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豹菴 姜世晃의 《松都紀行帖》硏究

        金建利(Kim Gun-ri)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238

        The album Songdo Gihangchup (松都紀行帖), Kang Saehwang's (姜世晃, 1713-1791) renown masterpiece, was painted after his travel to Songdo. It has been highly evaluated by critics. However, it is only its style that has captured the attention of them; other than its style, little about this album has been known. For example, we don't know the exact time when this album was painted and also we don't know the concrete background of its creation. Hence, it was very difficult for scholars to conduct studies on this artwork. In such circumstances, I would differentiate my study from previous studies by focusing on unknown details of the album and the sequence of its leaves, on which nobody has made a research until now. First, I focused on the concret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album. In this album, there is Sasu's (士受) poem, Park Un's (朴誾) poem written by Kang Sewhang. and Kang Sewhang's colophon. Based on these, I found out that the real name of Sasu, who ordered this album, is Oh Suche (吳遂采, 1692-1759). He was very much interested in paintings as well as in poet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Furthermore, looking into the ancestry of the Oh (吳) family, I discovered that brother Oh' in Kang Sewhang's colophon refers to Oh Unsa (吳彦思 1734-1776), who is Oh Suche‘s grandson. He kept this album after the death of his grandfather. I also found out that the exact year when Songdo Gihangchup was made was 1757, when Oh Suche worked as the administrator (留守) of Kaesung (開城). Also, I paid attention to the geographical book Songdo Sokji (松都續志), edited by Oh Suche in 1757, the same year when Kang Sewhang made Songdo Gihangchup. Even though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lbum Sondgo Gihangchup and the book Sondgo Sokji, I suggested that it was highly possible that the two were connected. This is because many public facilities, such as official residences. official ration storehouses, and a temple equipped with armory, were drawn in Songdo Gihangchup. Through these studies and contemplations, the background of Sondgo Gihangchup became clear as follows: Kang Sewhang painted Songdo Gihangchup in 1757 for Oh Suche who was the administrator of Gaesung and the editor of the geographical book Songdo Sokji. Next point on which I focused in this study, is the order of leaves in Songdo Gihangchup. Studying the travel course of literati and the geographical books publish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 found out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objects in the album and realized that the current order of leaves in the album is not in the original order. By combining these study results, I suggested the original order of the album. In the suggested new order, we can see that the style among dosed leaves is quite similar and that all the inscriptions on the first half leaves were written by Kang Sewhang, whereas those on the last half album leaves were written by Oh Suche. I tried to illuminate the unknown areas of Songdo Gihangchup with a fresh look at the work, and produced some meaningful results. If we go on study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believe we can grasp the true meaning of Songdo Gihangchup in the art hi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 KCI등재

        불교수행의 경로로서의 經典과 參禪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3

        경전공부와 참선은 불교수행의 주된 경로이다. 그러나 경전공부와 참선이 불교수행에서 모두 중요하다고 말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불교수행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수행의 실제에서도 수행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불교의 수행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전공부와 참선을 중심으로 한 심성함양의 기제를 명확히 드러낼 필요가 있다. 경전공부는 ‘개념’을 통하여 그것의 논리적 가정으로 들어 있는 진여를 실현하는 반면, 참선은 진여가 직접적으로 표현된 ‘상징’을 통하여 진여를 실현한다. 심성함양의 기제에 초점을 둘 때, 참선은 진여의 직접적 표현으로 이해되는 ‘진여용’과 성격을 같이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참선이 지관문 수행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드러나듯이, 참선은 진여를 직접 겨냥하는 수행이라는 점에서 진여용과 차별화된다. 경전공부와 참선은 수행의 기제가 상이하지만, 이들은 서로가 서로를 요청하는 순환 관계에 놓임으로써 수행을 보다 완전한 것으로 만든다. 이때 경전공부는 수행의 실질적인 추진력이 되며, 참선은 그 수행의 방향을 지시한다.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禪] are major channels in Buddhist practice. But only if we say that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are all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 we would not know what Buddhist practice is, and added to this, an ascetic would not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Buddhist practice. To understand Buddhist practice correctly, above all it must be explained explicitly how the cultivation of Mind in Buddhism is realized in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In reading of sutra, Suchness[眞如] is realized by 'concept'(the content of sutra) which presupposes Suchness; on the other hand, in practice of Seon, Suchness is realized by 'symbol' which is considered as direct manifestation of Suchness. When we attach importance to the mechanism of cultivation of Mind in Buddhism, practice of Seon shares the nature of Function of Suchness[眞如用] together which is direct manifestation of Suchness. But practice of Seon is distinguished from Function of Suchness in that it belongs to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sapience'[止觀] which points to Suchness direct. The mechanism of cultivation of Mind in reading of sutra and practice of Seon is different, but reading of sutra demands practice of Seon, and vice versa. This circularity makes Buddhist practice more perfect. In that case, reading of sutra may be considered as real driving force of Buddhist practice, and practice of Seon as direction indicator of that practice.

