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한국학 지원 체제 구축 연구

        김인숙(金仁淑)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러시아의 한국학은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한국학의 발전은 그에 비례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도 한국학은 동양학부의 하위 학문으로 중국학이나 일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시되는 경우도 있어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여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중국과 일본에 비해 턱없이 적은 한국학에 대한 투자도 한몫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떻게 하면 한정된 자원으로 러시아의 한국학 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할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국내와 러시아 현지에 있는 한국학 지원 기관과 그 역할을 조사하고, 각 기관들 간에 지원이 중복되지 않도록 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효과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한국학 지원체제 구성을 위하여 교육부, 문화관광체육부, 외교부 산하 단체의 지원 분야를 살펴보았다. 러시아 현지의 한국학교, 한국교육원, 한글학교, 문화원, 세종학당, 현지 한국어 채택학교 등에서 한국어 교육을 통한 한국학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여기서 길러낸 인재들이 한국학 대학에 진학하여 다시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사 혹은 한국학 연구자로 남거나 취업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한국학 지원 기관들은 협의체를 구성하여 장?단기 러시아 한국학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평가?수정?재투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교사협의체와 한국학대학협의체가 교육과정, 교재, 교사자원, 시설 등의 지원규모나 지원방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효과적인 한국학 지원체제가 구축되어 작동될 것이다. 러시아 한국학이 학문적으로 자리잡고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 한국학 지원 단체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한국학 관련 한인단체, 연구자료, 한국학 관련대학, 연구소 등 인적?물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결해 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내에 있는 한국학 관련 기관과 러시아 현지 한국학 관련 기관들 사이에 원활한 정보 교류와 소통을 위하여, 러시아 현지와 국내에 러시아 한국학 발전을 위한 협의체를 만들고 정기적인 협의를 통하여 그 결과를 국내 해당 부서와 현지 기관에 전달한다. 셋째, 한국학 지원을 받는 러시아의 기관들에 대하여 성과관리를 하여 그 결과에 따라 환류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물론 효율적인 성과 관리를 위해서는 일률적인 평가보다 연구기관이나 대학들의 개별여건과 상황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평가운영을 하여야겠다. Korean Studies in Russia has a history of over 150 years. Nevertheless, the performance of the study does not proportionally. Korean Studies undoubtedly being neglected compared to Chinese Studies and Japanese Studies of the sub-disciplines of the Faculty of Oriental Studies. Compared to China and Japan, the part of this reason is the extremely scarce research funding. The researchers studied how limited resource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n that way, I investigate the role of Korean Studies in Korea and local support agencies in Russia. To avoid duplication between each agency and to be an effective support, I build a support system. I tried to observe areas of support of Affiliated organizations of Ministry of Education, of Culture and Tourism, athletic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s Korean Studies support system components. The process of circulation is how the students trained in Korea Institute, Korean school. Council, Sejonghakdang, the adoption of the local Korean school go to college Studies by Korean institutions as a teacher or researcher on Korean Studies and are employed. In this course of the circulation, Studies support agencies configure the council establish, apply, evaluate, modify, long?short-term plan for development of the Russian Studies and repeat the process to apply the re-supply and the teacher council. If we complement and improve them, effective Studies support system is built to work. For Korean Studies in Russia to develop,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building and connecting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Korean Studies, research, and Korea-relate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by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Russian Studies support groups is required. Second, for the seamless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Studies related agencies in Korea and Korea-related institutions in Russia and for the development of Russian Studies at the Russian local or domestic, we create a council and consult regularly deliver the results to national relevant departments and local agencies. Third, reflux about the Studies of Russia in agency receiving assis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is necessary. Of course, it is required to operate flexibly,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 than a uniform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institutions or universities.

