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정택,육동원,정재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골프경기 상황에서 대학골프 선수를 대상으로 하여 이전수행, 스포츠자신감이 골프 경기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골프 경기력 향상과 그것에 필요한 효율적인 코칭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일정수준 이상의 기술수준을 가진 대학생 골프선수로서, 제 3회 회장배 대학골프대회에 참가한 남?여 선수 13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합상황에서 골프선수들이 느끼는 스포츠자신감을 검사지로 측정하였다. 스포츠자신감은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으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Vealey(1986)가 제작한 검사지를 신뢰도 검증과 타당도 검증 작업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Ver. 10. 0의 하위 프로그램 Descriptives, GLM, Regression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변인(성별, 이전 평균성적, 경력)에 따른 스포츠자신감을 분석한 결과, 이전평균성적에 따라서는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경력에 따른 스포츠자신감 분석 결과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별, 이전평균성적, 경력에 따른 골프경기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구변인(이전평균성적, 경력, 특성스포츠자신감, 상태스포츠자신감)이 골프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이전평균성적과 특성스포츠자신감이 골프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icient coaching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the athletic performance in the game of golf and past achievement and sport-confidence with college golfers. A total number of subject were 150 amateur golfer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collegiate golf tournament (2002. 3. 25-28). The 131 subjects out of 150 were used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excluding 19 subjects. The sport confidence was used as an inventory and it was measured as trait 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The inventories of trait 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 confidence were translated to Korean language and each inventory consist of 13 questions based on a 9-point Likert scale. The reliabilities were as high as .92 in both surveys. The 19 subjects were excluded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into such sub-programs of SPSS 10.0 as Descriptives, GLM, and Regressio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data. M & SD, independent t 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with p<.05. The result co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according to the sport-confident level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cores,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In other words, the previous scores was a predicting factor of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next game of golf. Secondly, according to the sport-confident level on the basis of career,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areer on the performance of golf. In other words, career was not a predicting factor of golf performance. Lastly, trait-sport-confidence and the previous average scores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to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in the game of golf with analysi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having golf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e previous average scores, experience, trait-sport-confidence, and state-sport-confid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프로골프선수의 경쟁불안과 스포츠 수행전략 및 인지된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
소영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3
[목적] 이 연구는 프로골프선수의 경쟁불안과 스포츠 수행전략 및 인지된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225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분석에는 211 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 분석은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 다. [결과] 첫째, 경쟁불안은 스포츠 수행전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경쟁불안은 인지된 경기력에 부(-) 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 수행전략은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 수행전략 은 경쟁불안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프로골프선수의 경쟁불안은 스포츠 수행전략과 인지된 경기력을 감소시키고, 스포츠 수행전략은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경쟁불안은 스포츠 수행전략을 통해서도 인지된 경기력을 감소시키는 특성이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etitive anxiety,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golfers. [Method] The selected 211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om professional golfers. With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by AMOS 21.0. [Result] First, the competitive anxiety impacts negatively(-) influence on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Second, the competitive anxiety impacts negatively(-) influ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anxiety and perceived perform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reductions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the competitive anxiety in professional golfers, but the means improving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It also the competitive anxiety had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s a mediating variable.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Perturbation in Performance) 측정을 위한 분석인자와 측정방법의 탐색
최형준(Hyong Jun Choi),김주학(Joo Hak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2
최근에는 스포츠 경기력을 일정한 리듬을 통해 나타내는 프로파일링(profiling)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경기력분석 분야에서의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perturbation in performance: 이하 PiP)는 경기력의 불규칙적인 패턴을 찾아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한다. 하지만 그동안 이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론적 확립이나 명확한 정의조차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의 분석인자와 측정방법을 탐색하고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에 대한 고찰을 하는 튜토리얼(Tutorial) 형식의 연구이다. 탐색된 선행연구에서는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를 `행위의 과정`과 `행위의 결과`에 기준하여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기준점과의 이동거리`, `결정적인 사건(critical incident)`, `승인(Winner)과 패인(Error)`을 이용하여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스포츠경기력혼란상태의 다양한 측정방법 개발, 분석인자의 탐색, 측정도구의 개발, 스포츠 현장 적용 및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Recently,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n the performance profiling, which could display the consistent rhythm of performance, was considered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nalysis of sports. Especially,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is able to provide the problematic issues and situations within the unstabilized patterns of performances. However, the clear definitions or systematic methodologies of measuring perturbation in performance has not proposed and investigated according to past researches.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se previous studies relevant to the perturbations in performance.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crit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s as tutorial format. As results, `the process of action` & `the results of action` were based for the measurement. For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s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the distance from customized location on court`, `the critical incident made the perturbations` and `winners and errors` were used to identity the perturbation in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are further researches required on variety methods, ide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the application of usage on perturbation in performance.
