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 보수 결정에 교원노조가 미치는 영향 분석

        박정신(Park Jung Shi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1

          우리나라 교원노조는 교원의 임금, 근무조건, 후생복지 등 경제적ㆍ사회적 지위향상과 관련된 영향력을 넘어 각종 교육정책 수립 및 집행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합법화 된지 10여년이 된 현 시점에서 교원노조의 교원보수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 보수 결정에 있어서 교원노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원노조의 존재 여부는 특수업무수당을 제외한 타 보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IMF 경제위기 변수가 교원노조 변인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수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법령으로 구체적인 보수의 지급항목, 지급액, 지급횟수를 규정하기 때문에 보수의 경직성이 크며, 교사는 국가공무원으로 전국적으로 동일한 보수체계를 사용하고 있다는 데 기인한다. 또한 교원의 봉급이나 수당 조정 시 타 공무원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특수성이 있으므로 교원노조와 정부에 의해 교원보수에 관한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효력이 배제되고 있다. 또한 교육공무원의 보수에 관한 사항이 교원노조와의 협상에서 정부 측 당사자인 교육인적자원부가 결정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중앙인사위원회와 경제부처가 최종적인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교원노조의 영향력이 일반노조의 그것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eachers" union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nsation. Teachers" compensation from 1985 to 2007 was estimated by 「public employee compensation provisions」 and 「public employee allowance provisions」 which are legal payment grounds. It was analyzed newly appointed teachers, teachers with 15years of experience, teachers with 30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39 years of experience.<B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which influenced teachers" compensation most were total years of experience and time effect. Second, in compensation excluding special task allowances, teachers" un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general union wage premiums, negative effects occurred. Third, the IMF economy crisis had a greater effect than teachers" union variables on teachers" compensation.<BR>  The above results is because teachers are educational public employees, who adapt the same compensation system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eachers" union emphasize on political power rather than on improvements of teachers" social economic status for a long time. It caused the result of the low influence of the teachers" union on teachers" compensation.

      • KCI등재후보

        유아 예비교사들의 ICT 활용수준과 컴퓨터 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박은미(Park Eun-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ICT 활용 수준과 컴퓨터 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연구 결과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학교생활과 전공에 대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 ICT 활용수준에 따른 내적 성취감과 컴퓨터 교수 효능감을 얻기 위한 동기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정보통신 기술활용을 위한 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과 의미를 둔다.<BR>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양성교육을 통해 교사가 되려는 예비교사들의 ICT 활용 수준과 컴퓨터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과 태도형성 및 교사로서 필요한 지식 획득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교수방법 개발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학생들의 동기적 속성에 대한 이해와 동기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study on the level of ICT utilization and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 of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B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8 pre-service teachers of "A" college.<BR>  ICT utilization instrument is made by Kang, Jing-Sun (2005) reorganized as this measured instrument of this study is made by the Boston Public School(BPS) as this measured instrument of this study.<BR>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 instrument is modified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sa measured instrument of this study and the teaching-efficacy instrument(1990) is made by Ji Eun, Sim re-organized.<BR>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PC+ 15.0 program. Means, %, F-test, t-test, ANOVA, Pearson"s r were used for data analysis.<B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researched ;<BR>  1. How variables concer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level of ICT utilization are relevant to one another?<BR>  1-1. How ar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variables concer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grade and major are the level of ICT utilization?<BR>  1-2. How ar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variables concer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mputer-education experience are the level of ICT utilization?<BR>  1-3. How ar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variables concer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mputer-education periods are the level of ICT utilization?<BR>  1-4. How ar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variables concer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ime of the using computer are the level of ICT utilization?<BR>  2. What is the relation among the level of ICT utilization and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BR>  2-1.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age and grade, affect on the relation of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BR>  2-2.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computer education are affected on the relation of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BR>  2-3.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period of computer affect on the relation of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BR>  2-4.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time of using computer affect on the relation of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BR>  As college students for teaching job learn more years, they have much better skills than incumbent teachers for using personal computer programs that include web browser, e-mail program, word processor program, presentation program, data statistics program, internet blog, and operating homepage site.<BR>  After most students at college take computer education classes, they spend 1-2hours for using theirs computers. The students use the personal computers for recreation gaming rather than academic research or homework for other classes.<B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CT utilization,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CT utilization and the teacher"s efficiency of computer teaching depending on the item of computer contents<BR>  Thus, the further educational research is necessary to apply computers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 실태 분석 - 사회과에 대한 교사학습기회의 형식적ㆍ실질적 측면을 중심으로