      • KCI등재

        총체적 개념의 중국학을 위한 언어학의 역할과 대상에 관한 시론

        박찬욱(Park, Chan-Wook)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7 No.-

        본고는 중국학을 위해서 언어학이 지향할 역할과 연구 대상에 대해 시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로서의 중국학은 중국에 관한 학문 정도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유래와 지역 및 연구 대상의 상이함에 따라 중국학은 Sinology와 Chinese Studies란 명칭으로 각기 다르게 불려왔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의 중국학은 Chinese Studies로 범칭되는데, 학문 체계상 상 위 학문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중국학은 여러 하위 학문 분과의 단순 병합이 아닌 공동의 연구 주제를 갖는 하위 학문 분과 간 유기적인 총체이어야 한다. 그 속에서 언어학은 향후, 중국의 제(諸)현상을 좀 더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등 기타 연구 분과들과 통섭을 도모하며 주제와 사고를 확장해 나가야할 것이다. 예견되는 글로벌언어로서의 중국어가 현 글로벌언어로서의 영어와 위세 상 어떤 지위 관계를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중국학을, 중국에 국한한 중국학이 아닌, 일본, 한국, 인도, 필리핀 등 기타 국가학과의 관계를 고려한 아시아학의 하나로 위치시킬 때 이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ole and object of linguistics as one of the subordinate fields of Chinese Studies. Chinese Studies as an academic field have been regarded as such as various studies of China. However, as the origin and the region and the subject are different, Chinese studies have been called Sinology and Chinese Studies. And today, Studies of China in Korea are commonly referred to Chinese Studi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higher academic category in the academic system. It should be an organic aggregate among the academic disciplines that have a common research theme, rather than a simple merging of the different sub-discipline. In the future, linguistics will have to expand its subject and thinking by cooperating with other research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anthropology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hina. In particular, whether Chinese as a predicted global language can have a status relationship with English as the current global language will be understandable when it is positioned as one of Asian Studies considering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 studies, such as Japan, Korea, India, and the Philippines, rather than Chinese Studies that are limited to China.

      • 洪川學 儒學思想 및 精神史 構築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한국학연구원 2017 국제한국학저널 Vol.2 No.-

        본 논고는 洪川學 儒學思想 및 精神史 構築 硏究이다. 논자는 한국 유학 및 토대연구를 정리하면서 홍천학을 기반으로 글로컬 전체를 포괄하는 시각을 가져야 할 시점이가고 제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고는 홍천학-강원학-글로컬 한국학을 기초로 한 동아시아 중심에서 글로컬에 입각한 사상과 문화 및 역사를 수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인재 양성이 절실히 요청되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이론적 기초로 홍천학이 제시되어야 함을 역설하는 바이다. 논문의 차제는 洪川學의 儒學思想史 文獻資料 一考/ 洪川 鄕校 ․ 書院의 儒學思想과 儒學資料 論議/ 洪川學 精神史의 現代的 構築이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로는 안동의 국학 연구와 실천 중국 절강성의 국학 연구와 실천, 산동성 곡부의 공자와 추현의 맹자에 관한 유학사상 구축, 일본의 동경과 교토의 국학 연구 실천을 목도하면서 홍천학의 벤치마킹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유교 유적지인 홍천의 향교와 서원의 전통적 역할은 교육과 享祀의 전통의 현대적 해석을 제안하면서 교육의 목적은 나라에 쓰일 棟樑을 양성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21세기 전통의 현대적 적용으로 오늘날 성균관과 향교는 재정비의 노력으로 전국 대부분의 향교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인성교육’과 ‘예절교육’ 등으로 사회교화의 교육을 통하여 본래의 역할을 회복시키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향후 미래 비젼으로 누정 등의 복원과 충효의 인성교육 방안은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인성교육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This study is Hongcheon Studies’s Confucian thought and building intellectual history. Summarizing studies on Korean Confucianism and foundation, the author is to suggest that it is time to have a view that embraces the entire glocal based on Hongcheon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training of actual talents that can accept ideology, culture and history based on glocal is urgently required in the center of East Asia on the basis of Hongcheon Studies-Kangwon Studies-glocal Korean studies and Hongcheon Studies should be presented as a theoretical basis to meet these demand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e paper is Confucian thought history literature materials of Hongcheon Studies of consider/ Hongcheon Hyanggyo ․ Confucian thought and Confucian materials discussion of lecture hall/ modernistic building of Hongcheon Studies intellectual history. Witnessing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Andong,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Zhejiang Province, China, construction of Confucian thought about Mencius of Confucius and Chu-hyeon in Qūfù, Shandong Province, research and practice of national studies in Tokyo and Kyoto in Japan a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aper, we proposed the benchmarking of Hongcheon Studi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al role of Hyanggyo and lecture halls in Hongcheon, which are representative Confucian sites, is to suggest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and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pillar that will be used in the country. Due to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21st century tradition and the effort of reorganization, there is a movement to restore the original role through the education of social enlightenment with youth personality education and manners education for young people in most of the nationwide Sungkyunkwan and Hyanggyo today. With future vision, plans for restoration of Nujung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filial piety require more practical and concret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rgently.

