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代 茶聯에 대한 이해와 茶文化 요소 고찰

        이행철,최한선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8 No.-

        Tea couplets refer to couplets containing tea rela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 space and use, they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tea couplets, tea couplets in scenic spots and historic sites and tea couplets in teahouses. They can also be divided into tea couplets for creating tea couplets and tea couplets quoted from other tea poems. The famous tea couplets’s writers are Zheng Banqiao, Fu Shan, Jinnong, Hang Shijun, Wang Qishu, Wu Xizai, Chen Hongtao, Zhang Zhitan, Yuan Mei, Deng Shiru, Mo Youzhi, Liang Qichao, Qimu and so on. Individual tea couplets mainly include the life features of literati tea people who share tea with calligraphy, painting, guqin, etc. Tea couplets in scenic spots and historic sites include the interest of drinking tea under beautiful natural scenery. Teahouse tea couplets mainly contain the comfortable environment, atmosphere and the intention of persuading tea inside and outside the teahouse. Tea couplets include the names of famous teas in history, such as Longjing Tea, Biluochun Tea, Jingting Tea, Rizhu Tea, Longtuan Tea, Dew Bud Tea, Tuotuo Tea, and some tea sets such as Ruding Pot and Crossing Pot. There are also many kinds of tea books, such as calligraphy, tea books, poetry, history books, Buddhist sutras, Zhuangzi, Xiangpu, Shuijing and so on. This shows that the writers of tea couplets are mostly literati. “차련”은 차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는 대련으로 게첩된 공간과 용도에 따라 개인차련, 명승차련, 차관차련 등으로 나눠진다. 또 작가가 직접 지은 창작차련과 다른 차시사에서 인용해서 지은 집구차련으로 대별된다. 유명한 청대의 차련 작가로는 정판교, 부산, 항세준, 김농, 왕계숙, 진홍도, 오희재, 육소경, 장지담, 원매, 등석여, 막우지, 양계초 등이 있다. 개인차련에서는 서예, 그림 등 문예와 차가 함께하는 유유자적하고 작가들의 소박한 삶의 정취를 표현한 것이 주를 이룬다. 명승차련은 아름다운 풍광과 다원, 음다의 조화를 표현한 작품들이 많다. 차관차련의 경우는 차관 내외의 수려한 환경과 분위기 속에서 차를 권하는 내용이 많다. 차련 속에는 당시 작가들이 마셨던 명차이름과 다구들이 등장하여 당시 문사차인들의 음다취향과 심미관을 살피는데 도움을 준다. 구체적으로 적어보면, 명차로는 용정차, 벽라춘, 경정차, 양선차, 일주차, 용단, 노아, 타차 등이 있고, 다구로는 유정호, 천심관 등이 보인다. 또한, 법첩, 다서, 시사, 사서, 불경, ≪장자≫, ≪향보≫, ≪수경≫ 등 다양한 서적들이 등장한다. 차련은 대중적인 공간에서는 음다의 효능과 정취를 대외적으로 표양하여 사람들에게 심신의 휴식과 평등・화해 사상을 촉진시키는 사회적 작용을 하는 중요한 문학형식이면서, 유불도를 사상적 근간으로 하며, 시, 서법을 단련하고 경세를 논하며, 향, 술 그리고 음다를 통해 고결하고 아취로운 삶을 추구하던 청대 문인다풍이 가장 잘 드러나는 차문예의 정수이다.

      • KCI등재

        명대(明代)후기 산차(散茶)문화 성립과정에 대한 고찰

        이행철(Haeng-cheol Lee),맹주방(Shu-fang Meng)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2

        본 논문은 산차와 초청제법의 맹아기인 송·원대를 지나, 명초기 태조의 “단차폐지령” 이후 150년 이상의과도기를 거쳐, 명대 후기에 이르러 초청법과 호포법으로 대표되는 산차문화로 정립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송·원대부터 단병차와 함께 존재했던 초차(산차), 산차 자다법 등을 여러 관련문헌기록들을 통해 명대 산차문화로의 전환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명대 산차문화가 정착된16세기말 이전의 다서들를 중심자료로 삼아, 산차와 말차의 공존, 증청법과 초청법의 공존, 산차 점다법, 촬포법, 산차 자다법, 산차 포다법 등의 상호 관계와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결국, 명대 포다법은 절강지역에서 유행한 찻그릇을 이용한 산차 점다법(촬포법)과 강소지역에서 성행한 다호를 이용한 산차 자다법이라는 두가지 흐름에서 기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대 후기 자사호가 호포법의 핵심 다호로 대두되는 데에 문인다인들의 심미관이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reports the Method of San tea brewing in the Ming dynasty after an approximately 150-year transition period after emperor Taizu issued the Repeal order of Tuan tea. To this end, through various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the Cao tea (San tea) and the method of loose tea brewing, which existed at the same time in the Song-Yuan dynasty, to the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Taking the tea 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in 1600 as the central data, the author respectively understood and sorted out the mutual relation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loose tea and dust tea, steamed green tea and stir-fried green tea, the point tea method of loose tea, blister method, the boiling tea method, and brewing tea method of loose tea. Through this process, the origin of tea making in the Ming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wo trends: the popular tea bowl method in Hangzhou and the popular teapot method in Suzhou. In addition, under the influence of literati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zisha teapots became the core tea prop of the pot brewing method of loose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