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중학생의 스포츠맨십 형성 유형과 양상 탐색

        박정준(Jeong J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중학생의 스포츠맨십 형성 유형과 양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 국내외 프로그램 분석,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250여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농구, 이어달리기, 배드민턴 종목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참여 관찰, 현지문헌, 심층면담, 현장 일지 등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Spradley(1980)의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 분석에 따라 자료를 기술, 분석, 해석하였다. 학생들이 형성한 스포츠맨십은 인지, 감정, 행동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적 스포츠맨십``은 스포츠 활동에 내재된 가치를 인식하는 ``가치 이해``, 자신과 타인의 행동과 상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가치 평가``, 일상생활과 관련지어 사고하고 해석하는 ``가치 확장``의 형식으로 나타났다. 감정적 스포츠맨십은 스포츠 활동에서 사물, 인물과 다양한 감정을 교류하는 ``감정이입``, 감정을 수용하고 느끼며 의지를 표현하는 ``감정조절``, 자신과 타인의 행동에 대해 정서적인 평가를 하는 ``정서적 성찰`` 형식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맨십 관련 행동은 ``성실한 참여 및 학교생활``, ``협동으로 만들어진 우정``, ``정직한 경기와 판정``, ``동료, 상대선수, 가족에 대한 배려``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성 함양을 위한 체육교육은 첫째, 사람됨의 교육이 핵심 목적이 되어야 한다. 둘째, 반드시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한다. 셋째, 다방면의 교육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넷째, 스포츠맨십 교육의 성패는 교사의 모범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학급, 학교, 가정과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스포츠맨십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ation type and asp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portsmanship through developing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ISEP). In regards to developing sportsmanship physical education program concepts and contents, documentation including a range of sportsmanship programs, and peer review were used. 250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were applied to the integrated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ed within basketball, relay and badminton. For data collection: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cultural assets from field, and field notes were done, and these data described and analyzed in terms of Spradley`s work(1980) including domain analysis, category analysis, and component analysis respectively. Building sportsmanship on students could be analyzed in three type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Students was obtained sportsmanship cognition through the forming stage as follows: ``understanding value``, ``evaluating value`` and ``enlarging value``. Next, sportsmanship emotion was built as subsequent stage: ``empathy``,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eflection``. Lastly, sportsmanship behavior showed ``sincere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friendship based on cooperation``, ``fair play and judgment``, ``caring about colleague, opponent and family``. Thus suggestion on physical education for cultivating character as follows. Firs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in goal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intentional and systematic program is positively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Third, a range of educational method should be applied to sportsmanship education. Fourth, the role of the teacher is essential for sportsmanship education. Fifth, when it comes to sportsmanship education, it is crucial to build ``community for sportsmanship`` by means of linking among class, school and family beyond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윤리학적 정초

        이승훈,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from a perspective of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which are typical ethical theories,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normative ethics and virtue ethics, this study tries to find ethical significance of sportsmanship by reflecting the Aretē concept. Utilitarianism, with a goal of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has its significance on evaluating everything as a result of actions. However, when this is interpreted with sportsmanship, it has limits as it is focused on actions which use all competence by fair means or foul to accomplish a supreme task, that is victory. Sportsmanship in deontology is an action which expresses a good will from practical reason based on categorical imperative. It is, however, limited because sportsmanship is approached with the same interpretation as the application of rules and law due to the conflict of universality and exceptionality. Virtue ethics has its significance because it is based on inner characters or traits of agents rather than rules or principles. It is, however, insufficient to explain sportsmanship only with the morality of the agent. Thus, the concept of aretē may be raised from a new perspective for ethical issues in sportsmanship. Aretē means 'excellence' in Greek. When this is integrated to a sports field, this may be primarily athletic performance, that is excellent athletic performance capabilities. In an ethical approach, this may be a foundation to realize a direction of sportsmanship. It is quite ambiguous to interpret the concept of sportsmanship with ethical theories. However, with the concept of aretē, that is observing good manners, it is possible to analyze sportsmanship concretely. 이 연구는 윤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인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의 입장에서 스포츠맨십의 본질규명을 시도하여 그에 대한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이어 규범윤리학과 덕 윤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아레테 개념을 접목하여 스포츠맨십의 윤리학적 의의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하여 그 행위의 결과로서 모든 것을 평가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를 스포츠맨십과 관련하여 해석하면 승리라고 하는 지상과제의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가진바 모든 역량을 동원하는 행위라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의무론에서의 스포츠맨십은 정언명령을 바탕으로 실천이성에서 나온 선의지를 표현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보편성과 예외성의 충돌로 인해 규칙이나 법의 적용과 동일한 해석으로만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덕 윤리는 어떤 법칙이나 원칙보다 행위자의 내적인 특성이나 성향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행위자의 도덕성만으로 스포츠맨십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스포츠맨십의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선으로서 아레테(aretē)의 개념이 대두될 수 있다. 아레테는 ‘탁월성’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로서 이를 스포츠현장에 접목하면 우선은 경기력, 즉 탁월한 경기수행능력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러나 윤리적인 접근에 이르면 스포츠맨십의 지향점을 구현하는 근간이 될 수 있다. 윤리학 이론으로 해석하기 모호한 스포츠맨십이라는 개념에 예절의 준수라고 하는 아레테의 개념이 대입되면 보다 구체적인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스포츠맨십의 내면화 과정 및 요인 탐색