박상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1 스포츠와 법 Vol.24 No.2
본 연구는 국민체육진흥기금의 스포츠 재정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성과와 관련 영향요인에 관하여 살펴보고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영향요인별 성과, 성과별 영향요인, 관계 및 시사점 등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영향요인별 성과에서는 사업규모, 우선순위 모호성, 대상집단 모호성, 사업의 유형과 성격, 사업의 직접성, 사업의 지속여부 등의 여섯 가지 요인들 모두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사업의 직접성 요인에서 직접 사업은 1개만 있어 간접 및 혼합 사업과의 성과 비교는 제한적이었다. 두 번째는 성과별 영향요인이다. 성과가 높은 사업들은 평균적으로 사업규모가 더 크고 성과지표의 수는 더 많으며, 사업대상은 명확하고 사업비 성격의 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 간접 형태의 계속 사업이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성과가 낮은 사업들은 대부분 사업규모가 작고 우선순위 모호성이 낮으며, 사업대상이 명확하지 않은 편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 세 번째는 관계 및 시사점이다. 성과는 여섯 가지 영향요인들과 상호 연동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성과가 높은 사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사업은 우선순위 모호성 영향요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두드러졌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사업의 다양성 확보, 중장기 성과지표 반영, 사업목표 및 성과지표의 적정성 제고 등 세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sport financial support programs of the Korea Sports Promotion Fund and to derive the significance that it implies and necessary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ey include analyzing performance by impact factors and deriving results, analyzing impact factors and deriving results by performance, and deriving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irst, analysis of performance by influencing factors and results revealed that all six factors affect performance: program size, priority ambiguity, target group ambiguity, type and nature of the program, directness of the program, and continuity of the program. However, in terms of directness factors of the program, there was only one direct program, so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 with indirect and mixed programs was limited. The second is the analysis of performance-specific influences and the derivation of results. On average, programs with high performance were larger in siz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grams with clear targets and program cost accounted for most of them. And it was mostly an indirect form of continu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at programs with relatively low performance were mainly small in size, low in priority ambiguity, and the target of the program was not clear. The last three are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Performance was interlinked with six influential factors, and relatively low-performance programs differed in terms of priority ambiguity influencers. Three matters were presented as policy implications: securing diversity of programs, reflecting mid- to long-term performance indicators, and enhancing the adequacy of program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사격선수의 자신감 및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기여도
이동준,김화복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사격 선수들의 자신감과 선수가 인지하는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국의 사격 선수를 모집단을 설정한 다음 편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총 479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관계는 2단계 절차로 분석하였는데 첫 단계로는 SPSS 18.0을 이용한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수준별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 고 두 번째 단계로는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통해 요인 간 관계 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수준 별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에서는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선수집단이 낮은 선수집단에 비해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과 행동지향적 전략이 인지된 경기력 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among Shooting player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otal 479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f random sampling and utiliz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wo steps. As first step,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analyzed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As second step,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nalyzed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showed high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ose of group with low level of self-leadership.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ports confidence, the contra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confidence.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For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sport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필드하키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팀 성과의 관계에서 스포츠우리성의 다중매개효과
임정우 ( Lim Jungwoo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sports W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team performance as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37 field hockey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18.0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team performance. Second, the leader’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sub-factors of sports weness, team life-horizontal, team performance-vertical, and team performance-horizontal. Third, the team performance-vertical, a sub-factor of sport we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team performance. Fourth, team performance-vertical, a sub-factor of sports weness,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ader’s democratic and autonomous team atmosphere has a positive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and team performance.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leader’s leadership type and sports personality as a strategy to improve team performance.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과의 관계
김우경,박창범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북도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는 운동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는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운동몰입은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의 강화는 운동몰입 경험을 강화시켜 궁극적으로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파트너 간의 다양한 방법의 소통을 통해서 의견을 공유하고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 및 유지한다면 파트너 신뢰가 강화되어 높은 수준의 운동몰입을 통하여 경기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of the exercise immersion and performance ability o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and verify causal relations between for perform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31 subjects o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questionnaires in Seoul, Gyunggi, and Cheongchung province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partner confidence influenced exercise immersion positively significantly. Second,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partner confidence influenced the performance ability positively significantly. Third,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exercise immersion influenced performance ability positively significant. In conclusion, i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 partner confidence can increase exercise immersion, it supported performance ability for the high performance level. Therefore, providing shar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thletes, then to keep the relationship for the reinforcing partner confidence to achieve high performance level.
