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초 연계 북버디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친사회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book buddy program which connect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on 2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reading attitude. Two classes of 2nd grade students (2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book buddy program was conducted 16 times for 16 weeks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mparative group read the books individually. ANCOVA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respect to the prosocial behavior. The book buddy program that connected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positively influenced 2nd grade students' prosocial behavio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respect to the reading attitude. In conclusion, the book buddy program that connect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has positi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and reading attitude development for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유·초 연계 북버디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친사회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초등학교 2학년 아동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6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유·초 연계 북버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개별 독서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초 연계 북버디 프로그램은 상급학생 또래교수의 한 방법으로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이 또래교수자가 되어 유치원생인 또래학습자에게 책을 읽어주고 관련 언어활동을 함께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친사회성과 독서태도 향상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아동들은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친사회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준법성, 사교성, 자주성에도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났다. 이는 북버디 프로그램이 2학년 아동의 친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읽기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하위요인인 여가읽기태도, 학습관련 읽기태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북버디 프로그램이 2학년 아동의 읽기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초 연계 북버디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친사회성 증진과 읽기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와 초등학생이 1:1로 짝을 지어 정기적으로 책을 읽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 후 영어교육 회고

        이재근(Lee, Jae Keun)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2 No.-

        This paper is to review historically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for 1st and 2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since 2000. After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3rd and 4th graders in 2001, several revised versions(2007, 2009, 2015) of the national curriculum extended a bit more class times per week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pecifically, two class times per week for 3rd and 4th and three class times for 5th and 6th were since 2008 revised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for 1st and 2nd grade has attempted nationwide in 2006 but was postponed, and eventually has been introduced as a form of broadcasting by EBS in 2011. Though there were many turns and twists, the government made public by law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for 1st and 2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2019.

      • KCI등재

        초등학교 1-2학년의 기악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독일 그룬트슐레 교재 Rondo 1/2 분석

        손민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그룬트슐레 교재에 나타난 1-2학년 수준의 리코더 지도내용을 분석 하고, 한국의 1-2학년 수준에서 통합교과가 아닌 음악교과 관점에서 리코더를 중심으로 한 기 악교육 방향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독일의 대표적 음악과 교과용도 서인 『Rondo 1/2』 중 음악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학생용 워크북, 복사용 원판을 분석 대상 으로 정하고, 이를 5가지 분석 범주와 그에 속하는 6가지 분석 내용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일에서는 교과용도서의 종합적인 편찬 지침을 충족하는 교재를 제작 . 보급하며, 전체적이고 일괄적인 리코더 지도 방식은 지양하고 있었다. 또한 창의성을 자극하는 통합적 인 내용으로 리코더를 활용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이 구성되어 있으며, 1-2학년 수준에서 리코더를 도입하기 위해 사전에 치밀한 난이도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울러 학습의 전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탄력적인 재구성 지침과 수단을 제공하였으며, 학습 활동과 밀접하 게 연계된 보조교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보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에서도 음악교과의 관점에서 1-2학년 수준의 기악교육 방안이 다채롭게 논의되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recorder instruction at the 1st-2nd grade level in German Grundtschule teaching materials, explore the direction of recorder-centered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subjects rather than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t the 1st-2nd grade level in the Republic of Korea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e music textbook, teacher guide, student workbook, and copy template of 『Rondo 1/2』, a representative music textbook in Germany, are selected as the analysis targets. The analysis was based on 5 analysis categories and 6 analysis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conclusions: (1)in Germany, textbooks that meet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guidelines for textbook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2)avoided the overall and collective recorder instruction method.; (3)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recorders are composed of integrated content that stimulates creativity; (4)detailed difficulty adjustments were made in advance to introduce the recorder at the 1st-2nd grade levels; (5)flexible reconstruction guidelines and means that can be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learning process were provided; (6)auxiliary teaching materials closely linked to learning activitie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so that they could be used at the right time. Starting with this study, writer hope that various measures for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t the 1st-2nd grade levels will be discusse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sic subjects.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황현아,권경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2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pplied it to 23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domain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led to changes in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led to a positive change in the climate change concept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ctivity-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by promoting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understanding of 2nd grade students.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의 현장적합성 검토 의견 반영 양상