        백승수(Seung Soo Baek),박정준(Jeong J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방법상의 요인을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중심적 스포츠맨십 교육을 적용하여 체육수업 활동에서 필요한 스포츠맨십의 덕목을 선정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거시적 수업 방안과 미시적 수업 기법을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자 본인의 수업을 관찰 및 촬영하였고,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조사, 서사중심적 통합적 교수-학습 자료(스포츠맨십 실천록, 스포츠맨십UCC, 사진 등)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해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및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쳤다. 학생들의 스포츠맨십 내면화는 ``비인식기-개념화기-실천화기-내면화기``과정으로 구분되며, 이는 비연속적, 상호보완적 특성을 갖고 있었다. 거시적 수업 방안과 미시적 수업 기법이 스포츠맨십 내면화 과정에서 포괄적,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can be achieved, and then exploit factors affecting sportsmanship internalization in terms of teaching methodology in Middle School PE. Virtues related to sportsmanship were selected, and various activities where the selected virtues can be naturally practiced were prepared. To macroscopically produce situations where students themselves can learn sports, macro-teaching techniques (e.g. learning, sports-doing, socialization, etc.) were used. The author didn`t fail to incessantly monitor and visually record the progress of all relevant classes while this study was continued. Un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had. And findings (e.g. sportsmanship practise list, sportsmanship UCC, pictures, etc.) as produced through data based on narrative, integrative approaches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implications, together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experts.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went through four phases: non-cognization, conceptualization, practical representation and internalization; stil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r phase doesn`t always consecutively complete the cycle of sportsmanship internaliz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y affected one another through series of internal reactions, and thereby, reinforced their respective properties, which suggested that they were a discontinuous process by being complementary to one another. and it was found that micro- and macro-teaching techniques affected the internalization of sportsmanship.

      •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발달 수준과 영역에 관한 경험적 탐색: 중학교 체육수업을 중심으로

        박정준 ( Jeong Jun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level and domain of sportsmanship in middle school P·E classes. 250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were applied to the Integrated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Park, 2011) developed within basketball, relay and badminton. For data collection: student journals, open questionnaire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were done, and these data analyzed in terms of Patton(2002)`s inductive analysis to discover patterns, themes and categories. Also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for examining the ratio of sportsmanship developmental level and domain. The sportsmanship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sed following two aspects. First, the developmental level of sportsmanship was categorized as: (a) cynical exploration stage, (b) selfish competition, (c) fair achievement, (d) limited caring, (e) conscientious respect. Second, the developmental domain of sportsmanship was labeled as both mindset- behavior and P·E class-daily life. In conclusion, sportsmanship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students to experience from social character to moral character and from selfishness to altruism. And they have to reflect their thoughts, attitude, behaviors through practical learning. Systemic approach is needed for enlarging the sportsmanship to daily life.

