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Facilitators & Performance of Cooperative Activation between SMEs

        Goosang Jung,Tae-Sung Kim,Jae-Sun Lee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춘계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SME’s(Small and Medium Company’s). To research the empirical analysis, we divide type of cooperation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We examine the role of cooperation philosophy as precedence fact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ath analysis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and cooperation activities is that cooperation philosoph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Second,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oper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effect of haman resource cooperation is relatively high because cooperation through personnel exchanges is effective in the short-term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 the empirical test by using PSBP Model in terms of partnership. Until now, many researcher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and small company, but we tr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company. So, we can present a beneficial implications to explain importance of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SME’s. Second, there is the problem of technical information disclosure issue when SME’s business unit have a partnership. To overcome this problem, we use cooperation philosophy and it can be escape the negative views.

      • 중소기업간 협력활동 촉진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정구상,이재선,김태성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춘계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SME's(Small and Medium Company's). To research the empirical analysis, we divide type of cooperation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We examine the role of cooperation philosophy as precedence fact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ath analysis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and cooperation activities is that cooperation philosoph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e cooperation. Second,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oper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effect of haman resource cooperation is relatively high because cooperation through personnel exchanges is effective in the short-term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 the empirical test by using PSBP Model in terms of partnership. Until now, many researcher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and small company, but we tr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company. So, we can present a beneficial implications to explain importance of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SME's. Second, there is the problem of technical information disclosure issue when SME's business unit have a partnership. To overcome this problem, we use cooperation philosophy and it can be escape the negative views.

      • KCI등재

        대기업-중소기업 간 기술협력의 중소기업 효율성 개선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홍성효,김부경 통계청 2018 통계연구 Vol.23 No.3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or medium-sized firms on R&D activities-related efficiency improvements using DEA/Tobit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rough technical cooperation small- or medium-sized firms seem to experience an increase in the efficiency related with their R&D performance measured by the number of successful R&D projects and R&D activity-induced sales. Especially, cooperation with large firms creates a greater effect than that with universities or public institutes. Since firms which belong to the mature stage in their product-life-cycle are more active in technical cooperation with large firms while it is more frequent for the firms in the growing stage to technically cooperate with universities or public institutes, technical cooperation with large firms mainly occurs for applied technologies and that with universities or public institutes is likely to happen for original technologies. It is one of the plausible explanations of our finding. Meanwhile, there would be a reverse causation between R&D performance and technical cooperation when firms with lower efficiency intend to overcome their inefficiency with the help of technical cooperation. However, the two-stage Tobit result where this endogeneity issue is tackled indicates that our finding is robust. 본 논문은 자료포락분석과 Tobit모형을 이용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협력의 연구개발활동관련 효율성 개선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술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은 (기술개발 성공건수와 연구개발활동에 의한 매출액 증가로 측정된) R&D 성과의 증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대학이나 국공립 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에 비해 대기업과의 기술협력이 보다 큰 효과를 야기한다. 중소기업 가운데 성숙기에 속할수록 대기업과의 기술협력이 활발한 반면에 성장기에 속하는 경우 대학이나 국공립 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이 보다 빈번히 이뤄짐을 미뤄볼 때, 대기업과의 기술협력은 주로 응용기술을 대상으로 이뤄지나 대학이나 국공립 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은 원천기술에 대해 이뤄질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기술협력을 통한 단기 R&D 성과가 대기업을 협력 파트너로 하는 경우에 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효율성이 보다 낮은 중소기업일수록 기술협력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역의 인과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생성이 고려된 2단계 Tobit모형 결과는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가 강건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북한의 과학기술 노선 강화 따른 남북 기후변화 협력 방향 검토 : 재난재해 대응을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희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2