        송경오(Song kyoung-oh),최진영(Choi Ji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사회과에 대한 학습기회들의 실태를 형식적ㆍ실질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의 특징들과 교사들의 학습기회 질에 대한 평가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선방안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수도권지역 (서울, 경기, 인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기술통계분석결과, 교사학습기회의 형식적 측면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장기간의 연수보다는 일회적이고 단기간의 연수를, 멘토링 혹은 동료 교사와 협동 등 비공식적이고 혁신적 형태의 학습기회보다 기관중심의 연수나 대학수업과 같은 형태의 학습기회에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기회의 실질적인 측면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특정 교과중심의 구체적인 내용보다 교과에 상관없는 일반적인 내용에 관하여 더 많은 학습기회를 가진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방식(전체토론, 소그룹활동, 직접해보기, 발표 및 토론 이끌기, 프로젝트 학습)보다 전통적인 강의방식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들이 경험한 학습기회의 질에 대해 대체적으로 낮게 평가하였고, 학습기회 질에 대한 평가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의 특징과 관계가 있었다. 즉, 교사학습기회의 특징이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식일 때 교사들은 자신들의 학습기회질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직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사학습기회에 대해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rgue that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play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eachers" will and capacity, which, in turn, ultimately contribute to bring about instructional improvement.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are increasingly underscored as a key educational policy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high quality learning opportu nities for Korean teachers seem rather scarce. Moreover, the policy discussion specifically planned to enhance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is also insufficient. Given this, we define, in this study, teacher s" learning opportunities as concepts including formal or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structural or substantial features of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Draw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def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rough survey, what kind of learning opportunities Korean elementary teachers in third through eighth grades who taught social studies have been exposed to.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were much more exposed to traditional types of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such as one-shot workshops) rather than reform types (such as teachers" collaboration and mentoring). Furthermore, teachers were hardly engaged in content-specific learning opportunities and active learning.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olicy makers and educational scholars to recognize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as a key educational policy for successful educational reform. We believe that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quality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crucially contributes to improving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김경희(Kyunghee Kim),김신영(Shinyoung Kim),김성숙(Sungsook KIM),지은림(Eunlim Chi),반재천(Jae-Chun Ban),김수동(SooDo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학교교육의 내실화와 교실에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평가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평가와 관련된 교사의 업무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으며 더불어 신뢰롭고 타당한 학생평가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을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 즉, “평가방법의 선정”, “평가도구의 개발”,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ㆍ의사소통”, “평가의 윤리성”에 따라 11개의 기준과 각 기준을 설명하는 구체화된 세부적인 55개의 평가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였다.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plan for practical use of these standards took a concrete form.<BR>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is competence is the assessment literacy that should be required before actually assessing the students.<BR>  Secon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by examining and revising year 2004 TPCSE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are 1)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2)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3)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4)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5) Completion of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that are required to do the student assessment.

      • KCI등재

        교사 직무수행 실태 분석

        한유경(Han You-kyung),박상완(Park Sang-wan),서경혜(Seo Kyoung-hye),전제상(Jeon Je-s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학교에서 교원의 잡무가 많다는 문제는 빈번하게 제기되어 왔지만, 교사의 직무와 직무가 아닌 일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실제 교사들이 어느 정도의 직무부담을 갖고 있는지, 어떤 직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본 논문은 각급학교 교사들의 직무수행 실태를 보다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영역별 직무수행 시간과 직무 중요도 및 향후 업무조정 방안을 조사하였다 교사 직무수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첫째, 초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시간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적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와 수업에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무분장업무수행에 사용하는 시간은 초중고 모두 약 10%로 조사되었다. 둘째, 직무영역별 직무 중요도에 인식은 초중고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시간과 중요도 인식간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직무영역은 교내외 연수 참여,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이다 셋째, 교사 직무조정과 관련하여 초중고 모두 90% 이상 이 현행유지를 선호하였다. 직무영역별로 보면, 수업 외 학생 과제검사 및 평가, 학급경영, 특별 활동지도, 학생생활지도 등 교사의 핵심 직무영역에서, 학교급별로는 초등교사가 이들 직무 영역에서 지원인력전담에 대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work conditions of classroom teachers. The workloads of classroom teachers has been major issues among school teachers, unions, and policy makers to assure the quality teaching. Since late 1990s, government have developed policies to reduce the workloads of teachers and tried to develop performance standards for classroom teachers.<BR>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y to explore 1) the actual time teachers spent in doing their works, 2) the importance of each works(work areas), 3) ideas about work reallocation for quality teaching in the future. The major research method employed are the record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time for one week(Mon. thru. Sat.).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primary school teachers" work time is longer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uring regular work hours, teachers spend substantial time on perform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activities such as planning and preparing for instruction. But time for administrative works are about 10% in all school levels. 2) The amount of time spent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of works are not hand in hand in several work areas such as school curriculum planning and managing and professional training. Discrepanci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time spent should be thoroughly explored in the future. 3) According to our survey, teachers think more than 90% of teachers" work should be remain to teachers" hand and less than 5% of teachers" work should be charged to new school staff. Especially primary school teachers want supporting staff for extra curriculum activities, student counselor and classroom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발생하는 상황과 교사의 중재 방법 탐색