      • KCI등재

        원문 : 스포츠맨십의 형성 요인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실행 전략 탐색

        박정준 ( Jeong Jun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스포츠맨십이 형성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맨십 프로그램의 실행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Y’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을 1년 동안 실행하였고, 학생 250여명을 인성 수준별로 A~D의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각 그룹별로 1명씩, 모두 4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하여 수업 활동을 관찰하였다. 스포츠맨십 실천록과 행동 체크리스트, 질문지, 면담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빈도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스포츠맨십 형성 요인을 프로그램, 학생, 교사, 환경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프로그램 요인측면에서는 활동 종목의 특성과 학습 시간에 따라 스포츠맨십의 실천 횟수, 덕목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수·학습 방법의 연습과 경기, 실천록 쓰기, 읽기와 보기, 평가, 개념 이해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D그룹의 주제보자별로 형성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 단계별 행동 실천 횟수, 사회성과 도덕성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다. ‘칭찬과 믿음’, ‘갈등해결’,‘솔선수범’과 같은 교사요인과 실제 ‘연습·경기’가 가장 큰 형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도 ‘친구들의 시선이나 평가’, ‘친구의 언행’ 등 또래 환경이 스포츠맨십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맨십함양 프로그램은 운동화(직접체험)→사회화(관계 형성)→학습화(간접체험)→운동 실천→일상 실천의 5단계 실행 전략이 요구된다. 1~3단계는 상호 보완적 선순환구조의 특징을, 4, 5단계의 특징은 1~3단계에서도 실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strategies of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n formation factors in middle school P;E classes. 250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were applied to the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Park, 2011).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A~D) according by character traits. 4 main informers were selected amon them. For data collection, student journals, open questionnaires, interview, checklist were done, and these data analyzed in terms of Spradley(1980)’s inductive analysis to discover patterns, themes and categories. Also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for examining the sportsmanship behaviors. Formation factors of sportsmanship were classed as program, students, teacher, surroundings. Sportsmanship behaviors frequency and the ratio of sportsmanship virtues varied depending on the activities and time. The influences of instructional methods appeared in order ``practice and match``, ``writing journals``, ``reading and watching``, ``assessment``, ``understanding concepts``. Differences on perceived formation factors were depending on each main informers. Sportsmanship behaviors frequency, the ratio of sociality and morality appeared differently each instructional stage. The most influential formation factor was the teacher``s attitude like to ``praise and confidence``, ``resolution of conflicts``, ``leading by example``. Besides surroundings like to ``attention and judgement by friends``, ``friends`` behaviors`` had an influence on formation of sportsmanship. Consequently sportsmanship education program need the following 5 step-teaching strategies: spotization(direct experience) →socialization(building relationship) → academization(indirect experience)→practice in sports→practice in daily life. 1~3 steps means complementary ``virtuous cycle`` and 4~5 steps can be practiced in 1~3 steps.

      • KCI등재

        칸트윤리학에 기초한 스포츠맨십의 본질

        이계영(Gye-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칸트윤리학의 맥을 이루는 시발점은 이성이다. 이성에 있어서 이론적 이성은 인식과정을 의미하고, 의지능력으로서의 실천이성은 도덕법칙의 전형으로 선과 악을 규정한다. 실천이성은 자유를 요청한다. 자유는 칸트 윤리학의 맥을 이루는 또 하나의 근본이념이다. 칸트 윤리학의 목표는 선의지에 있다. 선의지의 개념에서 의무의 개념이 생긴다. 칸트 사상에 있어서 스포츠맨십의 본질은 자신의 절대적 자유의지를 원천으로 하여 자신의 삶을 능동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존재이다. 실천 이성의 견지에서 스포츠맨십이란 단지 규칙에 의해서만 유지되는 것이 아니고 행위의 의지나 행위의 양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스포츠에서의 우선순위는 결과도 경쟁도 아닌 과정이며 행위 그 자체에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스포츠를 통한 인성교육을 통해 자유를 각성시키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 질 줄 아는 인간으로 길러 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완성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있는 스포츠의 가치는 완성된 도덕적 자유인이라는 목표에 접근해 간다. 스포츠맨십은 도덕적 차원에서 옳은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포츠맨십의 발휘는 선의지라 할 수 있고, 스포츠 상황에서 자연결정성의 선택보다는 무제약적 자율적 의지를 따르는 것이 진정한 스포츠맨십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칸트 윤리학에 근거한 스포츠맨십은 현장에서 실천함으로서 스포츠를 더욱더 가치 있고 풍부하게 한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논증으로 스포츠맨십의 철학적 가치와 필요성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based on Kant"s Ethics, to observe the nature of sportsmanship. In terms of reason, the theoretical reason represents conscious process, and the practice reason of will is a stereotype of ethics law and regulates the good and the evil. The practice reason requires freedom. Freedom is a kind of fundamental ideology of Kant"s ethics. Kant"s ethics" aim is good willing. In the concept of good willing, the concept of obligation occurs. In the meaning of Kant"s ethics, the nature of sportsmanship is an existence to try to complete one"s own life actively based on one"s absolute freedom will.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e reason, the sportsmanship is maintained not through simple rules, but through behavior will or aspect. That is, the priority of sports is not competition or result but process and behavior itself. It is very important through sports to improve education of humanism so that one can realize freedom and become responsible for one"s own behavior. The value of sports has assignment of completing human, and tries to be closer to the goal of complete moral free man. Sportsmanship means ethically right behavior in terms of morality, and exhibiting the sportsmanship is the good will. The true sportsmanship is not a natural-decision choice but following unrestricted autonomy will. Hence, the nature of sportsmanship based on Kant"s ethics makes sports more valuable and abundant through practicing. Through this reasoning, the philosophical value and necessity of sportsmanship can be justified.