      • KCI등재

        중남미 문화연구에 대한 고찰

        이성훈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2 외국문학연구 Vol.- No.12

        Culture Studies originated in the Great Britain in 1950s and 1960s, does not necessarily come to a realization with an unified character and an universal form. As an intellectual project, each Culture Studies bears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nd also different form according to history of the nation in which Culture Studies has been performed. For example, there is profound difference in the way Culture Studies is carried out among in Great Britain where Culture Studies was originated, and in United States, and of course in the Latin America. This make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ulture Studies significant. It is of much importance to understand what kind of form does Culture Studies takes and why one can find various forms of the Culture Studies, in considering the practical aspect of Culture Studies. This means that Culture Studies itself is not performed in search for a sole project, but is deeply affected by the text or the language on which Culture Studies is carried out and the ideological attitude the researcher bears toward the text. In that sense, the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its own value, and it shows a certain tendency in diverse spectrum of the theory camps in the Latin America, and complications and agony that the Latin American intellectual went through seeking alternatives for the globalization which has taken place since 1990s. What this paper like to present is to draw the ‘cognitive map’ of the theory camps in the Latin America, covering the process that Culture Studies was discussed among Latin American intellectuals, and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caused the fundamental distinction, other than to introduce a mere general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Culture Studies. Moreover, through this discussion, on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e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presents, and criticize a few concept about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As we saw above, Culture Studies in the Latin America was formed in the state of both tension and cooperaton with literature criticism. With not only the hybriditical nature of the Latin American literature but also social stand Latin American writers has hold, one may say that the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has been ahead of others in raising an issue in research method or in research criteria of Culture Studies. Due to the peculiar intellectual tradition in Latin American and Sociohistorical condition, one may see the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has its ownand distinguished feature. Unlike the western Culture Studies which took up most part of existing literature criticism after it was rapidly forced out of the scene, in Latin America Culture Studies actively absorbed the analyzing tools of literary criticism and broaden its criteria, in other words, cultural-researchization of literature criticism was the distinguished tendency in Latin America. The phenomenon that the theoretical concepts widely used in literary criticism are adapted as tools for analyzing the culture to the culture researcher is one evidence. On the other hand, whereas the western Culture Studies pursued bringing something political to substantial routine space, that is, micro-politics, the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tried to solve politic problems in the very conceptual space-the Nation. That tells us about the intellectual complication of Latin American intellectuals who still has modern problems with them and attempts to solve this through ‘post-modern’ Culture Studies as a key. In short, Latin American Culture Studies adapting the tools general culture studies suggests, according to Latin American situation, searches for its own and unique method.

      • KCI등재

        국사와 동양학 사이의 좁은 틈 -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의 ‘동양문화연구’