        손균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 현장적합성 검토 의견을 살펴보고, 검토 의견이 실제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고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정 교과서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교육부는 현장적합성 검토 작업을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청을 받아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을 구성하여 시행하였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은 교과용 도서 중 교과서, 교과서 중에서도 <국어>에 관한검토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고, 교과서 검토 기준별로는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내용의정확성 및 적합성’ 범주에 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1학년 1학기 ‘한글 놀이’ 단원에 관한 검토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의 검토 의견은 교과서 최종본에 전부 반영, 부분 반영, 미반영 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미반영의 경우 편찬기관에서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에게 검토 의견을 미반영한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은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현장적합성 검토 과정에 전국의모든 교사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추후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개발 시 현장적합성 검토 작업에 교사 중심의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이 꾸준히참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pinions on the field suitabil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find out how the review opinions were reflected in actual textbooks.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ing national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upon receiving application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presented many review opinions regarding <Korean> among textbooks, and by textbook review criteria, the most opinions were regard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and the accuracy and suitability categories of contents. In addition, the most reviewed opinions were regarding the Hangul play unit in the first semester of first grade.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s review opinions were either fully reflected, partially reflected, or not reflected in the final version of the textbook. In cases where they were not reflected, a process was needed to explain why the review opinions were not reflected by the compilation agency.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l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participate in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en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a teacher-centered field suitability review support group should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field suitability review work.

      • KCI등재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에 관한 연구

        김대석,조호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attern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PLC, it was found that first, the process of mutual agreement between members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intent of PLC is required for teachers to become true participants in the social studies PLC, and the true participation happens through ‘sharing value’ of PLC activities. Second, teachers experienced ‘learning’ focused on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PLC. Thir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ocial studies PLC appeared to find their ‘identities’ a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Based on the personal meanings of teachers' participation experienc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teachers' community activities of PLC were investigated through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autopoiesis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cultivate social studies expertise through ‘participation’ and ‘execution’ in social studies-related PLC. Topics established in PLC are directly related to social studies class or social studies-related activities, and since their exploration is based on the pract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PLC need to plan and execute activities, taking practical situations in which the results are applied into account. Second, social studies-related PLC helps to exp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rough ‘dialogue’ and ‘contact’. As each individual performs autopoiesis in a changing environment through ‘full engagement’ and ‘dialogue’ and continues this autopoiesis through structural coupling with environment that includes different individuals, each other's knowledge, experience and perspective is shared through the conversation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in PLC, and intellectual and spiritual production activities occur in this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 및 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하여 필요성, 확대방안, 확대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외국의 예술·체육 활동 사례와 학부모 및 교사 의견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될 경우 학교생활이 즐거워지고, 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및 협동심이 함양될 것으로 보았다. 초등학교 1, 2학년의 수업시수를 증대할 경우 확대될 필요가 있는 교육과정은 교과보다 음악, 미술, 체육 등의 활동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부모간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보다 음악, 미술, 체육, 놀이, 기타의 예술·체육 활동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예술·체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수를 증대하는 방법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찬성하였으나 교사들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예술·체육 활동 확대의 필요성에 원론적으로 찬성하지만, 현실적으로 업무 부담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업시수 증대는 장기적 차원에서 고려하되 현실적으로는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방안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 운영할 때 예상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시설이나 공간이 미비하거나 프로그램이 빈약하다는 것이다. 특별교실이나 체육관, 운동장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예술·체육 활동을 할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학교의 현실적 여건을 반영하여 예술·체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알맞은 시설과 공간 및 관련 프로그램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이 만든 그림책의 이야기 분석