      • KCI등재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의 서술구조에 대한 현상학(Phänomenologie)적 접근

        송진섭(Song, Jin-Sub)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본 연구는 중국 대승불교의 사상적 중심에 놓여 있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을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의 초월론적 현상학(transzendentale Phanomenologie)과 대조해 봄으로써 『대승기신론』의 구체적인 서술체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그것이 갖는 특징적인 면모를 해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대조작업이 포함하고 있는 문제의식이란 기본적으로 『대승기신론』의 핵심적 요소인 ‘진여(眞如)’ 개념이 갖는 상호 모순적인 이중적 성격으로부터 기인한다. 여기에서 진여의 이중적 성격이란 구체적으로, 『대승기신론』에서 진여 개념을 ‘시공을 초월하는 형이상학적 대상’이자 동시에 ‘구체적인 체험의 대상’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진여 개념이 갖는 이와 같은 이중적 성격은 그 각각의 성격적 측면마다 그에 관계되는 상세한 해석들을 수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설들 역시 각각의 그것이 부각시키고 있는 진여의 성격에 따라 서로 상합될 수 없는 두 가지 형태의 서술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한 두 서술체계 가운데 한 축에 해당하는 경험적 형태의 서술체계에서는 모종의 반성적 태도에서 구체적인 시안들에 대한 지각을 통해 진여라는 본원적 요소를 체험할 것을 요구하는데, 바로 이 서술체계가 후설의 철학체계와 유사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대비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양자 간의 대조작업으로부터 우리는 『대승기신론』에는 또 다른 형태의 서술체계가 병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낼 수 있음과 더불어, 그 두 서술체계와 진여 개념이 어떠한 관계 속에서 『대승기신론』이라는 하나의 사상을 구성하고 있는지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pecific structure of description and to explain the distinctive aspects by comparing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which is the main thought of the Chinese Great Vehicle Buddhism with Husserl’s (Edmund Husserl, 1859~1938)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e critical mind included in such a comparative work basically derives from the contradictory duality of the concept of ‘True Suchness(眞如)’ (pronounced ‘Jinyeo’ in Korean).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True Suchness’ is simultaneously depicted as ‘the metaphysical object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as ‘the thing subject to concrete experience’. Such duplicity is accompanied by detailed elucidations which are related to each characteristic. These discourses are also composed of two descriptive systems which cannot coincide according to the ‘True Suchnes’s” characteristic, which will be distinguished by each elucidation. In the descriptive system with an empirical feature which constitutes one axis out of two descriptive systems, the experiences of an intrinsic factor epitomized as ‘True Suchness’ through a perception of the items specified with a certain reflective attitude are demanded. This very descriptive system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philosophical system of Edmund Husserl, thus creating a contrast. From such comparison works between the two, we can discover the fact that another different form of descriptive system coexists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At the same time, we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the two descriptive systems and “True Suchness” have been formed in a single thought, dubbed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 KCI등재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사회화와 교과교육