        정준영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문제연구 Vol.23 No.1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has been promoted as one of the universities’ raison d'etre since the foundation of Keijo Imperial University(KIU) in 1926.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and status of Chinese studies at KIU, followed by Hattori Uunokichi, Fujitsuka Chikashi, and Abe Yoshio, and evaluates the ideal and reality of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pursued by them through this.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focusing on the unique status of oriental studies related to the founding ideology of KIU.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asked what kind of the intellectual apparatus devices was institutionalized for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in KIU, and how this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was related to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institutional outline of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at KIU from a whole point of view, and analyze how the activities of japanese scholars are located in this institutional field. This study identifies the trajectory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East Asian Culture’ at KIU, focusing on Chinese studies. ‘동양문화연구’는 1926년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될 당시부터 중요한 대학의 존립근거로 내세워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핫토리 우노키치(服部宇之吉),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아베 요시오(阿部吉雄)로 이어지는 경성제국대학 ‘지나학(支那學)’, 즉 중국학 연구의 흐름 및 그 위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들이 표방했던 ‘동양문화연구’의 이상과 현실을 가늠해본다. 지금까지 경성제국대학의 창설이념과 관련해서 동양학ㆍ동양사학의 독특한 위상을 주목한 연구들은 없지 않았지만, 현실의 경성제국대학이 과연 ‘동양문화연구’를 위해 어떤 ‘지(知)의 장치(裝置)’를 제도적으로 구축했으며 또 그것이 식민지의 현실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에 대해서, 이를 아울러 검토하는 작업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한국학, 중국학, 역사학, 문학 등 오늘날 통념화된 분과학문적인 구획선을 넘어서 경성제국대학 동양문화연구의 제도적 윤곽을 보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개별 연구자의 활동을 이런 ‘지의 장치’ 배치구조 위에 위치 지우는 작업이 요청되는 것도 이 지점에서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학을 중심으로 경성제국대학 동양문화연구의 궤적 및 특징을 요약하고, 남겨진 연구과제 몇 가지를 제시한다.

      • KCI등재

        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 - 茶山 字學 연구의 범위 및 經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양원석(Yang, Won-seok)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본 논문은 茶山 丁若鏞(1762~1836)의 字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산 자학 연구의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그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 그리고 다산 자학의 여러 내용 중에서 특히 字學과 經學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그의 인식과 사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다산 자학에 대한 총체적 연구를 위해서는 그의 문집 與猶堂全書 에 흩어져 수록되어 있는 자학 관련 자료를 집성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아울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산 자학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산 자학의 연구 범위와 그 내용으로, ‘자학과 소학에 대한 인식’, ‘자학 이론에 대한 견해’, ‘六書에 대한 견해’, ‘문자 敎育觀과 문자 교육의 방법론’, 그리고 ‘字學과 經學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 ‘자학의 방법론을 활용한 경학 연구’, ‘ 說文解字 등 字書 를 활용한 경학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자학과 경학의 관련성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정리해 보았다. 즉다산은 ‘자학은 경학을 위한 도구적 방법론’이라는 일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산이 자학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학 연구를 진행하였던 구체적인 사례와 그 양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原義 에 근거한 훈고를 활용하는 방법’, ‘독창적인 문자 풀이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經傳 字句에 대한 訓詁를 진행하였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Chinese characters studies of Da-san Jeong yak-yong(1762~1836). To speak concretely, this paper wa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scope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examining his recognition and cases of mutual relation be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For overall research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o collect material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studies scatter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scope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in order to propose of the direction of the study. Accordingly, this paper, as research scope and contents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proposed ‘Recognition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Xiao-xue(小學)’, View of theories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 and studies utilizing Chinese Dictionary(字書) such as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Study of Chinese classics utilizing methodologies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Shuo-wen-jie-zi(說文解字) etc.Continuously, Da-san s view of relation bw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was summarized.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Da-san had ordinary viewpoints that Chinese characters studies are an instrumental methodology for Chinese classics. Also, the author reviewed the concrete cases and aspects in which Da-san made researches of Chinese classics utilizing a methodology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 KCI등재