        하근희 ( Ha Geu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4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만든 그림책의 이야기 쓰기 과정과 학생들이 쓴 이야기의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2명이며 3인의 평가자가 합의하여 학생이 쓴 이야기를 평가함으로써 수준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양상도 함께 탐색하였다. 이야기는 내용, 담론, 소통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용면을 살펴보면, 높은 수준의 학생이 구체적인 내용을 떠올리는 데에 비하여 낮은 수준의 학생은 구체성이 부족한 새로운 내용을 반복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특별한 사건이 없는 모험 이야기를 쓰기도 했다. 이 시기 학생은 수준과 관계없이 환상성이 두드러진 이야기를 선호하였으며 알고 있던 이야기를 바꾸어 쓰는 학생과 새로 이야기를 창작하는 학생의 비율은 비슷하였다. 담론면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은 집-떠남-집의 구조를 이해하고 있었다. 낮은 수준의 학생은 인과관계가 타당하지 않은 이야기를 쓰는 경우가 있었다. 또 학생이 쓴 이야기의 수준과 길이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의인화된 인물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쓴 학생이 많았다. 소통면에서 학생의 수준에 따라 인물 설정의 구체적인 정도와 사건과 배경 설정의 관계 고려 정도가 크게 차이가 났다. 그리고 높은 수준의 학생들은 수사적 장치들을 능숙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arratives in the picture books written by second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2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plore both processes and results of writing a narrative, three evaluators evaluated the student's writing. Regard to content aspects, high level students composed concrete contents, whereas low level students repeatedly composed new contents lacking specificity. Some students wrote adventure stories without special events. Regardless of the level, the students preferred fantasy stories, and the ratio of the rewritten story to the newly created story was similar. Regard to discourse, aspects most students understood the structure of children’s narrative. Low-level students sometimes wrote stories that were not causally relevant. There seems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and the length of the story, and many students wrote stories of personified characters. Regard to communication aspect, the degree of the personality setting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nt and the background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udent. And high-level students proficient in rhetorical devices.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적용에서의 쟁점 분석

        김성경,오택근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 Vol.5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focused on issues raised from the implementa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nhancing mathematical competencies,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mathematics in the 1st and 2nd grade, the level of vocabulary and sentence for students in the textbooks, and the suppor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ost of the teachers tried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nsidering mathematical competencies, but had difficulty in connecting contents and competencies.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amount and difficulty in the 1st and 2nd grade math, and the level of vocabulary and sentences presented in math textbooks were generally appropriate. However, they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s were over-emphasized in various ways out of basic calculation methods, and that the long sentences, which are not easy to read and understand by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reading Korean, are included in the <Soohak Ikhim>. They recognised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level of reading Korean and understanding math among students. So we suggest that more active support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slowly and the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y in reading Korean.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1~2학년 적용 실태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놀이 수학’ 코너가 교과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며, 수학 학습량 및 내용의 수준, <수학> 및 <수학 익힘>의 어휘 수준과 문장의 길이 등은 적절하다고 보았으나 일부 교사들은 어휘가 어렵고 문장도 길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수학 이해 및 한글 해득에 있어서의학생 간 수준 차이가 크다는 것이 초등학교 1~2학년 수업 운영의 주된 어려움이라는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이해 및 한글 해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초기 아동을 위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제안연구

        선미정(Mi-Jeong Seon),정승애(Seungae Jung) 한국복지경영학회 2022 복지경영학연구 Vol.11 No.-

        사회적경제교육의 효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내면화 및 태도화되어 직접적 실행되어야 효과성이 있으므로 초기 아동기(초등학교 1-2학년)부터 사회적경제교육이 누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경제교육은 성인 중심, 단기성, 선택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 아동 대상 커리큘럼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연구는 초기 아동발달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하여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적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사회적경제교육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통해 사회적경제 교육의 필요성, 운영구성, 내용구성, 평가, 기타 5개 영역 11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경제교육 커리큘럼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활용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교육 실행을 통한 사전 사후 평가가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속적인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학년별 모듈화와 인력 전문화, 교과과정 내 편재를 통해 초기 아동기부터 사회적경제교육 경험이 반복되기를 희망한다. Since the effec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is effective only wh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re internalized and directly implemented, the education needs to be accumulated from early childhood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social economy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dult-centered, short-term, and selectively, so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essential components to propose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suggest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for them. As a result of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ight experts, not only academic but also field professionals, and implement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11 components―a necessity, operation composition, content composition, evaluation, and five other areas―were derived, and programs proposed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social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content development and program pre-post evaluation based on thi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programs, it is hoped that social economy education experiences will be repeated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modularization by grad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by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