        이미종(Lee Mi-jong),서근원(Seo Ghun-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사회화와 교과교육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화는 교과교육을 포함하고 있거나 별개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양자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관련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기신론」의 수행론에 비추어 이 난점을 해결 하고자 한다. 「대승기신론」에 의하면, 상념을 떠나 진여에 돌아가는 데에는 크게 진여용과 진여자체상이라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진여용이 여래의 행적, 다른 말로 제도화된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진여에 돌아가고자 하는 경로를 가리키는 만큼, 그것은 사회화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진여자체상이 여래의 마음으로서 개념적 사고를 통하여 진여에 도달하고자 하는 경로를 가리키는 만큼, 그것은 교과교육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회화와 교육과육은 각각 제도화된 행동 과 개념적 사고를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다른 활동이지만, 양자 모두 진여에 도달하고자 노력한다는 점에서 모두 교육이라는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는 후자에 의하여 완성되고, 후자는 전자에 의하여 삶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양자는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socialization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In general, socialization is regarded as includes subject matter education or as separated from the latter. But this opinions ignore the distinction and relation between them in the contents and method as an education. Buddhist practic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can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says that there are two ways to reach Suchness(眞如). Influences of Suchness (眞如用) is the way of imitation on Buddha s behaviors. This is regarded as socialization. But the imita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behaviors is incomplete way to Suchness. Attributes of Suchness (眞如自體相)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behaviors.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provides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a s behaviors. So, we can say that Attributes of suchness (眞如自體相) completes Influences of suchness (眞如用), and the latter actualizes the former. Like that, we can say that subject matter education complete socialization, and socialization actualizes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WTO 체제하의 ‘국내법 그 자체’에 대한 제소의 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이주윤 대한국제법학회 2022 國際法學會論叢 Vol.67 No.1

        Under the GATT system, Panels have dealt with complaints against not only ‘legislation as applied’, through their jurisprudence, but also ‘legislation as such’. It appears to be well established that mandatory and discretionary legisl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nly mandatory legislation can be challenged before a panel. WTO provided a legal basis for claims against ‘legislation as such’ in the Agreement Establishing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but it did not lay down the distinction between mandatory and discretionary legislation. In particular, the Panel found in the US-Section 301 Trade Act case that even domestic law with a discretionary nature can be challenged in light of the obligations under Article 23 of the DSU, and it caused difficulties for the WTO Members with respect to the distinction. Besides, the Appellate Body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distinction, varying from case to case because the distinction is not easy and the types of discretion are different. The writer argues that claims against ‘legislation as such’ should be allowed in a limited way in order to protect legislative sovereignty of the WTO Members, taking into account that it is possible to challenge ‘legislation as applied’ at any time. The followings are the criteria that can be regarded as mandatory legislation. First, the executive authorities must be the subject of the action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in question. Second, the obligations under the legislation must be imposed on the executive authorities. Third, the legislation concerning the action of the executive authorities must not contain undefined legal terms(“unbestimmter Rechtsbegriff”). Fourth, domestic law consists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rules, including laws. Until now, Korea has often brought challenges to ‘legislation as such’ of the other Members. For the purpose of winning the claims, our government has to examine the above criteria relating to the distinction from mandatory and discretionary legisl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few cases that other Members challenged our ‘legislation as such’, we should keep in mind the criteria when enacting related laws. Most of all, our government has to be careful not to be inconsistent with Article 23 of the DSU even though the legislation at issue has a discretion in nature. GATT 체제에서 패널은 ‘적용된 국내법’은 물론이고 판례를 통해 ‘국내법 그 자체’에 대한 제소도 인정하였는데, 국내법을 기속/재량법규로 구분하여 ‘기속법규’에 대해서만 제소를 허용하였다. WTO는 그 설립협정에 ‘국내법 그 자체’에 대한 제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기속/재량법규의 구분에 관해서는 규정하지 않았다. 특히, US-Section 301 Trade Act 사건에서 패널이 재량적 성격을 가진 국내법인데도 DSU 제23조에 규정된 의무 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소를 수락하면서 기속/재량법규의 구분 문제에 혼동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소기구는 기속/재량법규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고 재량의 정도도 다양하므로 구별 문제를 사건에 따라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필자는 ‘적용된 국내법’에 대한 제소가 얼마든지 가능하고 회원국의 입법주권을 보장하 기 위해 ‘국내법 그 자체’에 대한 제소는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이에 ‘기 속법규’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문제가 된 국내법은 행정당국이 행위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행정당국에 의무를 부여하여야 하며, 행정당국의 행위에 불확 정개념이 포함되어서는 안 되며, 국내법의 개념에는 법률은 물론 법규명령과 행정규칙도 포함된다. 우리나라는 WTO 제소 사건에서 여러 차례 다른 회원국의 ‘국내법 그 자체’를 문제 삼았는데, 성공적 제소를 위해서는 위에 제시한 기속/재량법규의 구별기준을 참고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또한, 피제소 사건에서 우리 법이 문제가 된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관련 법을 제정할 때 필자가 제시한 구별기준을 유념하고, 재량법규일지라도 DSU 제23조 위반 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KCI등재