        역사학으로서 불교사학의 지형과 방법

        조명제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As Buddhism gained attention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Western modernity, studies of Buddhist history came to the fore in modern East Asia. In the field of history, studies of Buddhist history in most countries were carried out on the level of the history of one country. Diverse research topics were pursued, yet many studies only paid attention to Buddhism as a political ideology, as well shown, for instance, in the theme ‘the state and Buddhism’. Previous studies also concentrated on specific periods and topics, rarely questioning research methodologies. Concerning the problems observed in these trends, I groped for research methodologies to use in studies of Buddhist history and proposed the following: First, we should examine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ideas. We need to examine comprehensively how Buddhist philosophy was born, how it evolved over time, how it was tied to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what were its roles and functions.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history of ideas. We need to not limit ourselves to the scope and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a single country and the history of the state that have been predominant in historical studies so far. We need to work toward a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Third, we need to find ways,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regard studies of Buddhist history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Such studies need to deal more with the overall scholarship of Buddhism in a more comprehensive way that is carried out in a wide array of areas, including studies of Buddhism,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religious studies, archeology, linguistics, history of architecture and art history. 78 한국불교학 77 Fourth, we need to understand phil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Since there are a variety of versions and content of existing Buddhist literature in the form of original manuscripts and printed copies, corrections to texts need to be based on bibliographies, studies on proofreading and editing and philology. Based on this, we need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houghts in the documents concerned, and further, of the documents themselves by interpreting a history of ideas. These methodologies are typically found in recent studies of the history of ideas presented in the quotes of Chinese Zen monks. 불교는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대표적인 종교이자 사상으로서 존재하였다. 그러나 불교는 중화주의와 오리엔탈리즘으로 인해 학문적 위상이 무시되거나 낮게 평가되었다. 더욱이 사상사는 역사학계에서 중심적인 연구 분야가 아니었고, 그나마 연구자의 관심을 받은 분야도 유교사였다. 이러한 전반적인 추세에도 불구하고 불교사 연구는 근대 이후 동아시아 학계에서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한국의 신앙결사 연구, 일본의 현밀체제론과 같이 역사학계가 사상사적 위상을 제고한 주제에서잘 드러나듯이 불교사 연구를 주도한 분야가 적지 않으며, 불교학계를 비롯한다른 분야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역사학 분야의 불교사 연구는여전히 제한된 주제에 머물러 있거나 인문학 전반에 파급된 연구 성과가 적어지고 있다. 나아가 불교사학은 자국사라는 틀에서 진행되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역사학계에서 불교사학이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불교사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불교사학의 방법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상사적 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 아울러이러한 방법론은 일국사 차원을 벗어나 동아시아 범위로 확대하고, 사상사 일반의 흐름을 염두에 둔 방법론으로서 추구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은 인물 중심의 연구방법론이 가진 한계를 탈피하여 매체를 통해사상의 사회적 확산과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방법론과 같이 새로운 연구 방향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제적 연구를 통해 불교사학을 하나의 독자적인 영역으로서 모색할필요가 있다. 이는 방법으로서 불교를 염두에 두고 불교와 연관된 주요 학문분야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전체사로서의 불교사를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문헌 자료의 이용에서 엄밀한 문헌학적 연구 방법론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구

        박상천(Park Sang-chu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문화콘텐츠나 문화콘텐츠산업이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크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교육과 학문연구도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 관련연구가 기존의 학문 영역이나 연구 분야와는 차별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독자적인 학문의 영역이나 연구 분야로 인식되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는 먼저 문화콘텐츠 연구가 별개의 분과 학문으로 정립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학문 분류에 대한 원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학문 분류의 기준인 ‘분명한 학문 대상’을 가지고 있고 기존의 학문 영역의 방법론과는 다른 새로운 연구의 방법론이 필요하고 또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분야라는 점에서 개별 분과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는 당위성을 논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학술진흥재단의 연구분야 분류에 문화콘텐츠학이 등재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위한 문화콘텐츠 연구자들의 토론의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한 가지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영역의 범주와 하위 연구분야에 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연구의 대상인 문화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복합체적 속성과 앞으로 정립되는 문화콘텐츠학은 각 학문 영역의 융합이 이루어진 복합적 학문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논하고 문화콘텐츠학을 ‘복합학’의 하위 분류로 편성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학의 하위 연구 분야 분류에 관한 두 가지 안을 제시하였고 세분류를 설정하는 세 가지 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discussing the need for cultural contents studies to establish as a systemized independent study, which is to be separated from other studies. That's why lots of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at university in Korea, concerned studies have been studied actively, and now it's under its own way. As this new study has its own character of mixed studies, so it should have its own new system of multi studies out of existing system of classifying studies. I tried to insist that cultural contents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department with the theory, quoting the Tefko Saracevic and Alan M. Ress, who presented the requisites for the establishment, and prove that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already had the specific system as the independent department. And I presente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hould register the cultural contents study as the independent one on the classified table of its studies' field. For that I also prepared proposal about cultural contents study's domain and subordinate fields of study.

