관, 불교와 도교의 원용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도통론의 문제의식을 확장해, 성인들이 전수한 도는 무엇인가? 도는 어떻게 체득할 수 있는가? 성인은 어떤 존재이고 어떻게 성인이 될 수 있는가? 등의 문제를 함께 논의함으로써 성리학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北宋 국자감 서적간행 성행의 주요 배경 고찰

        이종미 ( Lee Jong-m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宋代 國子監 판본은 송대 官版을 대표하는 정부간행 서적 판본이다. 북송시기 국자감판본은 양적으로나 질적인 측면 모두 출중했기 때문에 서적 간행의 모범이 되었다. 본고는, 북송 국자감에서 인쇄 출판이 성행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 있는 요인들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주제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전체적인 조망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송대는 北宋(960-1127)시기로 한정한다. 국자감 판각배경에 대하여 본문에서 다루는 시대범위를 크게 송대 이전과 송대의 두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송대 이전의 내용은 바로 오대 국자감의 서적 판각의 기원에 관한 것이다. 북송 국자감 판각의 성행 배경은 다섯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 토론하고자 한다. 오대 인쇄문화 전통의 계승, 과거제의 융성, 관방의 적극적인 도서 확충, 국자감 및 지방의 학교의 증설, 국자감서고관의 운영과 국자감 서적의 민간 개방 등이다. 북송 국자감 서적간행 성행의 주요배경으로 다룬 각 사항들은 개별적으로 의미가 있지만, 동시에, 이들 각각의 배경요인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edition of the Imperial Academy during Song Dynasty is a government-issued book representing the official edition of the Song Dynasty. The edition of the Imperial Academy in Northern Song Dynasty was outstanding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setting an example for book publ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actors behind the popularity of print publishing in the Imperial Academy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tensive overall view on this topic. In this paper, the scope of the period covered in the paper on the background of the Imperial Academy book engraving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eriods, before and during Song Dynasty. The contents before Song Dynasty are about the origin of the book engraving of Five Dynasties. The background of the popularity of Imperial Academy edition during the Northern Song will be discussed and analyzed being divided into five parts, the inheritance of printing culture tradition in Five Dynasties, the prosperity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active expansion on book publication of Central Government, expansion of Imperial Academy and local schools, the operation of Imperial Academy Library Official System and opening of Imperial Academy and its books to the public. Each part dealt with as main backgrounds of the success in the publication of the Imperial Academy books in Song Dynasty matters individually. B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se background factors is organically closely connected to and influences each other.

      • KCI등재

        북송대 西南 蠻夷에 대한 정책과 華夷論

        박지훈(Park, Jih-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북송대의 羈縻정책을 비롯한 서남 만이에 대한 정부의 통치정책과 방법, 또한 그들의 근거를 이루고 있는 민족관념, 즉 華夷論의 주장과 그 이념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송대의 서남 및 남방지구는 오늘날 湖南省을 중심으로 강서 서부와 兩廣 지역에까지 이른다. 이곳은 소위 ‘西南夷’의 거주지로서 민족성분이 매우 복잡하여 많게는 수십 종류의 민족이 살고 있었다. 중국역사상 중원왕조와 주변의 각족 정권은 宗藩 관계를 건립하여 일종 종속적인 정치연계를 만들었다. 특히 북송은 남방을 통일한 후 대리, 토번, 교지(安南) 등과 접경하거나 인접해있는 서남지구에 상응하는 관할 路가 방어하는 조처를 취하였다. 송조의 기미주에 대한 관리는 대체적으로 느슨하였다고 평가되는데 당의 제도를 이어서 邊疆에 羈縻州를 설립하였다. 蠻夷의 거주지역과 蠻漢의 雜居 지역에는 민족의 특징을 갖춘 행정체계를 설립하여 만이지구에 대한 효과적인 정치적 통치를 실천하였다. 송의 기미주에 대한 통치는 주로 蠻夷가 스스로 귀순한 기초 위에서 건립하였다. 州縣에서 소요를 일으키거나 漢人이나 熟蠻의 사람과 재물을 약탈하는 기미주에 대해서는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그러나 몇몇 자의적으로 송조의 관리를 이탈하려는 기미주에 대해서는 대체로 강제적인 수단을 동원하지는 않았다. 이는 소수민족의 자율적인 의지를 존중해 주고 무력으로 밀어붙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송대 중국이 강력하지 못했던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기미정책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일단 현 중국영역 내의 소수민족 정책과 차별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북송대 서남만이에 대한 정책은 按撫하고 포용하는데 중점을 두어 민족지구의 안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재물을 아끼지 않고 내려주어 소수민족의 臣服을 구하였다. 화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 서남만이에 대한 입장은 대체로 한족보다 열등하며 禽獸와 동격이라고 보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송조의 만이지구 통치에 대한 가장 중요한 목표는 遼와 달리 邊境 지역의 安寧을 강조하였다. 이는 서남만이 지구에 대해 전형적으로 화이론의 중화사상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북송시기에서 서남만이에 대한 대책의 변화는 화이론 자체가 바뀐 것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적응이라 볼 수 있다. 여기에는 華와 夷를 구별하면서 이민족을 열등하다고 보는 華夷論의 전형적인 구조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置之度外의 전통적인 입장도 반영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서남 蠻夷 지구에 대한 정책을 분석•종합하고, 여기에서 보여 주는 민족의식인 華夷論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the analysis of the ideological concepts of the Sino-barbarian theories. To attain this goal, I have reviewed Northern Song's polices rendered in its borderland Southwestern regions. All Sino-barbarian theor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istic consciousness. On this concept of nationalism, China's central government of Northern Song set up their ruling policies towards the barbarians in its borderland. Their policies towards the Jimi province are good examples to illustrate their basic principle in policy making. Jimi province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covered the wide area to the south and southwestern parts of China, roughly covering today's Hunan Prefecture and the western regions of the Yangzi river. This vast area was generally called the residence of the Southwestern barbarians, where a great variety of ethnic groups had lived together. We estimate that more than dozens of races used to make their living in this borderland area. The history of China shows their political principle to control minority races in the frontier. To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effective measures to deal with small ethnic groups in the borderland have always been an essential factor for a political stabilization. The Northern Song, especially since when they had conquered the minority races in the southern regions, had adopted generous policies to the residents of the southwestern neighboring regions. These policies of defensiveness was made to establish political stability, so that the Song's controlling power over the minority races used to be rather loose. In this context, the borderland Jimi province can be said to have derived its founding spirit from the political system of the Tang Dynasty. In these borderland regions, the Han people and the barbarians lived together. They were under the same administrative systems, keeping their own nationalistic and racial traditions. Central Chinese administrators thought of it essential to allow national consciousness to the barbarians. These policies were possibly implemented with the barbarians spontaneous yielding of themselves to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of Northern Song. However, Song government was never generous to the people who broke the social order, whether they were Han people or barbarians. Officials took relentlessly military actions on the rioters or the robbers in Jimi province. Meanwhile, the central government of Song Dynasty was not so rigid to the barbarians who inadvertently violated the rules for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This political generos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cannot necessarily be interpreted as political weakness. Central government just wanted to keep status quo towards the barbarians in the Jimi region. These polici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s China towards the minority races in the borderland regions. The foreign policies of the Northern Song were generally made for a political stability with barbarians who had their own nation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 By this principle, minority ethnic groups in Northern Song could enjoy to some extent of social and political autonomy. For the sake of peace and faithful obedience, Northern Song government sometimes gave the barbarians a great degree of w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