        금강경 에서 ‘즉비’ 구의 의미 비교 연구 - 구마라집본과 범어사본을 중심으로 -

        조연숙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2 불교학 리뷰 Vol.31 No.-

        In the Kumārajīva version of the Diamond Sūtra, we find twenty-four instances in which the stock phrase “A is not A as such. Therefore, it is called A” appears. It seems, however, that this phrase was not initially used in such a standardized form. The researcher’s examination of the Sanskrit and Tibetan versions of the scripture has revealed that such a typical form does not appear frequently in the earlier Sanskrit manuscripts and that a similar pattern is also found in the Tibetan versions, as the latter is a uniform and mechanical rendering of the Sanskrit versions. Whereas the earlier Sanskrit versions of the Diamond Sūtra adopt an inspiring literary style that draws its reader naturally to the words of the Buddha, the Kumārajīva version fixes the corresponding passages in a standardized form and emphasizes that these are the words of the Buddha. The phrase “A is not A as such. Therefore, it is called A” states that when one immediately sees A is the dharma-nature devoid of self-nature and thus sees A is not what its real concept is, it is called A. Therefore, it was already said, is being said, and will be said that since the true nature of A is not identical with A, it is called A. Therefore, the Huayan Sūtra says that everything is constantly preaching the dharma; the Lotus Sūtra also says that the Tathāgata is always giving truthful words “It is called A.” In the case of the Diamond Sūtra, however, the phrase “It is called A” means that the Tathāgata goes beyond the true characteristic itself and performs a linguistic activity caused by the subsequently attained wisdom, which goes beyond the nondiscriminating wisdom that occurs prior to the division of one’s consciousness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aspects. The Sanskrit phrase meaning “A is not A as such” which appears in Chapter 8 of the Diamond Sūtra is rendered as “A is not of the nature of A” in the Kumārajīva version. He then adds that the Tathāgata says that there are therefore great merits. This seems to contradict with Bodhidharma’s criticism of Liang Wudi as having no merits, but it rather corresponds with the meaning of the passage “emptiness is itself non-emptiness.” 구마라집본 『금강경』에는 ‘즉비’에 해당하는 구가 24개 있다. 범어사본과 티벳 본에서 확인한 결과 초기 범어사본에는 그렇게 많지 않고, 티벳본은 기계적인 통 일 번역이어서 범어사본과 유사하다. 범어사본 『금강경』은 고본으로 갈수록 붓다와 수보리의 진솔한 대화여서 자연스럽게 불설에 다가가게 이끄는 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마라집본은 ‘즉비’ 구로 정형화하여 우리에게 이것이 붓다의 말씀임을 강조하고 있다. ‘A即非’ 중 ‘即’은 A로 그 범위를 한정하면서도 ‘A 그대로’의 의미로 쓰였는데, ‘A 即非A 是名A’ 구는 A와 A의 본디 모습이 동시에 보일 때, A라고 말하는 문구이다. A 자체의 본모습이 바로 非A임을 알고서 A라고 이미 설해졌고, 지금도 그렇게 설 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설해질 것이기에 『화엄경』에서는 만물이 늘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是名A’라고 여래가 언제나 진실한 말을 하고 있다고 『법 화경』에서는 말한다. 그러나 『금강경』에서는 그 진실하다는 상도 넘어서고 주· 객의 분화가 일어나기 전 무분별지도 넘어선 후득지에 의해 ‘是名A’라고 하고 있 다. 라집은 제8품에서 범어사본의 ‘A即非A’ 꼴을 ‘A即非A性’이라고 번역한 후에 복덕이 많다고 여래가 설했다고 하여 달마가 양 무제에게 공덕이 ‘無’라고 한 말과 모순되나, 후대의 공즉불공(空即不空)의 의미와는 일치한다.