The Effects of Self-Confidence on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of Amateur Table Tennis Players
Kim. Seung-Jin,Jo. Hwan-Hee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아마추어 탁수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이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대학교 에 재학중인 탁구 선수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값을 구하였으며,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스포츠 자신감, 운동몰입, 경기력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토출하였다. 첫째, 아마추어 탁구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자신감의 능력입증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인지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마추어 탁구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자신감의 하위요인인 능력입중, 코치지도력, 신체, 정신적준비는 경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마추어 탁구 선수들의 운동몰입은 경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ort self-confidence on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of amateur table tennis players.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used to deter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for 258 table tennis players at high schools and colleg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factors for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among sport self-confidence,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mateur table tennis players had sport self-confidence significantly affect sport commitment. Among the sub-factors for sport self-confidence, ability demonstration positively affected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cognitive commitment. Second, the amateur table tennis players had sport self-confidence significantly affect performance. Such sub-factors for sport self-confidence as ability demonstration, coaching leadership, and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Third, the amateur table tennis players had sport commitmen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performance.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심리기술 및 경기력과의 관계
곽미리,문한식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심리기술 및 경기력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댄스스포츠 발전과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3회 대한체육회장배 전국 댄스스포츠 대회, 제11회 KPDC 전국 댄스스포츠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가용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7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52부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새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과제지향과 자아지향이 의지력과 팀 조화에 정(+)의 영향, 과제지향이 집중력과 불안조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지력, 팀 조화와 집중력이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지향과 자아지향이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심리기술은 성취목표성향과 경기력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 성취목표성향은 심리기술과 경기력에 관여되고 있으며 심리기술을 강화할수록 경기력도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sports and excellent athle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of dance sports players.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dance sports players who had participated in 3th Korea Sports President’s National Dacne aSports Competition and 10th KPDC National Dance Sports Competition and total questionnaires were used via available sampling method out of 270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rocessed by SPSS 25.0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showed positive (+) effects on willpower and team harmony, and task orientation positive (+) influences on concentration and anxiety control. Secondly, willpower, team harmony and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 effects on performance. Thirdly,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influenced positive (+) effects on performance. With these results, goal orientation made effects on psychological skill and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skill partially influenced on performance, respectively. Fourth, dance sports players psychological skills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al orientation is involved in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and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skills, the better the performance.
생활체육 참여자의 스포츠자신감과 성취목표지향성 운동지속수행력의 관계
최용민(Choi, Yong-Min),김재일(Kim, Jae-ll),서석윤(Seo, Seok-Yun),Greg B. C. Shaw 한국체육과학회 201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mpact of sports confidence of everyday sports participants on their goal orientation and continued sports performance. The purpose is to offer baseline data that can contribute to stimulating everyday sports and improving the related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objective, everyday sports participants in Honam region(Gwangju City, South Jeolla Province) were surveyed in 2014. It was done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45 questions. Among the 166 copies collected, 138(83%) of them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Ver. 17.0 program.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of th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orts confidence of life sport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goal orientation and eco-oriented orientation. Second, the sports confidence of life sport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of continued sports performance. Third, the goal orientation of life sport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of continued sports performance.