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적절하게 수복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야기된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 치험례

        박주석,손흥규,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이소맹출이란 영구치열의 발육 과정 중에 국소적 맹출장애로 인하여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소맹출은 2∼6% 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제1대구치에서 호발하며 주로 상악에서 많이 나타나고 하악에서는 드물다. 이소맹출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으로 부적절한 치열궁 길이. 상악 후방부의 성장 부족, 제1대구치의 근심 맹출, 비정상적으로 큰 제1대구치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소맹출된 치아 중 66%는 가역성이므로 3∼6개월 정도의 관찰 기간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비가역성 이소맹출인 경우에는 brass wire 나 elastic separator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치료 방법, 제2유구치의 distal discing, Humphrey appliance 등과 같이 제2유규치를 유지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및 제2유구치 발거 후 가철식 장치나 cervical traction headgea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하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된 남환아로 구강 검사 및 방사선 검사 결과, 4년전 개인 치과의원에서 수복된 우측 하악 제2유구의 stainless steel crown을 제거하고, Humphrey appliance를 제작하여 장착하였으며, 약 10주 후에 고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이소맹출은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의 선택, trimming 및 contouring 등이 매우 중요하다. Ectopic eruption is out of a normal position by local eruption disturbance in the developing permanent molar. The prevalence of ectopic eruption is reported to be the between 2 and 6%, most often associated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whereas, the occurrence for the mandibular is quite rare. The etiologic factors of ectopic eruption are inadequate arch length, lack of growth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jaw, mesially inclined eruption path of first permanent molars, abnormally large first permanent molars, hereditary factor and a stainless steel crown which has been improperly restored. Ectopic eruption can be treated by the use of brass wire, separating elastics, distal disking and Humphrey appliance and the use of removable appliance and cervical traction headgear after extraction of the second primary molar. This case was that lower right first permanent molar was mesially tilted state by locking on the stainless steel crown of a lower right second primary molar. The stainless steel crown was removed and Humphrey appliance was set. Like this case, ectopic eruption could be happened by the stainless steel crown which improperly restored. In restoration of the stainless steel crown, selection of proper size, trimming and contouring are very important.

      • KCI등재

        Stainless steel crown을 위한 수종 시멘트의 접착력 비교

        김홍렬,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3

        Stainless steel crown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수복방법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선학들의 연구에 의하면 stainless steel crown장착에 있어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8배 이상의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 시술에 있어서 시멘트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tainless steel crown의 접착을 위하여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인산아연 시멘트,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접착력을 비교분석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인산아연 시멘트로 FLECK'S,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로는 HY-Bond,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는 Viremer, stainless steel는 Sun-Platinum plate를 사용하였다.Bovine teeth,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I LC),아밀감(Valiant)상에 3종의 시멘트로 형성된 기둥을 세워 또한 양자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한편으로는 stainless steel plate 상에 3종의 시멘트 기둥을 세워 또한 양자간의 인장접착 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ANOVA와 Student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Stainless steel crown에 대해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2.Bovine teeth와 수복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 대해서는,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가장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다음으로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인산아연 시멘트의 순이었다. 3.아말감 수복재에 대해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bond strengths between stainless steel plate and zinc phosphate cement,polycarboxylate cement and glass ionomer cement,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cementation of stainless steel crowns.Three cementing materials were glued to the poles standing above stainless steel plate,bovine teeth,light cured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 and amalgam.And the tensile bond strengths between them were measured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ANOVA and student t-test.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On stainless steel plate,glass ionomer cement and polycarboxylate cement showed higher tensile bond strengths compared to zinc phosphate cement,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two. 2.On the surface of bovine teeth and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glass ionomer cement showed highest bond strength,followed by polycarboxylate cement and zinc phosphate cement in oder. 3.For amalgam restoration,polycarboxylate cement and glass ionomer cement showed higher tensile bond strengths than zinc phosphate cement,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two.