        서동미(Seo Dong 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치원의 하루 일과 중 유아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수학적 경험을 하며, 이때 교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의 만 4세 학급 유아들을 참여 관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놀이 상황’,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 ‘유아 스스로 배우기를 원하는 상황’, ‘유아가 자신의 유능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상황’에서 수학적 경험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이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수학적 경험을 할 때 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개입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기’, ‘질문으로 유아가 수학을 배우도록 돕기’, ‘다른 활동과 통합하기’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in what situation young children have mathematical experiences during their daily routine at a kindergarten operating activity oriented inclusive curriculums, and what roles teachers play in such situ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four year old children at a kindergarten offering activity oriented curriculum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young children had mathematical experiences in "playing situation", "problem solving situation", "situation when the children want to learn by themselves", and "situation when they try to display their competenc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what roles teachers can play when young children have mathematical experiences by informal methods, we observed teachers" roles of helping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determining the proper time of guidance", "asking questions", and "making efforts to integrate with other activities.

      • KCI등재

        예비교사의 도덕판단력과 교사역할개념의 관계 연구

        최지영(Jiyoung Choi),김민강(Minkang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 과목을 이수중인 예비교사들의 일반적 도덕판단력과 교직상황에서의 도덕판단력을 살펴보고, 두 가지 도덕판단력이 도덕적 동기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내 2개 대학의 사범대학생들과 교직을 이수중인 학생 총 224명 대상으로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KDIT), 교사용 도덕판단력 검사(TTMR)를 실시하고 교사역할개념에세이를 수집하였다. 교사의 역할지각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다른 가치들보다 도덕적 가치를 우위에 놓을 수 있는지에 관한 도덕적 동기화 개념과 관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도덕판단력 점수와 교직상황에서의 도덕판단력 점수가 모두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학생의 성별 및 전공은 두 가지 도덕판단력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세이를 토대로 전문직업인으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을 분석한 결과 교과, 학생, 사회의 세 영역으로 역할의 범주가 구분되었다. 교과 영역에서는 교과전문가로서의 역할이, 학생 영역에서는 학습전문가, 인성교육자, 코치의 역할이, 마지막으로 사회 영역에서는 전문직업인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다섯 가지 역할 중 교과전문가와 코치의 역할을 지각하는 예체능계열의 학생의 비율이 다른 계열 학생의 비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인성교육자의 역할을 지각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 일반적 도덕판단력과 교직도덕판단력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인성교육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과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별개의 사안이며 두 가지 도덕적 역량을 함께 길러주는 교원양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bility among students in colleges of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s general moral reasoning and the reasoning required in teaching situ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moral reasoning abilities and moral motivation is studied. Data consist of responses from a total of 224 students in two teacher"s colleges in Seoul.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version of the Defining Issue Test(KDIT), the Test of Teacher"s Moral Reasoning(TTMR), and role concept essay. The result indicates that both of moral reasoning abilities develop as grade increases. Students" gender and majors were not related to their scores in two measure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role concept essay reveals that students perceive teachers" role within three different domains; subject, student, and society. Students perceived teacher"s role as a subject-matter experts in subject domain, and as a learning expert, a character educator, and a coach in student domain. They also conceptualized teacher as a professional in a society. In physical or musical education major, the proportion of student who perceive the role as a subject-matter expert or a coach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role as a character educator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wo test scores. This implicates that perceiving the role of moral or character educator does not guarantee one"s moral reasoning ability required to solve ethically controversial situations in school setting. Two different components of morality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arefully designed programs.