      • KCI등재

        분황 원효의 평화 인식 -一心과 和諍과 無碍를 중심으로-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2 No.-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 사상가 芬皇 元曉(617~686)가 화쟁 회통의 논리로 펼쳐낸 붓다의 화합 정신이 평화를 제시하기 위한 것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사람들이 사는 세상은 어디에나 싸움이 있다. ‘나’와 ‘나의 것’이 있다는 我執과 法執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해서 어떻게 하면 하루라도 다툼이 없는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가 우리의 희망사항이 된다. 하지만 그것은 생각처럼 만들어가기가 쉽지 않다. 어차피 경쟁을 피할 수 없다면 경쟁을 하더라도 집안과 직장 및 사회와 국가 간 좀 더 잘 지내며 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좀 더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잘 지내는 방법’이란 다툼을 지양하고 갈등을 해소하며 사는 것을 가리킨다. 본디 ‘다툼’은 ‘소유의 문제’로 귀결되고 ‘갈등’은 ‘인식의 문제’로 집중된다. 소유는 실체론적 사유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갈등은 인식론적 사유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툼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는 존재와 인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분황 원효가 고민했던 것도 바로 존재와 인식 두 축의 관계 설정의 문제였다. 그는 다양한 주장을 조화시켜 다툼과 싸움을 지양하게 하였다. 분황은 자신이 보여준 ‘一心’과 ‘和會’와 ‘無碍’의 기호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마음속에 일어나 있는 분열의 징후를 치유하였다. 그 결과 그는 1) 내가 하지 않는 것을 남이 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2) 내가 할 수 없는 것을 남이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3) 내가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을 남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서로가 배려하게 되고 대화하게 되고 소통하게 되어 행복(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했다. 그래서 서로의 시공적 차이와 지연을 인정하여 너와 내가 서로 다름이 아름다운 것임을 역설했다. 그 길은 모두 다 잘 살 수 있는 평화의 길이었다. 이 논리를 평화 실현을 위한 원리로 풀어내 보면 상호의 ‘인정’ - ‘배려’ - ‘대화’ - ‘소통’ - ‘행복(건강)한 삶’의 다섯 가지 길로 환원할 수 있다. 『대승기신론』은 一心과 一味와 一覺의 ‘一性’ 위에서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으로 전개되는 일심을 중생심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중생심은 곧 대승의 마음이며 모든 것을 감싸 안는 마음이다. 중생은 이미 깨달아 있는[本覺] 존재이기에 다시 깨달을 것이 없는 존재이다. 동시에 無明의 相續心에 의해 아직 깨닫지 못한[不覺]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중생은 넉넉한 마음[一心]을 지니고 있으며 한 맛의 깨달음[一覺味]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어떠한 계기[和會]를 통해 인식을 전환할 수 있다면 一味의 바다에서 모두 다 만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갈등과 증오로 얼룩진 사바세계에서 한 생각 돌이키는 어떠한 계기[和會]를 통해 이항 대립의 굴레에서 벗어날[不羈] 수 있는 것이다. 분황이 제시한 평화의 길은 바로 이것이었다. 불교는 滅執과 滿空을 궁극적 지향으로 삼고 있다. 때문에 분황이 일심의 圓融상 위에서 제시한 자각적인 면인 不一不二와 자각 각타적인 면인 無不破而還許와 無不立而自遣, 無二而不守一과 不守一而無二 및 각타적인 면인 順而不順과 非同非異의 화쟁 회통 논리와 무애의 실천방법 역시 멸집과 만공의 철학을 구현하기 위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평화의 실현을 위한 상호의 인정 - 배려 - 대화 - 소통 -행복 (건강)한 삶의 다섯 단계는 현실 속에서 실현 가능한... Bunwhang Wonhyo(617~686), who was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Korea, also displayed the harmony spirit of Buddha with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 There is always a dispute in the world where people live. It is caused from the mind of attachment to a self and attachment to dharmas that 'I' and 'Mine' exist. Therefore, we hope to live in the world without dispute, However, it is hard to accomplish the hope as we think. If we can't avoid competition, it will be a more realistic method to consider how to live well in home, working place or country in spite of competition. Here, 'the method to live well' means the life avoiding dispute and solving conflict. Originally, 'dispute' is caused from 'the matter of possession' and 'conflict' is concentrated on 'the matter of recognition'. Possession is caused from the thought of substantialism and recognition is caused from the thought of epistemology. Then, the understanding on existence and recognition is essential to live peacefully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dispute and conflict. Bunwhang Wonhyo also agonized the matt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axes, existence and recognition. He tried to get rid of dispute and conflict by harmonizing various assertions. Bunwhang cured the symptom of dissolution, which occurs in the minds of people, through the sign of ‘one mind’, ‘reconciliation’ and ‘no obstacle’. As s result, he said that we can consider, have a conversation with and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and we can live a happy(healthy) life if we admit follows: 1) Other person is doing what I don't, 2) Other person can do what I can't and 3) Other person has what I don't have. He emphasized that we have to admit time & space difference and delay of other pers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people is beautiful. This way is the way of peace where all people can live well. If the logic is explained with the principle to realize peace, it can be restored to five ways such as mutual 'admittance'―'consideration'― 'conversation'―'communication'―'happy(healthy) lif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which displays mind as suchness and mind as birth and death on the basis of ‘the One nature'(一性) of one mind, one taste and the One enlightenment(一覺), grasps one mind as the mind of sentient being. The mind of sentient being is a mind of Mahayana, which embraces everything. Because sentient being is already awakened, there is nothing for them to awake.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existences that are not still awakened because of continuity of mind(相續心) of ignorance. Therefore, people have sufficient minds and have the enlightenment of One taste[一覺味]. If they can convert recognition through a motive, they can meet in the sea of one taste. In other words, they can escape from the bridle of mutual confrontation through a motive if they convert the mind in this world, which is stained with conflict and hatred. Bunwhang suggested this way of peace. Buddhism searches for distruction of attachment and grasping(滅執) and put in suchness(滿空) ultimat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inciples of reconciliation of dispute such as neither the same as, nor different from(不一不二), mubulpayihwanhur(無不破而還許), mubulipyijagyun(無不立而自遣), muiyibulsuil(無二而不守一), bulsuilyimui(不守一而無二), sunyibulsun and bidongbiyi(順而不順, 非同非異), which were suggested by Wonhyo, are the logics to embody the philosophy of distruction of attachment and grasping and put in suchness. The five life steps such as mutual admittance- consideration- conversation-communication-happy(healthy) life can be realized in a real life. It is equal to the logic of harmony with each assertion and unification a defferent meaning(和諍會通), which was created to unite various assertions of East Asian philosophy worlds. The common points between five steps above and harmony with each assertion and unification...