      • KCI등재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수복 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생존율 비교 평가: 후향적 연구

        정가희,이난영,신혜원,박수현,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2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50 No.3

        Due to increasing demand for aesthetics, zirconia crowns have become a popular choice for treating primary molars. However, there is limited literature available comparing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crowns with those of other restorative 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36-month survival rates of zirconia crowns and stainless steel crowns for proximal caries, as well as to analyze failure types associated with each crown type.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1,061 primary molars from 498 patients treated with 2 types of prefabricated crowns at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2 private dental clinics between 2017 and 201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urvival rate of zirconia crowns was found to be lower compared to that of stainless steel crowns. Regarding the groups without pulp treatment, the survival rate of stainless steel crow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zirconia crowns. However, in the groups that received pulp therap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preformed crowns. Notably, abnormal root resorption or periapical lesions were identified as the primary cause of restorative failure in stainless steel crowns, whereas loss of restoration was the predominant cause in zirconia crowns. This study holds valuable implications for clinicians when selecting preformed crowns for primary molars.

      • KCI등재

        Silicoater technique을 이용한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수복의 임상적 평가

        이상호,이창섭,김왕근,정연화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1

        광법위한 치질파괴가 있는 상악유전치를 갖는 소아에서 silicoater technique에 의한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수복 후 3∼12개월 동안 주기적 검사와 수복물의 평가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행동조절이 어려운 소아에서 chair time을 감소시킴으로써 행동조절에 도움을 주었다. 2. 유지력,내구성,심미성이 우수하였으므로 유전치부의 광법위한 치질손상시 유용한 수복방법이다. Restoration of severly carious, malformed or traumatically fractured primary incisors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challenges in restorative dental care for preschloers. In restoring primary anterior teeth, four types of complete coverage crowns have been attempted over the years. Stainless steel crowns,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s, acid-etched crowns(strip crowns), and preformed polycarbonate crowns have been the choeces. While these restorations have beem accepatable for many patients, they all have very distinct limitations. The ideal full coronal restoration for a primary incisor requires durability, retention, and esthetics. This paper reported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by silicoacter technique.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 by silicoater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a durable, retentive, and esthetic restoration.

      • KCI등재

        유전치 기성 크라운의 형태 및 치질 삭제량 비교

        김소영,임유진,이상호,이난영,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1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structions for size selection of prefabricated crown and tooth reduction by 3-dimensional analysi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prefabricated crowns (celluloid strip, resin veneered stainless steel, and zirconia crowns).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of 300 Korean children was scanned with three types of prefabricated crown to create standard three-dimensional tooth models and prefabricated crowns. The shapes of the prefabricated crowns and natural teeth were compared according to four parameters (mesio-distal width, height, labio-palatal width, and labial surface curvature coefficient)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tooth reduction required for each prefabricated crown. The size 2 resin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size 1 zirconia crown, and size 2 celluloid strip crown were most similar in shape to the primary central incisor. The size 3 rein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size 2 zirconia crown, and size 3 celluloid strip crown were most similar to the primary lateral incisor. The amount of tooth reduction was similar in both maxillary prim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The incisal reduction was greatest for the zirconia crown. At the proximal surface, the zirconia and celluloid strip crowns required a similar amount of tooth reduction, but more than the resin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 The labial surface reduction was greatest for the zirconia crown. The degree of lingual surface reduction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hree prefabricated crowns. Among the assessment parameters, mesio-distal crown width was the most important for choosing a prefabricated crown closest to the actual size of the natural crown.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기성 크라운 즉, 레진관, 레진피복 금속관,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크기와 형태를 3차원적으로 계측하여 자연치와 비교함으로써 기성 크라운의 크기 선택과 치질 삭제량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00개의 유전치 석고모델과 3종의 기성 크라운을 대상으로 3D 스캐너와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으로 3차원적 모델을 만들었다. 3 차원 모델에서 치관의 근원심 너비, 치관 높이, 치관 ratio, 순면의 곡률반경 등 4가지 평가 척도에 의해 각 기성 크라운별로 한국인 자연치 표준모형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고르고 이를 기준으로 치질 삭제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유중절치의 경우 기성 크라운별로 레진피복 금속관은 2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1번, 레진관은 2번이, 유측절치의 경우 레진피복 금속관은 3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2번, 레진관은 3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치아 삭제량은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같은 양상을 보였다. 절단연에서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삭제량이 가장 컸다. 인접면은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레진관이 비슷한 삭제량을 보였으며 레진피복 금속관에 비해서 컸다. 순면 역시 지르코니아 크라운이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삭제량이 가장 컸다. 설면의 경우 순면에 비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적었으며 3종류의 기성 크라운 간에 삭제량차이도 크지 않았다. 크라운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한 4가지 평가 척도 중 치관의 근원심 너비가 기성 크라운의 크기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척도로나타났다.