        북한은 전 지구적인 지식경제시대로의 전환 추세에 맞춰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제발전과 연관하여 발전시켜 왔다. 과학기술의 발전 없이는 경제발전도 이룰 수 없다는 당의 기조와 함께 지식공유와 기술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어 오고 있음을 국가전략과 정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김정은의 새 세기 혁명은 자력갱생을 통한 우리식 경제발전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과학기술을 활용한 국가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은 경제강국달성을 위해 선진 과학기술의 도입을 위한 외부와의 교류협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지만 2016년부터 부과되고 있는 포괄적 대북제재와 국제정세 냉각 국면에서 외부협력을 통한 기술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운상황에서 북한은 기후변화 대응을 명분삼아 국제사회에 기술협력을 이행할 수있는 기회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이고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제협력도 기후변화를 핵심의제로 개발정책에 반영하고 기후재정을 늘리는 등 기후행동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를 적극 활용하려는 전략적 추측된다. 실제 북한은 재해성 이상기후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로 국가발전과 주민의 삶에위협을 받고 있지만 재정, 기술, 역량의부족으로 자체적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강력한 대북제재 하에서 기술협력이나 기술협력은 상대적으로 제약이 강하지 않으며 특히 기후변화 협력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북한의 민생문제를 지원하고 지리적으로접경한 남한의 피해를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한반도 탄소중립 구현이라는 모범적 입지를 구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있다. 과학기술을 중심의 남북 기후협력은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의흐름속에서 과거의 남북협력 패러다임에서 전환하여 새로운 협력을 추동할 수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난재해 부문의 협력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북한이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최우선순위로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협력이 필요함을 요청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 공동의 기후변화 대응은 현 대북제재 강화 기조속에서도 국제사회의 동의를 수렴할 수 있는부문으로 남한의 필요성도 크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난재해 부문의 기술협력은 현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추진이 가능하며 남북 모두에게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한반도의 관점에서 통합적 재해재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마중물로서 중단된 남북협력의 물꼬를 틀 수 있다는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준다.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reflect the party’s belief that economic development cannot be achieved withou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its grow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knowledge sharing and technical cooperation. In particular, Kim Jong-un’s New Century Revolution has been strong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society using AI and ICT. It is worth noting that North Korea has been requesting technical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name of combating climate change. Under the stro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echnical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projects are relatively unrestricted, and climate change cooperation in particular can be an opportunity to support the livelihoods of North Korean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from a humanitarian perspective, prevent damage to the geographically bordering South, and ultimately achieve an exemplary position of carbon neutr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bove all, inter-Korean climate cooperation based on AI and ICT can be an opportunity to drive new cooperation by shifting from the past paradigm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face of high demand and rapidly changing times in both the North and the South. As a specific example, this study proposes cooperation in the field of disaster risk reduction, which is highlighted by North Korea as a top priority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because the climate crisis in North Korea due to disasters causes direct damage to the South and can be implemented even under the current sanctions regime.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respond to disasters is practically feasible an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can be used as a stepping stone to build an integrated disaster risk reduction system that is necessary and sustainable for both Koreas.

      • KCI등재

        중소기업 간 협력철학이 협력활동과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재선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간 협력 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경험적 분석을 연구하기 위해 협력 유형을 기술 협력, 인적 자원 협력, 영업 협력 및 금융 협력 등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었다. 선행 요인으로 협력 철학의 역할을 검토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협력 철학, 협력 활동 및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협력 철학과 협력 활동 간의 경로 분석의 결과는 협력 철학이 기술 협력, 인적 자원 협력, 판매 협력 및 금융 협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협력 활동과 성과, 기술 협력, 인적 자원 협력, 영업 협력 간의 관계의 결과는 협력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PSBP(philosophy-Structure- behavior- performance) 모델을 파트너십 관점에서 사용하여 경험적 시험을 분석한다. 중소기업과의 관계를 검증하려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중소기업 간의 협력 활동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유익한 함의를 제시 할 수 있다. 또한 SME(Small and Medium Company’s)의 사업 단위가 파트너십을 맺을 때 기술 정보 유출 문제가 있지만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협력 철학을 사용하며 부정적인 견해를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operation activities among SMEs. In order to study empirical analysis, we classified the types of cooperation into four dimensions: technology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ial cooperation. Review the role of the collaborative philosophy as a predictor.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cooper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ath analysis between cooperation philosophy and cooperation activities shows that cooperation philosophy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sales cooperation and financial cooper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ctivities and achievements, technic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cooperation, and sales cooperatio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cooperation performanc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nalyze empirical tests using the PSBP model from a partnership perspective. We are trying to verify the relationship with SMEs. Therefore, we can suggest a beneficial implication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SMEs. Also, SME business units have a problem with technical information leakage when they form partnerships, bu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can use cooperative philosophies and avoid negative views.