      • KCI등재

        한국 중동학 현황에 관한 연구:

        안정국(Ahn, Jung-Kook) 한국중동학회 2015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6 No.2

        이상과 같이 국내 중동지역학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현황을 연구자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에 국내의 중동지역학 현황에 관한 분석을 시도한 몇편의 연구가 있으나 연구자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발간된 바가 없었으므로,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중동학 연구자들의 주요 배출 경로와 연령대별 분포, 연구 활동의 경향을 살펴보는 데 하나의 자료를 갖게 되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연구대상 6개 학술지에 모두 304명에 달하는 연구자가 중동학 관련 논문을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꾸준하게 중동학 관련 학술활동을 펼쳐온 연구자의 수는 연대별로 100여 명에 지나지 않는다. 6개 학술지를 전체적으로 놓고 봤을 때, 연구자들 중 가장 많은 편수의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는 황병하 조선대 아랍어과 교수로 56편에 달하였다. 그리고조희선(54편), 김중관(50편), 김종도(49편), 임병필(49편), 김능우(43편) 등의 연구자가 그 뒤를 따랐다. 게재편수 상위 21명의 연구자들이 게재한 논문의 수가 거의 800편에 육박하고 있어, 6개 학술지 전체 2,280편의 논문 중 약 35%가량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970년대 이후 출생한 신진 연구자의 학계 진입이 이전 세대에 비해 대폭 축소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다행스러운 것은 한국외대의 국제지역대학원을 통해 근래 박사학위를 취득한 신진 연구자들이 10여 명 이상 배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이들이 향후 전문 학술연구자로서 학계에서 활동을 지속해갈지의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iddle Eastern Studies, focusing primarily on researchers based in Korea.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status of Middle Eastern Studies, this is the first time s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a researcher-centric basis. This research focuses on publications of researchers from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Middle East Studies (Korean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Korean Association of Islamic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mic Studies), Korean Association of Arabic Language and Literature (Arabic Language and Literature), and academic publications from universities such as the Institute of The Middle East Studies (The Middle East Studies) und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nstitute of Middle Eastern Affairs (Journal of Middle Eastern Affairs) under Myongji University, and Institute for Mediterranean Studies (Journal of Mediterranean Area Studies) under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six organizations stated above is the first volume of Korean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in 1980. Afterwards, a total of 304 researchers have published their articles through the 6 journals, although in reality, researchers actively researching the Middle Eastern studies have never surpassed 100 at any given time. The current demand for Middle Eastern Studies are heavily weighted toward energy and commerce while the studies being conducted are on language, literature, and sociological studies which have been previously recognized and criticized. Due to this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researchers are currently working in fields that have little to no relationship with their academic majo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is phenomenon and to provide future support an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iddle Eastern Studies.

      • KCI등재

        지역연구의 종합성, 학제성과 한국의 MENA지역 연구

        정상률(Jung, Sang-Ryul) 한국중동학회 2020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40 No.3

        Area studies began long ago on a travel diary but today area studies which is characterized by practicality, synthesis and integration,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germinated during World War I and began to become a major study at U.S.A. in the postwar period. Area studies began at the level of ‘practicality and utility , which required synthesis,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and consilience research. At the academic level, however, there has been a debate over academic hegemony between the disciplines(division studies) and area studies. After a fierce debate, there is a convergence between ‘the methodology of division studies’ and ‘the regional specificity of area studies’. Korea s MENA area studies began in 1980 with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and it began to grow into a practical and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from the 1990s, with the support of area research by th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in universities. However, when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JMES, some purpose has been achieved, but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aspec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called ‘area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