      • KCI등재

        제 2유구치 기성금관 수복에 따른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

        배익현,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소아치과 임상에서 기성금관 수복은 광범위한 우식병소를 가졌거나 치수치료를 받은 치아에 필수적인 술식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치아 삭제 과정 중 인접 치면에 의원성 손상이 생길 경우 우식이환율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제 2유구치에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할 때 인접한 제 1대구치 근심면에 발생될 수 있는 의원성 손상은 치아 우식으로 진행될 잠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2유구치의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의 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기성금관으로 소복한 제 2유구치의 원심면을 치간이개용 고무링으로 치간이개를 한 후 리버인상재로 인접면의 인상을 채득하고 주사 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여 의원성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제 1대구치의 근심면이 인기된 시편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약 66.7%에서 다양한 유형과 정도의 의원성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구치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는, 치간이개용 고무링이나 wedge를 이용한 치간이개, matrix band를 이용한 인접 치면의 보호, 인접면 삭제방법의 수정 등과 같은 의원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술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is an useful restorative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badly broken down primary teeth. However iatrogenic damage to adjacent teeth might occur during the process of tooth reduction. Such damages might lead to plaque accumulation and increase the risks of caries initiation. Especially the damage can make a problem in the first permanent mola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iatrogenic damage to the first permanent molar during preparation of second primary molar for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Twelve children restored with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to second primary molar were selected. Contact areas were separated with separation elastics, and tooth surfaces were cleaned. After taking negative impression using vinylpolysiloxane impression material, the specimens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e detection of iatrogenic damage. The prevalence of iatrogenic damage was 66.7% and variable appearances and So we can suggest that when preparing teeth for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we should be careful about adjacent teeth not to make an iatrogenic damage.

      • KCI등재

        치과 치료학에서 적용되는 접합기술 연구 ; 스테인리스강 크라운에 접합된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과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김광수,백광우,Kim, Gwang-Soo,Baek, Kwang-Woo 대한용접접합학회 2011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of the bondings between stainless steel crown/direct type composite resin and stainless steel crown/indirect type composite resin. Four groups of bonding conditions were prepared. Two groups of bonding conditions were made by the indirect type composite resin system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made by the direct type composite resin system. The shear strength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4465 of Instron Co.. It was indicated that the bond strength values of the indirect type composite res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direct type composite resins. TE-SE group was superior to the TE-ONE in indirect type resin system. These results were thought to be the high degree of the polymerization accompanied with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resin of indirect type resin. It was also found that indirect composite resin contains less amount of porosity in resin.