      • KCI등재후보

        한국 대중소기업간 기술협력 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 하도급 특성을 중심으로 -

        박문수,이호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1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8 No.3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ubcontracting business relations and structures of cooperation affect the relationship skills (Outcome) that is divided into three steps. We analyzed integrated data every other year from 2005 to 2009. As a results, in the execution of technical cooperation trade relations have influenced the positive attributes, but recently their influence has been weakened. As for technical cooperation, the structure should alleviate the problem of the uneven performance of technical cooperation. We suggested that technical expertise and infrastructure make possible the culmination of the long-term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level. 본 연구는 하도급 특성인 거래관계와 구조관계가 기술협력의 성과(Outcom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세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2005년~2009년 격년통합자료를 분석하여 하도급 관계 특성이 기술협력성과(Outcom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기술협력의 실행에서는 거래관계 특성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 그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기술협력의 성과로서 기술협력만족도는 구조관계의 불균등의 문제가 완화되어야 기술협력의 성과가 높아진다. 장기 성과인 기술경쟁력수준은 중소기업 자체 기술역량과 인프라가 확보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확인했다.

      • KCI등재

        러중 군사협력, 동맹인가 일시적 협력인가?

        김규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중소연구 Vol.44 No.1

        Russo-Chinese military cooperation has a history of more than 90 years from the 1920s before China established the regime to the present. Since 1923, the Soviet Union ha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the Chinese army by supplying weapons, educating the Chinese military leadership, and building defense industries. However, cooperation has been cut off due to ideological disputes and border disputes, but restored relations from the end of the Soviet Union, pushing for the highest-ever military cooperation as of 2020.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determine whether it is at the level of alliance or temporary cooperation. The promoting factors derived while examining two countries military cooperation processes are endogenous drivers for national development, combined response to US hegemony, similarity of military strategic positions, and mutual complementarity of security and economy. The limiting factors include Russia’s alertness to China’s rise, population infiltration into the Far East, the possibility of supplied weapons acting as threats, and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related to weapons duplication. The promoting factors are more essential than the limiting factors and have a much greater weight. Moreover, the factors that destroyed the alliance in the past do not exist today, making it unlikely that the bilateral relationship will be severed at present. Russia and China are working together not only in the areas of military technical cooperation and joint exercises but also in the sensitive areas - joint reconnaissance operations by strategic bombers and creation of missile early warning system. In short, the military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China is seen as a de facto military alliance. It calls for accurate judgment and reasonable response to the impact of the Russo-Chinese military cooperation o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러․중 군사협력 관계는 중국이 정권을 수립하기 이전인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 9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소련은 1923년 이래 중국군 창설에 무기 공급 및 중국 군사지도부 교육, 방위산업체 건설 등으로 공헌했다. 그러나 이후 이념분쟁 및 국경분쟁으로 협력이 단절되었다가 소련 말기부터 관계를 복원하여 2020년 현재 사상 최고 수준의 군사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러․중 군사협력의 실상을 파악하여 동맹 수준인지, 아니면 일시적 협력관계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양국 군사협력 과정을 조사하면서 도출한 촉진요인은 국가 발전을 위한 내생적 동인, 미국 패권에 연합 대응, 군사전략적 입장의 유사성, 안보 및 경제의 상호보완성 등이다. 제한요인은 중국 부상에 대한 러시아의 경계심, 극동지역 인구 침투 현상, 공급 무기가 위협으로 작용할 가능성, 무기 복제와 관련된 지적재산권 문제 등이다. 여기서 촉진요인이 제한요인보다 더욱 본질적이며 비중도 훨씬 크다. 