      • KCI등재

        스포츠맨십은 가르칠 수 있는가?

        최의창(Eui 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1

        체육에서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것을 손꼽으라고 한다면, 누구든 주저 없이 정의적 영역이라고 말할 것이다. 사회성, 도전정신, 스포츠맨십, 리더십, 용기, 책임감 등과 같은 마음의 상태, 그리고 그것을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쉽지가 않은 것이다. 일상적으로 도덕교육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이러한 정의적 영역의 가치 덕목들은 인성교육과 전인교육의 목적하에 체육교과내에서 강조된다. 체육교과가 전인교육의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것은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통해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정의적 영역 지도의 가능성은 어디까지이며 그 한계는 무엇인가를 그 동안의 연구들을 토대로 알아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맨십을 정의적 영역의 대표개념으로 선정하고, 이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시켜나간다. 우선 그 동안 스포츠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다음 절에서는 교육내용으로서 스포츠의 개념규정과 스포츠맨십의 정의를 알아본다. 그리고 스포츠맨십을 가르치기 위해 제안된 교수관점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맨십을 가르칠 수 있는 빠르고도 손쉬운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스포츠맨십의 교육은 성취율이 매우 낮은 지난한 작업임을 밝힌다.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 바로 체육교사임을 강조하면서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노력이 요청됨을 제안한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physical education(PE) and sports is the teaching of the affective domain. There are few methods for such virtues as responsibility, endurance, social relationship, leadership, and empathy which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a whole person. Especially PE as a subject in schools has been justified by its contribution to the affective development of students. But it has not been quite clear that the affective dimension is really improved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PE and sports.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Sportsmanship has been an important concept for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thus of whole person. However the concept of sportsmanship as educational content has not been clearly articulated for the effective teaching in schools. Its effective teaching methods are neither identified nor developed yet. This study inquires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teaching the affective domain in PE, through the teaching of sportsmanship. Studies on sportsmanship in several related subdisciplinary areas are reviewed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cept of sportsmanship as content is articulated in the third section. The three perspectives for teaching sportsmanship are identified and their respective advantages are highlighted in the fourth section. Some implications for PE and sports are outlin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스포츠맨십의 실천 윤리적 고찰

        이계영(Gye-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맨십의 본질을 불교윤리학에 나타나는 근본이념들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모든 존재들은 다 같이 행복해야 한다는 불교사상은 생명일체의 절대 평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불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또한 경험적인 윤리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불교는 해탈, 열반, 깨달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이상적 목표를 상정한다. 그 이상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행위의 실천이 필요하다. 불교에서의 행위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확대재생산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맨십의 바탕에는 당위가 아닌 개인의 행복추구가 자리한다. 업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불교적으로 선한 행위란 일체 세계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깨달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반한 행위가 불교적으로 선한 업으로 기능한다. 불교적인 윤리에서 진정한 스포츠맨십의 실현은 자기희생이나 당위의 실현을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삶을 산다는 것이다. 사념처 수행에서 몸은 생물학적 몸이 아니라 존재를 지각하는 실존의 주체로서 몸을 말한다. 따라서 몸의 마음챙김은 심신일여로서의 몸의 지각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구조가 마음챙김으로 정화돼 가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사념처의 적용은 인간적인 성숙과 존재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돕는 것이며 이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으로 전인교육, 자기수양을 이룰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찾는 것이라 사료된다. 스포츠맨십에 대한 불교의 윤리관은 스포츠 현장에 있어서 스포츠맨십의 실천 즉 옳은 행동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스포츠맨십의 실천에 대한 도덕적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며, 스포츠맨십으로 사는 것에 대한 정당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observe the essence of sportsmanship based on basic ideologies of Buddhist ethics. Buddhism proposes realistic and experience-based ethics theories. It has the ideal purpose which can be expressed as realization, or nirvana.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practice of good behavior is needed. Behavior in Buddhism is a kind of reproducing and enlarging behavior by body, mouth, and mind. Accordingly, there is an individual pursue of happiness in sportsmanship. According to Buddhist Ethics, the realization of sportsmanship is not about sacrifice or a thing to do, but rather improving one"s happiness. In the four foundation of mindfulness, body is not biological, but an existential subject of perceiving existence. Accordingly, through body mindfulness, correspondence of body and mind can be perceived, and this emotional structure can be purified into the mindfulness. Applying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o sports is to help perceive human maturity and essence of existence, and this again helps to find the methodologies of inner power through which all-rounded education and self-meditation can be achieved. Buddhist Ethics regarding sportsmanship can provide the analysis of good behaving structure of sportsmanship, propose the ethical standards of sportsmanship, and justify living by sportsmanship.