      • KCI등재

        열녀전(烈女傳) 서술 방식 일고(一考)

        김유미(Kim You m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4

        이 논문에서는 열녀 이씨(李氏)를 다룬 이옥의 <수칙전>을 중심으로 동일 인물을 다룬 전(傳) 작품인 성해응의 <이수칙>, 이건창의 <이수칙전>, 그리고 󰡔정조실록󰡕의 ‘수칙’ 관련 기록을 비교하여 작품의 서술 방식과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성해응의 <이수칙>과 이건창의 <이수칙전>은 유교적 이념의 전범으로서 입전 인물 이씨(李氏)의 본받을 만한 의로움을 강조한다. 이에 반하여 이옥의 <수칙전>은 등장인물의 슬픔과 이웃 사람의 의심을 보여주는 일화를 통해 인물의 희생과 고독을 강조하고, 덕행에 대해서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한 불운한 인물로 이씨를 그렸다. 또한 <이수칙>과 <이수칙전>이 인물의 행적 중심으로 서술하여 기록의 신빙성을 추구한 데 비하여, <수칙전>은 서사 배경과 사건을 창조하여 기록의 객관성보다는 극적 구성을 추구하였다. <이수칙>과 <이수칙전>이 인물 행동의 동기를 이성적 판단에서 찾고 성리학 가르침의 정당성을 내세운 반면, <수칙전>은 인물 행동의 동기를 ‘여성 특유의’ 편벽된 감정에서 찾는다. 이를 통해 <이수칙>과 <이수칙전>이 입전 인물의 역사적 의미를 찾고 그 인물을 통해 당대의 흥망을 읽어내도록 구성된 반면, <수칙전>은 전(傳) 작품에서 기대되는 교훈성을 약화시키고 이를 통해 개인의 가치를 찾는데 좀 더 무게를 둔 작품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Yi Ok’s(1760–1815) biographies of exemplary people, focusing on the “Tale of Such’ik” in comparison with the biography works written by Sŏng Haeŭng(1760–1839) and Yi Kŏnch’ang(1852–1898). Yi highlighted Such’ik’s life sufferings caused by upholding female chastity rather than depicting her as an epitaph of female virtues who willingly sacrificed her private pleasure. Yi created and re-organized anecdotes that represent Such’ik’s loneliness and expressed his dissatisfaction with the belated rewards bestowed upon Such’ik. Yi also depicted the geographic location in which Such’ik lived, believed to be his own creation, to represent her as an extraordinary being rather than enumerating a chronological series of events, as in traditional biographical works. Yi adopted literary devices that enabled Yi to run counter to traditional conventions of biography. Traditionally, biographies of exemplary women largely aim to reveal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 person as a sound component of a Neo-Confucian society and also reaffirm the effectiveness of Neo-Confucianism, a state ideology, to cultivate people and enlighten the Chosŏn society. However, Yi Ok’s story leads readers to doubt the seemingly satisfying lives of exemplary women and recognize that appropriate rewards and public recognition are essential to make people’s lives worthy. By weakening didactic themes of the biography, Yi was able to reveal the inner-self of the woman subject who lived a bitter life.