      • KCI등재

        치수복조재와 최종수복재에 따른 대구치 부분치수절단술의 비교

        이지미,이난영,이상호,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ccess rates of two pulp capping materials, BiodentineTM and RetroMTA®, used for partial pulpotomy in permanent molars after carious exposures and to compare the final restorative outcome of using composite resin to that of using a stainless steel crown. We studi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dental caries of permanent molars and underwent partial pulpotom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each treatment.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outcomes of two groups. For pulp capping agents, the success rate of using RetroMTA® was lower than that of using BiodentineTM(p < 0.05). Final restoration with composite resin was less successful than restoration with an stainless steel crown(p < 0.05). In combination of pulp capping agents and final restoration material, RetroMTA®- composite resin shows the lowest success rate(p < 0.05). 이 연구의 목적은 우식에 의해 치수가 노출된 영구대구치에서 BiodentineTM(BD)과 RetroMTA®(RMTA)의 치수복조재 및 stainless steel crown(SSC)와 composite resin(CR)의 최종수복재를 적용하여 치료한 부분치수절단술 증례들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비교 평가를통해 각 치수복조재 및 최종수복재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구대구치의 상아질의 우식으로 진단되어 부분치수절단술을 받은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과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증례를선정하여 임상적 평가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치료의 성공률을 평가하였으며 각 성공률에 대해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치수복조재에 대한 평가에서 BD이 RMTA에 비해 더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최종수복재를 평가하였을 때 SSC으로 수복했을 때 CR으로 수복한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로 RMTA를 사용하고 최종수복재로 CR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 치과 진료시에 적용되는 접합기술 연구(I) : 치과용 스테인리스강 크라운에 접합된 직접용 Composite Resin과 간접용 Composite Resin의 미세조직 비교 관찰

        김광수,김재민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14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icrostructures of the bondings of stainless steel crown/direct type composite resin with stainless steel crown/indirect type composite resin. Four groups of bonding conditions were prepared. Two groups of bonding conditions were made by the indirect type composite resin system(TE-SE)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made by the direct type composite resin system(TE-ONE). The extensive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stereoscope,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icrostructural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re were sound and unsound bonds for TE-SE group. While there was no unsound bond for the TE-ONE group in indirect type composite resin system. The unsound bond for the TE-SE resin might be the reason for the thicker application of primer bond. These unsound bond might affect the poor bonding properties. It was also found that indirect composite resin contains less amount of pores in resin.

      • KCI등재

        Evaluation of Titanium-nitride Coated Crown: Surface Hardness, Corrosion Resistance and Color Sustainability

        김효진,임수민,김진영,Kim, Hyojin,Lim, Sumin,Kim, JinYoung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타이타늄-질소 코팅된 금속관(TiNCs)의 표면 경도와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SSCs)의 표면 경도를 비교하고, TiNCs의 부식 저항성 및 물리적 자극에 대한 금색 코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표면 경도 시험을 위해 10개의 TiNCs와 10개의 SSCs를 사용하였다. 각 금속관 종류당 총 30번의 경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비교하였다. 부식 저항성 시험을 위해 직사각형 형태의 TiNC와 SSC의 원재료(금속관으로 가공되기 전 판상 형태)를 준비하였다. 각 금속관 종류 당 2회의 부식 시험을 시행하였다. 부식 용액에 용출된 금속 이온의 총 양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5개의 TiNCs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칫솔력에 대한 색조 안정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TiNCs의 평균 경도는 SSCs의 평균 경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TiNCs와 SSCs의 원재료로부터 용출된 금속 이온의 총 합은 ISO 22674(재료의 무결성에 관한 기준) 기준치를 넘지 않음을 확인했다. TiNCs의 금색 코팅은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에 대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 안정성을 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rface hardness between titanium-nitride coated crowns (TiNCs) and stainless steel crowns (SSCs), and to evaluat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color sustainability of TiNCs. Ten TiNCs and 10 SSCs were used for the hardness test. Measurement was performed 30 times for each type of crowns, and the mean values were compared. Metallic raw material plates (before being processed into crowns) of TiNCs and SSCs were prepared for the corrosion resistance test. The total amounts of metal ion releases in the test solution were detect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Five TiNCs were subjected to the color sustainability test by applying repetitive brushing forces. The mean hardness values of TiNC group and SSC group were 395.53 ± 105.90 Hv and 278.70 ± 31.45 Hv respectively. Hardness of TiNC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SCs. The total amounts of metal ion releases from the materials of TiNCs and SSCs satisfied the criterion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2674. The results mean that TiNCs and SSCs were not harmful in an acidic environment. The golden coating was stable against the repetitive physical stimulations for a given perio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