게다가 과거 동맹관계를 파괴했던 요인들이 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아서 현재 양국관계가 단절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러시아와 중국은 무기 교환, 군사기술지원, 연합훈련뿐만 아니라 연합정찰작전, 미사일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등 민감한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요컨대, 러․중 군사관계는 사실상 동맹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러․중 군사협력이 동북아 및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합리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기술협력의 역할과 발전 : 세계은행의 지식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신원규(Wonkyu Shin),이규찬(Gyuchan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제개발 분야를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세계은행이 기술협력과 관련하여, 금융기관을 넘어 소위 글로벌 지식서비스 기관으로 그 역할을 확대하게 되었는지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구축된 세계은행의 전반적인 기술협력 분야와 관련된 총체적인 지식 서비스에 대한 체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그간 세계은행의 지식 서비스(즉, 세계은행에서 명명하는 좀더 포괄적 의미의 기술협력)에 대한 연구는 기술협력의 새로운 방식으로 제도 및 실무적 관점에서 소개된 정도로, 아직 이에 관한 학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행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기술협력의 발전과 공공재로의 지식 생산,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지식관리 체계를 국제개발의 대표적인 글로벌 선도기관인 세계은행 사례를 통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 시의성 있는 연구이다. 연구방법론: 세계은행의 주요 발간보고서와 관련 문헌을 총체적으로 조사하여 검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연구질문과 모종의 가설을 세계은행의 관련 담당자와의 집중 인터뷰 및 교차 검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이후에 기관 내지식공유 및 교육자료 등으로 사용되는 내부 자료를 추가로 확보하여 연구내용을 보강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은행은 1996년 ‘지식은행(Knowledge Bank)’ 선언을 기점으로 지식 학습과 과정 그 자체를 서비스로 전달하고 문제의 해결책을 제공하는 “지식서비스(Knowledge Service)” 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발전시켜왔다. 다분야 연구와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에서 축적된 지식과 경험은 기관의 핵심자산이 되었으며, 세계은행은 이를 활용하여 증거 기반(evidence-based)의 정책자문과 실무 기반의 기술원조를 더욱 고도화할 수 있었다. 현재 세계은행의 지식 서비스 체계는 크게 1) 핵심지식활동(core-knowledge activities), 2) 비핵심지식활동(non-core knowledge activities), 3) 파트너십 기반의 유사 핵심지식활동(core-like partnership knowledge activities), 4) 사업 일부로서의 지식 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결론 및 시사점: 세계은행의 지식 서비스 사례는 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기술협력의 발전과 공공재로의 지식 생산, 지식 서비스와 차관사업의 연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지식관리 체계 도입, 분석기반의 협력국 전략 개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지식활동 등 더 넓은 범주의 지식공유 또는 관련 기술협력 사업의 좋은 참고 대상이 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rvey and systematically exam how the World Bank, which identified itself as a financial institution, expanded its role as the Global Knowledge Bank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at has been evolved, in which technical assistance/cooperation (TA/TC) become ever more important in the post-COVID era. Originality: Previous studies on the World Bank s Knowledge Service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apacity development for on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the World Bank s Service, and it found that its related projects have been going beyond the roles and definition of conventional technical cooperation as a means of implemen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Methodology: The paper documents and reviews available publications and related official reports in the Bank for in-depth analysis. The authors visited and interviewed key persons inside the Bank to affirm research questions findings. We used additional data and archives inside the Bank to back up our arguments. Result: Over the recent decades, the World Bank has led the discourses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TC programs globally, operating for better performance in global development projects. The knowledge service of the Bank has its unique features that three core programs consist of 1) Knowledge for external clients (ASA, Advisory Services and Analytics), 2) Knowledge for internal use, including knowledge management, and 3) Global public goods such as research outcomes and databas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t is known that South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technical cooperation over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e technical cooperation and so-called knowledge service management system in Korea lacks integ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The practices and initiatives in the Knowledge Service program and its management system of the World Bank would be timely references and benchmarks for improving South Korea s related programs.