      • KCI등재

        청소년 골프선수의 자기관리, 스포츠맨십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적 관계모형

        윤형기(Yoon, Hyoung-Ki),오세이(Oh, Sei-Yi)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causal model among the self-management, sportsmanship, and cognitive performances of adolescent elite golf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232 of adolescent players who are listed on the Korean college golf federation and junior golf associ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collected material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and Amos 22.0. The questionnaires for the self-management had been developed by Hu(2001; 2003), Lee(2005), Jo(2016), and Jung(2013), sportsmanship had been developed by Sung(2003), Bang(2013), and Vallerand et al.,(1997), and cognitive performance had been developed by Kim(2011), and Yoon(2014). From the analyses of the data,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Hypothesis Ⅰ was adopted, Ⅰ-1. There were show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management and sportsmanship. Ⅰ-2, There were show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ental management and sportsmanship. Ⅰ-3. There were not show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management and sportsmanship. Ⅱ-4. There were not show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sportsmanship. HypothesisⅡ was adopted. There were show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rtsmanship and cognitive performance.

      • KCI등재

        인권지향적 스포츠맨십의 정초: 세계인권선언의 적용

        김동규,김현수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ore advanced sportsmanship in modern society. To this end, we combine the human rights context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hich is the most basic agreement on human rights, with existing sportsmanship. While sportsmanship has been aimed at the definition of sports people and individuals to play 'right' sport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tself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human rights as well as human rights. However, a more careful approach is required because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each word constituting these concepts is not deterministic and has a consistent meaning. First, this study aims at general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Second, we consider reviewing the interpretation point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ird, we seek understand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maximization of freedom and equality of how human rights can be understood in sports field. And to invite the contents to the value system of sportsmanship, fourth, we examine how sportsmanship is traditionally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Fifth, human rights-oriented sportsmanship centering aroun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s newly defined. This is to confirm the belief that sports is accessible to all, a sports culture that is not discriminated against, itself. It also declares that sport is included at the most basic point of human rights that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seeks to promote. 이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진일보한 스포츠맨십의 정초를 위해 인권에 관한 기본적인 합의라 할 수 있는 세계인권선언에 나타난 인권의 맥락과 기존의 스포츠맨십을 접목하려는 시도이다. 그간의 스포츠맨십은 ‘올바른’스포츠를 영위하기 위한 스포츠인 개인의 정의로움을 지향해 온 한편, 세계인권선언 또한 그 자체로 인권적일뿐만 아니라 인권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어 인류애를 행한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목적은 동일하다. 하지만 이들 개념들을 구성하는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와 해석은 결정적이고, 일관된 의미를 지닌 것이 아니므로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인권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도모하고, 둘째, 세계인권선언에 대한 해석상의 논점들을 점검하였다. 그리고 셋째, 스포츠분야에서 인권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그간의 인권침해에 국한된 시각을 배제하고, 자유와 평등의 구현이라는 최대주의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을 스포츠맨십이라는 가치체계로 불러들이기 위해 넷째, 전통적으로 스포츠맨십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논의와 함께 다섯째, 세계인권선언을 중심으로 한 인권지향적 스포츠맨십의 정초를 시도하였다. 이는 스포츠가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차별받지 않는 스포츠문화 그 자체라는 믿음을 확인하는 것이자 세계인권선언이 지향하는 인권의 기본적인 지점에 스포츠가 포함된다는 것을 천명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