      • KCI등재후보

        영재담당 초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

        최병연(Choi Byung Yeon),이면우(Lee Myon U)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미국 P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토요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수업 관찰, 교수-학습과정안 및 수업 평가서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담당 초임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을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첫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육이 영재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잠재력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사는 안내자, 촉진자, 도우미, 역할 모델, 멘토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학습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나 학부형의 피드백으로 학습 여부를 판단할 뿐 특정한 준거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점검하지 않았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을 유능하고 성공적인 교사라고 지각하였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전공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해서 과목을 개설하고 수업 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대부분의 자료를 인터넷, 도서관, 영재교육연구소의 자료실 등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은 전문가에 의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질문이나 피드백 제공, 학급관리 기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vice teachers"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who took part in Saturday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n U.S.A.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ach subject and observed their classroom.<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vice teachers considered gifted education as a valuable tool for helping Gifted/Talented students develop to their full potential. Also, they believed that gifted education is an excellent learning opportunity for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levels. Second, participants perceived the gifted teachers as a role model, a guider, and a facilitatior of students" learning. Third, teachers had difficulty in judging whether lesson was successful or not. They did not have concrete criteria to confirm their students" learning. Fourth, subjects considered them as a successful teacher and planed on staying the gifted area of teaching. Fifth, teachers obtained teaching ideas and materials from the internet, books, and other teachers. Finally, participants" teaching was evaluated positively by experts as a whole, but some of their teaching skills, such as classroom management and feedback skill,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이윤옥(Lee Yeun 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assumptions of the child-teacher interaction by analyzing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an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Vtgotsky postulated that children learn by interacting with adults around them through language, and that this was representative of teaching strategy. After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of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eacher"s scaffolding, following results are acquired.<BR>  First, it shows that teacher-planned scaffolding promotes children"s learning, helps children organize knowledge seeking for a clue themselves, and brings development with more deepened contents.<BR>  Second, teacher-planned scaffolding functions as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ccelerates the effective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for example, keeping distance in leading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with high motivation and emotional support for learning facilitation and leading children to spontaneous participation.<BR>  It is suggestive that teacher"s expansive way of question is more effective than limited one in improving children"s thinking ability and the question type made by a teacher has an influence on thin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s implies that we should emphasize the impotance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by asking question of divergent type in the field.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유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비고스키 이론에 근거한 비계설정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측면에서 유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의미를 밝히고 유아학급에서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의 실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R>  유아학급에서의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활용 방안은 관계증진을 위한 수업전략으로써의 상호작용과 사고력 증진을 위한 발문전략으로써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실제적용 예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Bridging Home and School : U. S. Teachers" Perspectives of Korean Parents and ESL Education

        Keun Huh(허근)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한국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미국 초등학교 교사가 가진 한국 부모에 대한 인식 및 ESL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5명의 미국 공립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두 세 차례에 걸친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인터뷰내용은 녹음되어 그대로 전사된 후 목록화 되었다. 자료의 계속적인 분석 작업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은: (1) 미국교사들의 한국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2) 그들 자신이 인식하는 교사로서의 역할; (3) 한국부모와의 관계; (4) ESL교육에 관한 인식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 미국의 초등교사들은 한국 ESL학생의 부모에 대해 긍정적이며 호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국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와 교사ㆍ학교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알고 싶어 하였다. ESL학생을 가르치는 담임교사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는 한국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내용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 문화를 수용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있어서는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한국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 교사들은 의사소통 및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ESL교육과 관련한 교사교육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초등학생 자녀를 미국에서 교육시키고 있는 한국 부모들에게 미국교사들과의 보다 발전된 관계형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 가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한국의 초등교사들에게 외국인 부모와 그 자녀들이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United States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parents of Korean students. Five first grade teachers who worked at three public elementary schools were Interviewed by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Interview data were tape-recorded and later transcribed verbatim Throughout the data analysis process four major themes emerged In terms of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1) Korean parents, (2) their roles as a teacher of Korean ESL students, (3)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Korean parents, and (4) ESL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positive and favorable perceptions on their Korean parents and wanted to know and meet the parents" expectation on them. Second,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 as a provider of scaffolded lessons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s for Korean students. Next, they were aware of the gaps In communication and culture with the Korean parents Finally, they perceived the need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ESL students and families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Korean parents who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U S In addition, Implications are made for Korean teachers who hav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