      • KCI등재후보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 조사 연구

        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opose methods through which more a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can be stimulated. The methods chosen for this study are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mposing complete enumeration on the targeted high schools that specialize in industry related fields. The survey targets were the directions of academic affairs, the directions of practical affairs, and the director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ac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having opportunities to gain specific skills in different industrial fields, having chances to get stable employment, and securing the industrial institution’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ustomized nurturing and supply of human resources as the primary goals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cond, the teachers express the similar opinion that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ir current system is inappropriate to achieve their goals. Third, the teachers claim that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emphasizes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must be developed and managed. Fourth, it was found that when schools plan their educational curriculum, they often do not implement the requests from industrial institutions. Fifth, major educational program implement methods that meet the requests of the industrial institutions include field trips or the introduction of other field-base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s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nvit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personnel as teachers to school environments. Sixth,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proactively seek companies for cooperation; they need to support, develop, and manage school programs that are based 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finally, institutions need to enthusiastically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s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that are founded upo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Seventh, the enforcement of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benefit of diversify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pursuit of balancing the specialized curriculum through shedding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provided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amendments on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effectiv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the vital factors that can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within high schools specializing in industry and that are closely related to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를 조사하고, 산학협력 활 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이다. 설문 조사는 공업계 고교를 모집단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은 각 학교의 교무부장, 실과부장, 그리고 교육과정 관련 업무를 교무부장이 담당 하지 않는 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담당부장도 응답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의 목적에 대하여 교사들은 산업현장 맞춤형 직업교육의 기회 제공, 공업계 고교 졸업생의 안정적 직업세계의 진출 확보, 맞 춤형 인력의 양성과 공급을 통한 산업체의 경쟁력 확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와 산업체간의 산학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공업계 고교에서 산학협력이 강조된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공업계 고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 반영 정도에 대 하여 공업계 고교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산업체의 요구를 잘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업계 고교에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주된 교육과정 운영 방법으 로는 산업체 현장실습 및 현장 체험 학습 운영, 산학협력에 의한 맞춤식 교육과 정 개발 적용, 산업체 인사 참여에 의한 산학겸임교사 제도 운영인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섯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학교 교육 영역에서 노력해야 할 사항은 산 학협력 대상 기업체 적극 발굴, 산학협력에 기반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 노력, 그리고 정부의 산학협력 기반의 직업교육 정책 사업 적극 참여로 나 타났다. 일곱째, 산학협력과 관련하여 공업계 고교 교육과정 선진화를 위해서는 교육 과정의 다양화를 위한 선택중심 교육과정 강화, 보통교과 중심의 국가 수준 교 육과정 체제 탈피를 통한 전문교과와의 균형성 추구, 원활한 산학협력을 위해 국가수준상의 관련 지침 개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의 기술 특성에 따른 산학협력 비교 연구

        박문수,이호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2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ubcontracting business relations and structures of cooperation affect the relationship skills (Outcome) that is divided into three steps. We analyzed integrated data every other year from 2005 to 2009. As a results, in the execution of technical cooperation trade relations have influenced the positive attributes, but recently their influence has been weakened. As for technical cooperation, the structure should alleviate the problem of the uneven performance of technical cooperation. We suggested that technical expertise and infrastructure make possible the culmination of the long-term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level. 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산학협력은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특성(산업특성, 혁신특성, 성장단계별 특성 등)에 따라 산학협력의 수요와 실행은 다르고 그에 따른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기업 특성을 군집분석을 통해 세 가지 군집(혁신형중소기업군, 일반중소기업군, 대기업군)으로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산학협력의 수요와 실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형 기업군은 신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반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인력양성에 높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 특성을 고려한 산학협력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R&D와 인력양성을 구분하여 산학협력을 추진함으로써 기업 특성의 비교 우위를 통한 산학협력 효율화가 필요하고, 혁신형 기업 지원을 위한 R&D분야 산학협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