      • KCI등재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서영화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7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othing and ontological difference in case of the early Heidegg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xt, “What is Metaphysics?” (WM) with the “On the essence of ground”, which is written at the same year of WM. First, I criticized the preceding interpretation proposed by W. Schulz, who interprets the Nothing as Dasein’s powerlessness. Also the interpretation of W. Richardson, P. Hoffman regarding Nothing was critically dealt with. Meanwhile I was inspired by the preceding interpretations raised by Park, Chan Kook and Kim Chong Uk, who interpret the Nothing regarding Da-sein’s transfer. Also I was inspired by interpretation raised by A. Guzzoni, who interpreted the Nothing as the same as the extensively grasped beings as such. I will interpret the Nothing “Moving back of beings-in-their-totality (eine Abweisung auf das Seiende im Ganzen)” and “Returning back of being-in-their-totality (eine Verweisung auf das versinkende Seiende im Ganzen)”. In this case, the former means the collapse of public world (die öffentliche Welt) and they-selves (das Man-selbst). Moreover the latter is interpreted as the Dasein’s transfer (Umwendung) and disclosedness of beings as such. Consequently, I will interpret that beings as such do not have their ground as the external cause such as God. Rather beings as such revealed as the beings already in itself bearing Being (Sein)

      •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서영화 ( Seo Young-hw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7 No.-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이하, WM)에서 무에 대한 논의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를 통해 비로소 존재자가 그 자체로 개방된다고 할 때, 무가 갖는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며, 무로부터 개방되는 존재자 자체가 무엇을 의미하는 가라는 문제와 관련된다. 본 논문은 무를 일상적인 세계의 무이자 세인자기의 몰락이며 동시에 현존재가 세계로 초월하는 사건으로 해석할 것이다. 그리고 현존재의 세계로의 초월을 통해 비로소 존재자가 그 자체로 개방된다는 것이 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 테제의 의미임을 밝힐 것이다. 논문 후반부에서는 그 자체로 개방되는 존재자를 자신의 근거를 신과 같은 외재적 원인으로 갖지 않으며, 오히려 그 자신의 존재를 자체 내에 품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othing and ontological difference in case of the early Heidegg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xt, “What is Metaphysics?” (WM) with the “On the essence of ground”, which is written at the same year of WM. First, I criticized the preceding interpretation proposed by W. Schulz, who interprets the Nothing as Dasein’s powerlessness. Also the interpretation of W. Richardson, P. Hoffman regarding Nothing was critically dealt with. Meanwhile I was inspired by the preceding interpretations raised by Park, Chan Kook and Kim Chong Uk, who interpret the Nothing regarding Da-sein’s transfer. Also I was inspired by interpretation raised by A. Guzzoni, who interpreted the Nothing as the same as the extensively grasped beings as such. I will interpret the Nothing “Moving back of beings-in-their-totality (eine Abweisung auf das Seiende im Ganzen)” and “Returning back of being-in-their-totality (eine Verweisung auf das versinkende Seiende im Ganzen)”. In this case, the former means the collapse of public world (die öffentliche Welt) and they-selves (das Man-selbst). Moreover the latter is interpreted as the Dasein’s transfer (Umwendung) and disclosedness of beings as such. Consequently, I will interpret that beings as such do not have their ground as the external cause such as God. Rather beings as such revealed as the beings already in itself bearing Being (S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